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클로의 에세 『여성교육에 대하여』로 비추어 본 『위험한 관계』에서의 여성 문제

        이윤수 ( Lee Yunsoo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20

        Quelques mois après le succès eclatant des Liaisons, Laclos ecrit en 1783 un essai assez court, en reponse à la question proposee par l’Academie de Châlons-sur-Marne : « Quels seraient les meilleurs moyens de perfectionner l’education des femmes ? ». Laclos tranche ainsi : « il n’est aucun moyen de perfectionner l’education des femmes ». Peu après dans la même annee, il ecrit Des femmes et de leur education dont les idees rejoignent celles de Rousseau. Il nous est apparu que ces essais sont une interpretation du roman et reflètent la pensee du romancier envers les femmes et leur education. Après avoir examine plusieurs aspects, nous sommes parvenus à une conclusion allant dans le sens de la critique de Roger Vailland qui resume bien les idees de Laclos : « La femme est naturellement l’egale de l’homme. Mais toute femme est esclave. La femme, comme tout esclave, substitue l’adresse à la force. Mais la femme peut se liberer ». Le roman de Laclos demontre cette proposition dans une societe assez cruelle pour les femmes et qui tend à les mener à l’echec. Cela n’empêche toutefois pas les femmes de garder l’espoir d’un progrès, d’une amelioration de leur condition. On en conclut que Les Liaisons dangereuses sont un champ d’experimentation de la theorie de Laclos. 1782년에 출간된 『위험한 관계』가 커다란 성공을 거둔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작가 라클로는 짧은 에세를 쓴다. 이는 1783년 샬롱 쉬르 마른(Châlons-sur-Marne) 아카데미에서 제안된, “여성들의 교육을 완성하는 최선의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작가의 논설이다. 이 글에서 라클로는 단숨에 “여성들의 교육을 완성시키는 방법은 없다”라고 단언해버린다. 같은 해에 라클로는 또 『여성들과 여성교육에 대하여』라는 글을 쓰는데, 여기에서는 루소의 『사회계약론』이나 『에밀』을 환기시키는 명제들을 제시한다. 우리는 혁명적 정신을 보이는 듯했지만, 결국 시대의 사상에 합류한 이 짧은 에세들이 여성과 여성교육에 대한 작가의 사상을 반영하는 한편, 『위험한 관계』에 대한 해석도 제시한다고 가정해보았다. 소설에 제시된 여성과 관련된 다양한 면모들을 이 에세들의 구절들과 견주어 보면서, 우리는 라클로의 생각들을 잘 요약한 비평가 로제 바이앙의 의견에 동의하기에 이르렀다. “여성은 본성적으로 남성과 동등하다. 그러나 모든 여성은 노예이다. 노예들이 다 그렇듯이, 여성은 힘 대신 기교나 재치를 쓰고자 한다. 그렇지만, 여성은 스스로를 해방시킬 수 있다”. 라클로는 소설에서 여성들에게는 상당히 가혹해 보일 수 있는 한 사교계를 등장시키고, 그 안에 이러한 명제를 대입시켜서 나온 결과, 즉 여성 등장인물들의 각각 다른 운명의 행보를 보여준다. 소설의 여성 등장인물들은 모두 비극을 맞이하지만, 그 안에는 여성 진보에 대한 가능성, 여성 조건의 향상에 대한 희망이 들어 있다. 소설 『위험한 관계』는 라클로가 가진 이러한 사상을 실현한 실험의 장으로도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팜므파탈이라는 장치와 젠더화된 사회적 집합감정

