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에 나타난 여성신의 성격과 양상

        권태효(Kwon Tae Hyo) 한국무속학회 2011 한국무속학 Vol.0 No.23

        제주도 일반신본풀이는 육지자료와 동일한 소재적 원천을 지녔음에도 여러모로 차별되는 면모와 나름의 독자성이 발견된다. 따라서 같은 계통의 육지자료를 살펴 어떤 본풀이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살피고, 그런 차이의 배경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찾아 전체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제주도 일반신본풀이 중 육지 자료와 동일한 소재적 원천을 지녀서 비교 대상이 되면서도 나름의 변별점이 잘 드러나는 자료로는〈초공본풀이〉, 〈문전본풀이〉, 〈세경본풀이〉 등 세 편을 들 수 있다. 이들 자료를 중심으로 육지자료와 비교해 차별되는 점을 찾아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에 나타난 여성신의 특징을 추출해보면, 첫째, 여성신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면모가 돋보인다는 점, 둘째, 여성신이 남성신보다 그 능력에 있어 우위를 보인다는 점, 셋째, 여성신은 어려운 가정경제나 난제를 해결할 방도를 지닌 지혜로운 존재라는 점, 넷째, 여성신은 죽음 후 재생과정을 거쳐 신으로 좌정한다는 점, 다섯째, 여성신을 중심으로 굿 관련 체계나 신직 체제가 갖춰지고 있다는 점 등 다섯 가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육지의 신화적 소재를 차용했음에도 그런 변별점이 나타나게 된 바탕에는 제주도 여성의 강인한 생활력, 당신본풀이의 여성신이 지닌 성격의 영향, 제주도 나름의 굿이나 신격체계의 온전한 전승기반 및 환경등이 바탕이 되었고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arrations of Jeju Island shamanic gods share the same subject source as narrations from the land yet they have their own distinct aspect and independence. Therefore, by comparing the narration from the land in the same vein as the island, it is necessary to look for differences and how such differences developed. Among Jeju island narrations of shamanic gods, the ones having the same subject source as the narration from the land yet distinguishable are 〈chogongbonpuri〉, 〈munjeonbonpuri〉 and 〈segyeongbonpuri〉. Focusing on these narrations, characteristics of shamanic goddess appearing in the narration of Jeju island shamanic gods are as the following. First, independent and active side of goddess stands out. Second, goddess shows superiority in ability over god. Third, goddess has wisdom to solve a financial difficulty or a dilemma. Fourth, goddess obtains her divinity after death through the regeneration process. Fifth, centering on goddess, the shamanic ritual system and the structure of divinity are formed. The reason behind the narration of Jeju Island having its distinctness even with the same mythical subject as the land, can be found in the women of Jeju Island’s strong ability to survive, influence of characteristic of goddess in dangsinbonpuri, and intact base and the environment for transmitting Jeju Island’s shamanic ritual and the system of divinity.

      • KCI등재

        신마리아(1873-1921)의 공적 생애와 기독교

        김은정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2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56

        신마리아(1873~1921)는 초기 한국 개신교 여성으로서 근대 전환기 조선의 평범한 여성이 서양 종교인 기독교를 선택하여 위기 대처와 생존, 성장의 전략으로 활용하면서 신여성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신마리아는 아버지가 선교사의 고용인이 되면서 정동에서 서양 기독교를 처음 접했다. 신마리아도 선교사 집의 아마도 고용되어 가사를 돕다가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는 이후 미국 북장로회 한국선교회 소속 전도부인으로 활동하며 여선교사들과 교류했다. 20대 초반의 신마리아는 여학교에서 배우면서 가르치는 기회를 얻었고 그 기간 중 자녀와 남편·동생을 병이나 사고로 잃었다. 그는 기독교가 제공하는 여성교육의 기회에 참여하는 것으로 상실의 고통을 극복했다. 사경회와 평양여자성경학교에서 공부하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여성들과 협력하면서, 그는 여성의 삶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 신마리아에게 기독교는 선과 악을 구별하게 하고, 선을 행할 수 있도록 돕는 종교였다. 자녀의 성장을 책임지는 어머니의 권세를 하나님이 부여했다는 발상을 통해 신마리아는 모권에 근거해서 여권을 옹호했다. 신마리아는 강연을 통해 교회 여성들을 지도하고 계몽하는 일로 말년을 보냈다. 그는 기독교 신앙을 근본으로 삼아 전통적인 여성의 미덕을 실천했다. 기독교 여성지도자이며 교육자 신마리아의 영향력은, 고등교육을 받은 신여성으로서 가정과 사회에 대한 책임에 충실하고자 노력했던 제자들을 통해 나타났다. A Christian educator and leader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Korea, Maria Shin(1873-1921) exemplifies how Christianity shaped the public life of a Korean woman during the modernization. She encountered Christianity as her father first worked for a Western missionary in Chong-dong, Seoul. Maria Shin was hired in a missionary’s home where she was converted to Christian faith. She learned about the Bible from the missionary women and carried out the role of a Bible Woman in her neighborhood. In her early twenties she became a teacher at the girls' school, in which period she lost her husband, eldest son, and younger sister to illness and accident one after another. Her learning and service in the missionary girl’s school helped assuage her grief. She worked hard in the Bible classes of the Pyongyang Woman's Bible Institute and found new possibilities for women's lives in Christianity. She believed that God granted women, especially mothers, the power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and their children's growth. Maria Shin spent her later years guiding and enlightening women in the Korean church in advocacy for women's rights. Her influence was seen through her students, who, as new, higher-educated women, tried to remain faithful to their responsibilities to family and society.

