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화기 여성 가사에 나타난 여성 의식 고찰

        최정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Yǒsǒng Gasa includes diverse female voices from the Confucian society. Yǒsǒng Gasa advocates for the masculine rule in general; however female writers sometimes express their own voices. Readers need to discern how female voices are expressed differently from male voices and how female voices are spoken in their own ways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 focus on the work called Kǒngke-sara writte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This transitional period has a task of modernization (namely Westernization) and recognizes the changing female status. Women should be educated and enlightened according to the changed social atmosphere. However, although women began to acknowledge this atmospher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ir inferior social position let them unable to transform the social system. Women posit themselves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 and reveal their confusions and complexities as floating subjects, which uncovers in my close reading of Kǒngkae-sara. Women’s attempts to set up female identity begin to show up in Kyǒngkaesara and followed by new novels (shinsosǒl) that describe the changed female identity. 여성가사는 지배양식인 남성가사를 모방하는 것에서 여성들의 서사로 내면화, 융성시키는 과정에서 시대 사회적인 변화를 담지하고 다른 문학 갈래와도 영향을 주고 받으며 여성적인 소통의 장으로서의 독자성을 키워나갔다. 일레인 쇼왈터Elain Showalter는 「그들만의 문학A Literature of Their Own」(1977)에서 지배전통의 지배적 양식을 모방하고 내면화시키던 단계를 거쳐 여성들만의 문학공간을 창출해나가는 여성적 자기서사의 특징을 주목한 바 있다. 여성 가사는 바로 이러한 여성적 자기서사의 구현물로서 생각될 수 있다. 특히 낭독과 필사로 이어지는 향유 방식과 전승의 과정은 다기한 변이체들을 낳으며 고정된 텍스트 분석의 틀을 벗어나 있다. 이러한 면모는 여성 텍스트의 외연을 넓혀주는 동시에 텍스트 자체의 다중적인 목소리들에 주목하게 한다. 특히 계녀가류 여성가사는 유교적 자장하에서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목소리들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부각될 필요가 있다. 여성들의 관계적인 성향을 분명히 담지한 텍스트의 확장과 소통의 방식은 때로 남성적인 윤리규범의 계도를 위한 방편이 되기도 했지만 그 속에서도 여성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만들어냈다. 이 지점에서 지배적인 목소리와 침묵하고 있는 목소리 혹은 불투명하게 드러나는 목소리들을 감지해낼 필요가 있다. 특히 시대가 요구하는 지점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통해 여성적 정체성을 모색해내는 과정은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여성 가사는 개화기라는 시대적 격변 속에서 또다른 변모를 보이는데, 형식적인 쇠퇴 혹은 소멸의 측면 보다는 그 시대적 소명을 담아내는 지점이 부각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조선의 전면적인 재구성을 요구하는 시대 속에서 조선적 윤리의식을 계도하였던 계녀가류 여성 가사의 시대인식의 면면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지점들을 <경계사라>라는 작품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개화기는 문명개화를 시대적 과제로 삼으며 그 중심에 여성을 두었다. 따라서 계몽의 대상은 여성이었으며 쏟아지는 여성담론들은 또하나의 여성 지침서들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지점에서 계녀가류 여성가사와 개화계몽류 여성 가사가 내용적 형식적 측면에서,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여성에게 익숙한 양식으로 전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만나고 있다. 다만 여성의 자각은 주지의 사실이었으나 실제 여성의 삶은 급격히 변화될 수 없는 것이었다. 결국 여성들은 전통과 근대의 경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점들을 <경계사라>와 다른 여성가사들을 통해 방증해보고자 했다. 이 시기 여성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정체성 모색의 과정은 신소설의 면면들, 이후 근대 여성 소설의 면면과도 이어지는 것으로 이는 차후의 과제로서 남겨둔다.

