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역사수업 연구(2014~2020)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백은진(Eunjin Baek),김민정(Kim Minju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역사수업 연구 논문을 분석한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2014년부터 2020년 사이에 국내에서 발표된 한국의 초⋅중등학교 역사수업에 관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이후 시기 역사수업 연구의 주제, 연구 방법상 특징과 한계, 연구 문제와 결과 논의의 정합성, 이전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변화된 점을 포함하고 있다. 동료 평가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포함한 역사수업 연구 중에서 총 63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역사수업 연구자의 연구 주제와 이를 풀어가는 연구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공동 연구진의 개별 연구 분석 및 분석 틀에 입각한 분석 결과, 초⋅중⋅고등학교별 모든 학교 급에서 고른 연구가 이루어졌고, 역사수업에 대한 여러 측면이 서로 교차하는 교직(交織) 차원의 주제를 다루는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저자로는 교사 연구자가 많았고,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실행 연구를 수행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구방법론의 타당성 검토는 해당 역사수업 연구가 채택한 연구방법론에 대한 개별적인 평가에 기초하여, 연구 문제 설정과 선행 연구와의 관계, 연구 방법과 연구 과정상에서 신뢰성 확보의 문제, 연구 문제와 연구 결과의 정합성 및 연구 결과 도출의 타당성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사례 분석과 제시를 통해 첫째, 역사수업에 대한 연구 문제 설정 시 선행 연구의 충실한 검토와 이론적 틀 속에 위치시키는 접근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 둘째, 연구 문제에 따라 적절한 연구 방법의 설계와 연구 과정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가 설정된 연구 문제와 차용된 연구 방법에 비추어 타당할 때, 역사수업 연구 결과가 우리의 역사수업 연구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난 20여 년간 이루어진 역사수업 연구 주제와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은 연구의 경향과 그 저변에서 흐르는 쟁점을 규명하고, 향후 역사수업 연구의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in 2000-201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elementary and secondary history teaching published during 2014-2020, focusing on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questions include the themes, distinguishing features of methodologies and finally changes made from the previous results, if any. The analysis of the 63 empirical studies highlights the growing number of teacher researchers as authors, conducting mainly action research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whether each research method can be justified,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questions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blem of securing reliability in data collection and coding,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research question and results as well as the validity of results from the research process. The discussion would highlight the discussion of further teaching history research as well as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만 5세 학급에서의 역사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 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엄정애,김은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만 5세 학급에서의 역사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부속유치원 만 5세 학급 유아 28명과 연구자를 포함한 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2013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활동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 5세 학급에서의 역사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 3년간의 만 5세 학급교육과정과 2013학년도 만 4세 학급 교육과정 점검 등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1차 실행을 계획․실시했다. 1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의 역사 개념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과 역사교육을 통해 존중의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을 실시했다. 1차 실행 후 평가를 반영하여 2차 실행에서는 유아주도적인 활동 실시를 통해 역사적 탐구능력을 배양하고 역사교육을 통해 공동체의식 함양을 지 원하는 활동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역사의 기본 개념을 습득했으며 존중하는 태도가 향 상되었고 화합하는 분위기를 형성했다. 교사들은 역사 개념을 통한 인성 함양의 중요성을 인식했 으며 역사교과 내용지식의 확장을 통해 교수법과 상호작용능력을 발전시켰다. 또한 유아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본보기로서 자신의 태도를 성찰했다. 본 연구는 만 5세 학급에서의 역사교육을 통한 인성 함양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최근 교육계의 화두인 인성교육과 교과교육을 통합하여 현장에 적용하는 것의 교육적 의미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eek and implement effective ways to cultivate and nurture character through history education in a class of five year old children, and to observe the reactions of children an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NeulSarang kindergarten, attached to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ith 28 five-year-olds under the instruction of two teachers. It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13 to May 2014,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performed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Based on a previously counducted problem analysis of methods to foster character through history education, the researchers planned and executed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first implementation session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develop concepts of history and other activities used to promote the concept of respect through history education.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session, activities were aimed at cultivating the ability to explore history and increasing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history education, reflecting what had been learned from the first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this process, children learned fundamental history concepts, while showing improvements in respecting others, expressing love, and harmonizing with others in the class.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haracter through history education and developed teaching skills and interaction skills through expanding their own knowledge in history. In addition, teachers changed their own attitudes through self-reflection, as an example for children in terms of fostering charact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and the necessity of history education to foster children's character in kindergarten class. In addition, it shows an educational value of integrating character education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의 아카이브 구축 환경 변화