        소영현(So Young hyu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1

        팜므파탈이 아니라 팜므파탈 '현상'의 의미를 검토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문학사에서 악녀의 등장을 알린 염상섭의 『사랑과 죄』와 여성 범죄자의 형상을 뚜렷하게 각인시킨 방인근의 『마도의 향불』을 중심으로 팜므파탈의 등장을 근대적 자본주의 소비문화가 점차 무르익던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의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변이와의 상관성 속에서 논의해보았다. 『사랑과 죄』와 『마도의 향불』 분석을 통해 흘러넘치며 잡히지 않은 정념의 유동성을 고착화하려는 시도가 사회적 잔여에 대한 젠더화된 육체적 재현을 통해 구체화되며 그것이 만들어내는 집단적 고정관념에 의해 일상을 떠받치는 견고한 사회 구성원리가 마련되었음을 확인했다. '위험한 여성'으로서의 '팜므파탈'의 호명(/등장) 과정에 대한 이러한 고찰은 식민지 모더니티가 내장한 문제들, 사회적 계층 변동과 재구축의 절합적 국면에 대한 시야를 열어준다. 따라서 팜므파탈의 등장에 주목함으로써 팜므파탈이 계급과 민족(/종족)의 경계를 가로지는 교차점이자 은폐된 흑점임을, 식민지기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적 제(諸)문제의 스펙트럼을 펼쳐 보일 프리즘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팜므파탈의 등장으로 감춰진 일상 차원의 분리와 차이의 장면들에 대한 추적은 팜므파탈이 젠더화된 사회적 집합감정의 반영이자 그것을 스테레오타입으로 고정화하려는 규율화의 결과물임을 확인하게 하는 동시에 규율화와 젠더화된 감정의 다른 배치 가능성을 가늠하게 해준다. '장치'로서의 팜므파탈에 대한 관심은 보다 근본적으로는 식민/탈식민의 논리로 회수될 수 없는 근대의 불연속적이고 비가시적 영역에 대한 환기라고 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팜므파탈을 '장치'로 보려는 이 시도는 정념의 젠더적 차별화를 자본주의와 계급관계와의 상관성 속에서 논의함으로써 '가부장제에 구체적 역사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글로컬적 시야를 열어준다고 하겠다. By using methodology drawn from recent developments in the theory of affe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mme fatale frame and (re)arrangement of gendered passion in colonial Korea.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s to historicize the femme fatale in colonial Korea 1920s-1930s. A Femme fatale is a trans-cultural stereotype of a wish-fulfillment woman image that is ground in male pleasure and fear of the female and micro-powers and (re)arrangement of the gendered passion in our society. A femme fatale is an archetype in literature and art, and we usually imagined her just as a de-historicized cultural stereotype. But the origin of a femme fatale is deeply associated with a global mood of 'the Fin-de-Siècle' that induces the reorganization of the Imperial/colonial, the formation of the (male) national identity, and the morally reformation of the social order. A figure of femme fatale in the 1920s-1930s had been represented as a 'modern girl' and 'new woman criminal' whose appearance was a western style with bobbed hair. She tried to be upgrading state using her sexual attraction but failed in the end by modern police system. It shows that although she is typically villainous, or at least ambiguous, and always connected with a sense of mystification, the characteristic of a femme fatale is related with a local socioeconomic situation. This study aims not to femme fatale but to femme fatale "phenomenon" which is represented by held in 'dangerous woman and new woman criminal' in colonial modernity. A historicization of the femme fatale can show the procedure of the private/public separation, and disclose the social class system changing under the capitalization in colonial Korea.

      • KCI등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문학에 나타난 팜므파탈 모티프 고찰

        김난희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4 No.-

        이 논문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작품에 나타난 팜므파탈 모티프의 발전과정을 그의 독서체험 및 여성교제와 관련하여 고찰한 것이다. 아쿠타가와는 독서로부터 인생을 배운 작가로서 특히 19세기말 유럽의 데카당스문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의 창작은 그의 독서경험이 자양분이 되어 변용되어 나오고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세기말 유럽문학에서 습득한 팜므파탈의 모티프다. 『투도』의 샤킨 『덤불숲』의 마사고 『카르멘』의 이이나 『갓파』의 여자 갓파 안에는 그가 애독한 세기말 문학에 나오는 팜므파탈형 여성이 그대로 구현되어 있었다. 아쿠타가와가 독서를 통해 습득한 여성관은 여성의 본질에서 동떨어진 왜곡된 이미지였다. 이를 현실의 여성교제에서 적용시켰을 때 그의 연애는 파국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었다고 보았다. 히데 시게코와의 교제는 처음에 애틋하고 그리운 사람(愁人)으로 표현된다. 그것이 나중에는 광인의 딸, 동물적인 여자, 이기적 여자 등 혐오감의 극에 이르고 있다. 독서로부터 터득한 여성관으로 현실의 여성을 대했을 때 현실의 여성은 그의 기대와는 달리 낙차가 있었다. 가벼운 불장난으로 시작한 연애를 그의 의지만으로 멈출 수는 없었다. 여성에 대한 혐오는 고조되었다. 이 체험은 아쿠타가와가 창출한 작품 속 팜므파탈형 여성들에게 생기를 더해 주는 동인(動因)이 된다. 아쿠타가와가 활약한 다이쇼시대는 여성이 주체적으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고 ‘새로운 여성’이 출현한 시기였다. 히데 시게코는 일본여성교육의 산실인 일본여자대학 가정학부를 졸업한 가인(歌人)이었다. 일본 여성해방운동의 선구자인 히라츠카 라이초도 이 대학을 나왔으며 여성의 각성을 주창했다. 잡지 『청답』 창간호에 “태초의 여성은 태양이었다.”라고 선언하며 여성 스스로 광채를 내는 태양이 될 것을 주문했다. 이러한 시대에 안이하게 신여성에게 접근했다가 예상 밖의 국면에 봉착하게 된 것이다. 새로운 시대정신에 걸 맞는 새로운 연애를 여성들이 선도하고 있었다. 더 이상 여성은 수동적 연애에 머물지 않았다. 남성들의 일방적인 절교를 거부했으며 그래서 아쿠타가와는 인생에서 파국을 맞았다. 이 체험은 그의 여러 작품 속에서 팜므파탈형 여성을 창출하게 했다. 아쿠타가와 작품 속 팜므파탈의 유형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미묘한 음영을 더하며 그로테스크하게 발전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reviews the femme fatale motif in Ryunosuke Akutagawa’s literary works in terms of his reading experience and relationships with women. His works were the results of the literary transformation of his reading experience. One of the motifs created in this manner is the femme fatale motif. Shakin of Thieves, Masago of In a Grove, Yena of Carmen, and the female being of Kappa incarnated the image of a femme fatale found in the late 19th century literature of decadence. The aforementioned works also reflected his own experiences of love with Shigeko Hide. Shigeko’s character traits used to be reflected in fictional characters in his early works in a positive way. A character who resembled Shigeko was a desirable one. However, in his later works, as his personal relationship soured, any reflection of Shigeko’s personality was either portrayed negatively or with an abhorrent trait. Akutagawa produced his literary works in the era when the feminist ideal of the New Woman appeared. Shigeko personified the New Woman but Akutagawa later found he could not feel any romantic emotion for a woman who was more aggressive than a man. That was why in his personal life Akutagawa tried to end his relationship with Shigeko, to whom he no longer felt attracted. However, Shigeko refused to end their relationship. This experience added vitality to the image of a femme fatale in his works, which was later developed into something repulsive.