      • KCI등재

        페미닌 보이스: 여성 퍼포먼스 아트에서 목소리의 수행성과 젠더 롤 해체하기

        김경화 ( Kim¸ Kyoung Hwa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6 No.-

        현대 퍼포먼스 아티스트의 대다수가 여성이라는 것은 우연일까? 예술 창작 주체의 몸과 목소리, 퍼포먼스 하는 육체성을 강조하는 퍼포먼스 아트가 여성창작자에 의해 주도된 창작 음악 씬이라는 사실은 우연의 결과로 보기 어렵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예술 창작의 주체자이기보다는 수행적 역할을 하는 존재였다. 서양 음악 문화에서 음악 창작과 그것을 수행하는 연주 영역은 이분법의 젠더 카테고리에 의해 남성과 여성의 영역으로 철저히 분리되어 왔다. 무대 위에서 노래하고, 음악을 연주하는 행위는 육체성을 디스플레이하는, 여성의 영역으로 오랫동안 간주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가 자신의 몸이 곧 표현 재료이자 수단인 현대의 퍼포먼스 아트는 젠더 통념에 따라, 남성 창작자보다는 여성 예술가들의 접근성이 높은 분야일 수 있다. 그러나 퍼포먼스 아트에서 여성 예술가는 단순히 누군가가 창작한 예술 작품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수행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몸과 목소리를 재료로 직접 작업하는 창작자로서 존재한다. 퍼포먼스 아트에서 여성 창작자들은 자신의 몸을 드러내며, 스스로가 만들어내는 소리를 통해 그들에게 부여된 젠더통념과 역할에 질문을 던진다. 이 연구는 여성 퍼포먼스 아티스트가 예술 창작의 재료로서 자신의 몸과 목소리를 사용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특히 몸을 통해 만들어내는 특별한 소리인 목소리에 집중해 본다. 이 연구는 발화된, 혹은 노래 불린 목소리의 소리적, 재료적(material) 특성과 함께 단순히 표현의 개념을 넘어 ‘목소리 내기’를 통해 드러나는 목소리의 수행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독특한 보컬 사운드를 매개로 고유의 예술 세계를 구축한 메러디스 멍크(Meredith Monk, 1942-)와 로리 앤더슨(Laurie Anderson, 1947-)의 퍼포먼스를 분석한다. Would it be just a coincidence that most of the modern performance artists are female? It is not just mere chance that performance art is a creative musical scene which is dominated by female artists. This performance art insists the performing body including one’s voice. Traditionally, women have just played a performing role given by male artist instead of being an agent in art. In the Western music culture, creating art and being the objects of display have been separated by gender binary. Displaying corporeality such as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n the stage has been considered as a women’s role for many decades. In this sense, according to the stereotypical notion of gender, modern performance art where artists become the material and the means of expressing art can be something that a female artist can approach easily compared to male artists. However in performance art, a female artist is not just an object of display. Instead, they exist as an agent of art who creates themselves as an artist using their body and voice. Eventually, this makes the female artists to challenge gender binary by exposing their body and voice.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of using female performance artists’ body and voice as musical materials for self-representation, especially the vocality.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sonic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uttered or sung voice, the performative meaning of the voice revealed through ‘voicing’ is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 of Meredith Monk and Laurie Anderson who created their own artistic world using their body and voice.

      • KCI등재

        표현의 갈망과 청취의 윤리: 여성 구술의 사회적 역능(力能)