      • KCI등재

        신여성현상의 세계적 차원과 사회적 차이

        김수진(Kim Soo Jin)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1

        이 연구는 영국과 일본, 그리고 인도와 중국의 신여성 현상을 역사적 유형론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19세기말 20세기 초 세계 전역에 걸쳐 나타난 신여성 현상은 일반적으로 여성운동과 신중간층 여성의 등장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공유하면서도, 각 사회에서 실제 사회세력으로서 차지하는 위치와 신여성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구체적 계기와 주도 집단, 신여성이라는 기표가 만들어낸 의미와 그를 둘러싼 논란의 이유와 내용에서 서로 다르다. 이 연구는 그 차이를 서구와 비서구, 제국주의와 식민지 사회가 교차하여 만들어내는 구조적 조건으로, 현실적으로는 서구제국주의, 비서구제국주의, 비서구식민지사회라는 유형적 차이로 일반화할 수 있다고 본다. 제국주의 사회인 영국과 일본에 비해 식민지사회는 여성교육수준과 정치활동의 정도가 높지 않았고, 따라서 신여성의 상징적 의미에서 페미니스트나 여성운동의 위치는 약하고 모호했다. 또한 전자의 경우 여성작가군이 주도했다면 후자는 남성지식인들이 담론적 주도권을 가지고 있었다. 서구사회로서 영국에서는 신여성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경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독립적인 여성들의 등장에 대한 위기감을 기반으로 여성성과 남성성의 경계를 문제삼는 것이었던 데 비해, 비서구사회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일본에서는 간접적인 도전을 나타내면서 서구화라는 쟁점을 포함하고 있었던 데 비해, 인도와 중국에서는 전통과 근대, 낡은것과 새로운 것, 민족적인 것과 외래의 것이라는 대립이 반(反)식민담론의 정치 속에서 작동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식민지조선에 나타난 신여성 현상을 서구와 일본을 두 축으로 하는 근대성의 식민지적 차이라는 문제틀 속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By examining the New Woman phenomena in England, Japan, and Colonial India, China from a point of the historical contexts, this paper attempts to find diversity and structural differences of the phenomena which appeared in all parts of the world in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Though the New Woman phenomena had in common with a background of feminist movement and new middle class women, in each society they differed from an influence as social groups, a direct moment of the appearance, a hegemonic group, a meaning of the signifier and a debate. The differences resulted from structural condition in western vs. non-western, empire vs. colonial society. In India and China in which have a standard of education lower than England and Japan, the 'New Woman' signifier meant vaguely a feminist or feminist movement. And whereas in the former male intellectuals were those who led the production of new woman discourses, in the latter female writers were. The new woman in non-western societies was less a challenge to “masculinity” and male power than a space for debates where contentions over savageness vs. civilization and tradition vs. foreign cultures(the West) took place. This suggests that it needs to approach to the New Woman phenomenon in colonial Korea with a problematic of colonial difference

