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제타 홀의 조선여의사 양성

        김성은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Rosetta Sherwood Hall was sent as a missionary doctor of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Episcopal Church in Korea in 1890. She worked at Po Ku Nyo Koan(or Salvation for All Women Hospital or Caring for and Saving Women's Hospital) and practiced medical service. At that time, she felt lack of medical member and started medical training class composed of a few girls. One of them was Kim Jum dong(Esther Pak). She made up her mind to be a doctor and went to America to study medical science with Hall when Hall returned America after her husband's death. I think Hall was contributed to First Medical Doctor, Esther Pak in Korea. Rosetta Sherwood Hall her colleague Mary Cutler thought it is necessary to unite with Presbyterian Church's Hospital and its medical member. So new hospital of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Episcopal Church should build near Presbyterian Church's Hospital at Namdaemoon. But her proposal was denied. In 1913, Rosetta Sherwood Hall started woman's medical class in Woman's Dispensary of Extended Grace with Mary Cutler. But woman's medical class could not manage well because of shortage of finance and doctor. She asked support to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Episcopal Church and Presbyterian Church's mission board. But it did not work. So she met president of Government Hospital. She emphasized necessity of Korea woman physician and proposed coeducation of Medical Institute of Government Hospital. He denied her proposal but permitted entrance of Korean girls as special(irregular) students at Medical Institute of Government Hospital(It became Gyungsung Medical College in 1916.) At last, first three qualified women physicians educated in Korea were born in 1918. They got medical licenses from Government. After that a few women graduated Gyungsung Medical College as special(irregular) students and became physicians. But girls was not permitted as special(irregular) students from 1925. Korean woman physician training in Korea, Rosetta Sherwood Hall's vision seemed to be faced with crisis of stop. Rosetta Sherwood Hall went to Japan to meet Gil Jung Hee, a student of Tokyo Woman's Medical College in 1923 and proposed working together for woman physician training and establishment of Woman's Medical College in Korea. Finally Woman's Medial Institute, first medical school for woman in Korea was established by Rosetta Sherwood Hall with support of Korean women physicians and Korean influential people. 로제타 셔우드 홀은 1890년 미북감리회 여성해외선교사회 선교사 의사로 조선에 파견되었다. 그녀는 보구여관에서 근무하면서 조선여성을 대상으로 의료활동을 했는데, 그 과정에서 의료 인력의 부족을 느끼고 몇 명의 소녀들로 구성된 의학훈련반을 시작했다. 이 소녀들 가운데 한 명이 김점동(박에스더)으로 의사가 되고자 결심하고 홀의 미국 귀국시 동행하여 볼티모어여자의과대학을 졸업하고 1900년 조선여성 최초의 서양의학을 전공한 의사(M.D.)가 되었다. 조선여의사의 탄생은 박에스더 개인의 의지의 소산이기도 하지만 그 뒤에는 박에스더의 뜻을 적극 지지·후원하고 길을 인도해준 로제타 홀과 박유산(박에스더의 남편)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로제타 홀은 선교지 조선에서 의사선교사로 활동하면서 느꼈던 의료인력 부족문제를 해결하고 조선여성의료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장로회 병원 의료 인력과의 연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미북감리회 여성해외선교사회에서 새로 세우려고 계획하고 있는 릴리안해리스기념병원이 남대문 장로회 병원 근처에 세워지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선교회의 결정으로 결국 릴리안해리스기념병원은 동대문 볼드윈진료소 자리에 건설되었다. 이후 로제타 홀은 1913년 메타 하워드와 함께 평양 광혜여원에 여성의학반을 설치하고 의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소녀들에게 기초교육과 실습기간을 가지도록 하는 한편, 미북감리회 여성해외선교사회에 여자의학교 설립을 타진했다. 당시 여성의학반에 교수진이 부족해 학생들에 대한 의학강의가 일본인 의사들의 자원봉사에 의해 진행되었고, 여성해외선교사회에서 여성의학반 운영을 위한 예산이 아직 배정이 되지 않아 여성의학반을 개인들의 후원금으로 운영하던 상태였기 때문에 재정과 인력의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에 로제타 홀은 여성의학반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장로회측에 재정적 지원과 여의사 파견을 요청하며 협조를 구했으나 별 효과가 없었다. 조선여의사 양성이 여의치 않게 되자, 로제타 홀은 조선총독부의원의 일본인 원장을 찾아가 부속의학강습소를 남녀공학으로 해 줄 것을 건의하는 동시에 의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조선여학생의 청강을 허락해줄 것을 요청했다. 로제타 홀의 남녀공학 건의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1914년부터 조선총독부의원 부속의학강습소(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됨)에서 조선여학생들의 청강이 가능하게 되었다. 1918년 이 여학생들 가운데 3명이 공부를 마치고 의사 면허를 획득함으로써 국내에서 의학공부를 하고 의사가 된 최초의 여의사가 되었다. 1910년 박에스더 사후 1918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조선여의사가 배출되기 시작했다. 이후 1926년까지 경성의학전문학교 청강생으로 여러 명의 조선여의사가 배출되었으나 1925년부터는 청강생 입학이 금지되면서 국내 조선여의사 양성이 난관에 부딪히게 되었다. 로제타 홀은 선교회와 총독부를 대상으로 조선여의사 양성을 위해 교섭을 진행하는 한편, 조선여학생과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의학교 진학과 의사되기를 권하며 설득작업을 벌였고 재정적인 지원(장학금)까지도 약속하며 조선여의사 양성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조선여의사 양성을 주장하고 설득했던 로제타 홀의 논리는 첫째 의사가 모성과 여성에 부합되는 직업임을 강조하고, 둘째 조선민족과 조선여성을 위한 사명감에 ...

