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Ⅱ) - 2차 제천시설 ‘선돌 2柱 · 積石 方壇 · 祭天祠’를 중심으로 -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7 No.-

        Wanfabozi萬發撥子 relic is just the typical ‘Heaven Ritual relic’, which was condens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Maek貊 race(the chief race of Korean race)’s Heaven Ritual culture during B.C.4000~A.D. 600, from Baedalkook倍達國 to Goguryeo高句麗. It was consisted of two facilities, i.e. ① primary facilities: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and ② secondary facilities: two sets of Menhir·stone mound square altar·shrine for Heaven Ritual. The chinese excavation and research on Wanfabozi was original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e Liao-ho river遼河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長白 culture theory’, but the excavation results revealed the fictitious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For the chinese side, the most serious and confused problem of the excavation results was the origins and thecurrent succession of the ancient civilization in Northeast Asia. Firs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prim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The typical Heaven Ritual culture of Baedalkook based on Sundo仙道 thoughts was formed in Liaodong遼東, the west of Mt. Baekdu白頭 area(Baedalkook Cheonpyeong天坪 culture) and spreaded to Liaoxi遼西, Uaryang牛河梁 area(Baedalkook Cheonggu靑邱 culture) and Cheonggu culture spreaded to Zhongyuan中原 area through the Yin殷 dynasty again. According to this cultural propagation path,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hing but the west of Mt. Baekdu area(Cheonpyeong culture). Nex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second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Heaven Ritual culture of Maek race had been widespread in ‘Liaodong ~ Liaoxi area’ since B.C. 4000 and it had been pushed to ‘the west of Mt. Baekdu ~ Korean peninsula area’ during Bronze Age ~ Early Iron Age, i.e. Dangun Josun檀君朝鮮~Yeolgug(列國, the age of division of small countries after the collapse of Dangun Josun). In short, Baedalkook civilization had been succeeded to Korea, not China. The chinese side(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國家文物局), which could not accept these excavation results, concealed Heaven Ritual facilities of Wanfabozi relic finally, and concealed all altars of the west of Mt. Baekdu which were excavated in the 1990s too. 1990년대 중국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정립 과정에서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중 가장 전형적인 홍산문화계 고제단으로 지목, 전면 발굴이이루어졌던 만발발자 유적은 B.C.4000년~A.D.600년 무렵, 곧 배달국~고구려시기 한민족의 주족인 맥족계의 선도제천문화가 성립·변천되어가는 과정을 집약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더없이 귀한 유적이다. 유적은 제천·주거·무덤시설로 이루어졌는데 제천시설이 중심이며 나머지 시설은부속시설에 해당한다. 제천시설은 다시 1차 시설 ‘3층원단(모자합장묘)· 방대’, 2차 시설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로 나뉜다. 만발발자의 1차 및 2차 제천시설은 크게 보아 B.C.4000년~A.D.600 년 무렵(정식 발굴을 거쳤을 뿐아니라 가장 넓은 시기값을 지닌 만발발자유적의 시기를 기준으로 함) 요동·요서·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나무솟대·제천사·선돌·고인돌류)’ 계통으로 중원지역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형태였다. 중국측의 만발발자 유적 발굴은 애초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증명하기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동북아 상고문화의 기원과 계승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첫째, 1980년대 이래 요서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북아 상고사 연구를 요동 중심으로 돌려 놓았다. 둘째, 중원문화의 기원이 배달국 요동~요서 문화였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원문화가 배달국문화의 본령인 선도제천문화의 전형을 제대로 전수하지 못하고 지역문화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수용할 수 없었던 중국측은 만발발자 유적중 제천시설 부분을 은폐하며, 더하여 1990년대 발굴조사되었던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 전체를 은폐하게 된다.

      • KCI등재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1990년대 중국측은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라 백두산 일대에서 홍산문화(선상문화 · 예제문화)의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고 일차적으로 백두산 서편 통화지역의 적석 단 · 총에 주목하였다. 통화 일대의 고제단 연구는 1989년 여명 제단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는데, 중국 당국의 주목을 받아 1990년대 10여년간 만발발자 제단 및 여명 제단을 위시하여 무려 40여기에 이르는 고제단군이 발굴조사 되었다. 발굴 결과를 종합해보면, 백두산 서편 제천유적의 기본 성격은 B.C.4000년~A.D.600년경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로 정리된다. 이는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B.C.3500년~B.C.3000년경)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계승되었다. 필자는 이상의 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 ② B.C.3500년~B.C.3000년경 요서 우하량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③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을 동일 계통 유적으로 보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총칭해보았다. 중국측이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추진해간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지역을 관통하던 ‘맥족계 선도제천문화권’의 존재가 드러난 것이다.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Ⅰ) - B.C. 4000~3500년경 ‘3층원단(層圓壇)(모자합장묘(母子合葬墓))·방대(方臺)’를 중심으로 -