      • KCI등재후보

        여성거인설화의 자료 존재양상과 성격

        권태효 ( Tae Hyo Kw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7

        여성거인설화는 지형을 형성시키는 창조신적 면모를 보이는 설화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지만 자료의 전승기간이 길고 자료 층위도 복잡하며, 지역별로도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또한 연계된 설화자료도 많으며, 원초적인 여성신 관념과 상통하고 있어 다각도로 접근해야 할 대상이다. 여성거인설화는 지금까지 어느 정도 연구가 집적되어 왔으나 여전히 정리되지 못한 문제들이 있다. 첫째는 여성거인이 어떤 지역적 분포를 보이는가 하는 점이다. 우리의 여성거인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마고할미와 특정의 지역적 분포를 보이는 제주도의 설문대할망, 서해안의 개양할미, 강원도 삼척의 서구할미, 경상도 동부지역의 안가닥할미가 존재하는데, 그 명칭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지만 그 행위나 성격 등은 일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동일한 존재에 대한 지역적 변이형으로 보인다. 둘째는 바다와 섬을 관장하는 여성거인이 육지의 여성거인과는 차이가 있는가 하는 문제로, 육지의 여성거인은 신앙적 면모가 현저히 약화되면서 신화적 면모 또한 크게 약화된 반면 바다와 섬을 무대로 활동하는 여성거인은 여전히 어민들의 수호신적 기능을 하는 등 신앙적 흔적이 남아있다. 셋째는 남성거인이 여성거인과는 어떤 관계인가 하는 점인데, 남성거인설화 자료는 태초의 지형을 형성시키는 형태의 창조신적 면모를 보여주는 자료는 찾아보기 어렵고 창조신적 기능 또한 현저히 약화된 양상이어서 여성거인설화 자료 중 희화화나 민담화가 진행된 자료에 대응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아울러 여성거인설화의 전승이 후대에 현실적 인식에 따라 변모되면서 남성거인으로 대체되면서 출현하는 모습도 찾아볼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자료 양상을 보이는 여성거인설화의 변이방향은 다섯 가지 정도로 정리되는데, 1)창조신에서 희화화된 신격으로 2)숭배의 대상에서 징치의 대상으로 3)인간에게 이로움을 주는 선신에서 악신으로 4)여성거인에서 남성거인으로 5)비현실적 형상화에서 현실에 가까운 형상으로 변이되어 갔음을 파악할 수 있다. Due to the aspect of god of creation who forms topographical features, tales of female giants have been drawn attention in the academia. However, those of female giants have long period of transmission and contents at the complicated level, and have been distributed in the variety of regions. Also, since there are a lot of related tales existed and those of female giants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primitive goddess, the tales should be researched and be looked into from multiple angles. Although massive volumes of researches on tales of female giants have been conducted so far and reached at certain level, still there are several matters remained to be concerned. First, the concern we should look into is what kinds of regional distribution which female giants bring about. In terms of the distributional types of female giants, they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distribution at national level and regional level. Grandmother Mago is found nationwide except on Jeju Island. Speaking of regional distribution, Grandmother Seolmundae from Jeju Islands, Grandmother Gaeyang from the Western sea area, Grandmother Seogu from Samcheok in Gangwon province, Grandmother Angadak from the Eastern Gyeongsang province are being found at the regional level.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existed with regard to what the tales are named, the features of having same kinds of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are being found in the female giants in the tales. Accordingly, this phenomenon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ame character is being modified regionally. Second, the matter of difference between female giants who are in control of sea and islands and female giants who are in control of land. In the case of female giants in control of land, the aspects of faith and myth are not that highlighted. As functioning the role of faith gets weaken, the role of myth which female giants could serve gets weaken as well. On the other hand, since female giants in control of sea and islands serves the role of patron saint for fishermen, functioning the role of faith served by female giants of sea and islands is being found. Third, the matter of what kinds of relationship female giants have with male giants is looked into. It is hard to find the sources containing the features of god of creation who forms topography in the beginning of the world in the tales of male giants unlike those of female giants have. Also, the role and function of god of creation are not that strong in the tales of male giants. In this regard, those of male giants appear to be seen that they have certain types of similarities with the sources having features of being caricatured and becoming folk-tales in the tales of female giants. In addition, as transmission of tales of female giants has been changed by the recognition of people in the contemporary times, it seems that similarities that female giants are being replaced to male giants. Fourth, the features of the way how the tales of female giants have been changed c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first, from the god of creation to caricatured god, second, from the object to be worshiped to the object to be thrown away, third, from god of good who benefits people to god of evil, fourth, from female giants to male giants, fifth, from embodiment of unreality to embodiment of something near to reality.

      • 여성신학 신론에서 나타나는 독특성

        서혜정(Hye-Jeong Seo) 혜암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교회 Vol.19 No.-