        김영희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1 No.-

        The words of Gayatri Spibak “Can the subaltern speak?” tell us that the subaltern subjects cannot represent themselves in their own voices and words. The words reveal that memory and experience of women cannot be presented in the field of social discourse. The memory of women is outside of verbal expression in the society which the hierarchy of gender has been justified and naturalized. From the moment that it is spoken out and presented by men instead of women themselves, this surplus memory is recontextualized in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When the words of women are spoken at the same time they are translated in the words of men, so they disappear and in the end remain unspoken words. The author does not agree that written language belongs to men and spoken language belongs to women. It is an exaggerated romantic idea. However, women prefer to present themselves through spoken language, and there is larger area for women’s representation in oral expression. Women can have more opportunities for self expression and social speech in spoken language. In this paper the various aspects of oral narratives and verbal arts of ‘women’ are going to be examined, therefore social effects of spoken words of women, and the desires of expression of women are going to be found. Unspoken words become to be the loss that cannot be mourned, thus they come to be melancholy. If the words of women are regarded as a hysteria, the situation exposes the social melancholy which does not intend to listen to women. Women’s voices that emerged form the crack of silence sometimes wear the coat of men’s language, or monopolizes the form of men’s speech. However, the desire to speak out for women is becoming stronger and more wide spread, thus these days the area for women’s voice is expanding. The reason why the women’s voice is desired is because it proves the existence for women themselves. If listening enables to speak, the practice of the ethics of listening is a precondition to the expansion of women’s voice. The oral narrative can be the place to practice women’s desire for expression. It can also be the core condition for women’s voice to be represented. ‘하위주체는 말할 수 있는가(Can the Subaltern Speak?)’라는 질문은 표현 수단과 권력을 갖지 못한 하위주체가 재현의 대상으로 머물 뿐 발화와 재현을 통해 스스로를 가시화하지 못하는 한계를 적나라하게 지적하지만 다른 한편 언어 자체와 언어의 장(field)이 ‘여성’의 경험과 기억을 포착할 수 없음을 암시한다. ‘여성’의 기억은 ‘남성’ 중심의 젠더 위계가 일반화되고 정당화된 사회에서 언어적 표현의 외부에 있다. 이 잉여적 기억은 ‘남성’ 주체의 목소리로 대리 발화되거나 그들의 언어로 매개되는 순간 전혀 다른 의미로 재맥락화된다. 결국 ‘여성’의 말은 발화되는 순간 다른 언어로 번역되어, 이 ‘말’은 결국 영원히 말해지지 않은 어떤 것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말과 글 자체가 ‘남성’의 언어로 고착되거나 규범화, 공식화된 사회에서 ‘여성’의 말은 분명 발화되어 드러난 것이되 한 번도 발화되거나 드러난 적이 없다는 모순을 지닌다. 문자 언어를 ‘남성’의 언어로 이해하고 구술 언어를 ‘여성’의 언어로 이해하는 것은 지나치게 낭만적인 이분법이지만 구술 층위에서 ‘여성’의 목소리가 자기 표현과 사회적 소통을 향한 틈새 영역을 구축한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여성’ 구술의 여러 양상을 살펴보고 구술 언어를 통해 드러나는 ‘여성’ 주체의 표현 갈망과 그와 같은 표현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효과의 자장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삼킨 말들이 사라지지 않고 질병이 되는 것처럼 발화되지 않은 언어는 애도할 수 없는 상실로 남아 ‘우울’이 된다. ‘여성’의 언어가 일종의 히스테리로 인식된다면 그것은 사실상 ‘여성’의 말을 청취하지 않으려는 사회의 ‘우울’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런 사회에서 침묵의 틈새를 비집고 나오는 ‘여성’의 목소리는 때때로 ‘남성’의 언어를 외피로 삼거나 ‘남성’ 발화의 형식을 전유한다. ‘여성’이 ‘남성’의 목소리를 가장하지 않은 채로는 스스로를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여성’ 주체의 발화 욕망은 생각보다 더욱 강렬한 것이어서 오늘날 ‘여성’ 구술의 영역은 점차 확장되는 추세에 있다. ‘여성’의 발화는 ‘내가 여기 있음’을 증명하는 일이기에 그만큼 간절하다. 청취가 발화를 가능하게 한다면 청취의 윤리가 실현되는 것이야말로 ‘여성’ 발화가 확장되는 미래의 전제 조건이 될 것이다. ‘여성’ 주체에게 표현의 갈망이 존재한다면, 그리고 ‘구술’이 이와 같은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로 기능할 수 있다면 청취하는 이들의 현존이야말로 ‘여성’의 목소리를 가시화하는 핵심적인 조건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남성 뮤즈와 여성 시인의 목소리 : 실비아 플라스 초기시 연구

