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고성장기업 창업이 저조한 원인

        천혜숙(Hesuk Chu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우리나라와 OECD국가의 여러 연구에 의하면, 고성장 창업기업이 일자리 창출의 가장 큰 기여자로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의 창업이 매우 중요하다.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도 경제성장을 촉진하며, 여성의 창업률이 남성에 비해 저조하므로 여성의 창업증진이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여성의 고성장 기업창업이 남성 창업에 비해 적은 원인을 찾기 위해서 여러 가지 기업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과 남성기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여성창업은 전체기업의 34%를 차지하고 있으나 고성장 기업일 경우는 6% 이하의 점유율을 나타낸다. 여성기업의 특징은 남성기업에 비해 초기투자자금이 적고, 외부자금조달이 어려워서 소규모기업에 집중되어 있다. 창업을 위한 장애요인은 여성 과 남성기업이 매우 유사하지만, 여성기업의 남성기업과 차별화된 장애요인이며, 또한 여성의 고성장기업 창업을 어렵게 만드는 3가지 요인은, 외부자금 조달의 어려움(고성장 기업인 경우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다른 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남), 창업을 위한 아이디어와 경험 및 기술의 부족, 일 과 가정의 병행 어려움이다. 이 결과는 미국의 연구결과(자금조달의 어려움, 일과 가정의 병행 애로, 여성을 위한 멘토의 부족) 와 비슷한 결과이다. 여성의 고성장기업의 창업은 아이디어와 경험 및 지식의 부족과 관련되어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Research on OECD and Korea have shown that high-growth startups are the keys to job creation and that these companies are very important for economic growth. Given that the large-scale entry of women into the labor force accelerates economic growth and women have far lower levels of participation in growth-oriented entrepreneurship than men do, accelerating female entrepreneurship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Korean economy. This paper uses data from several databases to do a comparison analysis between women’s and men’s start-up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explain the lag in building high-growth firms among women. Women startups make up nearly 34% of startups(defined as less than 7 years of establishment), but only 6% of high-growth startups. Women rarely own large businesses, reflecting their low levels of initial capital and outside financing. Regardless of gender, entrepreneurs face many of the same challenges in starting businesses, but this study shows three primary factors for female entrepreneurs that lead to a less high-growth startup: a greater financing gap than for men(this gap is more apparent for high-growth firms), a lack of ideas, knowledge, and experience(related to the lack of mentorship), and lastly the difficulty maintaining a work-life balance. The findings are very similar with those found in studie’s in the US(financing gap, work-life balance, and lack of mentorship).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more specific factors behind the gender gap in ideas, knowledge, and experience.

      • KCI등재

        여성창업기업과 남성창업기업의 생존특성 비교연구

        남기정,이동명,진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여성연구 Vol.100 No.1

        본 연구는 신용보증기관에서 창업보증을 지원 받은 창업중소기업의 비재무정보를 활용하여 여성창업기업과 남성창업기업의 생존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생존분석 방법론인 카플란마이어분석을 통해 여성창업기업과 남성창업기업의 생존특성별 생존율 및 평균생존시간을 추정하고 생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자료는 신용보증기관에서 창업보증을 지원 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업체수는 여성창업기업 1,443개, 남성창업기업 8,596개로 총10,039개이다.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여성창업기업의 생존율이 남성창업기업 보다 낮게 나타났다. 생존특성을 비교해 보면 여성창업기업의 유의한 변수는 개인신용등급, 동업계종사유무, 거주주택보유유무, 재무제표보유유무 등 4개 변수가 선정되었으며, 남성창업기업의 유의한 변수는 개인신용등급, 동업계종사유무, 사업장보유유무, 거주주택보유유무, 여신거래실적유무, 재무제표보유유무 등 6 개 변수가 선정되었다. 여성창업기업과 남성창업기업의 생존특성에 관한 비교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창업지원기관은 여성창업기업 신용평가시스템 개발을 통해여성창업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신용보증기관과 금융기관의 업무협약을 통한 여성창업특례보증 상품개발하고, 자금지원제도 개선으로 여성창업을 실질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여성창업자와 창업지원기관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창업기업의 부실을최소화하여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기술 기반 여성기술창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여성연구소기업을 중심으로

