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양 영미고전문학 수업의 교육적 성과 분석

        김혜경,배성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4 교양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양 영미고전문학 수업의 효과를 학습자의 역량성취 및 역량성취와 수업만족도간의 관계성을 통해 진단하고 분석하여 향후 대학 수업에서 고전교육을 통한 역량의 통합적 성취가가능한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 대학교의 선택교양인 역량 기반 영미고전문학수업에 참여한 78명의 핵심역량 사전-사후 진단결과 및 역량 기반 수업 운영과 평가 방식에 대한만족도 결과를 수집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첫째, 본 고전문학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역량, 창의역량 및 문제해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팀원 간 상호작용과 협업능력 배양, 그리고 토론⋅토의 능력향상에 대한 만족이높은 것으로 나타나, 팀 기반 수업이 학습자들의 친밀도가 비교적 낮은 교양교육에서는 효과적인 수업설계 방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평가방식에서 학습자들은 지필고사 부담이 감소된 것에 가장만족하였으며 학습량 증가와 평가준비 부담 및 가시적 평가결과 확인 불가능을 가장 어려운 점으로인식하고 있어, 전문적인 평가준거 개발과 루브릭에 대한 상세한 사전 안내 등의 필요성을 확인해주고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참여자들의 문제해결효능감의 향상은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써 학습자들에게는 역량수행 활동의 난이도 조절과 학습자의 학습곤란 상황에개입하는 교수자의 능동적 역할이 기대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전문학 교양교육이 고전이 지닌본연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역량 함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and analyze the effects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British-American classical literatureclasses through learners’ competency achievement and its relationship to class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a directionfor integrated achievement of competency through classical education. To this end, pre- and post- competency diagnostictests and a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78 students in this elective liberal arts classical literature classat H University. Independent samples t-test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first,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efficacy were improved. Second, learnerswere highly satisfied with developing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among team members, and with improving theirdebate and discussion skills, suggesting that team-based instruction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liberal arts educationwhere learners are relatively less intimate.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assessment, learners were most satisfiedwith an approach that put less pressure on paper-based exams, and perceived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learning, theburden of preparation for performance activities, and the inability to check the visible evaluation results as the most difficultpoin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for professional evaluation criteria and prior guidance regarding the class rubric.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olving efficacy of the participants did not affect class satisfaction,indicating that the instructor’s active role is needed,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controlling the difficulty of competencyperformance activities, and when intervening on behalf of the student’s regarding their difficulties in learning. This study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liberal arts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ivating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learners while maintaining the intrinsic value of the classics.

      • KCI등재

        투약에 대한 흥미도와 약물계산역량 간의 관계에서 약물계산자신감의 매개효과: Kolb의 학습양식유형을 적용하여

        박형숙,조규영,김동희,김상희,김명수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4

        투약역량이란 환자에게 안전한 투약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간호 대학생이 졸업하게 되면 즉시 갖추어 주기를 기대하는 역량 중 중요한 부분이다(Wright, 2007). 투약 전 환자에 대한 사정, 투약적용, 약물교육, 약물효과에 대한 관찰과 평가 등 투약과정 동안의 모든 업무와 관련된 역량을 말하는 것으로(Sulosaari, Kajander, Hupli, Huupponen, & Leino-Kilpi, 2012), 그 하위범주에는 이론적 역량, 의사결정역량, 실무적 역량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Sulosaari, Suhonen, & Leino-Kilpi, 2011). 즉, 투약역량은 해부, 생리, 약리학적 지식을 포함한 수학적(계산적) 역량과 같은 이론적 지식을 갖추고(King, 2004),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사정 및 평가를 하여 투약을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역량(Manias & Bullock, 2002) 또한 겸비하며, 실제에서 의사소통과 협력을 이루어 정확한 투약을 시행하는 실무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라고 하였다(Sulosaari et al., 2011). 임상에서 발생하는 많은 투약 관련 오류 중에는 용량계산과 관련된 경우의 빈도가 높다고 보고되면서(Aspden, Wolcott, Bootman, & Cronenwett, 2007) 몇몇 연구자들은 간호사에게 약물계산역량이 가장 요구되는 능력이라 언급하기도 한다(Wright, 2007). 예컨대, 간호사나 간호대학생의 약물지식부족이나 정련화된 약물교육방법의 부재(Latter, Rycroft-Malone, Yerrell, & Shaw, 2001)에 대해서보다 약물계산역량의 부족(Grandell-Niemi, Hupli, Puukka, & Leino-Kilpi, 2006; McMullan, Jones, & Lea, 2011)과 관련된 연구가 오랫동안 계속되어 오는 것도 약물계산역량이 이론적, 실무적, 의사결정역량 모두에 기저하는 내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기초학업역량 중요도-실행도(IPA) 차이수준을 바탕으로 한 학습법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홍경호(Hong, Kyung Ho),박수민(Park, Soo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충청소재 B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기초학업역량에 대한 중요도- 실행도(IPA) 차이수준 및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B대학교 학생들의 기초학업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법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탐 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은 2018년 10월 15일(월)부터 2018년 10월 31일(수)까지 약 2주간 실시되었고 B대학 12개 학부에 각 100개의 설문 조사지를 배부하였으며 총 배부된 1200개의 설문 조사지 중 회수된 1048개의 설문 조사지로 재학생들 의 기초학업역량 진단과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B대학의 기초학업역량은 B대학 핵심역량의 기본영역인 RAIE-UP(대인관계역량, 실천적 봉사역량, 창의융합역량, 현장 실무역량, 글로컬 소통역량, 인문소양역량)의 하위요인에 맞추어 개인 역량, 학업 역량, 사회적 역량으로 구분지어 25개의 하위영역 별 세부역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 B대학교 재학생들은 외국어 활용능력(1), 외국어능력(2), 자기성찰(3) 순으로 기초학업역량의 중요도-실행도(IPA)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학습법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mportance-performance (IPA) differences and requirements of students attending B University in Chung-cheong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basic academic competency of B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learning methods program based on them. For this purpose, 100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to each of the 12 departments of B University and 1048 survey papers retrieved out of the total 1200 survey papers distributed were analyzed for the basic study competency diagnosis and requirements of students. B University s basic academic competency consists of 25 sub-area specificities, divided into individual competences, academic competences and social competences, in accordance with the sub-components of RAIE-UP, which is a basic area of B university s core competency.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performance (IPA) of the basic academic competency of B university students was high in the order of first,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second,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third, self-refl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mplications of the learning methods program and the ways to improve them were proposed.