      • KCI등재

        ‘위기’의 여자들 : 보부아르 「위기의 여자」 번역과 1970년대 젠더/섹슈얼리티

        박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9 No.-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ext and thoughts of Simone de Beauvoir were translated in South Korea in the 1970s. The 1970s saw Korean women's consciousness growing. Women's study as a science began to be established, and women's consciousness began to grow through reading. This was proved by the text of Beauvoir's 「The Woman Destroyed」, a bestseller in 1975. Beauvoir's text, actually, began to be translated even before 「The Woman Destroyed」 was published, and her popularity led 『The Second Sex』(Le Deuxième Sexe) and other major texts of hers to be translated. Of them, her contract marriage with Sartre was the most translated, suggesting that the populace's concern was focused more on Beauvoir' private life, particularly, love affair view rather than on her philosophical aspects. Nonetheless, Beauvoir's text on the criticism on women's suppressive reality, in particular, the hypocrisy of the nuclear family system, was also translated. Such typical text is 「The Woman Destroyed」(La Femme rompue). This text, etc. make a cool-headed insistence that women should realize the suppressive reality and achieve ontological self-awareness thereof. South Korea saw 「The Woman Destroyed」 become a best-seller, not only because this text handles the crisis of an unfaithful middle-aged couple, an intriguing subject matter, but also because such women's ontological awareness process created an empathy among then intellectual women. This was proved by female novelist Park Wan-seo. Her novels feature female characters like Monique in 「The Woman Destroyed」 who, only after experiencing pains shaking her being, achieved ontological awareness. Park Wan-seo's text, however, instead of passively accepting Beauvoir's text, is found to recompose the text in line with Korean reality. Issues of love affair and marriage, handled in Park Wan-seo's text in the 1970s, show that the then policies for women under the influence of patriarchical orientation and development-oriented economic plans suppressed women. In particular, by featuring economically able women and intellectual men, her text shows even to them through the husband's extramarital affair how much the marriage system, in particular, the couple-oriented nuclear family system, was full of hypocrisy. Compared to the West where the couple-oriented nuclear family system was settled early on, South Korea saw women's position be more complicated and suppressed. 본 연구는 1970년대 한국에서 시몬느 드 보부아르의 텍스트와 사상이 어떠한 방식으로 번역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보부아르 번역사에는 도덕적 관념을 뛰어넘는 자유로운 실존적 사랑에서 남녀 간의 동지적 사랑. 혹은 일부일처제에 대응하는 일탈에의 욕망까지 다양한 의식이 혼재되어 있었다. 특히 보부아르의 번역이 활발했던 1970년대는 여성학이 제도화되는 등, 한국 여성 의식이 성장하기 위한 객관적 발판이 마련되었던 시기이다. 고학력 여성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책 읽는 지식인 여성이 늘어나면서 여성들의 인식이 독서를 통해서 성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점을 증명해 주는 텍스트가 1975·76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보부아르의 「위기의 여자」이다. 한국에서 보부아르의 텍스트는 「위기의 여자」의 발간 이전부터 번역되었으며, 이 시기의 인기에 힘입어 이후 『제2의 성』 등 주요 텍스트가 번역되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사르트르와 계약결혼에 관한 텍스트가 많이 번역되어 대중적인 관심이 보부아르의 철학적 측면보다는 사생활, 특히 연애관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동지적 연애를 꿈꾸었던 당대 여성들의 열망이 반영된 결과이다. 그러면서도 이 시기에는 「위기의 여자」 외에도 여성의 억압적 현실, 특히 핵가족 제도 내부에서 구성된 허위의식을 비판하는 텍스트도 번역된다. 그만큼 당대의 (핵)가족 제도와 미풍양속이라는 전통 관념의 억압에 대응하는 여성들의 의식이 변화했던 것이다. 「위기의 여자」에서 보부아르는 여성 스스로가 억압적 현실을 인식하고 존재론적 자각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을 매우 냉정한 시각에서 주장하고 있다. 한국에서 이루어진, 「위기의 여자」의 베스트셀러화는 이 텍스트가 불륜이라는 소재를 통해 중년부부의 위기라는 흥미로운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점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모니끄가 존재론적 자각을 이루기까지 직면해야 했던 처절한 상황에 당대 여성들이 공감했기 때문이다. 또한 ‘불륜’에 유난히 분노했던 당대 한국 여성들의 특수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당시 한국여성들은 가부장제의 전통과 현모양처 이데올로기, 핵가족 제도의 모순 속에 개별자들간의 관계가 아닌 남편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자기 존재성의 증명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이었기에 보부아르와 사르트르의 동지적 사랑을 동경하면서도 보부아르가 기획했던 부조리성을 깨닫는 개별자로서의 여성의 존재론적 자각은 제대로 수용되기 어려웠다. 그래서인지 보부아르의 텍스트 중 「위기의 여자」는 여성주의적 시각을 전유하기 시작한 지식인 여성들에게는 환영받지 못했다. 이를 볼 때 여성주의적 시각을 전유했던 지식인 여성 혹은 여성작가들과 「위기의 여자」를 읽었던 여성들 간 존재론적 성찰의 온도차는 아직 분명히 존재했던 것이다. 이러한 여러 다양한 번역의 진폭은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텍스트가 한국 여성주의 문학 발전에 하나의 기준점이었다는 사실을 무시할 수 없게 만든다.