        오영환(Oh, Young-Hwan),정양헌(Chung, Yang-Ho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4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여성기술창업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시점에서 공공기술을 기반으로 설립되는 여성연구소기업의 창업가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창업 동기, 목적, 창업아이템 선정, 사업화 과정, 특성 등을 파악하여 연구소기업이 여성기술창업 지원제도로서 적합한가와 여성기술창업의 활성화방안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인 근거이론에 대한 이론들과 기존에 수행되었던 여성기술창업, 연구소기업 등의 연구들을 충분히 검토하고, 8명의 연구소기업의 여성창업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근거이론의 탐색적 접근방법을 통해 인터뷰 내용을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 등으로 분석하여 여성기술창업의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로 공공기술을 기반으로 설립된 연구소기업은 연구개발특구의 설립지원, 기술사업화 과제, 성장 지원 등과 대학 및 연구원의 기술지원 등으로 유익한 여성기술창업지원 제도이다. 따라서 주도적 개인 성향과 기술 기반의 창업역량을 보유한 예비 여성창업가를 적극 발굴하여 여성연구소기업을 더욱더 확대해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여성기술창업의 활성화를 위해 여성 친화적 기술 및 제품과 연계된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 확대, 여성연구소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및 우대,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위한 기술지원과 사업화 프로그램 강화, 여성창업가의 일과 가정의 양립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인력지원 등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women CEO in Research Institute Companies established to identify their startup motivations, the purpose of a startup, the selection of startup items,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led technology startups to provide implications and examine whether a Research Institute Spin-off Company is suitable and expandable as a women-led technology startup support system.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8 women CEO of Research Institute Spin-off Companies. Through the grounded theory,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women-led startups. [Findings] As a result of research, it is show that a Research Institute Spin-off Company established based on public technology is a beneficial women-led technology startup support system, having the support from the INNOPOLI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jects, various growth supports, and technical support from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t is suggested that women-led Research Institute Spin-off Companies should be further expanded by actively discovering prospective women entrepreneurs that have a personal tendency of playing a leading role and entrepreneurship capable of building a technology startup. [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revitalize women-led technology startups, there needs to be an expansion of technology startup support programs connected to women-friendly technologies and products, expanded support and preference towards women-led Research Institute Spin-off Companies, expansion of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support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personnel support to relieve the work-family balance of women entrepreneurs.

      • KCI등재

        여성 중소기업인의 창업과 경영방식 : 우리 나라와 미국의 경험 Characteristics of their Start-Up Process and Management Style

        전방지 한국중소기업학회 2002 中小企業硏究 Vol.24 No.2

        본 논문은 우리 나라와 미국의 여성기업인에 대한 비교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한국 자료는 전국의 여성기업인을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여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 자료와 미국의 기존 연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나라의 사업환경과 사회경제적 조건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기업활동이라는 면에서 두 나라간 차이보다는 유사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여성기업인은 전체 기업인의 33.54%에 해당하며, 미국의 경우, 여성기업은 전체의 38%를 차지한다. 여성이 소유하고 있는 기업은 대부분 남성소유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영세하고, 기업연령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나라에서 모두, 여성기업은 소위 "여성의 산업"으로 일컬어지는 몇 안되는 산업에 집중하여 분포한다. 최근에 여성소유기업이 수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사실은 주목할 만한 추세이다. 창업과정과 경영방식에 있어서, 두 나라의 여성기업은 아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창업과정을 보면, 여성은 아무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사업을 시작하며, 내재적 동기의 추동에 의해 창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개인 자금으로 창업자금을 조달하며, 전에 하고 있던 일이 여성의 창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 나라와 미국의 여성 기업인은 모두 협동적 리더십 스타일을 구사하며, 기업의 위계구조는 상대적으로 납작한 편이고, 경영의 세부사항까지 세밀하게 챙기는 경향을 보이며, 종업원의 복지에 상당한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omen's SME business ownership in Korea and in the U.S. The Korean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of women entrepreneurs in Korea. We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data and the existing U.S. data. Despite differenc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in the two countries, we found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when it comes to women's entrepreneurship. In Korea, women business owners comprise 32.4 % of all the business owners, while in the U. S., women business owners are found in 38 % of the total firms. Almost all the women owned firms are SMEs and are relatively smaller, younger than men owned businesses. In both countries, women's businesses are concentrated in a very small number of 'female industries'. A trend worth noting is that recently, the number of the women owned business has shown a rapid increase. Regarding the start-up process and the ways of management, women's businesses in the two countries reveal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In the start up process, women create their businesses from scratch, and the intrinsic motivation of entrepreneurship propels business creation. Women mobilize their start up capital mainly through their personal capital and the their former job has a great impact on their business creation. Women in both Korea and the U.S. demonstrates a cooperative leadership style, have a relatively flat hierarchy, and show great concern in details, invest significantly in employee welfare measures.