        본고는 서구 여성신학에 나타나는 신론의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급진적 여성 신학자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세계적으로 퍼져 있는 가부장제와 여성 차별의 기원이 유대-기독교 전통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녀들은 성경에 표기된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호칭이 은연중에 남성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여긴다. 또한 성경의 저자가 모두 남성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이로 인해 하나님에 대한 인식도 남성 위주의 시각으로 협소하게 쓰여 있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유대-기독교 전통으로 인해 일반 사회 속에서 남성 우월주의가 만연하게 되었으며, 성직에서 여성을 제한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대-기독적 전통은 여성 경시 사상과 여성 차별을 가져온 주된 원인이라는 것이다. 급진주의적 여성 신학자들은 기독교 전통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성경을 ‘여성의 관점’에서 새롭게 써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존 전통에 대한 해체이자 새로운 성경 해석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과 실천을 통해 그들은 오랫동안 상실했던 여성들의 권리와 자유를 되찾고, 가부장적인 사회 구조와 성차별을 개선하여 남녀평등을 추구하고자 한다. 문제는 이러한 여성신학자들이 주장하는 그 사상과 방법이 기독교의 기본적 가르침과 신앙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종교개혁 이후 다양한 성경 해석이 제기되고 다양한 교파와 신학 사상을 형성해 왔지만, 문제는 각기 다양한 해석과 사상들이 성경의 기본 진리라는 ‘보편성’에서 벗어나지는 않는지 살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인본주의 사상과 종교 다원주의 사상은 인간 중심의 신학과 신앙을 만들어내면서 소위 ‘인간의 종교’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 땅 가운데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의 실현이라는 목표 안에서 여성에 대한 존중과 여성의 권리는 반드시 회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그 목적과 방법 또한 성경에 기초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21세기 여성신학은 젠더 신학으로 그 폭을 넓히고 있으며, 이미 신학(신앙)의 범위를 넘어가고 있는 부분도 상당히 발견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구 사회의 급진적 여성신학자들이 주장하는 ‘새로운 신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f the doctrine of God in Feminist Theology. Most radical feminist theologians attribute the origins of patriarchy and femininity to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which is widespread throughout the world. They believe that the titles of Heavenly Father in the Bible implicitly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men. In addition, the Bible points out that the authors of the book are all men, and so they criticizes that the perception of God is written narrowly from a male-centered perspective. Due to this Judeo-Christian tradition, male supremacy prevailed in the general society and women were restricted from the priesthood. Consequently, they believed that Judeo-Christian tradition is the main cause of disregard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refore, radical feminist theologians look at the Christian traditio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claim that the Bible should be rewritten from a “women’s point of view.” It is the dissolution of the existing tradition an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rough this research and practice, we seek to restore the long-lost rights and freedoms of women and pursue gender equality by improving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and gender discrimination. While this goal may sound similar to that of the feminist theologians, the problem is that the ideas and methods claimed by these feminist theologians are not alike with the basic teachings and beliefs of Christianity, so we need to critically examine them. Since the Reformatio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have been raised and numerous denominations and theological thoughts have been formed. Today, humanistic ideology and religious pluralist ideology create human-centered theology and faith, birthing the so-called “human religion”. Respect for women and women’s rights must be restored within the goal of realizing God’s justice in us and this land. But the focus must be on whether the purpose and method are also based on the Bible. Feminist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is expanding its scope to gender theology, and parts that have gone beyond the breadth of theology (faith) have already been found. In this situa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what the ‘new theory of theology’ advocated by radical feminist theologians in Western society is and critically review it.

      • 신르네상스 시기 한국영화에서의 성별/성에 대한 재현

        김선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01 여성문학연구 Vol.5 No.-

        1990년대 후반 한국영화는 ‘신르네상스’ 시기라 불릴 정도로 영화 산업적인 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 시기에 한국영화는 40%의 극장 점유율과 제작 편수의 증가를 기록했다. 다양한 영화들이 이 시기에 제작된 가운데 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서사와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다. 이 글은 신르네상스 시기라 불리우는 90년대 후반 한국영화를 성별/성을 중심으로 지도를 그려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영화는 함축적인 사건, 즉 징후적 텍스트로 위치해 있다. 그리하여 이 글은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 당대에 남성 중심의 이성애 구조를 해체하는 새로운 욕망의 경제와 주체성의 관계를 영화가 어떻게 징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신르네상스 시기 한국영화는 성별/성의 재현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변화를 일으켰다. 하나는 기존에 이성애 중심의 여성 섹슈얼리티가 아닌 레즈비언 섹슈얼리티가 등장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외상으로서의 한국역사가 본격적으로 등장, 이 역사와 여/남 주체성의 관계에 대한 탐구가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영화에서 레즈비언 섹슈얼리티가 등장한 영화는 <노랑머리>, <텔 미 썸딩> 그리고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이다. 이 중에서 <노랑머리>와 <텔 미 썸딩>은 싸이코 킬러로서 레즈비언이 등장한다. 이 두 편의 영화들은 레즈비언이 등장하기 위한 재현의 조건을 제시한다. 그것은 범죄자로서의 레즈비언, 공범 관계의 두 여성, 여성의 욕망과 범죄의 비례 관계, 실패한 이성애 여성의 선택으로서의 레즈비언 섹슈얼리티, 어머니의 부재가 낳은 비정상적인 섹슈얼리티로서의 레즈비언 섹슈얼리티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는 규범적인 정상성보다 우월한 일탈적인 비정상성을 상징한다. 그리하여 영화는 법과 언어의 질서에 균열을 내는 감각과 비언어의 소유자이자 저항적 주체로서 10대 레즈비언을 등장시킨다. 식민지 시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80년대 광주의거를 거친 한국역사의 남성 주체성이 맺는 관계가 본격적으로 고찰된 시기 또한 신르네상스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아름다운 시절>과 <박하사탕>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편의 영화는 다른 방식으로 역사와 남성 주체성을 접합시키는 데 <아름다운 시절>은 아버지에 순응하는 아들을 통해서 민족의 역사를 긍정하는 애국주의적 방식으로, <박하사탕>은 자살을 통해서 민족의 역사라는 자아-이상을 거부하는 자학적인 아들을 통해서 역사를 알레고리화한다. 한편 신르네상스 시가의 대표적인 영화인 <쉬리>는 분단 문제와 여성의 관계를 멜로와 액션의 혼합인 블록 버스터 장르 속에서 빚어낸 영황이다. 이 영화는 분단에 처한 한국의 상황을 강등적이고 복합적인 여성 정체성으로 알레고리화해서 역사와 여성의 보다 복합적인 관계를 펼쳐보인다. 이 영화는 분단의 희생자로서의 민족 알레고리고서의 여성과 액션 영화의 총을 든 여성이라는 도상을 결합, 능동적이면서 변화하는 여성 이미지와 정태적이면서도 고착된 분단 상황이 모순적으로 결합된 토착적이면서도 절충적인 블록 버스터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90년대 말 ‘신르네상스’ 시기 한국영화는 정형화된 성적 재현들을 탈피하면서 레즈비언 섹슈얼리티의 재현 가능성을 질문, 새로운 욕망의 경제를 펼쳐보였고 역사 및 민족 이데올로기와 여/남의 주체성의 관...