      • KCI등재

        Autres regards, autres histoires dans le cinéma québécois

        Shim Eun Jin(심은진)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0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31 No.-

        퀘벡 영화에서 여성 감독은 변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사실은 분명 사회, 역사적인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여성 영화의 이러한 부재를 시각성의 문제로 접근하고자 한다. 영화라는 시각적 장치에서 여성의 위치는 부재한다. 즉, 영화적 장치는 여성을 ‘보여지는 대상’, 즉 ‘욕망의 대상’으로 제시한다.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타자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여성은 남성의 환상과 욕망에 대한 상징으로서, 즉 남성을 위한 기표로서만 재현된다. 변방으로 밀려 난 여성 영화는 시선을 타자의 자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여성감독은 남자와는 다른 시선으로 영화 이미지를 재현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퀘벡의 여성 감독들이 만들어 낸 영화를 분석할 수 있다. 여섯 편의 연작 영화로 된, 〈여성으로서En tant que femme〉 (1971)는 다큐멘터리 형식을 사용하며 일상의 삶 속에서 여성의 모습을 반복적으로 재현한다. 이러한 반복되는 일상의 모습은 오히려 여성의 이미지를 일상성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된다. 또한 벨라르종 Baillargeon과 콜렝Collin이 만든 〈붉은 부엌La cuisine rouge〉(1980)은 남성과 여성을 서로 대립시키는 듯 표현하지만, 남성에게 여성은 마치 보이지 않는 대상, 부재하는 존재처럼 제시된다. 여성들은 더 이상 욕망의 대상으로 재현되지 않고 부계적 질서로부터 해방된 자유로운 존재가 된다. 이처럼 타자의 시선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퀘백의 여성 영화는 남성 중심적인 시선이 만들어 내기 이전의 여성, 즉 주체로서의 여성을 이미지로 표현한다.