      • KCI등재

        한국 기혼여성창업가의 경영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가정과 일 병행전략을 중심으로

        오지선 ( Jee-sun Oh ),김영환 ( Young-hwan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6 中小企業硏究 Vol.38 No.4

        본 논문은 사례조사를 통해 여성의 창업활동을 살펴보고 여성의 기업가정신과 생존전략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창업가들은 남성중심적인 창업 생태계 내에서 여성 특유의 다양한 전략으로 창업 시 맞닥뜨리는 애로점들을 극복하고 있었다. 또한 여성특유의 공감능력으로 구성원들의 뜻을 하나로 수렴하고, 각자의 능력과 팀워크를 최대한 끌어내는 부드러운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재정적·물리적·인적 자원이 부족한 사례자들은 사업의 규모를 최소화하여 창업을 하였고, 과거 근무했던 기업 혹은 창업했던 경험을 활용하였다. 무엇보다 여성창업가들은 여성으로서의 삶과 경험을 통해 얻은 생활 밀착형 아이디어를 사업화하여 창업함으로써 남성이 포착할 수 없는 여성 특유의 섬세함으로 창업아이디어를 창출하며 창업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성창업가들은 자신의 기업 활동을 통해 여성고용 창출 및 여성 친화적 기업문화를 만들어 일과 가정 양립의 부담을 여성과 남성, 사회와 조직이 함께 공유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여성채용에 호의적이었고, 여성들의 재취업이나 창업을 돕고자 했다. 자신과 같은 어려운 조건에서 창업을 하고 있는 또 다른 여성창업가들과 활발한 네트워킹을 하고 있었다. 후배 창업가들에 대한 조언과 지원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도 보였다. 여성창업가들은 여성고용창출 뿐 아니라 여성의 사회 재진입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국내 창업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파급시키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gender entrepreneurship and survival strategy by reviewing the cases of women entrepreneurship. In a male-dominated ecosystem, women entrepreneurs are mostly challenged in starting their business, but they have overcome those difficulties through women`s unique strategies. Women`s empathy, a form of gentle leadership, could draw the colleagues` capabilities and thus motivate cohesion in a better way. Some entrepreneurs who were lack of physical, financial or human resources tried to optimize their business plan by; minimizing the project scale, applying past working experiences. Through these strategies, women entrepreneurs maximize their chances to enter the market. In the market, women entrepreneurs better commercialize the ideas of life matters that men usually cannot come up with, so that they bring unique and innovative changes in the business ecosystem. Women entrepreneurs have promoted a female-friendly culture and encouraged men and society to pursue work-life balance that used to be the burden of working women. They are active in hiring female employees, and in helping start-up business or re-employment of women though social networking. They also show strong passion to advise and support younger generation to run start-ups. In this regard, women entrepreneurs have proved themselves to be positively influential to Korea`s entrepreneurial ecosystem by creating jobs as well as leading other women to reenter society and enjoy their rights.