      • KCI등재

        설문대할망의 창세신적 특성과 변모양상 - 주변민족 여성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남춘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Seolmundaehalmang story is left as a legend now. There was also a trace where an Grandmother(Halmang) cooked rice, washed and did needlework, and there is also a bridge an Grandmother made. It's a failure story of the Grandmother and is the tragical legend which fell in the vowel and died. By the way there is a topography formation story that an Grandmother made Halla Mountain and 360's small mountains, and the story become focus of public attention. That's a mark of a creation myth. And there is the motif which she separated a universe and the creation myth which made an island Jeju. Such female creation of the world is general in East Asia. There is Amanchu goddess who separate sky and ground in Okinawa. Such goddess are many in Chinese minority race, for example Abukaheoheo. Amamikyo(transformation of Amanchu) of Okinawa brought soil on the sky and made an island. There was story that brought it from sky, but there is the trace which brought from the sea other side. There was a horizontal view of the world prior to a vertical view of the world, I looked. The vertical view of the world can be connected in the sky, and the heaven can be connected to the male deity. The Creation myth gradually turns into a male deity instead of goddesses. After many time has passed, A male deity separate the sky and the ground in the myth in Jeju Island genesis. This story of the male deity turned into the story that sky and the ground was created naturally. There was said that one day sky and the ground was separated in the situation of the nature mixture. The mythos which turned into a male deity from a goddess was continued. As for the goddess story, it is weathered all the time. The old woman becomes Mago and becomes a mountain god. By the way, why is a goddess asked to come suddenly in the present times? There will be some reasons why a Seolmundaehalmang story revived again. The tyranny of the male deity produced a myth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such a myth laid the rat race. The pure donation and love of the goddess solve the problem. There is an important message in primitive and ancient myth. We must restore desirabl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between human and different all creation in a myth. Through woman mythical revival, we can appear in the society of the sympathy from the competition. I reflect on the modern civilization that wasted the earth, and hope that mind to make the human inside is restored through a myth. 설문대할망 이야기는 지금 전설로 남아 있다. 할망이 밥 짓고 빨래하고 바느질하던 흔적도 있고, 할망이 놓다 만 다리도 있다. 대개는 할망의 실패담이며 그 끝에는 죽솥에 빠져 죽었다거나 물장오리에 빠져 죽었다는 비극적인 전설이다. 그런데 할망이 한라산과 360여 개의 오름을 만들었다는 지형 형성의 이야기가 있어 우리를 주목하게 했다. 그것은 창세신화의 흔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설문대할망이 천지를 분리하는 이야기에 덧붙여 바다에서 흙을 퍼올려 섬을 만들었다는 창세신화도 보인다. 이런 여성 창세신은 동아시아에 보편적이었다. 유구(琉球)에는 붙어 있는 하늘과 땅을 분리시켰다는 여신 아만츄가 있다. 중국 소수민족 신화에도 여신이 하늘과 땅을 분리시킨다. 아부카허허는 하늘과 땅의 공간을 구분하고, 이어 낮과 밤의 시간을 구분하는 여신이다. 유구의 아마미쿄는 아만츄의 변형인데, 천상의 흙을 가져다가 섬을 만들었다고 한다. 천상에서 가져왔다고 했지만, 일부 이야기 속에는 바다 저편에서 가져왔다는 흔적이 있어, 수직적인 세계관에 앞서 수평적 세계관이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수직적 세계관은 천상과 연결되고, 천상이 남신과 연결된다. 창세 신화는 서서히 여신에서 남신으로 바뀐다. 만주족 신화를 예로 든다면, 아부카허허는 뒤로 물러나고 아부카언두리라는 남신이 천지를 창조한 것으로 변모한다. 제주도 <초감제>에서는 도수문장이 하늘과 땅을 분리시켰다고 했다. 그 후 하늘과 땅은 저절로 개벽한다는 이야기로 바뀐다. 천지혼합의 상황에서 어느 날 천리가 분리된다고 했다. 인격신이 등장하던 이야기는 사라지고 비인격신의 이야기가 나타난다. 음양과 청탁의 기운으로 천지가 분리된다고 하는 일본 신화의 예를 보더라도 신화 속에 중세 합리주의적 사고가 작용하게 된다. 여성신에서 남성신으로 바뀐 신화체계는 지속된다. 여성신 이야기는 계속 풍화된다. 할머니 신은 마고나 노고가 되고 산신으로 숨어든다. 설문대할망도 음부로 물고기를 잡거나 사냥을 하는 세속화된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전락하고 만다. 그런데 왜 우리 시대에 갑자기 여성신이 호출되는가. 설문대할망 이야기가 다시 부활한 것은 나름의 연유가 있을 것이다. 여성신의 순수증여와 사랑은 남성신의 횡포와 우승열패의 신화가 횡행하는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기대가 작용하기도 했다. 원시와 고대의 신화 속에 담긴 중요한 메시지, ‘사람과 다른 생명체,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를 회복하려는 의도가 작용하기도 했다. 여성신화의 부활 속에서 우리는 경쟁의 사회에서 공감의 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기미를 느낄 수 있다. 무한 경쟁으로 지구를 파멸시켰던 근대문명을 반성하고 인간과 자연의 생명을 중시하는 정신이 창세신화를 통해 회복되기를 기원하는 바람으로 이 논문이 작성되었다.