      • KCI등재

        로제타 홀의 조선여의사 양성

        김성은(Kim Sung-Eu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로제타 셔우드 홀은 1890년 미북감리회 여성해외선교사회 선교사 의사로 조선에 파견되었다. 그녀는 보구여관에서 근무하면서 조선여성을 대상으로 의료활동을 했는데, 그 과정에서 의료 인력의 부족을 느끼고 몇 명의 소녀들로 구성된 의학훈련반을 시작했다. 이 소녀들 가운데 한 명이 김점동(박에스더)으로 의사가 되고자 결심하고 홀의 미국 귀국시 동행하여 볼티모어여자의과대학을 졸업하고 1900년 조선여성 최초의 서양의학을 전공한 의사(M.D.)가 되었다. 조선여의사의 탄생은 박에스더 개인의 의지의 소산이기도 하지만 그 뒤에는 박에스더의 뜻을 적극 지지ㆍ후원하고 길을 인도해준 로제타 홀과 박유산(박에스더의 남편)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로제타 홀은 선교지 조선에서 의사선교사로 활동하면서 느꼈던 의료인력 부족문제를 해결하고 조선여성의료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장로회 병원 의료 인력과의 연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미북감리회 여성해외선교사회에서 새로 세우려고 계획하고 있는 릴리안해리스기념병원이 남대문 장로회 병원 근처에 세워지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선교회의 결정으로 결국 릴리안해리스기념병원은 동대문 볼드윈진료소 자리에 건설되었다. 이후 로제타 홀은 1913년 메타 하워드와 함께 평양 광혜여원에 여성의학반을 설치하고 의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소녀들에게 기초교육과 실습기간을 가지도록 하는 한편, 미북감리회 여성해외선교사회에 여자의학교 설립을 타진했다. 당시 여성의학반에 교수진이 부족해 학생들에 대한 의학강의가 일본인 의사들의 자원봉사에 의해 진행되었고, 여성해외선교사회에서 여성의학반 운영을 위한 예산이 아직 배정이 되지 않아 여성의학반을 개인들의 후원금으로 운영하던 상태였기 때문에 재정과 인력의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에 로제타 홀은 여성의학반의 원활한운영을 위해 장로회측에 재정적 지원과 여의사 파견을 요청하며 협조를 구했으나 별 효과가 없었다. 조선여의사 양성이 여의치 않게 되자, 로제타 홀은 조선총독부의원의 일본인 원장을 찾아가 부속의학강습소를 남녀공학으로 해 줄 것을 건의하는 동시에 의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조선여학생의 청강을 허락해줄 것을 요청했다. 로제타 홀의 남녀공학 건의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1914년부터 조선총독부의원 부속의학강습소(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됨)에서 조선여학생들의 청강이 가능하게 되었다. 1918년 이 여학생들 가운데 3명이 공부를 마치고 의사 면허를 획득함으로써 국내에서 의학공부를 하고 의사가 된 최초의 여의사가 되었다. 1910년 박에스더 사후 1918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조선여의사가 배출되기 시작했다. 이후 1926년까지 경성의학전문학교 청강생으로 여러 명의 조선여의사가 배출되었으나 1925년부터는 청강생 입학이 금지되면서 국내 조선여의사 양성이 난관에 부딪히게 되었다. 로제타 홀은 선교회와 총독부를 대상으로 조선여의사 양성을 위해 교섭을 진행하는 한편, 조선여학생과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의학교 진학과 의사되기를 권하며 설득작업을 벌였고 재정적인 지원(장학금)까지도 약속하며 조선여의사 양성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조선여의사 양성을 주장하고 설득했던 로제타 홀의 논리는 첫째 의사가 모성과 여성에 부합되는 직업임을 강조하고, 둘째 조선민족과 조선여성을 위한 사명감에 호소하고, 셋째 산과가 세계사적으로도 고대로부터 여성 본연의 일이었고 의사는 신이 여성에게 주신 일이며 조선 최초의 서양의학전공 의사 역시 여성인 박에스더였다고 강조하면서 의학의 역사를 들어 여의사 양성을 옹호했다. 1925년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조선여학생의 청강이 금지됨으로써 국내 조선여의사 양성이 벽에 부딪치게 되었지만, 로제타 홀은 이미 1923년 동경여자의학전문학교에 재학하고 있던 길정희를 찾아가 조선여자의학교육기관을 설립하고자 하는 자신의 계획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던 때부터 조선여자의학교 설립을 계획하고 구체화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로제타 