        김정희,한동수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1

        Recently, local studies looking at the 'local(region) as a whole'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study of local architectural history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specific information that encompasses the local and the entire and clues to three-dimensionalize the time and space in the local. To infer the 'presentness' of each era, reliable data in various fields are needed. Recently, as many databases (DB) and archives,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other local archives, have been established and publicized, research resources in the local are growing rapidly in quantity and quality.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comprehensively check the data necessary to study the local architectural history(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firme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archive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the status and problems of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in places that currently disclose loc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among generalized web-archive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research on local architectural history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the data used for Jeju. As a result, local studies, local archives, and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agree with recent changes in local research trends, and the degree of archival construction has reached the same level as the available research resources except core data in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nsity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s low because the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that can be obtained are fragmented because there are no archives and construction entities specialized in local architecture. As each archive has entered the stabilization and upgrading stage, the construction of new archives needs to be reconsidered, but it is time to find a detailed way to link related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such as private records, to reduce the gap in information needed in terms of research on local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history. 최근 '전체로서의 지역'을 바라보는 지역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서 지역건축역사의 연구는 지역과 전체를 어우르는 구체적인 정보와 지역 내 시공간을 입체화하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에는 각 시대의 ‘현재성’을 유추하기 위해 여러 분야의 신뢰도 높은 자료가 필요하다. 최근 국가기록원부터 지역학 아카이브에 이르기까지 많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하 DB)와 아카이브(Archive)가 구축되고 공개도가 높아지면서 지역 내 연구자원은 양적·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지역의 건축역사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를 총체적으로 확인하는 일은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 범용화된 홈페이지 중 지역역사 연구자원을 공개하고 있는 곳을 대상으로 아카이브 구축 환경의 변화 추이와 그 안의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의 현황 및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지역건축역사 연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제주를 대상으로 기존 연구와 활용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역 연구와 지역 아카이브, 지역건축역사 연구는 최근의 지역학 연구 경향 변화와 동일선상에 있으며, 아카이브의 구축도는 지금까지 지역 건축역사연구에서 핵심 자료를 제외한 연구자원의 가용치와 동일한 정도에 도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 지역건축에 특화된 아카이브와 구축 주체가 없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이 파편화되어있어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밀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각 아카이브가 안정화, 고도화 단계에 들어선 만큼 새로운 아카이브의 구축은 재고될 필요가 있으나, 지역건축건축역사 연구의 측면에서 필요한 정보의 공백을 줄여가기위한 민간기록 등 관련 정보의 강화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보 간 연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모색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 일본의 사회복지역사연구의 최근 동향과 연구방법

        오토모 마사코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9 사회복지역사연구 Vol.2 No.-