      • KCI등재

        전쟁과 여성

        권석우(Seokwoo Kw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15 비평과이론 Vol.20 No.2

        전쟁이 남성들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라서 항상 남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지고 있었지만, 그것은 흥미롭게도 대부분의 고대 서양신화와 문명에서는 아테나 여신이 대표했던 것처럼 여성적인 것으로 표상되어왔다. 서양의 상상력은 전쟁의 파괴적 속성과 비합리성을 말할 때는 아레스를, 이성적이고 숭엄한 면을 지칭할 때는 지혜의 여신 아테나를 거론하였다. 서양문명에 나타난 이러한 전쟁의 여성화는 아테나를 넘어 수메르의 이난나와 이집트의 이시스 여신으로까지 소급된다. 생명이 있었기에 죽음이라는 현상이 존재하게 되었다는 고대인들의 사후 추론적 관찰은 여신을 그리고 이를 확대하여 여성을 “자애롭고 끔직한” 대모신으로 추앙하는 습속을 낳게 하였는데, 이의 배후에는 모든 것을 주재하는 오로지 하나뿐인 완전한 여신이라는 관념이 버티고 있었다. 대모신이 생명과 재생, 평화뿐 아니라 죽음과 전쟁을 표상한 이유이기도 하다. 죽음을 매개로 한 여성과 전쟁의 동일화는 여성을 정복함으로서 전쟁을 통제할 수 있다는 대리만족과 부정적인 것을 타자에게 투사하는 습속에 기인한 면이 없지 않다. 노이만과 윌버 같은 학자들은 전쟁과 여성의 동일화를 말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는 반면, 짐부타스와 아이슬러 등의 학자들은 여성의 평화적 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죽음을 여성과 보편적으로 동일화할 수 없듯이 전쟁 또한 여성적인 것으로만 규정할 수 없다. 여신과 여성에 대한 이러한 양면적 논의는 전쟁과 더불어 여성적인 것으로 규정되었던 평화에 관한 실천 또한 여성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준다. Even if we acknowledge that the agent of war is usually men and thus accept that war is exclusively masculine, it has been represented interestingly as feminine in most ancient Western myths and cultures. Athena has been considered an exceptional mythic figure who exemplifies the close and contiguous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femininity. There was, of course, a time when masculine god played a war deity: for notable instance, Mars in the Roman times. But Western imagination has been in surfeit content with the notion of Athena as “rational and sublime” war goddess and Ares, the god of massive destruction and irrational war. The feminization of war is retroactive to Athena’s predecessors like Sumerian Inanna and Egyptian Isis. While observing a new life sprouted from the belly of a woman, ancient people could opine that death comes because of life and thus formulated the idea of a “benevolent but terrible mother,” namely the woman of death and war. Even if phenomenal death comes into existence because we have life, the bearer of life however cannot be regarded as the causal force and agent of death à la ex post facto reasoning. In the ancient times, there was only one complete God called as “Earth Goddess,” or later as “Great Goddess” who represented life and peace as well as death and war. Hence the need to demystify and dismantle the stereotypical notion of death-war-femininity triad which has been ingrained in Western myth and mode of thinking at least since the Bronze Age.