홀의 여성의학교육기관 설립 의지는 조선 여의사들과 조선 유지들, 미북감리회 선교회의 지지에 힘입어 1928년 조선여자의 학강습소 설립으로 실현되었다. Rosetta Sherwood Hall was sent as a missionary doctor of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Episcopal Church in Korea in 1890. She worked at Po Ku Nyo Koan(or Salvation for All Women Hospital or Caring for and Saving Women's Hospital) and practiced medical service. At that time, she felt lack of medical member and started medical training class composed of a few girls. One of them was Kim Jum dong(Esther Pak). She made up her mind to be a doctor and went to America to study medical science with Hall when Hall returned America after her husband's death. I think Hall was contributed to First Medical Doctor, Esther Pak in Korea. Rosetta Sherwood Hall her colleague Mary Cutler thought it is necessary to unite with Presbyterian Church's Hospital and its medical member. So new hospital of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Episcopal Church should build near Presbyterian Church's Hospital at Namdaemoon. But her proposal was denied. In 1913, Rosetta Sherwood Hall started woman's medical class in Woman's Dispensary of Extended Grace with Mary Cutler. But woman's medical class could not manage well because of shortage of finance and doctor. She asked support to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Episcopal Church and Presbyterian Church's mission board. But it did not work. So she met president of Government Hospital. She emphasized necessity of Korea woman physician and proposed coeducation of Medical Institute of Government Hospital. He denied her proposal but permitted entrance of Korean girls as special(irregular) students at Medical Institute of Government Hospital(It became Gyungsung Medical College in 1916.) At last, first three qualified women physicians educated in Korea were born in 1918. They got medical licenses from Government. After that a few women graduated Gyungsung Medical College as special(irregular) students and became physicians. But girls was not permitted as special(irregular) students from 1925. Korean woman physician training in Korea, Rosetta Sherwood Hall's vision seemed to be faced with crisis of stop. Rosetta Sherwood Hall went to Japan to meet Gil Jung Hee, a student of Tokyo Woman's Medical College in 1923 and proposed working together for woman physician training and establishment of Woman's Medical College in Korea. Finally Woman's Medial Institute, first medical school for woman in Korea was established by Rosetta Sherwood Hall with support of Korean women physicians and Korean influential people.

