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역사수업에서의 다원적 관점

        이병련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2

        Multiperspectivity in German history education theory can be explained in three different dimensions. They are 1. multiperspectivity of the people of the past that can be observed in historical records and artifacts, 2. multiperspectivity of the researcher and the historian in relations to their observation of historical facts, i.e. arguments 3. multiperspectivity in the sense that each student of history forms his individual opinion on a particular historical fact, i.e. multiple opinions. German history education theory demands that history classes be undertaken in the same way as a professional historian would study his discipline, which means that the students must experience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n a procedural manner. It is accepted that students must take into account the principle of multiperspectivity in order to achieve objectivity in historical thinking. The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of German state governments regard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as the formation of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can be developed as students attain ‘historical competence.’ Historical competence can be divided into professional competence (Sachkompetenz), methodological competence and judgement competence. Judgement competence is again divided into situational judgement competence and value judgement competence. Historical value judgement competence is the highest competence that students of history must attain. The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of the German state governments which have been published after the early 2000s are labelled ‘competence-oriented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and they stipulate the ‘competence’ that need to be attained by students during their history classes in each school year. The learning of multiperspectivity is emphasized in order to develop these competences which are vital in the formation of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History classes that apply multiperspectivity have the objective of developing competence of adopting perspectives and empathy, situational judgement competence and value judgement competenc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lated to adopting perspectives and empathy, ‘production-oriented’ or ‘action-oriented’ history classes are regarded as being appropriate. This article has introduced the module ‘Columbus and Its Results’ of the 8th grade as a sample class. This module’s most important objective is to develop the individual student’s historical judgement competence. Only by developing his individual historical judgement competence can the student attain the necessary political acumen to actively promote the ideal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독일의 역사교육 이론에서 다원적 관점은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차원을 의미한다. 그것은 1. 사료와 유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과거의 인간들의 다원적 관점, 2. 역사적 사실에 대한 후대의 관찰자인 연구자와 역사가의 다원적 관점, 즉 논쟁, 3. 학습자들이 하나의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각자의 의견을 형성하는 의미에서의 다원적 관점, 즉 복수의 의견들의 차원이다. 독일의 역사교육 이론은 역사수업이 원칙적으로 전문역사가의 작업방식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하며, 이것은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역사적 인식을 하나의 ‘과정’으로서 경험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들은 다원적 관점의 원칙을 고려함으로써만이 역사적 사고에서 객관성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주정부들의 교수계획은 역사교육의 목표가 반성적reflected 역사의식의 형성에 있다고 본다. 반성적 역사의식은 학생들이 ‘역사적 능력 historical competence’을 습득하면서 계발될 수 있다고 본다. 역사적 능력은 ‘사실능력 Sachkompetenz’, ‘방법능력’, ‘판단능력’으로 구분된다. 판단능력은 다시 ‘상황판단 능력’과 ‘가치판단 능력’으로 구분된다. 역사적 가치판단 능력은 학생들이 습득해야만 할 최고의 능력이다. 2000년대 초반 이후에 출간된 독일 주정부들의 교수계획은 ‘능력지향적 교수계획 competence oriented’이라고 명명되고 있는데, 그것은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이 특정한 학년마다 성취하여야 할 ‘능력’을 규정하고 있다. 다원적 관점의 학습은 반성적 역사의식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이러한 능력의 계발을 위해서 강조되고 있다. 다원적 관점의 역사수업은 ‘관점의 수용 Perspektivenyebernahme Empathy’ 능력과 상황판단능력, 가치판단 능력의 계발에 그 목표가 놓여진다. ‘생산지향적인’ 또는 ‘행동지향적인’ 역사수업이 관점 수용능력을 개발을 위해서는 적합한 수업방식이라고 본다. 여기에서는 8학년에 해당되는 ‘콜럼버스와 그 결과’라는 수업단위를 하나의 수업사례로 소개하였다. 이 수업단위에서의 최고의 목표는 학생들 개인 각자의 역사적 판단능력의 계발이다. 학생들은 스스로의 역사적 판단능력을 발전시킴으로써 현재 사회에서의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정치적 교양을 갖출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국가의 시장 개입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 : 1980년대 미국과 영국의 복지개혁 사례를 통해서 본 국가의 능력