      • KCI등재

        일반논문 : 설문대할망의 창세신적 특성과 변모양상 -주변민족 여성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남춘 ( Nam Choon Heo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설문대할망 이야기는 지금 전설로 남아 있다. 할망이 밥 짓고 빨래하고 바느질하던 흔적도 있고, 할망이 놓다 만 다리도 있다. 대개는 할망의 실패담이며 그 끝에는 죽솥에 빠져 죽었다거나 물장오리에 빠져 죽었다는 비극적인 전설이다. 그런데 할망이 한라산과 360여 개의 오름을 만들었다는 지형 형성의 이야기가 있어 우리를 주목하게 했다. 그것은 창세신화의 흔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설문대할망이 천지를 분리하는 이야기에 덧붙여 바다에서 흙을 퍼올려 섬을 만들었다는 창세신화도 보인다. 이런 여성 창세신은 동아시아에 보편적이었다. 유구(琉球)에는 붙어 있는 하늘과 땅을 분리시켰다는 여신 아만츄가 있다. 중국소수민족 신화에도 여신이 하늘과 땅을 분리시킨다. 아부카허허는 하늘과 땅의 공간을 구분하고, 이어 낮과 밤의 시간을 구분하는 여신이다. 유구의 아마미쿄는 아만츄의 변형인데, 천상의 흙을 가져다가 섬을 만들었다고 한다. 천상에서 가져왔다고 했지만, 일부 이야기 속에는 바다 저편에서 가져왔다는 흔적이 있어, 수직적인 세계관에 앞서 수평적 세계관이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수직적 세계관은 천상과 연결되고, 천상이 남신과 연결된다. 창세신화는 서서히 여신에서 남신으로 바뀐다. 만주족 신화를 예로 든다면, 아부카 허허는 뒤로 물러나고 아부카언두리라는 남신이 천지를 창조한 것으로 변모한다. 제주도 <초감제>에서는 도수문장이 하늘과 땅을 분리시켰다고 했다. 그 후 하늘과 땅은 저절로 개벽한다는 이야기로 바뀐다. 천지혼합의 상황에서 어느 날 천리가 분리된다고 했다. 인격신이 등장하던 이야기는 사라지고 비인격신의 이야기가 나타난다. 음양과 청탁의 기운으로 천지가 분리된다고 하는 일본 신화의 예를 보더라도 신화 속에 중세 합리주의적 사고가 작용하게 된다. 여성신에서 남성신으로 바뀐 신화체계는 지속된다. 여성신 이야기는 계속 풍화된다. 할머니 신은 마고나 노고가 되고 산신으로 숨어든다. 설문대할망도 음부로 물고기를 잡거나 사냥을 하는 세속화된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전락하고 만다. 그런데 왜 우리 시대에 갑자기 여성신이 호출되는가. 설문대할망 이야기가 다시 부활한 것은 나름의 연유가 있을 것이다. 여성신의 순수증여와 사랑은 남성신의 횡포와 우승열패의 신화가 횡행하는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기대가 작용하기도 했다. 원시와 고대의 신화 속에 담긴 중요한 메시지, ‘사람과 다른 생명체,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를 회복하려는 의도가 작용하기도 했다. 여성신화의 부활 속에서 우리는 경쟁의 사회에서 공감의 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기미를 느낄 수 있다. 무한 경쟁으로 지구를 파멸시켰던 근대문명을 반성하고 인간과 자연의 생명을 중시하는 정신이 창세신화를 통해 회복되기를 기원하는 바람으로 이 논문이 작성되었다. Seolmundaehalmang story is left as a legend now. There was also a trace where an Grandmother(Halmang) cooked rice, washed and did needlework, and there is also a bridge an Grandmother made. It`s a failure story of the Grandmother and is the tragical legend which fell in the vowel and died. By the way there is a topography formation story that an Grandmother made Halla Mountain and 360`s small mountains, and the story become focus of public attention. That`s a mark of a creation myth. And there is the motif which she separated a universe and the creation myth which made an island Jeju. Such female creation of the world is general in East Asia. There is Amanchu goddess who separate sky and ground in Okinawa. Such goddess are many in Chinese minority race, for example Abukaheoheo. Amamikyo(transformation of Amanchu) of Okinawa brought soil on the sky and made an island. There was story that brought it from sky, but there is the trace which brought from the sea other side. There was a horizontal view of the world prior to a vertical view of the world, I looked. The vertical view of the world can be connected in the sky, and the heaven can be connected to the male deity. The Creation myth gradually turns into a male deity instead of goddesses. After many time has passed, A male deity separate the sky and the ground in the myth in Jeju Island genesis. This story of the male deity turned into the story that sky and the ground was created naturally. There was said that one day sky and the ground was separated in the situation of the nature mixture. The mythos which turned into a male deity from a goddess was continued. As for the goddess story, it is weathered all the time. The old woman becomes Mago and becomes a mountain god. By the way, why is a goddess asked to come suddenly in the present times? There will be some reasons why a Seolmundaehalmang story revived again. The tyranny of the male deity produced a myth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such a myth laid the rat race. The pure donation and love of the goddess solve the problem. There is an important message in primitive and ancient myth. We must restore desirabl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between human and different all creation in a myth. Through woman mythical revival, we can appear in the society of the sympathy from the competition. I reflect on the modern civilization that wasted the earth, and hope that mind to make the human inside is restored through a myth.