      • KCI등재

        온라인 의사사회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에 관한 연구: 여성 유명인의 여성 팬(fandom)을 중심으로

        이각명,차현주,권상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9 No.1

        This study explores the model for the essential preditors and subsequent effects of female fans’ parasocial interactions with female celebrities. With parasocial interaction theory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female celebrities by using the self-esteem and loneliness of female fans, the attraction of female celebrities, the similarity with female celebrit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xplored the effect of the parasocial interaction on subsequent real social interaction relationship (especially in the fan community).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in the fan community from April 17 to April 18, 2021, targeting female fans of female celebrities. Finally, the collected 1276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factor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ach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self-esteem of female fans does not have a negative effect th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female celebrities. And the loneliness of female fans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female celebrities. However, it is verified that the attraction of female celebrities and similarity with female celebr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female celebrities. In addition,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female celebr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dentity of fan community and participation in the fan community. It is also confirmed that fan community identity can have an effect on the fan community participation.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with female celebrities and fan community participation, fan community identity showe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is not only useful for research on gender, 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communication of fans, but also has some significance for celebrity brand management, fan marketing, and fandom management in real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사회 상호작용 이론(Parasocial Interaction theory)을 적용하여 여성 팬의 자존감, 여성 팬의 외로움, 지각된 여성 유명인의 매력, 지각된 여성 유명인과의 유사성, 여성 유명인과의 의사사회 상호작용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여성 유명인과의 의사사회 상호작용이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팬 커뮤니티 정체성, 팬 커뮤니티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여성 유명인의 여성 팬을 대상으로 2021년 4월17일부터 4월 18일까지 SNS 플랫폼의 팬 커뮤니티를 통해 수집된 1,276명의 설문데이터를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분석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 팬의 자존감은 여성 유명인과의 의사사회 상호작용에 부(-)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팬의 외로움은 여성 유명인과의 의사사회 상호작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 팬에게 지각된 여성 유명인의 매력, 지각된 여성 유명인과의 유사성은여성 유명인과의 의사사회 상호작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유명인과의 의사사회 상호작용은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팬 커뮤니티 정체성, 팬 커뮤니티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팬 커뮤니티 정체성은 팬 커뮤니티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함의는 학문적 차원에서 팬덤 연구, 젠더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산업적 차원에서 유명인 브랜드 관리, 팬 마케팅, 팬덤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학과 공동의사결정

        이은영 한국의료윤리학회 2017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0 No.1

        Shared decision-making is a collaborative medical decision-making process between patients and their health care providers. This process aims to assist patients in taking an active role in making decisions related to their own health. Patient-centered care can be seen as the ultimate goal. In order to exhibit its effectiveness as a process that actualizes patient-centered care, shared decision-making must resolve problems caused by an imbalance in both power and knowledge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is article propose communicative feminist bioethics as theoretical foundation to resolve imbalance in shared decisionmaking. Communicative feminist bioethics regards empathy and relationships as the foundation of shared decision-making and seeks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patients and doctors to make decisions together. Shared decision-making based on empathy and relationships, doctors refrain from expressing or imposing their own values on patients and instead encourage patients to develop the skills necessary to look after themselves. This article argues from a feminist discourse and perspective that doctors should strive develop relationships of equality that respect patients as competent decision-makers. 공동의사결정은 환자와 의료제공자 관계에서 환자의 치료결정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의학적 의사결정 절차이다. 이 절차는 환자가 본인의 건강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그러므로 이 절차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 중심의료로 볼 수 있다. 공동의사결정이 환자 중심의료로서 실현되기 위해서 환자와 의사 관계에서 발생하는 권한과 지식의 불균형의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공동의사결정의 불균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를제안한다.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는 공동의사결정에 공감과 관계를 제안하고, 환자와 의사가함께 의사결정을 위한 역량을 강화하도록 유도한다. 공감과 관계에 기반한 공동의사결정에서 의사는환자에게 그들의 가치를 강요하거나 표현하는 대신 환자 스스로 돌보는 기술을 발전시키도록 독려하게한다. 이 글은 여성주의 담론과 가치의 통찰을 통해 환자와 의사 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 공동의사결정을 제안한다. 색인어