        안희남,정성범 대한지방자치학회 2012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국가의 시장개입에 관한 신제도주의, 특히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역사적 제도주의는 국가의 시장 개입에서 국가의 능력을 필수적인 것으로 보고, 그것의 본질, 형성과정, 그리고 결과를 제도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 이론이다. 국가의 시장개입 능력을 규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1980년대 미국과 영국의 일-복지 연계 프로그램으로의 복지개혁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국가의 능력은 역사적 상황에 의하여 결정되고, 제도적 질서를 따른다는 제도적 특징을 지니며, 국가의 선호나 이념에 의하여 주로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국가의 능력은 위기 때 강화되며, 이때 개혁이 추진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결국 국가와 시장은 분리해서 볼 수 없으며, 그 경우에도 국가가 주도권을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의 다원적 관점 이론

        이병련 ( Byung Lyun Y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5 사총 Vol.84 No.-

        이 논문은 독일의 역사교육에서 이미 하나의 중요한 역사교육 이론으로 자리 잡고 있는 다원적 관점’의 이론에 관하여 소개한 것이다. 다원적 관점의 이론은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라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독일의 학교에서 역사가 확고한 교과과목으로 자리잡았던 19세기 이래 1970년대까지 계속되었던 ‘전통적인 역사수업’ 에서 학생들은 소위 ‘역사적 개괄지식’을 배워야만 했었는데, 그 역사적 개괄지식이란 실제로는 국가권력을 장악한 지배 엘리트의 이익을 반영하는 단지 하나만의 ‘관점(perspektive)’을 배우는 것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부터의 ‘새로운 역사교육’은 학생들 모든 개개인들이 스스로 역사를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학생들의 ‘역사적 능력(historical competence)’이란 학생개인이 현재와 미래의 삶을 살아가는 데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Orientation)을 잡을 수 있기 위해, 과거를 기억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역사적 의미형성(Sinnbildung)’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 능력은 전통적인 수업에서처럼 ‘단일한 관점’만이 학생들에게 강요되는 수업방식으로는 길러지지 않고,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다원적 관점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와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됨으로써만이 가능하다. 학생들은 역사수업에서 서로 다르고 또는 대립되거나 모순이 되는 관점들이 ‘사료’나 전문 역사가들의 역사서술에 들어가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됨으로써, 사료나 전문적 역사서술이 과거의 진실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비판적 의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자유로운 토론을 통하여 학생동료들 간에도 서로 다른 다양한 관점과 시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자신의 관점을 성찰(Reflection)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다원적 관점의 역사수업은 민주주의의 기초가 되는 비판의식과 자기 자신의 관점을 성찰하고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introduce the theory of ``multiperspectivity``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theory for history education in Germany. This theory is primarily linked to the question of what students should be learning in a history class. From the 19th century-when history consolidated its position as a curriculum subject in German schools - to the 1970s, the ``traditional history class`` compelled students to learn the so-called ``general knowledge of history.`` But this general knowledge of history was in fact nothing more than learning a single perspective which reflected the interests of the ruling elite that dominated all powers of the state. But after the 1970s the ``new history education`` aimed to allow the individual student to develop skills that allowed him to think about and to pass judgement on history for himself. ``Historical competence``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remember the events of the past or to construct a meaning for the past (Sinnbildung) in order to ``orient`` oneself towards solving the problems of everyday life in the present and in the future. This ability cannot be developed by forcing a ``single perspective`` on the student as it was the case in traditional history classes. It can only be developed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 to encounter ``multiperspectives`` and to discuss his views freely in class. By learning in class that different, opposing or contradicting perspectives permeate ``historical reference materials`` or the writings of professional historians, the student will learn that reference materials or historical writings are not hard historical truths. This will allow him to attain critical consciousness. By discussing his views freely in class, the student will realize that his classmates all have divergent points of view. This will give him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is own perspective. Therefore, history classes based on ``multiperspectivity`` provide opportunities to develop critical consciousness - the basis of democracy - as well as to reflect upon and to construct one``s own perspective.