        본고는 1. 들어가며 2. 일본의 사회복지역사연구의 동향: 어떤 것이 연구되고 있는가? 3. 사회복지역사 연구방법: 관점‧틀‧이론 및 역사 데이터의 취급방법 4. 일본의 한국사회복지역사연구 5. 역사로 배우고 미래에 건다: 한국학술교류에 기대하는 것 등 5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근대 산업사회에 대응하는 호칭 으로 탄생한 ‘사회복지’란 복합적인 사회사상(事象)은 전근대에서도 ‘사회’에 있어 인간생활의 안정과 행 복추구를 영위하는 행위로서 그 역사를 따라갈 수 있다. 거기에는 사람들의 생활상의 효혜성, 부의 분배 구조가 있다. 또 일상적인 ‘사회’의 ‘복지=행복’을 추구하는 일과 행위에 대한 사람들의 의사와 신념은 가치와 이념, 나아가 사상으로 결집되어 발전해왔다. 오늘날 한국과 일본은 복지국가와 복지사회를 구축 하여 공통성이 높은 아시아문화권의 두 지역으로 함께 발전을 지향하고 있다. 나아가 사회복지전문직 및 사회복지학의 성립 등 사회적 상황에도 공통점이 있으며 관련 교육과 연구의 진전, 심화 등 직면한 공 통과제를 갖고 있다. 역사인식에는 각각의 주체, 즉, 국가와 정치정당, 지역사회 그리고 또한 가족과 개 인마다 다른 스토리가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역사적 스토리에 큰 차이가 있을 경우 혼란을 가져와 정 치적 문제로 전환된다. 우리는 양국의 복지사회의 진전을 공통목표로 사람들과 사회의 역사적 인식과 관 심에 과학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을 쌓아올리지 않으면 안 된다. The main subject is 1. Firstly, 2. The trend―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study of Japan, 3. The study method―point of view, frame, theory of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and historical materials, 4. Study of the Korean history of social welfare in Japan, 5. Hope for the academic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 and Japan have been built the welfare state and welfare society and aim at it’s development, and this 2 areas of East Asia have in common the cultural sphere. We have to make an effort for the progress of the welfare society of Korea and Japan together, and we must show to the people about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scientifically.

      • KCI등재후보

        한일 역사갈등 극복을 위한 국가 간 역사대화의 성과와 한계 -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

        이신철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5

        This writing is the analysis of historical dialogue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has been started from the historical distortion of Japanese textbook in 1982, especially focused on “dialogues”of both nations governmental dimension. The historical dialogue of both nations governmental dimension passed by a lot of trial and error and continued to composition of Korea-Japan joint history reach committee in 2002. It published the thesis as form of report about result for 3 years, and second activities has started in 2007. Especially it’s correct that second activities made historical dialogue of both nations to be great forward in that it started treat the textbook problem between Korean & Japan though the various political consideration of both nations. It has been taken long time to establish the actual joint research institution between both nations indeed. Although founding of joint research organization between both nations leaders was greed in November 1995, there is nothing to go through all the complications. The history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both nations between was big that much. Even so, it was possible because it goes through the founding of Korea-Japan culture exchange fund, Korean-Japanese forum which is configured with politician, the enterpriser, journalist, scholar of Korea and Japan, Korean-Japanese historians conference which is composed with Korean-Japanese historians, the textbook amendment discussion of practical level through fringe organization. Meantime, the both nations succeeded to found the Korean- Japanese joint research organization, but still are having