        고찬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1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Sylvia Plath searched for the female poetic voice, by tracing the aspects of her early poems.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Plath disclosed the violence of male-centered literary tradition against women poets although her early poems seem to be written from a male point of view. In her poems, "Snakecharmer", "Full Fathom Five", and "The Colossus", it is particularly found that Plath hoped to be empowered with the poet's voice, which nevertheless resulted almost in silence or babbling. Plath, indeed, devised a strategy in order to show that, for women poets, the patriarchal literary tradition is a destructive power rather than a generative one. Namely, women poets are not able to fully grow out of a male-oriented tradition. On that account, she tried to represent in her early poems herself who sought to be empowered with an authoritative voice, invoking the male muse, but this ended in failure. Plath was skeptical about the way she had desired to find her own voice by relying upon the male muse, and she needed to free herself from that literary tradition. 이 논문은 실비아 플라스의 초기시를 연구함으로써, 남성중심 문학 전통에서 여성 시인으로서 갖게 되는 어려움과 그로 인해 느낀 고뇌와 갈등이 플라스를 결국 여성 시인의 자아를 추구해 나가도록 만든 불가피한 요소였음을 밝히려고 한다. 본고는 플라스가 초기 작품에서 주로 남성중심의 시적 전통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지만, 오히려 남성 전통이 여성 시인의 성장을 저해하는 파괴적 힘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비록 플라스는 처음에 여성은 시인으로서의 자신감을 가지기 힘들다는 생각으로 남성중심 시각에서 시를 쓰기 시작하고, 그러한 글쓰기로부터 권위있는 목소리를 부여받기를 원했지만, 남성 전통과 여성 시인이 융합되기 힘들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남성 전통에 대한 회의를 느끼게 된다. 이렇게 남성 전통에 편입하려는 시도가 실패로 끝나는 모습을 시적 자아로 투영시킨 플라스의 초기 시들을 집중 분석한다. 그녀의 초기시, 「뱀부리는 사람」("Snakecharmer")과 「다섯 자 깊이」("Full Fathom Five"), 그리고 「거상」("The Colossus")에서 남성중심 전통이 그녀에게 창조적이면서 동시에 파괴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발견된다. 이와 함께 여성 시인으로서 자신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남성 전통에서 벗어날 필요를 느끼는 플라스를 엿볼 수 있다. 이제까지 플라스의 초기시는 남성 시인 작품들을 모방하는 습작에 지나지 않는다는 평가를 주로 받아왔지만, 그녀가 이후에 자신감을 획득한 여성 시인으로서의 목소리를 발화하기에 앞서 겪을 수밖에 없었던 진통을 담고 있다는 데 큰 의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농사하는 집 아낙과 글하는 집 아낙

        김석희(Kim Seok hoe)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1

        이 글은 경남 함양의 선비였던 서인순(徐璘淳:1827~1898)의 <전가부(田家婦)>와 <시가부(詩家婦)>라는 장편시 두 편을 번역 소개하고 그 개략적인 의의를 탐색한 것이다. 이 두 작품은 19세기 중반 경남 함양 지역 반촌(班村) 풍경의 일부로서, 사농분기(士農分岐)에 처한 향촌사족층의 고민과 진로 모색을 반영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우선 두 작품을 주석을 곁들여 번역한 뒤에, 이를 토대로 두 작품의 상호관련성을 조명해 보았으며, 이 두 작품이 특별히 '여성의 목소리'로 '여성의 형상'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 주목, 그 의의의 실마리를 찾아보려 했다. 아직 충분한 작가론이나 작품론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지만, '서방탄(書房歎)'과 '신세탄(身世歎)'의 성격을 띠고 있는 이 두 작품은 조선후기 여성문학 일반의 성격을 구명하는 데 다각도로 참고할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two long-poetry, <A wife of the farmer(田家婦)> and <A wife of the poet(詩家婦>). The research begins from translation and results to interpre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wo poetry is 'the sigh for the husband(書房歎)'and 'the sigh for the self(身世歎)'. Although it is written by the rural gentry, it is revealed by 'the voice of the woman' in the form of woman image. It is a reflection of the pain and burden of the rural gentry's wife, in the period of 'the division of the rural gentry(士農分岐).