      • KCI등재후보

        여성표적제품의 문화메세나활동이 남녀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손주영(Son, Joo-Young),김주호(Kim, Joo-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호의적으로 평가된 기업의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데 문화메세나 활동은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국내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은 ‘문화메세나활동이 기업의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임직원의 자부심을 고양시키며,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기업 이윤을 제고한다’는 많은 연구 결과들에 힘입어 본래의 순수한 자선 또는 기부의 의미에서 벗어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기업문화메세나활동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문화메세나활동을 전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메세나활동이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인 여성표적제품이지만 공공소비재의 성격을 갖는 미스터 피자를 연구단위로 선정하여 여성표적제품을 출시하는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이 남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여성표적제품을 구매하는 남성소비자의 경우 여성 소비자에 비해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반면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기대수준은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인지도는 기업에 대한 소비자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기대는 소비자의 제품 품질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이 남녀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2단계 분석(two-step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남성소비자의 경우,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인지도는 소비자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품질지각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기대는 제품의 품질지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소비자기대가 품질지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cenat is a general term to explain corporate activities supporting art. Now, companies pose this question: is mecenat real? Its paradigm has undergone some evolvement, from philanthropic activities to marketing activities for future investment. We aimed to reveal the relationships among mecenat, attitude towards corporate, perceived product quality with respect to target customer classified by gender. In this research, 229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SPSS and AMOS were employed. The findings ar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mecenat with respect to target gender. Mainly because corporate mecenat was not meant to be targeting gender. However, among male customer, consumer perception of corporate mecenat has positively related to consumer expectation while perception of female customer about corporate mecenat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customer expectation. The result can be translated into the fact that corporate constantly aims removing negative perception and creating friendly and positive impression in the minds of female consumers. Therefore information about mecenat of the research is newer to male customer than female customer and leads to significant outcome. Second, consumer expec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quality regardless of gender. This finding allows us to think that mecenat is very important to the marketer as well as the customer regardless of gender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 corporation is required to study the property of mecenat before performing mecenat activities.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useful tools for corporations in performing more effective mecenat activities.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호의적으로 평가된 기업의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데 문화메세나 활동은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국내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은 ‘문화메세나활동이 기업의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임직원의 자부심을 고양시키며,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기업 이윤을 제고한다’는 많은 연구 결과들에 힘입어 본래의 순수한 자선 또는 기부의 의미에서 벗어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기업문화메세나활동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문화메세나활동을 전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메세나활동이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인 여성표적제품이지만 공공소비재의 성격을 갖는 미스터 피자를 연구단위로 선정하여 여성표적제품을 출시하는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이 남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여성표적제품을 구매하는 남성소비자의 경우 여성 소비자에 비해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반면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기대수준은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인지도는 기업에 대한 소비자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기대는 소비자의 제품 품질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이 남녀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2단계 분석(two-step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남성소비자의 경우,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인지도는 소비자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품질지각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기대는 제품의 품질지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 기업의 문화메세나활동에 대한 소비자기대가 품질지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cenat is a general term to explain corporate activities supporting art. Now, companies pose this question: is mecenat real? Its paradigm has undergone some evolvement, from philanthropic activities to marketing activities for future investment. We aimed to reveal the relationships among mecenat, attitude towards corporate, perceived product quality with respect to target customer classified by gender. In this research, 229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SPSS and AMOS were employed. The findings ar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mecenat with respect to target gender. Mainly because corporate mecenat was not meant to be targeting gender. However, among male customer, consumer perception of corporate mecenat has positively related to consumer expectation while perception of female customer about corporate mecenat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customer expectation. The result can be translated into the fact that corporate constantly aims removing negative perception and creating friendly and positive impression in the minds of female consumers. Therefore information about mecenat of the research is newer to male customer than female customer and leads to significant outcome. Second, consumer expec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quality regardless of gender. This finding allows us to think that mecenat is very important to the marketer as well as the customer regardless of gender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 corporation is required to study the property of mecenat before performing mecenat activities.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useful tools for corporations in performing more effective mecenat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여성 탈북민 의사소통 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을 중심으로