      • KCI등재

        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질 관리 연구 -한국의 D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헌철,김수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validity of competency mapping and to enhance fidelity and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of the extra curriculum program in the gradual expansion of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To do this, we tri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ies mapped to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and the educational outcomes of the extra curriculum programs. First,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hrough satisfaction surveys about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most of the programs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operation and environment. Second,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ies mapped to the extra curriculum program was analyzed. As a result, 38 out of a total of 59 program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while 21 programs were found to be inadequate. Third, adequate competency mapping showed that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petency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and adequately program-mapped competencies can lead to educ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that enables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will be meaningful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서 역량 맵핑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고 비교과프로그램의 내실화와 평가·환류체계를 고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 기반 프로그램에 맵핑된 역량에 대한 타당성 및 비교과프로그램의 교육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기반 프로그램별로 만족도 실태조사를 통한 정량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 프로그램에서 운영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맵핑된 역량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총 59개 프로그램 중 38개 프로그램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21개 프로그램은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량 맵핑이 적합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역량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학생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 별로 맵핑한 역량을 교육성과와 이어질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결과이다. 또한 향후 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평가·환류체계를 고도화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성인 여자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S여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엄유경(Eom, YooKy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1

        국·내외적으로 대학생의 역량중심의 학부 교육 체제로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S여자대학교는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핵심역량 6개와 하위역량 24개를 도출한 바 있으나,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없다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S여자대학교의 핵심역량인 글로벌시민 역량, 소통협력 역량, 지식탐구 역량, 창의융합 역량, 예술감성 역량, 자율실천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 도구인 S핵심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문항의 타당화를 위해 문항 개발 및 역량 분야 전문가 4인의 검토 및 본교 재학생 4인의 검증을 통해 내용 타당도와 안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전공, 소속 및 학년이 고르게 포함될 수 있도록 층화무작위표집을 통해 계열별 학생들을 골고루 섭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복된 응답을 제외한 총 331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신뢰도, 상관관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확정된 도구는 글로벌시민 역량 27개 문항, 소통협력 역량 23개 문항, 지식탐구 역량 22개 문항, 창의융합 역량 18개 문항, 예술감성 역량 23개 문항, 자율실천 역량 22개문항으로 총 13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core competency for S women’s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following were carried out: 1) prior research analysis for basic data, 2)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scale for a pilot testing 3) prior to pilot test, cross-checking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by four experts and students, 4)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ere established via a pilot test with 331 students.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were applied. Throug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135 items were finally selected.

      • KCI등재

        수업에서 역량기반평가활동이 학습자 역량 및 수업효과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Kim Hye kyung),윤홍권(Yoon Hong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역량기반교육과정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론으로 CEA(Course-Embedded Assessment)중심 역량기반수업설계모델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업은 교과목에 정의된 역량을 토대로 역량기반평가활동을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7년 2학기에 역량기반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들의 역량향상도와 수업효과성에 대한 인식조사를 개강 초와 종강 직전에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자들은 역량기반수업을 통해 핵심역량(t=-8.326, p<0.001) 및 전공역량 (M=3.98, SD=0.730)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년별 향상도차이를 분석한 결과, 1학년에 비해 3-4학년의 역량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은 역량기반평가할동을 진행한 수업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M=4.06, SD=0.671). 특히, 학습자들은 역량기반평가활동이 구체적인 평가를 한다는 긍정적 인식 외에도, 교수자의 열정 및 강의준비 노력,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수업에서 역량기반평가활동을 운영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역량 향상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효과성 분석연구가 후속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역량기반수업모델은 역량기반교육과정의 교과목 운영 모델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새로운 역량기반수업 운영모델을 창출하는 데 토대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EA model, competency-based instruction focused on competency-based assessment. So,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effect on competency-based assessment for improving learners’ competency and perception of course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the learners’ competency, this study focused on core(or general) competency for S university in second semester in 2017 and specific competency for each department/program. The result of study was like this following. First, learners was improved specific competency (M=3.98, SD=0.730) as well as their core competency(t=-8.326, p<0.001). Also, both competency of senior students was improved more than that of fresh students. Secondly, learners perceived the competency-based instruction effectively more than lecture-based instruction(M=4.06, SD=0.671). Especially, students perceived more positively in many ways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s concreteness as well as teachers’ passions, endeavor for course preparation and goal achieving. It will be needed further research o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for model’s effectiveness. The model is expected to be utilized widely as a framework for the competency-based instructional design focused on competency-based assessment.