      • KCI등재후보

        경력단절여성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은정(Eunjeong Kang) 단국대학교 글로벌벤처전략연구소 2023 Entrepreneurship&ESG연구 Vol.3 No.1

        우리나라는 인구고령화 및 저출산의 문제로 점차 경제활동인구 감소가 예측되는 상황이다. 여성의 경제활동은 국가 및 사회에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중요성이 강조되며, 노동시장에 여성 비경제활동인구를 적극적으로 유입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이에 정부는 여성기업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여성기업의 창업과 활동을 지원하며 여성의 경제활동과 지위 향상을 돕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대응방안에도 불구하고 경력단절 여성의 창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적게 나타나는 것을 볼 때 보다 적극적인 지원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여성의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첫째, 경력단절 여성들의 기업가정신이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둘째,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관계에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 셋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창업 지원정책이 경력단절 여성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간에 조절 효과의 영향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추가로 결혼 여부와 창업교육 참여, 경력단절의 원인에 따른 유형과 창업교육 참여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력단절 여성으로 한정 지어 경기도 지역 취·창업 지원기관을 이용하는 경력단절 여성에게 설문을 진행하여 200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혁신진취성 요인이 유의함이 증명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 보면 정서적 지지는 혁신진취성에, 평가적 지지는 위험감수성에 조절 효과가 보였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간에 정부 지원사업의 조절 효과를 보면 자금지원과 물리적 인프라 지원 모두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경력단절 여성의 경제활동을 높이고 창업 활성화 방안을 찾는 근간을 마련하기 위해 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효성이 있고 다양한 정부지원정책, 지속적인 여성창업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A decrease i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s expected in South Korea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The importanc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of the positive economic effects the women's workforce can bring to the whole country and society. Hence, more policies that can actively introduce economically inactive women into the labor market should be implemented. Creating new business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career-interrupted women. The Act on Support for Women's Enterprises was enacted to help women improve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status by helping them to create a business and supporting women's enterprises. However, despite the government's various policies, the number of career-interrupted women entrepreneurs is lower than that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more active support methods seem to be required. In this study,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pecified to be career-interrupted women since the focus of this thesis is to find ways to increase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revitalize women's entrepreneurship. Through this, this thesis aims to find implications for creating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for career-interrupted women. Firstly, the research verifies whether the entrepreneurship of female entrepreneurs affects business intention. Secondly, the research portray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Thirdly, the research examines if and how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policy to support women’s entrepreneurship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thesis shows that the innovation initiative factor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as to whether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emotional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innovation initiative and evaluation support on risk sensitivity. Third,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project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oth funding and physical infrastructure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women's characteristics, effective and divers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continuous research on women's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increase the economic activit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lay the foundation for finding ways to promote entrepreneurship.

      • KCI등재

        중소기업연구 40년간의 여성기업/여성창업 관련 연구와 해외 연구 동향,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

        임이숙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3

        In commemoration of 40 years of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this paper reviewed the academic literature investigating female entrepreneurship and women-owned businesses in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During past 40 years, only 10 studies shed light on women entrepreneurship/businesses. Since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is very few, this paper reviewed foreign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topics in accordance with the stages of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 reviews, this paper aims to suggest important topic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o draw attention to female entrepreneurship/enterprises in Korean academia. 연구는 중소기업학회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중소기업학회 산하 학술지 『중소기업연구』에 게재된 여성기업인과여성창업/여성기업과 관련된 연구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그동안 게재된 여성기업인/여성기업에 대한 연구는 10편으로 그 수가 매우 적었으며, 따라서 체계적이고심도 있는 연구도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우선 이 연구들을 시기에 따른 양적추이와 연구 주제에 따라 살펴보았으며, 이후 이미 다수의 연구가 수행, 축적되어 온관련 해외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해외 연구는 창업으로의 진입부터, 창업 활동, 창업기업 경영까지의 일련의 창업 단계에 따라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본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는 여성창업/여성기업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향후연구에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여성 사회적 기업가의 창업 동기와 성과 인식에 관한 연구