      • KCI등재

        주체시대 수령형상문학의 원형성 연구 - 『조선단편집 1』(1978)에서 부각된 수령의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

        이인표 ( Lee In-py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3

        이 논문은 『조선단편집 1』에서 주체문학의 원형적인 ‘기획’으로서 부각되는 수령의 특별한 ‘공감능력’을 고찰한다. 수령형상의 완벽한 사랑에 고취되는 인민형상의 혁명적 낭만성이 수령의 지도계획을 뒷받침하는 수령형상문학의 담화구조는 세상만사에 완벽하게 공감하는 수령의 ‘특별한’ 형상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수령형상의 ‘특별한’ 공감적인 사랑에 고취된 인민형상의 혁명적 낭만성이 그의 지도계획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이야기의 담화구조는 텍스트 안팎에서 공감적인 연대를 구현할 수 있다. 그 ‘특별한’ 공감적인 사랑은 믿을 만한 역사적 진실일 수 없지만 핍진한 문학적 진실로서 독자에게 수용될 수는 있다. 누구도 모든 존재와 경험과 처지를 공유할 수 없는 이상, 수령이 모든 인민을 공감하는 형상은 진실하지 않다. 하지만 이런 허구적 ‘사랑’에 고취된 인민형상이 역시 이 ‘사랑’에 입각한 지도계획을 무조건 실현하는 이야기의 담화구조는 문학적 진실로는 유보하고 싶을 만큼 매혹적이고 핍진하게 다가올 수 있기 때문이다. 수령형상의 ‘특별한’ 공감능력이 핍진한 문학적 담화구조로 재현될 수 있더라도, 그 자체는 역사적 진실로 볼 수 없다. 북한 정치체제 연구는 소수 ‘승자연합’의 공감대를 북한사회의 역사적 진실로 본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모든 인민에게 미치는 수령의 공감대를 문학적인 진실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역사적인 진실, 즉 독재체제의 실재를 은폐하는 문학적인 진실의 ‘역할’을 숙고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Suryong’s special “empathy”, which is highlighted as the prototypical “planning” of Juche literature in Chosun Collection of Short Stories 1. In Suryong’s Image Literature in which the revolutionary romanticism of people’s image, inspired by Suryong’s perfect love, supports his guidance plan, the discourse structure of the story is based on Suryrong’s “special” image, which in fact perfectly sympathizes with the world. The discourse structure of the story in which the revolutionary romanticism of the people’s image, inspired by the “special” sympathetic love of Suryong’s image, actually supports his guidance plan, can embody sympathetic solidarity inside and outside the text. That “special” empathic love cannot be a reliable historical truth, but it can be accepted by the reader as a vivid literary truth. Unless no one can share experiences and circumstances with all beings, Suryong’s image empathizing with all peoples is not actually true. However, the discourse structure of the story in which the people’s image inspired by this fictional “love” unconditionally realizes the guidance plan based on this “love” is fascinating and vivid as a literary truth. Although the “special” empathy of Suryong can be represented in a vivid literary discourse-structure, this empathy itself cannot be seen as historical truth. The study on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sees the consensus of a small “winner’s coalition” as the historical truth of North Korean society. However, in this study, Suryong’s consensus with all the people can be found as the literary truth. This will lead us to ponder the “role” of literary truth that conceals the reality of the dictatorship, which is a historical truth.