      • KCI등재

        여성 노동자의 목소리 - 2010년대 한국영화 속 여성 프레카리아트 재현

        이윤종 ( Lee Yun-j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본고는 2014년과 2015년에 한국영화 속에서 구체적으로 재현되기 시작한 여성 노동자들의 영화적 재현과 그 속에서 드러나는 그들의 목소리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여성 노동자는 과거 군부 독재 시절 산업화 시대의 역군으로 기능했고 그로서 적게나마 주목받기도 했으나, 이상하게도 한국영화 내에서는 성 노동자 외에 공적인 영역의 진지한 노동 주체로서 재현된 적이 거의 없었다. 다시 말해 한국영화에서의 여성 노동자는 198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노동 다큐멘터리를 제외하고는 오랫동안 존재하는 동시에 부재해 왔던 것이다. 산업화 시대의 대표적 여성 노동자인 식모와 여공은 한국영화 속에서 주변적 인물로만 그려졌음은 물론이고, 여성노동의 영역은 주로 가사노동과 성 노동으로 이분화되어 재현되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그 두 영역은 진정한 노동으로 인정조차 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스피박(Gayatri Spivak)이 애통해했던, 목소리를 갖고 “말할 수 없었던,” 재현될 수 없었던 서발턴으로서의 여성 노동자들이 2010년대 중반부터 한국영화 속에서 프레카리아트로서 가시화되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본고는 2010년대의 여성 노동자를 재현한 영화들 중에서 여성 노동자의 내레이션으로 진행되는 극 영화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와 실제 여성 노동자들의 인터뷰를 편집해 그들의 목소리 위주로 실험적 영상을 전개하는 다큐멘터리 <위로공단>을 중심으로 그들이 영화 속에서 내기 시작한 목소리의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images of female workers who have conspicuously embodied and represented in South Korean films of 2014 and 2015. Female workers had served to industrialize South Korea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between the 1960s and 1980s and drew attention as such, but only the sex workers among them were cinematically represented. In other words, women workers have long been present and at the same time absent in South Korean cinema except for the labor documentary film emerged from the late 1980s. The exemplary female workers of the military industrialization, namely housemaids and factory laborers used to be depicted as the women who were becoming hostesses or mistresses. However, female workers, who "could not speak" or be represented in Spivakian sense, started to be visibly represented in South Korean cinema as precariates or affective laborer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s of the female workers' voice articulated in South Korean films of the 2010s. To do so, it focuses on the textual analyses of Alice in Earnestland (2014) that unfolds its fictional plot with a narration of a female worker and of Factory Complex (2015) that not only documents the interviews of actual women laborers but also visualizes their own voices in its experimental footage.

      • KCI등재

        <정읍사>의 여성 화자 태도와 그 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이수곤(Yi Su go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본고는 고전시가에 나타난 여성 화자의 다양한 목소리를 확인하여 여성 화자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궁극적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시론적 성격을 띤 본고는 먼저 기존논의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이 결과를 <정읍사>를 대상으로 고찰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고찰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논의는 여성화자의 목소리를 단일한 것으로 파악하는 경향을 보였다. 여성은 '타자화ㆍ사물화' 되어 있다고 파악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래서 작품의 어학적 해석과 그 의미를 파악함에 있어서 여성의 단일한 삶을 드러내려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정읍사>를 대상으로 어학적 검토와 그 시적 의미를 검토한 결과, <정읍사>의 여성 화자는 남편의 무사귀환을 바라는 것은 물론 자기 자신을 온전히 회복하려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정읍사>의 여성을 사랑의 주체자로서 임의 부재라는 상처를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 존재로 파악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정읍사>의 여성은 일반적으로 지적되어 온 여성의 타자성과는 다른 태도를 다분히 지니고 있다 하겠다. 사랑의 주체적 태도를 지니고 있는 여성은 <정읍사> 외 많은 고전시가에서 보이는 바, 본고의 논의를 확장하여 살펴본다면 다양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여성상을 밝혀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논의에 본고의 논의가 첨가될 때 보다 온전한 한국 여성상의 모습이 드러나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has the goal that confirm diversific voice of woman speaker about Classic Poems, so offer new view point to woman speak study. So the study is reflective investigation about established argument, next to investigate Jungeubsa(井邑詞) on the basis of it's result. Investigated result of the study contents as following. First, established argument show a tendency to grasp of simplified to woman speaker voice. Woman is grasped 'the other existence'. So linguistic interpretatin and meaning of Text is formed toword show to women's simplified life. Secondly, Woman speaker of jungeubsa(井邑詞) wanted a return home of husband, but has restoration of a sense of sel, too. Therefore woman of Jungeubsa(井邑詞) is grasped to existence of the subject of love. As mentioned above woman of Jungeubsa(井邑詞) is different from the other woman at general understanding of woman's attituce. And subjective woman appear much at classic poems beside Jungeubsa(井邑詞). If it is extended the study, it is expected invesrigatiion a variety of women's image.