      • 대학생의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 함양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김은주,성명희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6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 함양을 위해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처치 전과 후의 대학생의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을 비교하였다. 핵심 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구성요인 및 수행목표를 설정하고, K-CESA 대학생 핵심역량의 대인관계와 글로벌 역량을 중심으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의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 수준이 변화된 것 을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200명의 대학생에게 배부된 설문지 중에서 쌍(Pair)을 이루지 않거나 누락 된 것을 제외한 142부의 설문지에 대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전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의 교정된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 점수의 집단 간 차이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집단이 대인관계 역량의 하위요인 중 협력, 중재, 조직에 대한 이해를 제외한 정서적 유대, 리더십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인 중 유연성, 글로벌화 및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를 제외하고 타문화 이해 및 수 용능력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 관습과 규율과 같은 소극적인 도덕적 덕목 을 강조한 인성교육에서 글로벌, 다원화 사회의 가치를 이해, 포용, 관리해 나갈 수 있는 적극적인 덕목으로의 인 성교육의 개념을 확대하고,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 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구행복역량교육이 초·중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박창건 ( Park Changkun ),서봉언 ( Seo Bongeo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9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대구행복역량(도덕적 역량, 사회적 역량, 정서적 역량, 신체적 역량, 지적 역량)의 핵심 정책들이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대구광역시교육청 다문화교육을 위한 정책 방향을 세우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중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의 학생 수준과 학교 수준을 비교한 결과 학교 수준에서는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인 학생 수준이 다문화수용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구행복역량이 학생 수준의 초·중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도덕적 역량인 법의식과 경제 의식, 사회적 역량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정서적 역량의 봉사활동, 자아 효능감은 초·중·고등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역량의 학교 만족도는 초등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적 역량의 학습 동기는 초등·고등학생에게, 정서적 역량에서 자아 존중감은 초·중학생, 동아리 활동은 중·고등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역량의 부모관계는 초·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고등학교에서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 역량의 학업성취는 초·중·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신체적 역량의 스포츠 활동은 초·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고등학생에게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s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re policies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morality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emotional competence, physical competence, intellectual compet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establish policy direc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udents ‘level of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ith the level of the schoo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t the school level and the level of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closely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nc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ral competence, the sense of law, economic consciousness, social competence, teacher relationship, emotional competence Service activity and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ppear. In addition, school satisfaction of social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llectual competence motivates learning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competence for self-esteem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it affects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the parental relationship of social competence did not affect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but it was negatively affected in high school. In additi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adastral competence did not affect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ports activity of physical compet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bu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미디어역량 모델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찬 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역량모델 개발을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미디어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한 패널 워크숍, 전문가 검증 등을 실시하여 문화역량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분야에서 달성해야할 핵심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업무의 효율성 증대, 창의적 기획 가능, 미디어 환경 변화,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 및 참여 증대, 관계능력 향상, 자기성찰의 기회 증대, 자기만족과 같다. 이러한 핵심성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문화역량은 62개가 구명되었으며, 각 역량에 대한 역량정의와 행동지표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dia part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of media part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nel workshop with high-performers of media part, and experts verific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core performance of media part was identified. They wer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ossibility of creative design, change of media context, increase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o social cultu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skill, increase of chance of self-examination, and self-satisfaction. It was 62 that The cultural competencies which were needed to achieve these core performance, then, finally the definition and standard of behaviors of each competencies were drawn and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as proposed.

      • 서울대 학부생의 학업 역량 분석 및 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탐색

        이희원,박소현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학부생의 핵심역량의 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학부생 52명을 대상으로 K-CESA 진단을 실시하였고, 6가지 영역별 핵심역량의 수준을 학업 성취도(학점), 입학전형 유형, 전공계열, 등록학기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울대학교 학생들의 전반적인 핵심역량 수준은 전체 대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았고 특히 종합적 사고역량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자기관리영역이나 대인관계영역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6가지 핵심 역량이 고르게 높은 수준을 보였고, 등록학기가 누적될수록 핵심 역량의 수준도 상대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6가지 영역에서 편차를 보였다. 입학전형별로 분석한 결과 수시가 정시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정원외 입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교육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학업 성취도와 역량 수준이 고르게 우수한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6가지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교육과정 뿐 아니라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학업 편차를 줄이고 다양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