the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The Korea side is standpoint that hope to grope the plan to reflect the research result to the textbook but the Japan side is standpoint that the nonofficial research must be exist as itself. In other wards, the nation will not be able to intervene to the contents of the official approval textbook. The report of joint research commission reveal of thlimit that the members of the both nations cannot escape ect tnationalism or retriotism, and shown contents of important historical iss is standpothe both nations. And it displayed well how much big difference between shownother isplhe research resinterpretation of the both nations to advancs ofto the common recognition. Such problems havenition.conqo ring sympathy expansion and long tethethrough the electof thrnoess of the study commissioneth natopening to the phistce bothsearch f the bothnt t .ethrough sThtematic security of continuous joint research.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in point that it will be able to forecast already the solution possibility of the opposition and discord between the both nations with the experiences of historical conversation between the civic societies of both nations. The possibility like that was proven from historical conversation experience of Europe. It finally will be the way of to reveal a method to pile up mutual trust and difference and find a community. The success and failure of historical conversation between the both nations as Korean-Japanese governmental depend on how could apply that possibility in joint research well. 이 글은 1982년 일본 교과서의 역사왜곡이 발단이 되어 시작된 한국과 일본의 역사대화, 그 중에서도 특히 국가차원의 ‘대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것이다. 양국 국가차원의 역사대화는 그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2002년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의 구성으로까지 이어졌다. 2005년에는 3년간의 성과를 보고서 형태의 논문집으로 내놓았고, 2007년에는 제2기 활동이 시작되었다. 특히 2기 활동은 양국의 이러저러한 정치적 고려에도 불구하고 한일 간에 교과서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양국 간 역사대화를 진일보 시킨 것이 틀림없다. 양국 간에 실질적인 공동연구기구가 설립되기까지는 실로 오랜 기간이 필요했다. 1995년 11월 양국 정상 간에 공동연구기구의 설립이 최초로 합의되었음에도 온갖 우여곡절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양국 간의 역사인식 차이가 그만큼 컸던 것이다. 그나마 한일문화교류기금의 설립, 한일 정치가·기업가·언론인·학자 등으로 구성된 한일포럼, 한일의 역사가들로 구성된 한일역사가회의, 외곽기구를 통한 실무차원의 교과서 수정협의 등의 경험을 거쳤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한편, 양국은 한일공동연구기구의 설립에는 성공했지만, 여전한 인식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한국 측은 위원회의 연구결과를 교과서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자는 입장인 반면, 일본 측은 민간의 연구는 연구 그 자체로 존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가가 검정 교과서의 내용에 개입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이다. 공동연구위원회의 보고서는 양국의 구성원들이 국가주의나 애국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드러내었고, 양국 간 주요 역사쟁점의 내용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양국의 역사해석이 공통의 인식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좁혀야 할 서로의 인식 차이가 얼마나 큰 지도 잘 보여주었다. 이 같은 문제들은 연구위원의 선임과정과 연구활동의 공개 등을 통한 공감대 확장과 장기지속적인 공동연구의 제도적 보장 등을 통해 극복해 나갈 필요가 있다. 양국 간 대립과 갈등은 이미 양국 시민사회 간 역사대화의 경험들에서 그 해소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럽의 역사대화 경험에서도 그러한 가능성은 증명되었다. 그것은 결국 상호 신뢰를 쌓을 수 있는 방법과 차이를 드러내면서도 공통성을 찾아가는 일이 될 것이다. 한일 양국 정부 간 역사대화의 성패는 그러한 가능성을 공동연구에 얼마나 잘 적용시켜 나가는가에 달려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역사수업 연구(2014-2020)에 대한 메타 분석 : 최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중심으로