      • KCI등재

        문학사 기술 방법과 문학사 교육의 방향

        노철 ( Cheol Noh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8

        문학사 교육이 배경 지식에 그치지 않고 세계에 대한 주체적 이해와 대응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는 원론적 견해는 합의 하고 있지만 실제 문학사 교육은 년대 순으로 작품을 배치하고 그 배경지식을 이해하는 학습에서 자유롭다고 하기가 어렵다. 이에 문학사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인식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문학사 교육의 고유한 영역과 일반적인 수용과 생산 교육과 범주의 차이를 분명히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문학사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문학사 교육의 측면에서 문학사를 새롭게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다. 첫째, 문학사를 문제의식을 가지고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 사람들이 부딪치던 문제를 살피기 위해서 작가뿐만 아니라 독자를 고려한 소통과정을 살피는 것의 문학사 교육적 가치를 살폈다. 구체적으로 설화의 수용과 소통과정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문제의식에 공감해 갈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특정한 문학 방식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파악함으로써 문학사적 안목을 습득하고, 이것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제 해결과정을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오래 동안 지속된 특정한 글쓰기 양식인 역사적 장르가 수행한 역할과 변이를 살피기 위해 구체적으로 「황조가」, 「가시리」, 「진달래꽃」의 장르적 가치와 그 가치들이 오늘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장르는 당시 주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자 결과물로, 각 장르의 차이를 계보학적으로 살핌으로써 장르를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셋째, 당시 문제를 해결하는 현장의 고민을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당시 창작과 소통의 현장성을 고려해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살피기 위해, 구체적으로 『홍길동전』이 건국신화, 구전 설화의 흔적을 어떻게 간직하고 있으며, 어떻게 소통되었는가를 통해 장르 간 상호텍스트적 현상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의 탐구에 어떻게 도움이 될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 작품이 창작되고 유통되는 과정은 특정 장르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거나 장르를 결합시켜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키는 현장성의 이해가 지금 현재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탐구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가는 힘을 키워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ough the principle is agreed upon that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instead of accu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developing ability to subjectively understand and cope with the world, it is hard to say practically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free from chronologically arranging literary works and understanding background knowledge. Upon this, it is pointed out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perceived as a problem solving process. But, the distinct domain of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of reception and production and the category are not clearly differentiat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arner to recognize the problem and study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a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the writer attempted to explore a method to freshly approach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erms of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Firstly, a method to study the history of literature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 is pursued. To achieve this, the writer considered the educational value of inquiring into the communicating process that considers not just the writer but also the reader in order to survey the problems that the people of the time had to face. In detail, through the reception of narratives and communicating process, the writer overlooked the way to sympathize with the thoughts of the people of the time. In this course, it is suggested that insight into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acquired by realizing that a historically peculiar literary method is a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and such insight helps to solve today`s problems. Secondly, the writer tried to seek for a way to examine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With this in mind, to look through the roles and the variations of the long lasting particular style of writing, the historical genre, the genre values of ``Hwangjoga,`` ``Gasiri,`` ``Azelea,`` and the way such values helped solve today`s problems are investigated. In the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historical genre is the method for the subjects of the time to solve their problems and its result and so, by genealogicall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one can understand genres as ways of solving problems. Thirdly, the writer tried to find ways to know the concerns of the scen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ime. With with intention, to get hold of the inter-textuality beyond the genre boundaries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the literary cre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time, by examining how ``Honggildongjun`` keeps hold of the traces of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Myth as well as orally handed down narrative tales, and how they are communicated, it is overlooked how the phenomenon of inter-textuality between genres helped solve the problem. In this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that the process where practically literary works are created and distributed is not just confined to a particular genre, but moves among different genres or by combining genres produces a new genre can enable one to investigate ways to solve today`s problems.

      • KCI등재후보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제한요인 분석

        박균열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 변화의 제한요인을 밝히는데 있어서 역사적 신제도 주의에서 강조하는 제도적 맥락과 경로의존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여 분석하였고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서 연공중시라는 경로의존성을 밝혔다. 둘째, 경로의존성에 영향을 주는 제도적 맥락 으로서 보수적 성격이 강한 교직문화, 연공서열 중심의 교원승진제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경로의존성의 원인을 사용하여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제한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경로의존성의 원인에 따라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제한요인을 수 혜집단의 저항, 변화비용과 유지비용의 비교, 복잡한 현실과 인식의 제약, 제도의 고 착성, 제도의 상호의존성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제한요인을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성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풀이 과정 분석을 통한 역사 선다형 문항 개선 방향 탐색

        이미미,홍선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연구 참여자 10명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2개 문항을 풀이한 120건의 문항 풀이 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 참여자가 실제 어떤 지식과 사고력을 활용하여 문항을 풀이하는지, 그리고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지식과 사고력이 출제자가 측정하고자 한 지식 및 사고력과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는 지식 소환(59건, 49%), 수험전략 활용(34건, 28%), 추론(27건, 23%)이라는 세 가지 문항 풀이 과정을 활용하여 문항의 답을 찾고 있었다. 수험전략 활용과 추론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목표 준거에 명시되지 않은 구인이었으나, 문항 풀이에서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목표 준거에 명시된 역사적 사고력을 활용하여 문항을 풀이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세 가지 문항 풀이 과정 중 지식 소환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는 측면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선다형 문항이 연구 참여자의 지식을 측정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연구 참여자가 실제로 문항 풀이에 활용한 지식의 종류와 수준을 분석한 결과 문항의 타당도를 높일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항별·연구 참여자별 분석 결과도 타당도를 높일 필요성을 뒷받침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개선을 위한 3가지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10 college students solved twelve multiple-choice items from the Proficiency Test of Korean History(PTKS) to elicit the knowledge and thinking that students employed during the response processes. We analyzed how the knowledge and thinking that participants used in solving the multiple-choice items aligned with the knowledge and thinking intended for testing.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ere engaged in three response processes in approaching and solving the test items: fact recall in 59 cases(49%), test taking skills in 34 cases(28%), and general reasoning in 27 cases(23%). Although test taking skills and general reasoning are construct-irrelevant variances, participants used them widely with all participants employing test taking skills and 9 out of 10 participants using general reasoning. Historical thinking skills specified in test purposes, however, did not surface in response processes, which raises the question of validity. The fact that participants used fact recall the most of the three response processes solidifies the claim that the PTKH assesses test takers’ historical knowledge, but the analysis of the kinds and levels of knowledge used in participants’ response processes called for the need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PTKH items. Cross case analysis of response processes across items and across participants also pointed to the need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test i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discussed three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enhancing the PTKH items.