      • KCI등재

        여성 괴물, 공포와 혐오를 넘어 확장된 의미 분석

        오진희(Oh, Jin-H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6

        영상매체의 여성 괴물 표현 중 하나인 마녀는 하늘을 날아다니며 마법을 부리는 흥미로운 존재로 그려지곤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마녀로 몰린 무고한 여성들을 산 채로 불태운 살육의 역사를 감추고 있다. 공포영화에서 남성 괴물이 늑대 인간, 뱀파이어, 좀비, 드라큘라, 프랑켄슈타인 등과 같이 치명적이지만 동시에 서사를 이끌어가는 매력적인 존재로 표현되는 동안 여성 괴물은 남성 괴물에게 희생된 결과물로 남겨졌다. 이러한 표현은 여성 혐오적 관점을 드러내 온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여성 괴물의 역할을 새로이 발견하고 해석하려는 시도 또한 존재한다. 여성 괴물과 남성 괴물의 차이는 그로테스크한 재생산성과 폭력적인 비체(非體) 표현으로 구분된다. 공포영화에 난무하는 피와 토사물, 그리고 훼손된 신체 등은 인간 내면에 깊이 존재하는 폭력에 대한 무의식적인 두려움을 드러낸다. 반면 여성 괴물은 질, 자궁, 생리, 출산과 같은 여성 신체 고유의 특징과 변화, 그리고 스스로 생명체를 창조해낼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드러내고 의도된다. 우주 괴물 에일리언은 남성생식기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또한 생명을 재생산해낼 수 있는 모체로 그려짐으로써 공포감을 증폭시킨다. 이처럼 공포영화에서 출산과 관련하여 아브젝션(abjection) 표현으로 강조하여 제시되는 방식은 모성과 생명 탄생에 대한 가부장적 신화와 통념을 흩어놓는다. 남성 주체의 시각에서 여성은 자궁과 질을 가진 불가해한 존재로서 오랜 신화와 문화에서 발견되는 ‘이빨 달린 질’(vagina dentate)과 같은 형태로 극대화된다. 그렇지만 이처럼 극단적인 표현들은 여성에게 덧씌워진 희생자 프레임과 반복되는 스테레오 타입을 벗어나 남근적 질서와 견고한 경계를 무력화시키고 공포와 혐오를 넘어설 여지를 남긴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매체에서 제시되는 여성 표현이 사회적 한계와 인식의 변화를 담고 있으며 여성 괴물을 통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Monstrous-Feminine appearing in video media is changing according to social perceptions of women. Monstrous-Feminine has been depicted as victims and outcomes of male monsters while male monsters are expressed as fatal, but at the same time attractive beings leading narratives, such as werewolves, vampires, zombies, Dracula, and Frankenstein. On the other hand, witches, who often appear in video media, one of the representative types of Monstrous-Feminine, perform magic and fly in the sky on a broom to bleach the truth. The real witch hunt in the real world is the history of slaughter that burned innocent women alive and is an ugly truth. On the other hand, “vagina dentate,” which is found in many myths and cultures for a long time, shows the male subject’s fear of attacking women. According to Freud, unlike men, women are imperfect beings with removed arm muscles and create castration fear as an indispensable being with the ability to create life. Therefore, Freud’s general film interpretation based on psychoanalysis interprets women as incomplete beings with a castrated penis or identifies long and empty spaces as vagina and uterus. In the same vein, Alien, designed in the form of a male genital, doubles the shock and hatred as it is depicted as a terrifying cosmic monster and a parent that reproduces life. Horror films overflow with nonbody images containing blood, vomit, and damaged bodies, and add monstrous-feminine expressions such as childbirth secretions and menstrual blood as hateful abjections. Changes in the female body due to menstruation and childbirth are depicted as unfamiliar and fearful, and monstrous-feminine causes confusion and fear with their ability to create life on their own. However, such a special ability and state of a monstrous-feminine act as a factor that breaks the boundaries of the world and the southward order, away from the frame of female victims, which has been repeated in stereo types. In this study, through Kristeva’s discussion, the expression of monstrous-feminine in video media 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women were examined.

      • KCI등재

        모리악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1920~1940년대의 소설을 중심으로

        손정숙 ( Jeong Suk So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0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4