        신성만,이다인,오성은,백진주,원재순,김윤희 한국여성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탈북민의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함으로써 남한사회 적응을 도모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2022)이 제안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 이론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인식, 의사소통 태도, 의사소통 지식, 의사소통 기술의 4가지 모듈형으로 개발하였다. 인식 모듈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함으로써 관계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것이고, 태도 모듈의 목적은 남한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개방적 태도와 의사소통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지식 모듈의 목적은 남한사회의 언어, 생활방식, 의사소통 차이 등을 이해하는 것이고, 기술 모듈의 목적은 남한 생활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기 위한 의사소통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여성 탈북민 10명에게 이틀에 걸쳐 회기 당 50분, 1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참여 이전보다 의사소통 지식, 기술, 인식이 증가하였고, 대인관계 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중 상호작용관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의 소감에서 자신감 상승, 변화의 필요성 인지, 의사소통 문화 차이 이해, 타인 공감, 새로운 내용의 습득, 의사소통 습관 파악에서 긍정적인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탈북민 집단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promotes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by enhancing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four modules: communicative attitudes, communicative knowledge, communicative skills and communicative awareness by applying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proposed by Kim et al (2022). The purpose of the attitude module is to improve openness and motivation to communicate with South Koreans, and the purpose of the knowledge module is to understand the language, lifestyle, and communicative difference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goal of the skills module is to learn how to communicate to build meaningful relationships in South Korean life, and the goal of the awareness module i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bout relationships by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As a result of the 16 sessions of the program, 50 minutes per session, over two days, for 10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communicative knowledge, skills, and awareness,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action man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Scale,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to increase their confidence, recognize the need for change, understand communication culture differences, empathize with others, learn new content, and identify communication habi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간 감수성이 이혼 의사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이영설(Lee, Young Seol),이원식(Lee, Won Shik) 한국NGO학회 2021 NGO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간 감수성이 이혼의사에 미치는 영향을알아보고,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13명을 대상으로설문지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간감수성이 부부의사소통을 매개로 하여 이혼의사에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검증하기 위해 분석되었고, 분석결과 문화간 감수성은 이혼의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 부부의사소통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부부의사소통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간 감수성은 이혼의사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이혼의사를 경감하는 다양한 문화간 감수성 교육 실제와 부부의사소통의 지원방안에 관한 시사점과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mmigrant women s inter-cultural sensitivity on divorce intention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3 migrant women residing in Korea after marrying Korean men, and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at the inter-cultural sensibilities of immigrant women influenced the intention to divorce through marital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cultural sensibilitie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to divorc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is indirectly through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marital communication completely mediates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divorce intention of migrant wo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inter-cultural sensibility education practices to reduce the intention of divorce of immigrant women, implications for support plans for marital communic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영준(劉英俊)의 생애와 활동: 신여성 의사에서 좌익 여성운동 지도자까지

        이희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2 한국문화연구 Vol.42 No.-

        Yeongjun Yew(1889-1972) was a woman doctor and a socialist woman activ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stablished herself as a leftist leader after liberation. This paper studies the overall life and activities of Yeongjun Yew and intends to restore her historical status. She came from a low-class background, but she grew into an elite woman through modern education and study-abroad. After returning to colonial Joseon, she actively carried out multiple activities based on the knowledge, experience, values, and connections gained through studying abroad. She achieved a fame as a new woman doctor by taking care of women and children. Moreover, she participated in Keun-Woo Association and the movement to establish women’s medical college as a socialist woman activist. Based on the reputation she has accumulated through medical activities and social movements, she quickly emerged as a leftist leader of women’s movement after liberation. She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a leader of the female public, covering the left and right, and enthusiastically engaged in political activities in solidarity with left-wing male politicians, including Workers’ Party of South Korea. After defecting to North Korea in 1948, she served as an executive in the North Korean politics. Yeongjun Yew was a woman who overcame numerous limitations suppressed women with her own power and grew up to be a new woman doctor and a left-wing politician leading the female public. Her life and activities penetrate various aspects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thus have historical significance. 본 논문은 일제시기 신여성 의사이자 사회주의 여성운동가였고 해방 후에는 여성계의 지도자로서 좌익의 중진으로 자리매김한 유영준(劉英俊, 1889-1972)의 총체적인 생애를 조명함으로써 그 역사적 위상을 복원하고자 한다. 유영준은 하층민 출신이었으나 근대적 교육과 해외 유학을 통하여 여성 엘리트로 성장하였다. 식민지 조선에 귀국한 후 유학을 통하여 얻은 지식, 경험, 가치관, 인맥을 바탕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여성과 아동의 건강을 돌보고 대중에게 의료를 행하여 신여성 의사로서 위상을 떨쳤으며, 사회주의 여성운동가로서 근우회와 여성의학교 설립운동에 참여했다. 그동안 의료활동과 사회운동을 펼치며 쌓은 명망을 기반으로 해방 후 좌익 여성운동의 지도자로 발돋움했다. 1945년 8월 해방되자마자 좌우익을 망라한 여성 대중의 지도자로 공인되었고, 남조선로동당을 비롯한 좌익 남성 정치인들과 연대하여 열렬한 정치활동을 펼쳤다. 1948년 월북 이후로는 북한 정치계의 중역을 담당하였다. 유영준은 여성을 억압하였던 수많은 시대적 제약을 자신의 노력으로 극복하고, 한미한 출신으로 태어나 신여성 의사를 거쳐 여성 대중을 선도하는 좌익 정치인까지 이른 입지전적 인물이었다. 한국 근현대사의 다양한 측면을 관통하는 그녀의 생애와 활동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의학전문직업성의 변화와 여성의사 : 역사적인 관점의 연구