      • KCI등재

        학술교양의 사상형식과 ‘반공 로컬-냉전지(知)’의 젠더 -1950년대 『사상계』를 중심으로-

        김복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In Sasanggye, there is three theories. Initially, liberal democracy theory, the second is economic modernization theory, the third is a people's democracy theory. Woman that is called in Sasanggye was the "mother" in the end. It seems to have recognized gender equality at first, but it has shifted to the mother that transcends the feminity, in the second series, gender equality is emphasized "dutiful wife and devoted mother" as denied completely. In the third series, It was trying to encompass the history of the nation through great mother(=prostitute). They internalized the way capital center countries (Western capitalism), it is not intended value-neutral and objective, Cold-War-liberalism, Cold-War-democracy, capitalism is "how scientific" of Sasanggye․it is intended to include the idea of imperialism, colonialism, and the "thought of the elimination of woman". Women's issues were not included in the modernization strategy of Sasanggye. Sasanggye showed the unfortunate combination of woman and liberalism, democracy, nationalism, Woman and development(reconstruction) formed the exclusionary relationship. The Discourse of development of Sasanggye was the 'disappeared' 'gender agenda' and at the same time 'distorted' 'development agenda' 1950년대 『사상계』가 탈후진 전략으로 채택한 자유민주주의는 냉전 자유주의, 냉전 민주주의였고, 여성-개인의 자유, 권리, 평등에 대해 고려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허용치 않는 ‘젠더화 된 자유․민주․평등’ 개념이었다. 여성을 ‘보편-인간’의 범주로 논의한 긍정성은 있었으나, 근대 주체로서의 ‘여성-개인’은 ‘제거’되어 있었으며, ‘반공 로컬’ 중의 ‘또 다른 로컬’로서 ‘중첩 로컬’로 재구획되고 있었다. 개발담론이라 불린 경제적 근대화론에서는 경제적 근대화를 위해 정치적, 경제적, 사상의 자유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첫 번째 계열이 자유를 위해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라면, 여기서는 빵을 위해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었다. 특히 여성들은 ‘타락의 주체’로 명명되면서 ‘개발담론의 주체’에서 ‘소거’되었다. 개발담론은 ‘여성-개인’을 소거하는 대신 ‘현모양처’를 호명하였고, 남녀 역할 분담론에 입각하여 여성을 ‘주부’로 위치시켰다. 즉 현모양처(주부) 주체성으로 한정하였다. 함석헌의 여성은 대모신 개념의 ‘어머니’로서, 고난사관은 이 어머니를 ‘수난의 여왕’으로 위치시켰다. 외세=남성, 민족=여성이란 성적 은유의 방식으로 여성성을 동원하면서, ‘받은 고난 그 자체’로 인해 정화되는 존재로 ‘어머니=창부’로 동일시하였다. 창부=민족=예수라는 등가관계가 제시되면서, 여성 수난사와 관련한 기존의 문법이 파괴되고 해체되고, 세계 구원자=한국이라는 새로운 제3세계 인식을 보여준 긍정성이 있었다. 이는 기독교를 주체적으로 수용한 결과였다. 하지만 함석헌의 씨-민중사상에서도 여성은 근대적 개인이나 정치적 주체로 설정되지 못하였다. 민중 논의에서도 ‘여성’은 ‘소거’되어 있었다. 세 계열에서 공통적으로 호명한 여성은 ‘어머니’였지 ‘여성-개인’은 아니었다. ‘반공 로컬’ 『사상계』는 ‘학술교양’이란 이름 하에 ‘반공 로컬’의 정치적 경제적 철학적 과제를 ‘운동’으로서 착실히 수행한 남성젠더-이데올로그였고, 학술 교양의 내포 및 외연은 ‘보편으로서의 근대지(知)’라기보다 ‘신식민성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한’ ‘냉전지(知)’였음이 밝혀졌다. 개발담론에 의해 ‘전후(戰後)’는 근대와 전근대로 양분되었으며, 근대는 전세계 담론의 기준이 되었다. 개발담론은 한편으로는 자본 중심국의 부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저개발 로컬들의 청사진을 위해 동시적으로 동원되었다. 『사상계』가 근대국가 만들기의 방법으로 주장한 ‘과학적 방법’은 자본 중심국들의 ‘방법’을 내면화 한 것으로서,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인 것이 아니라, 냉전 자유주의․냉전 민주주의․자본주의․제국주의․식민주의의 방법이었고, ‘여성 소거의 사상화(思想化)’였다. 여성-개인 문제는 『사상계』의 근대화 전략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사상계』는 자유주의․민주주의․민족주의와 여성의 불행한 결합을 보여 주었으며, ‘개발(재건)과 여성’은 배타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사상계』의 개발담론은 ‘왜곡’된 개발의제인 동시에 ‘실종’된 젠더의제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