        Apres la revolution industrielle, la societe francaise au debut du 20eme siecle, etait en plein desarroi avec les nouvelles idees dans le systeme des valeurs. Surtout la discussion de la vision sur la femme est la question la plus brulante de cette periode pour les certains ecrivains. En cette periode de changement, au-dela de la femme traditionnelle, apparait un nouveau type de la femme qui s`appelle "la femme nouvelle" attirant toute attention du monde par des comportements etranges: elle se maquille trop, elle fume, elle boit, elle danse aux boites de nuit, elle aspire a la liberte sexuelle. Elle veut etre libre, independante et jouir de sa vie sans aucune contrainte du systeme existant. Pourtant aux yeux de vieilles generations, elle vit selon son bon plaisir et n`a qu`une conduite dereglee comme le libertinage qui est deprave sexuellement et moralement. Elle n`est qu`une destructrice qui fait infraction a l`ordre que l`homme a concu. Les ecrivains sont serieusement angoisses des problemes sur la femme et contiennent ses ideees personnelles dans leurs ouvrages litteraires. Pourtant la plupart des ecrivains sont conservateurs en vision sur la femme. Mauriac lui aussi fait partie de ce groupe des ecrivains. Mauriac decrit les femmes traditionnelles et pitoyables dans le patriarcat, qui se sacrifient pour ses enfants et sa famille, qui sont opprimees. Mauriac leur montre sa pitie sans aucune critique, mais il est sardonique sur la femme nouvelle. Malgre cela, il y a quelques chercheurs coreens qui croient Mauriac comme feministe. Par exemple, Kim Jee-hee pretend, dans sa these doctorale, que les femmes mauriaciennes refusent leur destin pitoyable et se frayent leur chemin. Mais, elles se sont resignees a leur sort en acceptant leur situation pitoyable. Alors, il manque de fondements objectifs a leurs affirmations. En fait, depuis le temps de l`evenement de l`Espagne en 1937, il a activement ete a s`engager. Cependant, il montre une attitude reticente sur les problemes qui concernent la femme. C`est ironique qu`il n`a pas pris une voix devant la misere de la femme, puisqu`il parle du motif de son engagement qui devrait etre sa conscience en tant qu`un croyant fidele. On sait qu`il s`engage en politique et en societe. Cependant, pourquoi n`a-t-il pas prodigue les paroles sur les etats pitoyables de la femme. A cause de sa religion? Oui, certainement! C`est a cause de sa responsabilite, parce qu`il se sent le joug pesant comme un catholique. On doit donc le classer comme antifeministe. Parce qu`il cherche une image ideale feminine a sainte Marie qui concorde avec la femme tradionnelle et qui garde la virginite. Les femmes se soumettent aux traditions familiale et sociale. Elles doivent s`occuper des affaires domestiques sans etre consciente de l`inegalite des sexes. Tout au long de la vie des femmes, seul le sacrifice pour la famille leur a ete exige. Elles n`ont pas leur vie personnelle pour soi-meme. Pourtant, la femme nouvelle ne peut pas etre coinside a Sainte Marie parce qu`elle est egoiste, elle ne connait que soi-meme. Elle ne met pas en pratique l`amour et le sacrifice pour sa famille et ses enfants. C`est qu`il accepte la femme nouvelle qui nie la maternite fera donc agir la propre theorie chretienne. C`est qu`il garde le silence a propos des problemes sur la femme, en tant que chretien, c`est un dilemme comme ecrivain chretien qui s`engage. Il a voulu devenir un temoin de christ en pratiquant l`amour et en respectant les valeurs humaines. Il ne peut pas donc nier la femme de la Bible. Quant a lui qui suit la voie du Christ en respectant les dogmes du christianisme, ce sera ce qu`il nie sa propre vie. Pourtant, Mauriac n`accepte pas toutes les conditions feminines sans conscience problematique. Il a de la compassion pour la femme. Seulement il est furieux d`aller a l`encontre de la providence naturelle. Il a prodigue des louanges a la femme qui sait ressentir de l`amour dans le principe chretien. Il faut qu`il y ait du sacrifice et du service dans le fond de cet amour, parce que c`est ce qui fait scintiller en l`amour vrai dans le sens chretien.

      • KCI등재

        이화여자전문학교의 『여류가곡집』(1932) 출간과 그 의미

        신혜승 ( Shin Hye Seung ),김은영 ( Kim Eun Young ),공애희 ( Kong Ai Heui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1

        본 논문은 이화여자전문학교 졸업생들의 작품집 『여류가곡집』(1932)에 대한 고찰이다. 본고는 학교설립 초기부터 영어와 찬송을 강조했던 이화학교사(史)에서 1932년 『여류가곡집』 출판을 계기로 전문음악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표명한 사건이었다고 평가한다. 전체 여성 중 극소수에 불과했던 여학교 출신의 신여성들은 자신들이 동시대 여성들과 구분된 근대교육의 수혜자라는 자부심이 있었지만 스스로의 미래 앞에서는 전통적 여성상인 가족공양과 현모양처로서의 역할과 개인의 진로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었다. 1920년대까지 여성교육의 목표는 현모양처의 양성에 있었고 음악과 학생들은 스위트 홈을 구성하는 데 있어 최고의 ‘규수감’으로만 인식되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 들어 일간지에서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놓고 사회적 논쟁이 일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이화 출신 여성음악가도 빠지지 않고 거론되고 있었다. 『여류가곡집』의 출간은 근대의 경향인 서양음악의 부각과 여성의 대두라는 시대상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로, 본 논문에서는 여성음악가의 사회적 의미와 함께 『여류가곡집』에 참여한 작곡자 개개인의 면모와 작품을 분석하고 향후 그들의 활동 및 역할을 조명해보았다. 1928년 이후 이화여전 음악과 학생들은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대외활동을 통해 음악적 성취감을 맛보는 경험을 했지만 여전히 남성 중심의 주류음악계에서 이화여전의 새로운 시도는 단속과 규율의 담론 안에 갇히고 있었다. 그럼에도 ‘여류’라는 용어를 전면에 부각한 가곡집의 출간은 음악계뿐 아니라 이화의 학교사에 있어서도 큰 분기점을 이루는 ‘도전’이며 향후 여성음악가 성장의 중요한 견인차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Collection of Femme Lieder (1932), a collection of works by graduates of Ewha College.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Femme Lieder is a concrete example of the emergence of Western music and the rise of women, which are a modern tren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works of individual compos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llection of Femme Lieder, and examine their activities and roles in the music field. Since 1928, Ewha’s students have experienced a sense of musical achievement through active and extensive external activities. However, in the male-centered mainstream music field, Ewha’s new attempt was trapped in the discourse of crackdown and discipline. Nevertheless, it can be said that the publication of the Song Collection composed by Ewha womans, which emphasized the term ‘woman,’ was a ‘challenge’ that constituted a major turning point not only in the music field but also in Ewha’s history. It can also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women musicians.