        김민정(Kim, Minjung),백은진(Baek Eunji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2

        본 연구는 2014-2020년 국내에서 수행된 역사수업 연구 63편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같은 63편의 연구에 대해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후속 연구로, 최근 수년간 이루어진 역사수업 연구의 주요 담론을 규명하여 역사수업 연구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역사수업 연구가 전제로 하고 있는 연구의 출발점과 좋은 역사수업의 의미, 역사수업 연구의 개념 등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역사학의 특성이 반영되는 역사수업, 지향하는 가치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역사수업, 교사-역사-학생의 상호성과 개별 맥락 속에 위치하는 역사수업, 새로운 교수법을 실험하는 역사수업이라는 4개의 담론으로 범주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연구 성과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특히 4가지 수업연구 담론이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공통적으로 다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해당 수업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방식,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전개된 수업의 양상, 학생과의 상호작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의 국면에 나타난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각 수업 연구 담론에서 배움의 공동체는 각각 역사 이해를 굴절시키는 비판의 대상, 지향과 실천의 대상, 분석하고 설명해야 할 교육 현상, 혁신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문제로 인식된 상황이나 어려움은 각 담론에 따르면 역사학으로부터 분리된 활동 중심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 교사들이 협력하여 극복할 수 있는 문제,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한 분석과 설명이 필요한 문제 혹은 문제 상황의 제거와 적절한 시행 방법의 처방이 필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별로 연구 문제 설정 방식뿐 아니라 연구 대상의 선정과 연구 방법의 선택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견해 및 좋은 역사수업에 대한 정의 등에도 투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역사수업 연구 담론에 따른 차이를 인지하고, 정치한 연구 방법을 통해 역사수업 연구를 수행할 때 역사수업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상상이 확장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s of 63 history teaching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2014-2020.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to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f the same 63 studies. It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reconsidering the role and meaning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by clarifying the main discourses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premised on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the meaning of good history lessons, and the concept of history lesson research, the discourse of history lesson research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ategorized into four discourses: a history teach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a history teaching that aims to realize the values ​​pursued, a history teaching that is located in the individual context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history-students, and a history teaching that tests new teaching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 KCI등재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문학치료연구 현황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문학치료연구 현황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학치료학 연구를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 별로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연구들을 개괄하면서 문학치료학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 방안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학치료학의 태동기에는 전통적인 문학론을 통해 문학의 본래적 기능이 치료에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리고 문학을 통한 치료는 뒤틀린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것과 관계된다고 하면서 올바른 관계 회복은 개인의 차원에서는 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사회 전체가 건강성을 회복했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는 것도 주목하고 있었다. 이로써 집단 전체의 외상이면서 구성원 간의 인간관계를 뒤틀린 결과이기도 한 역사적 트라우마와 같은 대사회적 문제도 문학치료학 연구에서 반드시 회복시켜야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성립기에서는 문학의 치료적 기능을 심리학의 용어를 빌어서 해석하는 것에서부터 작품서사, 자기서사와 같이 본격적인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세워가는 연구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들에서는 작품은 원초적 사건과 관련된 기억을 자초지종을 밝혀 재생시키는 것이기에 경험을 반복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해를 재조정하는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었다. 두 번째 연구들에서는 작품과 인생의 심층에는 작품서사와 자기서사가 존재하는 것처럼 특정한 역사나 사회의 근원에도 자기서사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트라우마도 인간 삶의 모든 활동처럼 서사적으로 구조화되어 운영된다고 보았다. 이에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은 사실을 밝히고 사실과 사실 간의 관계를 따지는 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특정 사실을 선별하고 서사화하는 일종의 트라우마서사의 실체를 드러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료적 활용을 위한 방법론 개발연구에서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심층에 자리한 서사의 전모를 밝히려면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상호 조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서사 16가지 영역에 대한 진단과 8종류의 이상 심리서사진단도구를 활용하게 되면 자기서사의 일반적인 특징 뿐 아니라 특수한 국면까지 짐작할 수 있다고 했다. 마찬가지로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을 활용하게 되면 역사적 트라우마 역시도 그것을 강화시키고 고착시키는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서사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변화를 위해서는 서사의 다기성이 활용 될 필요가 있는데 다른 선택 가능성들을 보여주는 작품서사를 구축하고 이해하게 되면 역사적 트라우마를 유발시키고 강화시켜 왔던 서사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는 했다. 이렇게 역사적 트라우마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문학치료학 연구 현황들을 점검한 것은, 문학치료학이 사회 변화에는 관심이 없이 오로지 개인의 문제해결에만 관심을 두는 학문이라고 생각하거나, 문학치료학은 문학을 치료에 이용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는 오해들을 풀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러기 위해 직접적으로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작품에 대한 연구 동향 대신 문학치료학의 핵심이론이 서사이론과 치료적 활용을 위한 방법론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들이 본질적으로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진단하고 극복할 수 있는 유효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밝히려 하였다. This paper aims searches Research Status on Literary Therapeutics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To this end, First, the Literary Therapeutic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Remarkable discussion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were examined for each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beginning period, therapy through the literary is to recover the twisted relationship. The correct recovery of relationships should go beyond the personal level. Correct relationship is completed when society is restored to health. Historical trauma is collective injury, and is that human relation is twisted. Historical trauma is a Literary therapeutic challenge. Historical trauma is a target that must be recovered. On Literary therapeutic,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in the work and life origin. Likewise, the epic of self is working in history or social origi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root cause of the historical trauma is epic related to the trauma. This is because the Epic is to be making by screening, structuring and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fact. In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treatment, the epic of self can be seen through interrelationship with the epic of literary work. Starting from the change in the epic of self know the Divergence of Epic. The historical trauma begins to be overcome when the road of Epic to move our society for a long time is emerged. The historical trauma can be overcome when the other turning point of Epic is found.