        김신권(Shin Kwon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최근 의학전문직업성이 의학 교육과 임상적인 실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공적인 합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이 현실이며 이와 더불어 여성 의사들의 역사적인 정체성과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것도 사실이다. 이 논문은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역사적인 논의를 통하여 근대 유럽과 미국의 남성 주도의 의학 영역에서 여성의 의사 되기와 여성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해 살펴보는 동시에 이것이 어떻게 한국이라는 상황 속에서 새롭게 구현되었는지를 밝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역사적인 이해, 의학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과 여성들의 의학전문직업성, 한국적인 상황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을 포함한다. 여성 의사들의 의학전문직업성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의학에 대한 전인적인 접근, 예방의학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환자-의사의 평등한 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영미권의 여성 의학전문직업성에 더해서 한국 초기의 상황의 여성 의사들은 주체적인 의학 지식과 술기, 그리고 직접적인 소통을 통한 전인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하였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It is evident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education and practice of medicine. However, it is also clear that the public consensus o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he identity of women doctors, which is related to the concept has not been fully made. Therefore, the research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how women have challenged to the male-dominated realm of medicine to gain their own medical professionalism.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clarify how that the medical professionalism in Euro-America influenced the process of making women doctors in Korea. This paper illustrates the concepts of and historical chang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the role of women in medicine and their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American and Korean contexts. In addition to the holistic approaches to medical practices, emphasis on the preventive medicine, and eqaul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 and patient, it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mong early Korean female missionary physicians that they pursued healing of body and soul as a whole on the basis of their medical knowledge, techniques, and direct communication with patients.

      • KCI등재

        고학력 여성과학기술인의 퇴직의사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혜숙(Lee Hei-sook),박영일(Park Young-il),손주연(Son Ju-Yeon),문미옥(Moon Mi-Ok)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2 여성연구 Vol.83 No.-

        이 연구는 고학력 여성과학기술인에 초점을 두고 이들이 왜 퇴직을 고민하는지, 퇴직의사가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차이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의 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1년 7월~9월 사이에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총 319명이 응답하였으나 이중 여성(N=251)만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의 62.8%(N=158)가 퇴직을 고민해 봤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38.9%가 ‘출산, 양육 등의 부담 때문에’ 퇴직을 고민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퇴직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30~40대의 배우자가 있고 미취학 자녀나 초중고 자녀가 있다는 응답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의사를 가진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 고용형태와 소속기관, 노동시간 등 노동조건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집안일과 직장업무의 조화, 대인관계 스트레스, 결혼ㆍ출산 계획과 진료계획의 조화 어려움, 미래 진로(승진)에 대한 불안감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퇴직의사가 있는 집단에서 집안일과 직장업무의 조화에 어려움을 겪으며 결혼ㆍ출산계획과 진로계획의 조화에 어려움을 느끼고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도 높으며 미래 진로(승진)에 대한 불안감도 높았다. 셋째, 여성과학기술인의 퇴직의사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로지스틱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미취학 자녀가 없는 응답자가 미취학 자녀가 있는 응답자에 비해 퇴직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에 대한 불안감과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퇴직할 확률이 높아졌다.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women in sciences and engineering who consider to break their professional careers and not to break? The research further is done what are the most serious obstacles for them to leave their jobs? To answer these questions survey focused on highly-educated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was conducted and logistic analysis has been employ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1 and 251 responses were used for our analysis. Our analysis showed that 62.8%(n=158) of total respondents considered to leave their job and their main reason was 'childbirth and child care burden'. Those who had intention to quit the jobs repli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balancing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had more stress from personal relations in a company and bigger fear about their future.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respondents with preschool children were likely to retire more than those without preschool children. Also the bigger anxiety for future career and a conflict in workplac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y have, the higher probability they leave the jo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