      • KCI등재

        수능 한국사 필수 시행의 현안과 개선 방안

        신소연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4

        역사교육 강화 및 학교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해 2013년 8월, 역사교육 강화방안 시안에서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어 10월 24일, 2017학년도 대입제도 확정안을 통해 한국사는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었다. 교육부 방침에 따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4년도 상반기에 출제 경향 및 예시문항 등을 개발하여 학교에 안내할 수 있도록 연구 작업에 돌입하였다. 그 결과 수능 필수 한국사는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이며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쉽게 출제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방향으로 되었다. 특히 사교육 방지 및 정상적인 학교 역사 수업을 위해 설정한 9등급의 절대평가 체계 역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후 2017·2018학년도에 걸쳐 두 번의 수능 필수 한국사 시험이 치러졌다. 그러나 현재 수능 필수 한국사의 평가 목표 및 방향이 의도대로 운영되고 있는가, 또한 쉬운 한국사와 절대평가 체제는 유효한가를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우선 수능 한국사의 필수화 과정 자체가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추진된 것은 아니었다. 게다가 두 번에 걸친 수능 필수 한국사 평가를 분석한 결과 첫째, 내용 영역 면에서 여전히 정치사가 중심이 되고 있다. 둘째, 행동 영역 면에서는 여섯 가지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의 유형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였다. 셋째, 쉬운 문항과 절대 평가 체제로 인해 한국사 학습에 대한 흥미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두 번의 수능만 보면 1등급의 비율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고, 2, 3등급의 비율도 상당히 감소하였다. 수능 한국사를 보는 전체 인원은 거의 유사한데도 등급 비율이 감소하는 것은 학생들이 난이도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난이도가 일관되지 못하면 절대평가 체제에서는 등급 비율 역시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 이상과 같은 사안들은 2015 개정 한국사 교육과정의 고시로 더욱 조정이 필요해졌다. 우선 내용 영역에서 한 단원에 불과한 고등학교 한국사 내용의 출제 방안 모색이다. 행동 영역에서도 총론 차원의 핵심 역량에서 비롯된 다섯 가지 교과 역량의 반영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쉬운 수능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점이다. EBS 교재에 대한 학생들의 의존도는 높아지는 반면 한국사 수업에 대한 실질적인 중요성은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더욱이 절대 평가 체제로 인해 학생들은 3등급만을 기준으로 삼고 학습 자체에는 큰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의 수능 필수 한국사에 대한 이러한 사정을 본다면 수능 한국사를 필수 과목에서 제외하는 것이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한 방안일 것으로도 생각된다. 2015 개정 한국사 교육과정을 반영하되 현실적으로 역사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개선된 수능 필수 한국사의 출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To reinforce and normalize school history education, a plan to make Korean History a compulsory subject on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proposed in August 2013. In 2017 university admission system, Korean history was designated as a compulsory subject on the CSAT in October 24. According to this polic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has begun related research. As a result, Korean History on the CSAT became a test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basic knowledge on korean history and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Easy assessment and absolute evaluation system were particularly prepared for the preven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normalized school history education. Since then, Korean History was tested as a compulsory subject on CSAT in 2017 and 2018. However, it is required for us to check whether the objective and direction of Korean History on the CSAT is in line with the original intent and whether easy Korean History and absolute evaluation system are valid. First of all, the process of making Korean History a compulsory subject on the CSAT itself was not handled with caution. The following is analysis results of the Korean History on the CSAT in 2017 and 2018. First, political history was still the main content of CSAT. Second, the types of test items were not evenly distributed in behavior objectivity. Third,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interest in Korean History would increase due to the easy questions and the absolute evaluation system, the number of rank 1 decreased by half and rank 2 and 3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two CSAT. This means that level of difficulty greatly affects students. These issues need to be adjusted by the notification of 2015 revision of Korean History curriculum. First,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use high school Korean history, which is only one unit in content area, as test questions. In behavior objectivity, there is also a problem of reflecting the five subject competencies stemmed from the core competence of general dimension. First of all, easy evaluation does not solve everything. Although students' dependence on EBS textbooks is increasing, students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hool Korean History classes. Moreover, students only aim to reach rank 3 because of absolute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this, it is rather good to make Korean History an elective subject on CSAT for the normalization of school history education. Along with reflecting the 2015 revision of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lan for the revision of Korean History test questions.