        김학실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1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창업동기가 젠더(여성, 남성)적 특성과는 다르고, 창업동기 차이로 인해 운영과 성과를 인식하는 것도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여성 사회적 기업가를 대상으로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모델은 창업동기가 바로 창업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창업동기가 점화계기(제도적, 환경적 요인)를 통해 창업으로 연계되는 확장된 모델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창업동기는 영리기업이 주로 재정적 동기에 의해 창업을 하는 것에 비교할 때, 사회적 문제인식과 더 좋은 일을 하고자 하는 희구가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인적 특성(혁신성, 모험성, 위험감수성)은 영리기업가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여성 사회적 기업가들의 창업 업종은 이전 경험이나 직업(자활의 가사간병서비스, 돌봄)이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업종의 창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사회적 기업육성법」제정이라는 제도 도입으로 인한 지원정책이 창업의 중요한 점화계기가 되었다. 넷째, 여성사회적기업가들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관계적, 정서적 측면에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을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여성사회적기업가를 대상으로 창업동기와 성과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써 그동안 사회적 기업에서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었으나, 여성 CEO의 창업에 관해서 수행한 연구는 없었다는 점과, 향후 여성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여성들의 어떤 특성이 창업으로 연계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ocial enterprise start-up motives differ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For the analysis, the study was in-depth interviews the five women social entrepreneurs. The analysis model was utilized an extension model between start-up motivation and business start-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cognize social problems and hope to be a better one had a greater impact on business start-up motivation. Howev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be the same as the entrepreneur. Second, it had an impact on previous experience and career to choose a business start-up industries. Third,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was an important tipping point for business start-up. Fourth, women social entrepreneurs recognize the social performance in relational and emotional aspec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gender characteristics affect the motivation of social enterprise start-up. second, the tipping point has on the business operations.

      • KCI등재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 성별 및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

        공혜원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se relationships. To test the hypothesis, we used GETR(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data that was collected by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and was consisted of 40,388 data collected from 2,000 people in 20 countries. First,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Second, gender moderating effects on these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found to be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Finally, the analysis of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the social protection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and this effect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high social protection group. In other words, women with entrepreneurial experience a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en they are more aware of social protection than men. 최근 들어 기업가적 활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도 사회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는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개인적, 맥락적 차이 규명에 초점을 두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와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경험,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가 사회안전망과 같은 국가 맥락적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삼원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연구표본은 한국을 포함한 총 2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최소 2,00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총 40,388개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분석 도구는 Hayes의 Process를 활용하여 창업 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 성별, 성별 격차의 삼원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은 기업가 활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별 조절효과는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해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창업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긍정적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사회안전망이 높은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여성은 사회안전망이 높다고 인식할 경우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남성보다 기업가 활동의도가 더 많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논의는 본문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여성의 사회적기업 창업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권현경(Hyun Kyung Kwon) 한국비영리학회 2023 한국비영리연구 Vol.2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women's social enterprise start-up decisions and oper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 social entrepreneurs within five years of starting a business, and six people were interviewed in-depth to analyze their motivation for starting a business, prepar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and business operation experience. The mai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derie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s motivation for starting a social enterprise starts with recognizing problems found in their personal experiences as social problems. Second, female social entrepreneurs had a lot of burdens and challenges to overcome as women, as well as concerns in the process of pursuing social and economic values at the same time. Third, women were realizing social missions by creating sustainable values while growing into social entrepreneurs despite these complex difficult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society, various efforts are needed in therms of the start-up ecosystem so that women can utilize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and create more social values. 이 연구는 여성의 사회적기업 창업 결정 및 운영 과정에서의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 분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창업 후 5년 이내 여성 사회적기업가로, 6명을 심층 면담하여 창업 동기, 창업 준비 빛 결정 과정, 사업 운영 경험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사회적기업 창업 동기는 개인적 경험 속에서 발견한 문제를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둘째, 여성 사회적기업가들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과정에서의 고민과 더불어 여성으로서 극복해야 하는 도전과제들 속에서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여성들은 이러한 복합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사회적기업가로 성장해 나가면서,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을 통해 소셜 미션을 실현해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서 여성이 사회저기업 창업을 통해 잠재된 역량을 활용하고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창업 생태계 측면에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