      • KCI등재

        연구논문 : 17세기 초 영국의 “여성논쟁”과 여성의 다른 목소리 -스웨트남 논쟁(Swetnam Controversy)을 중심으로-

        배혜정 ( Hye Jeong Bae ) 영국사학회 2013 영국연구 Vol.29 No.-

        근대 초 ‘여성논쟁’은 영국 페미니즘 역사의 시발점이었다. 1610년대 ‘스웨트남 논쟁’(Swetnam Controversy)에서는 여성혐오사상에 대한 여성의 항의가 최고조에 달했다. 논쟁 촉발자 스웨트남이 강도 높게 여성을 비난했기 때문이다. 그는 중산층 독자를 겨냥하여 여성혐오사상을 더 아래로 확산시켰다. 이에 반발하며 등장한 스페이트(Rachel Speght)와 소워남(Ester Sowernam), 문다(Constantia Munda)는 여성의 자질과 가치를 재평가했다. 스웨트남주장의 오류를 지적하기도 하고 성서를 재해석하여 여성의 존엄성을 입증할 뿐 아니라 여성의 우월성까지 시사했다. 하지만 남녀의 본성 차이를 강조함으로써 구성된 성이라는 젠더의식이 약했고 여성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부족했다. 그렇지만 페미니즘의 발전에서 여성옹호론자의 기여는 적지 않다. ‘스웨트남 논쟁’이 오늘날에도 의미 있는 이유는 이전과 다른 여성의 목소리를 우리에게 들려주기 때문이다. 이들은 여성을 차별받는 하나의 집단으로 인식하고 여성혐오사상에 맞서 여성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다. 이런 점에서 ‘스웨트남 논쟁’에 참여한 여성옹호론자들은 페미니즘을 향한 첫걸음을 내딛었다고 볼 수 있다. The querelle des femmes from which the voices for women raised for the first time in public was a starting point of the feminist history in England. The noticeable counterattack of women against the traditional misogynist viewpoints was started in the so-called ``Swetnam Controversy`` in the 1610s. Because Swetnam blamed and denigrated women intensely. He spreaded misogynist thoughts widely, mainly targeting at the middle class. The defenders of women such as Rachel Speght, Ester Sowernam, and Constantia Munda refuted his misogynist arguments and defended the value of women. They tried not only to recover the dignity of women, but also to suggest the superiority of women, pointing out mistakes in his text and reinterpreting scriptural phrase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ir voices due to their earliest activities to announce feminine responses over the debate, however, they lacked critical perspective of the states of women in their time, while still remaining in adopting the natural differences between man and woman. However, we can`t underestimate thei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 feminism. In these days, ``Swetnam Controversy`` is important in that they defended themselves and other women by woman voice. They reevaluated the nature and capacity of women and raised women`s pride, perceiving women as a disadvantaged group. The advocates for woman in ``Swetnam Controversy`` thus took the first step toward feminism.