      • KCI등재

        여성 노동자의 목소리 - 2010년대 한국영화 속 여성 프레카리아트 재현

        이윤종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images of female workers who have conspicuously embodied and represented in South Korean films of 2014 and 2015. Female workers had served to industrialize South Korea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between the 1960s and 1980s and drew attention as such, but only the sex workers among them were cinematically represented. In other words, women workers have long been present and at the same time absent in South Korean cinema except for the labor documentary film emerged from the late 1980s. The exemplary female workers of the military industrialization, namely housemaids and factory laborers used to be depicted as the women who were becoming hostesses or mistresses. However, female workers, who "could not speak" or be represented in Spivakian sense, started to be visibly represented in South Korean cinema as precariates or affective laborer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s of the female workers' voice articulated in South Korean films of the 2010s. To do so, it focuses on the textual analyses of Alice in Earnestland (2014) that unfolds its fictional plot with a narration of a female worker and of Factory Complex (2015) that not only documents the interviews of actual women laborers but also visualizes their own voices in its experimental footage. 본고는 2014년과 2015년에 한국영화 속에서 구체적으로 재현되기 시작한 여성 노동자들의 영화적 재현과 그 속에서 드러나는 그들의 목소리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여성 노동자는 과거 군부 독재 시절 산업화 시대의 역군으로 기능했고 그로서 적게나마 주목받기도 했으나, 이상하게도 한국영화 내에서는 성 노동자 외에 공적인 영역의 진지한 노동 주체로서 재현된 적이 거의 없었다. 다시 말해 한국영화에서의 여성 노동자는 198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노동 다큐멘터리를 제외하고는 오랫동안 존재하는 동시에 부재해 왔던 것이다. 산업화 시대의 대표적 여성 노동자인 식모와 여공은 한국영화 속에서 주변적 인물로만 그려졌음은 물론이고, 여성노동의 영역은 주로 가사노동과 성 노동으로 이분화되어 재현되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그 두 영역은 진정한 노동으로 인정조차 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스피박(Gayatri Spivak)이 애통해했던, 목소리를 갖고 “말할 수 없었던,” 재현될 수 없었던 서발턴으로서의 여성 노동자들이 2010년대 중반부터 한국영화 속에서 프레카리아트로서 가시화되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본고는 2010년대의 여성 노동자를 재현한 영화들 중에서 여성 노동자의 내레이션으로 진행되는 극 영화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와 실제 여성 노동자들의 인터뷰를 편집해 그들의 목소리 위주로 실험적 영상을 전개하는 다큐멘터리 <위로공단>을 중심으로 그들이 영화 속에서 내기 시작한 목소리의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 KCI등재

        〈비밀은 없다〉에 나타나는 아브젝션 여성주체

        유지선(Alice Jisun YOO),정재형(Jaehyung JUNG)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7