      • KCI등재

        프랑스의 역사인류학

        장클로드슈미트 ( Jean Claude Schmitt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3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2

        프랑스 역사인류학의 역사적, 학문적인 연원은 마르크 블로크와 뤼시앵 페르브가 『아날』지를 창간하면서 주창한 역사학을 중심으로 한 학제간 협동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역사인류학적 연구인 블로크의 『기적을 행하는 왕』(1924년)은 출판 당시에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고, 1970년대에 역사인류학이 학문적 방법론으로서 성장, 발전하던 시기에 다시 출판되어 재조명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의 변화는 당시 학계에서는 지식인들이 겪고 있었던 탈식민지화의 충격과 그로 인한 문화적 상대주의, 사회적으로는 도시화와 산업화, 그리고 텔레비전 보급에 의한 도시 문화와 표준어의 헤게모니 확산 및 지방색의 소멸 등과 같은 당대의 사회적, 문화적인 맥락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었다. 사회의 변화는 과거 농촌의 “민중문화”에 대한 대중적인 향수를 불러일으켰고, 학문적으로는 농민문화에 대한 연구와 이론적인 쇄신이 이루어졌다. 당시 피에르 자케즈 엘리아스의 『교만의 말』과 엠마뉘엘 르루아라뒤리의 『몽타이유』는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기도 하였다. 역사인류학은 여러 발전 단계를 거치며 성장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민속”과 “민중문화”에 대한 연구는 1960-1970년대에 새롭게 부흥하였다. 역사학자들은 아르놀드 방 즈넵의 “통과의례” 이론과 같은 민속학의 연구방법론을 역사학에 적용하였고, 블라디미르 프로프나 미하일 바흐친 같은 “민중문학” 전문가들의 연구로부터 크게 영감을 얻었다. 장 피에르 베르낭, 피에르 비달 나케, 마르셀 데티엔의 고대 그리스 신화 연구나 자크 르고프와 엠마뉘엘 르루아라뒤리의 멜뤼진 설화 연구, 그리고 필자의 성 긴포르 연구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학문 발전과정에서 역사학과 인류학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인류학은 시간적인 요인을 중시하면서 일종의 “역사화” 과정을 겪었다. 역사학이 인류학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역사학자들은 인류학으로부터 “구조”이라는 측면을 고려하면서 사회조직들의 변화 논리를 공시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배웠다. 둘째, 역사학자들의 문제의식이 확장되었으며, 신화와 전설의 구조적 분석, 가족과 친족관계 연구, 의례와 의식, 음악과 전례 연구 등으로 연구대상의 폭이 확대되었다. 역사학자들은 인류학자들과 같은 대상을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이것은 상호 대화와 학제적인 협동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이러한 확장된 연구들이 제기하는 질문의 배후에는 문화권에 따라 변화하는 몸의 표상과 역할에 대한 거대한 질문이 도사리고 있다. 몸에 대한 연구는 이미 초창기의 인류학 및 “몸의 테크닉”에 대한 마르셀 모스의 선구적인 연구에서부터 근본적인 문제로 제기되었다. 특히, 중세사학자들에게는, 그리스도의 육화(肉化)가 그리스도교 세계의 종교와 문화의 핵심이기 때문에, 몸은 명백히 중심적인 문제이다. 또한, 자연과 문화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류학자 필립 데스콜라의 연구는 중세사학자로 하여금 자신의 연구대상에 대해서 생각하고 그것을 다른 문화들과 비교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서구의 유대-그리스도교 문화에 뿌리 깊게 박혀있는 자연론적인 태도를 감지하는데 기여하였다. 넷째, 역사학자들의 “표상” 연구는 그들이 몸과 자연의 생물학적인 존재와 물질성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릴 수 있는 위험성을 제기하였다. 그렇지만,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는 감정의 역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오랫동안 특수한 독립 연구분야로 인식되어오던 과학사와 의학사에서 사회사와 문화사에 귀 기울이고 있다. 또한, 이미지의 인류학적 역사 역시 몸에 대한 연구와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류학자 앨프리드 젤의 연구는 이미지가 스스로의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감정을 일으키고, 행동을 유발하고,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인 관계를 수립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역사학자와 중세사학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인류학적인 연구가 지니는 타당성은 무엇보다도 서구의 유비론적, 자연론적인 문화를 세계의 다른 존재론들 및 문화들 사이에서 상대화시킨다는 점에 있다. 역사인류학의 발전에서 보이는 것처럼 역사학에서의 문제제기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으며, 서로 다른 학문분야 간의 대화에 의해서 새로운 문제와 새로운 방법론, 새로운 연구대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A great deal of French historical research has been plac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under the category and banner of historical anthropology. The expression comes from a strong interdisciplinary development that fused historiography and the social sciences at the end of the last century. At stake was, as far as historians were concerned. the merging of methods and questions of ethnologists and social anthropologists. In other words, this was a historical appropriation on the understanding of methods, questions, and objectives concerning the fields of ethnology and anthropology.