      • KCI등재

        고등학생의 문항 풀이 과정으로 본 수능 필수 한국사의 출제 방향

        이해영(Lee, Hae-Young),문영주(Mun, Young-joo) 호서사학회 2017 역사와 담론 Vol.0 No.82

        이 글은 2017학년도 수능 필수 한국사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1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문항을 어떻게 해결해나가는지를 확인하고 학생들이 말하는 수능 필수 한국사 문항의 조건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반응을 살핀 이후, 학생들이 선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기준으로 하여 연대기적 흐름, 언어적 · 역사적 추론, 특정 단서에 의한 해결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많은 학생들은 특정 단서에 의해 문항을 해결하였지만 연대기적 사고와 언어적 · 역사적 추론에 의한 문항 풀이도 적지 않게 사용하였다. 또 문항마다 한 가지 방식의 문항풀이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성향이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문항을 해결해 나가고 있었다. 연대기적 흐름에 의한 문항 풀이를 한 학생은 역사적 사건의 단순한 선후관계에 따라 문항을 해결한 경우가 많았고 특정 연도를 외워 단서처럼 해결하기도 하였지만, 인과관계를 고려하여 문항을 해결한 경우는 찾기 어려웠다. 언어적으로 추론한 학생들이 역사적 지식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시문의 앞뒤 문맥을 통해 추론을 하려고 하였다면, 역사적 추론을 한 학생들은 학생 자신의 기존지식을 바탕으로 제시문에 생략되어 있거나 드러나지 않은 내용을 찾아내었다. 학생들은 언어적 직관이나 특정 단서에 의해 쉽게 해결되는 문항을 무조건적으로 선호하지 않았다. 이들 문항과 같이 사고를 자극하지 않는 문항은 경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reasonable question direction for compulsory Korean history section of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order to monitor the bas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Korean history. We interviewed 10 students about the way to solve the problems in Korean history section of the CSAT and had questions about the direction for good exam. We divided students’ responses into 3 types to know high school students’s historical understanding about Korean history which were implemented on a national scale in 2016. Three types are Chronological understandings, linguistic inferences · historical inferences, the uses of specific clues. We obtained the following implication through analyzing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s about Korean history items which were implemented on a national scale in 2016. The first, most of students solve the problems using the specific clues. But they solved the problems using the various ways such as chronological understanding, linguistic inferences · historical inferences, the uses of specific clues in order to solve the same item according to students’ private characters and study styles. Seconds, students thought chronological understanding important to study history. But they tried to solve items which were estimated chronological understanding using their memorized knowledge. Third, when they had no prior knowledge, students solved the items using linguistic inference or historical inferences. They did not like the item which solved easily using the specific clues. They would like to be presented the items which provoke the their thought and judgement.

      • KCI등재

        극화활동을 통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명화,류혜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of dramatic activity on children’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rty 5-year-old kindergarteners who were divided into and particip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s took place for 5 weeks. The former group had dramatic activity and executed related activities while the latter group didn’t participate. Instead, it participated in general kindergarten lessons and saw old pictures in the class. Data were analyzed by SPSS 13.0 using the scores of pre-test as co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test than di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biography activity is effective to promote young children’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극화활동을 통한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과 언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W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42명(실험집단 21명, 비교집단 2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류혜숙과 김명화(2009)가 사용한 역사적 사고력 검사도구, 송주연과 황해익(2003)의 활동중심 유아 언어 평가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옛 그림을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과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극화활동을 통한 역사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