        본 연구는 최근 한국영화 중 여성주의 영화로 평가받아온 〈비밀은 없다〉의 영화스타일에 대해 분석한다. 이것은 <비밀은 없다>의 특징적인 영화스타일이 비밀을 추적하는 미스터리 스릴러의 장르 화법을 전개시키면서 동시에 여성연대라는 주제를 견인해내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서 클로즈업은 지배적 스타일로 전체를 관통하며, 일반적으로 다른 영화보다 빈번하게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미스터리 스릴러의 장르에서 클로즈업의 활용은 단서를 확대하고 집중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클로즈업의 과잉적 활용은 확대와 집중 그 이상의 것을 관철시킨다. 왜냐하면 추적극의 단서 제시에서 계속되는 클로즈업의 나열은 오히려 확대를 통한 집중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바로 여기에 주목한다. 〈비밀은 없다〉가 지배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클로즈업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영화에서 클로즈업은 은유적 장치로 더 많이 활용된다. 클로즈업은 추적극이라는 구조의 이 영화에서 피해자, 증인, 추적자를 평면적인 프레임으로 담아낸다. 여기서 숨겨진 가해자까지 암시적 단서로 제공되는 동안 여성들은 훼손대상으로 점철된다. 피와 땀, 오물로 범벅이 된 여성의 신체는 익스트림 클로즈업으로 확대 집중되며 ‘여성괴물’이라는 장르영화의 파괴적 여성 캐릭터로 나타난다. 바바라 크리드는 ‘여성괴물’의 특징을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비체(卑體) 즉 ‘아브젝션’을 통해 설명한다. 클로즈업은 평면화된 프레임을 채우는 여성들의 피와 광기로 뒤덮인 신체를 통하여 저항적 피의 아브젝션을 은유화한다. 실종된 딸을 추적하는 연홍의 추적극인 〈비밀은 없다〉에서 여성은 은폐된 가부장제 사회의 파괴를 통하여 반사회적 보안관으로 각성해나간다. 평면화된 프레임을 채우는 연홍의 광기어린 얼굴은 피해자인 딸 민진, 조력자인 민진의 친구 미옥의 아브젝션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연대는 은폐된 가부장적 사회/야성적 공간/ ‘아브젝션’의 고속도로라는 세 공간의 대립과 교차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사운드는 클로즈업된 프레임에 구성되는 각각의 공간을 공명시키며 여성적 목소리를 드러낸다. 여기서 카자 실버만이 『음향적 거울』에서 서술한 ‘여성적 목소리’는 적극적으로 적용된다. 영화에서 클로즈업은 표면적인 기법에서 나아가 하나의 언어로서 공간 및 사운드와 관계한다. 〈비밀은 없다〉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클로즈업의 활용은 장르의 관습을 변주하고 창조하면서 새로운 영화언어를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ilm style of The Truth Beneath(2015) directed by Kyoungmi LEE,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Korean films on the feministic point of view. Because the characteristic film style of The Truth Beneath develops the genre of mystery thriller pursued secrecy, it is simultaneously drawing the theme of women’s solidarity. In this film, Close-up passes through the whole in a dominant style, it is usually much more continual than that of other films did. The use of Close-up in the genre of mystery thriller effectively serves to blow-up and focus on clues. However, in The Truth Beneath, The Excessive use of Close-up goes beyond blow-up and focusing. This is because the parade of Close-up that continues in the presentation of clue to the mystery plot hinder concentration and focus through blow-up. And that is where the questions arise. Close-up is used often as a metaphor in The Truth Beneath. The Close-up captures the victims, witness, and tracker in a flat frame of the film, which is a structure of mystery thriller. In addition, while even hidden perpetrator is provided as connotational clue, women are riddled with injured objects. The faces of women covered in blood, sweat and crud are focused in extreme Close-up as a destructive feminine character in a genre film called ‘monstrous-feminine’.Barbara Creed explains the character of the ‘monstrous-feminine’ through Julia Kristeva’s ‘abjection’ in The Monstrous-Feminine: Film, Feminism, Psychoanalysis. The Close-up is a metaphor for the abjection of resistant blood through a body covered with blood and madness of feminine who fill the flat frame. In Yeonhong’s chasing tracks the missing daughter, woman wake up as ‘an anti-social sheriff’ through the destruction of a concealed patriarchal society. Yeonhong’s madness face, which fills the flat frame, is connected to the abjection of the victim, daughter Minjin and her friend Miok. And the solidarity takes place through the conflict and trans of three spaces, a concealed patriarchal society, a wild space, a highway of abjection. The sound resonances each space formed by a Closed-up frame and reveals ‘a female voice’. Here, ‘the female voice’, that Kaja Silverman describes in the The Acoustic Mirror : The Female Voice in Psycho-analysis and Cinema, is actively applied. In the film, Close-up goes beyond superficial techniques and relates to space and sound as a film language. The use of Close-up,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Truth Beneath, shows a subversive film language, varying and creating a genre convention.