      • KCI등재

        아녜스 바르다, 여성의 역사, 영화적 실천

        변재란(Byun, Jaira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누벨바그의 유일한 여성감독이었던 아녜스 바르다Agnes Varda(1928~2019)의 시네페미니즘 실천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이다. 바르다의 데뷔작인 <라 푸엥트 쿠르트로의 여행>(1954)은 누벨바그의 진정한 첫 번째 영화였으며 이른바 도제 시스템과 문학적 시나리오에 기반한 ‘장인 중심의’ 영화 시스템의 관행과 단절을 이뤄내며 ‘새로운 영화’의 시작을 알렸다. 사진에서 출발, 시간을 기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영화로 전환한 아녜스 바르다는 이미지의 흐름을 통해 ‘영화로 글쓰기 cinecriture, cinemawriting’를 시도했다. 이를 통해 실제 삶에서 중요하고 절실한 문제를 다루지 않고 형식적인 면에서도 진부한 상업영화 와는 다른 방식의 영화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자신의 영화를 통해 드러냈다. 이미지와 사운드라는 영화적 장치를 통해 현실적 시간을 상기시키며 영화를 통해 삶속의 죽음에 대해서 질문했던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1962)의 바르 다는 60년대와 70년대 그리고 80년대를 지나며 누군가의 죽음을 재현하는 증언 자로서의 역할로 나아간다.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넘나들며 ‘여성의 초상’ 을 그린다는 점에서 <클레오>와 <방랑자>(1985)는 유사한 지점이 있다. 보여지는 존재로부터 바라보는 주체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을 다룬 <클레 오>처럼 <방랑자>는 여성의 독립, 자유에 대한 갈망, 탄생과 죽음의 순환 등에 대해서 질문했다. 바르다의 첫 색채영화인 <행복>은 과도한 음악과 화려한 색채로 결혼제도의 아이러니를 드러내며 남성과 여성에게 강요되어온 젠더체계가 얼마나 공고한가를 냉정히 제시한다.1972년부터 본격적으로 여성주의 운동에 참여한 바르다는 페미니스트 뮤지컬인 <노래하는 여자, 노래하지 않는 여자>(1977)에 프랑스의 여성 재생산권의 역사를 기입한다. 자신의 경험이기도 한 343명의 낙태선언, 시위, 보비니재판 같은 많은 투쟁후에 여성이 낙태가 가능한 법적 지위를 확보하기까지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프랑스 사회를 연대기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임신한 여성을 둘러싼 모순적 현실을 보여준 <오페라 무페 거리>(1958), <여성들의 답변>(1975)과 함께 모성을 다룬 3부작이 된 이 영화는 그 전경에 다른 기질, 배경을 가진 두여성 인물들을 배치해서 매우 다른 삶을 살았지만 동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으로서 격을 수 있는 여성의 몸을 둘러싼 권리를 발견하고 삶을 헤쳐 나가는 과정을 우정 어린 목소리로 기록해나간 것이다. 바르다는 자신의 영화에 대해서 다큐멘 터리적인 측면이 없는 극영화는 없으며 미학적인 의도가 없는 영화는 없다는 신념을 모순의 병치를 비롯한 자신의 미학으로 표현했다. 여성이 자신감을 되찾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시네페미니즘으로 실천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e process of cine-feminism to Agnes Varda who was the only female director of Nouvelle Vague. La Pointe Courte (1954), her devout, was the first genuine Nouvelle Vague movie that cut off the metteur en scence centered cinema system, based on apprenticeship and literary scenario, and announced the beginning of the new era . Converted to cinema, from photograph adding time, Agnes Varda tried cinécriture (cinema-writing) via flow of images. This led to her intention, making types of movie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commercial ones which hadn t dealt with the important and crucial problems of real life but filled with mundane cliche; which was shown through her work. Using cinematic tools like image and sound, Varda reminded practical time and asked about death within life by Cleo De 5 A 7 (1962). From sixties through eighties, she took a role as a witness who had represented someone s death. Cleo and Sans Toit Ni Loi (1985) had something in common, illustrating women s portrait by crossing over boundaries of fiction and documentary. Like Cleo, which drew a journey to find one s identity as not an observed object but a watching subject, Sans Toit Ni Loi (Vagabond) questioned about women s independence, longing to be free, and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 Varda s first color movie, revealed the irony of marriage institution with excessive music and vivid tone, and cynically presented how firm the gender system, which forced itself to men and women, was. Varda, who earnestly participated in feminist movement from 1972, chronically documented France society from 1960s to 1970s, when women attained the legal right for abortion after 343 abortion declarations manifesto, protests, and the Bobigny trial, in L Une Chante, L Autre Pas(One Sings, The Other Doesn t) (1976). L Une Chante, L Autre Pas became one of the three movies that dealt with motherhood along with L’Opera-Mouffe (1958), which showed ironical reality around pregnant women, and Reponse de femmes: Notre corps, notre sexe (1975) that came after. Those diverse women in her works carried different bodies and practical terms that made difficult to define in one word; and, L Une Chante, L Autre Pas was also along the line.It described the revolution of law and institution with two women who had different disposition and background so that it could portray two very different but contemporary lives as women: discovering their reproductive right, and working their ways through life. Varda was a director who cinematically practiced her belief - not one film drama had zero contradiction-juxtaposion, documentary side, or aesthetics intention - with her own cine-feminism - there were various ways to find one s confidence an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