        정경희 ( Jung Kyung-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6 No.-

        본고는 1990년대 중국측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정립 과정에서 백두산 서편 통화 일대의 고제단군이 주목된 이래 10여년에 걸친 연구 결과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대신 요서·요동·한반도 지역을 관통하고 있던 ‘맥족계 제천문화’의 실상이 드러나게 되었음을 밝힌 글이다. 더하여 맥족계 제천문화가 시기·형태·규모 면에서 요서 후기 홍산문화기에 나타나는 난숙한 제천문화의 祖形이 됨을 밝힘으로써 동북지역 상고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 전환이 필요함도 제안하였다. 백두산 서편의 고제단군에 대한 중국측의 10여년의 연구 과정은 1995년을 기점으로 전·후기로 나뉜다. 본고에서는 연구 후반기, 그중에서도 특히 1997~1999년간 동북지역 최초로 체계적이고 대대적인 발굴이 이루어졌던 통화지역의 ‘만발발자 고제단’을 중심으로 하였다. 만발발자 유적은 제천시설·주거시설·무덤시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중에서도 제천시설이 중심이며 나머지 주거시설·무덤시설은 부속시설에 해당한다. 제천 시설은 후기 신석기 이래 고조선시기를 거쳐 고구려시기까지 지속되었는데 크게 ①1차 시설 : 3층원단(모자합장묘)·방대, ②2차 시설 : 환호·선돌2주·방단·제천사로 나뉜다. 본고에서는 1차 시설을 고찰하였다. In the 1990s, the chinese academic circles sought to find elements of Hungshan Culture(Ritual禮制 Culture, Pre-Shang先商 Culture) in Mt. Baekdu area according to ‘the Liao-ho river遼河 civilization theory - the Mt. Changbai長白 culture theory’. Especially they paid attention to the stone mound altar·tomb(the ancient altars) in Tonghua area, the west of Mt. Baekdu. Tonghua area was the center of Maek race(the chief race of Korean race)’s cultural domain, the west of Mt. Baekdu which has been populated and flourished since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research on the ancient altars in the west of Mt. Baektu began in 1989 with the discovery of ‘the Liming黎明 altar’ in Tonghua, which received the attention of the chinese academic circles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about 40 altar relics were surveyed or excavated until 1995. To the next step, based on these successful research results, the systematic and massive excavation on ‘the Wanfabozi altar’ in Tonghua was conducted during 1997~1999. The Wanfabozi relic was consisted of Heaven Ritual facilities, Residential facilities and Tomb facilities. Among them, Heaven Ritual facilities are the main facilities, and the remaining Residential facilities and Tomb facilities are the attached facilities of Heaven Ritual facilities. Heaven Ritual facilities continued from the late neolithic period(Baedalkuk倍達國) to Dangunjoseon檀君朝鮮 and Koguryo高句麗 period and it was consisted of ①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facility, ② the moat · two sets of Menhir · square altar · Shrine for Heaven Ritual facility. In this paper, the first facility was reviewed.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was B.C. 4000~3500. And the way that mother and son were buried together and the bear clay statue(Doung陶熊), jades and pottery with swastika excavated from the tomb showed that Bear熊 race(later Maek貊 race) in the late neolithic maternal society with bear-belief tradition, had embraced the advanced Heaven Ritual culture based on Sundo仙道 thoughts such as ‘Chun天·Ji地·In人(Circle·Square·Triangle)’ Thoughts(The idea of One-Three). These excavation results notices the change of research trend on the ancient history of East Asia, centering on liaoxi遼西 area since 1980s. Especially chinese scholars, according to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have argued that Hungshan culture in Liaoxi area was spread to Liaodong遼東 area as well as Zhongyuan中原 area. But the excavation results of Wanfabozi altar shows that the typical Heaven Ritual culture based on Sundo thoughts was formed in Liaodong area and spreaded to Liaoxi area, and was in full bloom in Liaoxi area and again spreaded to Zhongyuan area. This is why the chinese official reports on Wanfabozi relic(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國家文物局’s) completely concealed Heaven Ritual facility.