      • KCI등재

        해체, 글쓰기의 ‘여성적’ 실천 : 식수(Cixous)의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e)에 대한 하나의 독해

        배지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This article trie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an and writing. This relationship necessarily connects to the language, the body and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problems. This work shows the conditions of the elaboration, and the production of women’s writing. It examines how women have begun to write by agitating the idea of the women and the signifier of lack. Firstly, the article proposes a critical overview of some different theories about women’s writing, discussing their evolution since the middle of 1970, then it analyses, through the texts of Cixous, the meaning of the voice, the body and the subject of ‘women’s writing’. Cixous enumerates these three points concerning the femininity in the writing: in the first place, a privilege of the voice, that is to say, an oralisation of language involving a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We can establish an report between the conception of the voice at Cixous and the linguistic modality which Kristeva call ‘the semiotics’ and that she sets against another modality. This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is outside the usual metaphor and the sublim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 kind of invention which disturbs the symbolic order. In the text of Cixous, the “mother” is not the sacrifiante mother sublimated by the male symbolic order. It is a word which has more than a sense as the invention by the writing; it disturbs the symbolic order. Secondly, Cixous privileges the body. The vision of Cixous is to revalue this report with body rather than to envisage it as a form of oppression, susceptible to disappear as the women who speak in their own bodies. Cixous tries to discover and to revalue the relationship in the body. The body is neither the nature, nor the other 이 글은 여성과 글쓰기의 관계에 대해서 성찰한다. ‘여성적 글쓰기’의 구성과 생산조건들을 보여주며, 어떻게 ‘여성’이 이상화된 여성과 부재의 기표로서의 여성에 저항하고 상징질서의 안과 밖에서 ‘글쓰기’에 이르는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형성된 ‘여성적 글쓰기’의 사회문화적 조건을 살펴본 후, 이를 하나의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역사적 현상으로 간주한다. 더 나아가 식수(Cixous)의 글쓰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글쓰기의 여성적 실천으로서 해체의 힘에 주목한다. ‘여성적 글쓰기’를 태동시킨 몇몇의 텍스트들에서, 식수는 ‘목소리, 몸, 열린 주체’를 글쓰기에서 ‘여성성’의 발현으로 보았다. ‘목소리’의 중요성은 ‘어머니’와 깊은 관련이 있다. 언어의 소리, 리듬, 운율 등의 의미역 밖의 언어의 창조성이 특화된다. 이는 크리스테바(Kristeva)의 기호계와 비교될 수 있다. 둘 사이에는 공통점과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식수의 텍스트에서 어머니는 남성 상징질서에서 숭고화된 희생적인 어머니가 아니다. ‘글쓰기’를 통한 일종의 발견으로 남성 상징질서를 흔드는, ‘하나 이상의 의미’를 지닌 단어이다. 식수는 ‘몸과의 관계’를 재평가하고 발견하려 한다. 여기서 ‘몸’은 자연도 타자도 아닌, 여성들의 ‘새로운 글쓰기의 장’이다. 여성은 타인을 향해 스스로를 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주체로서 식수에 의해 ‘열린 주체’로 특권화된다. 여성들은 ‘글쓰기라는 실천’을 통해서, 다른 여성들의 역사를 받아들이고 기억하고, 함께 쓰고 증언하면서 역사를 쓴다. 이와 같이 ‘여성적 글쓰기’는 해체의 실천으로서 ‘새로운 역사쓰기’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