      • KCI등재

        행위주체로서 역사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박찬교(Park, Chan Kyo)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이 글은 행위주체성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역사교사들, 즉 ‘연구자로서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의 ‘본질’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분석은 연구자로서의 교사를 ‘연구자-실천가’와 ‘반성적 실천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구분의 기준은 ① 실천·관점의 공표 여부, ② 학계와의 관계이다. 연구자-실천가 그룹은 교수요목에 가까운 국가 교육과정을 주변화시키고, 교육과정의 중심에 ‘자신’을 위치시키며, 교사를 교육과정 생성의 주체로 보고 있다. 반성적 실천가 그룹은 연구자-실천가 그룹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국가 교육과정의 구속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으며, 국가 교육과정은 역사학의 연구 성과가 아닌 역사학의 ‘특성’을 담아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교육과정이 자의적이거나 편향적이지는 않은지 항상 경계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외부의 압력에 저항하거나 타협하며 교육과정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었다. 역사교사들의 자율적인 교육과정 편성은 점점 더 확산되어 갈 것이며, 이제는 역사교육 분야에서도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을 달리해야 한다. 국가 교육과정은 규칙이나 걸림돌이 아닌,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운영을 도와주는 조력자여야 한다. 역사교사가 국가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갖추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교육과정이 역사교사 리터러시를 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성이 경합할 수 있도록, 국가 교육과정 공개 공모제를 시행해야 한다. 또한 국가 교육과정은 최소한의 규정과 풍부한 안내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면, 국가 교육과정은 역사교사들의 자율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역사교육 현장의 중요한 준거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how teachers as researcher with strong agency perceive the essence of the curriculum. Specific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eachers as researcher into scholar-practitioner and reflective practitioners. The scholar-practice group marginalize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places themselves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The reflective practitioner group showed similar aspects to the researcher-practice group. They wanted to escape the restri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ought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contain the nature of history, not the achievements of historiography. In addition, They were always wary of whether their curriculum was arbitrary or biased, resisting or compromising various external pressures and changing the curriculum. The autonomous curriculum construction of history teachers will be increasingly widespread, and now the national curriculum must be different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shall be assistants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eacher curriculum, not rules or obstacles. Rather than history teachers should have a national curriculum literacy, a national curriculum should have a history teacher literacy. To this end, a public contest for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diversity can compete. In additio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minimal regulations and rich guidance. If these development methods could be implemented, the national curriculum could function as an important basis for history education without infringing the autonomy of history teachers.

      • KCI등재

        변화 속 ‘나’의 역사 수업은 무엇을 지향하였는가? : 등교·원격 혼합 수업 하의 중학교 역사 교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자기 연구

        손석영(Son Seok You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39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원격수업의 일상화라는 변화 속에서 역사교사인 ‘나’가 유지하고자 한 수업의 지향성은 무엇인지를 성찰하기 위해 현상학적 자기 연구 방법으로 2020학년도 1학기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세계사 영역 수업 실천을 살핀 결과이다. 연구 결과, ‘나’는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의 일상화로 인해 평소에 해왔던 방식의 수업이 불가능해질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다음과 같은 지향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자신의 세계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하도록 하기 위해 소외된 역사를 제공하고 고정관념들을 드러내는 질문을 던지려 노력하였다. 둘째, 수업 내용을 학생들이 살아가는 다양한 삶의 맥락과 연결시켜, 현재 우리의 삶 속 문제가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탐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셋째, 역사 지식은 구성된 것이며, 권력과 이데올로기가 포함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넷째, 역사 수업을 통해 세계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서로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학생들에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다섯째, ‘나’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 소통을 이끌어내고 수업 취지에 대한 공감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드러난 ‘나’의 역사 수업의 지향성은 비판적 교육학, 특히 파울로 프레이리의 저서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프레이리는 교육을 받을 사람들의 언어와 삶에 대해 편견 없이 다가가 그것을 삶과 교육의 렌즈로 활용하고 있었던 반면, ‘나’는 학생들이 향유하고 있는 역사와 이로부터 형성된 역사인식을 고정관념과 같이 부정적으로 여기고 학생들을 깨우치려 했던 계몽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지닌 내적 사료에 대해 편견 없이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학생들의 입장에서 고려하는 판단중지와 태도변경의 자세로부터 역사 수업이 시작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지식과 함께 교화와 교육의 경계선과 그 어딘가에 위치할 역사교사의 역할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얻었다. 본 연구는 역사 수업의 본질은 각 교사가 이해하는 역사의 모습과 실제 수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신념, 그 신념의 구현 방식을 교사 스스로가 탐구하고 그리는 과정 그 자체에서 발견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나’의 성찰 과정을 하나의 사례로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원격수업의 일상화와 함께 원격수업 자체를 교육의 ‘변화’와 ‘미래’로 바라보고자 하는 담론들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수업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은 교사가 자신이 가진 수업관과 이를 위한 학생과의 소통을 증진할 수 있는 하나의 창구일 뿐이다. 온라인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수업 도구가 일상화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은 일선의 교사들이 평소 추구해왔던 신념들이 어떻게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필요로 한다. 즉, 교육의 변화와 미래를 위해 교사들에게 필요한 것은 기술의 강요가 아니라 자신의 수업을 성찰할 수 있는 방법과 사례의 공유일 것이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phenomenological self-study to reflect on the orientation of my history classes that I struggled to maintain despite it is changed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outinization of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but nevertheless, I tried to maintain the following orientation: First, I tried to ask questions that provide omitted history and reveal stereotypes to encourage student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ir world. Second, by linking the contents of the class to the various contexts of life in which students’ everyday life, we tried to induce the exploration of where the problems in our lives now originate. Third, I wanted to show that historical knowledge was constructed and that power and ideology were bound to be included. Fourth, we wanted to show our students that we, who are living in the world through history classes, are closely connected even if not visible to each other. Fifth, I tried to create a sense of empathy for the purpose of the class by drawing communication between ‘I’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The purpose of the orientation of my history classes revealed in the research results was greatly influenced by critical pedagogy, especially Paulo Freire s praxis. However, I realized that I wanted students to be enlightened. I treated historical images in students heads as stereotypes and wanted to eliminate them. While Freire treated the language and life of students as a lens of life and education. Through this realization, I get worried about the boundaries of edification and education, and I realized practical knowledge that history classes should begin from an unbiased attitude. This study is not to suggest that my orientation of history class is right. this is just an example of a history teacher s reflection on huge changes. The use of the online platform itself cannot be a positive change in future education. Rather, the advent of a new tool called an online platform is bound to become routine requires the question of how the beliefs that teachers have usually pursued can be practiced through online platforms. In other words, what teachers need for changes in education is not the coercion of technology, but the sharing of methods and examples to reflect on their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