      • KCI등재

        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 확대와 백두산의 ‘선도(仙道) 제천(祭天)’ 전통

        정경희 ( Jung Kyung-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4 No.-

        요하문명론의 요체인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론’은 애초 중원이나 요서 지역에 대한 이론으로 출발하였으나 점차 요하문명의 동쪽, 곧요동·한반도 지역으로도 확대되었고 이 과정에서 요하문명의 동진 이론으로서 ‘장백산문화론’이 등장하였다. 장백산문화론의 기본 구도는 한민족(예맥족)계의 종족적, 문화적 의미를 철저히 배제한 위에 종족적 주체로 숙신계(후금·청대 이후 화하족(한족)화하였기에 화하계로 인식), 문화적 주체로 화하계를 드는 방식이다. 요하문명론의 ‘홍산문화→하가점하층문화→은상문화’ 계통론은 장백산문화론에 이르러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하가점하층문화→은상〕→(연·)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고구려·부여→발해’ 계통론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계통 인식은 요하문명론의 은상족 중심의 역사인식을 확장한 것으로 연과 기자조선은 물론 고구려·부여까지도 은상계국가임이 강조되었고, 이로써 한국사가 뿌리에서부터 말살되었다.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른 모든 부면의 주제들이 실상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론’의 확대·부연이기에 그 오류 교정에 있어 ‘홍산문화(선도문화·배달국문화)’의 기준점은 한결같이 중요해진다. 1990년대 후반 중국측은 장백산문화론을 입증하기 위해 백두산 일대에서 발견된 고제단들에 ‘홍산문화(예제문화, 선상문화) 계통론’을 투영하였다. 결국 홍산문화기 요서 홍산문화 일대와 요동 백두산 일대를 관통하였던 제천 문화의 양대 중심이 확인,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의 오류가 드러났다. 홍산문화기 요서 홍산문화 일대와 요동 백두산 일대를 관통하였던 제천 문화의 양대 중심에 대한 문헌 기록으로는 배달국의 양대 중심지로 신시(백두산 지역)와 청구(홍산문화 지역)를 제시한 한국측 선도사서가 있다. 중국측은 장백산신앙을 화하계 문화로 몰아가는 것이 불가능해지자 장백산신앙의 중심을 숙신계 샤머니즘으로 변경한 후, 숙신족이 중원왕조화한 금·청대 이후 장백산신앙이 샤머니즘의 차원에서 중원왕조의 산악숭배 차원으로 변모되어갔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장백산신앙의 중국적 귀속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숙신계 샤머니즘은 단순한 숙신계 고유의 샤머니즘이 아니라 배달국·단군조선 이래 선도문화권이었던 동북아 일대의 보편적 선도 제천 문화가 숙신화한 형태였다. 중국측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도 불구하고 결국 예맥족계의 선도 제천 문화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The cor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Hungshan Culture(Ritual禮制 Culture, Pre-Shang先商 Culture) theory’ started as a historical theory on Zhongyuan中原 and Liaoxi遼西 region in the first place. It was gradually expanded to the east region of Liaoxi, Liaodung 遼東 and Korean peninsula. In this process, ‘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was emerged as the easting theory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The basic structur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is that the ethnic center is Manju people(prescribed as a Chinese people since Jin and Qing dynasty) and the cultural center is Chinese people excluding the primary status of Korean people in terms of ethnic group and culture. The genealogy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had broadened to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Yen dynasty·)Kija Chosun箕子朝鮮→Wiman Chosun衛滿朝鮮→ Four Commanderies of Han dynasty→Goguryeo·Buyeo→Balhae’. This genealogy is the extansion of the historical awareness focused on Shang dynasty, the basic historical aware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According to this historical awareness, Goguryeo, Buyeo and Balhae as well as Yen dynasty and Kija Chosun were emphasized as a descendant of Shang dynasty. With this, Korean history was abolished from the root. As the starting point for all distortions by China is ‘Hungshan Culture(Ritual Culture, Pre-Shang Culture) theory’, the starting point for all correction of it is just ‘Hungshan Culture(Sundo仙道 Culture, Baedalkook倍達國 Culture) theory’. In the late 1990’s, chinese scholars began to apply ‘Hungshan Culture(Ritual Culture, Pre-Shang Culture) theory’ to the ancient altars that were found in the region of Mt. Baekdu to prove their ‘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At last, the two main centers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Hungshan Culture region and Mt. Baekdu region has come into view and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is exposed to error. Here we can understand that the tradition of Sundo Heaven rituals was diffused from Liaoxi to Liaodung since Hungshan Culture. According to history books of Korean Sundo, Sinsi神市(Mt. Baekdu region) and Cheonggu靑邱(Hungshan Culture region) were just the two main centers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during Baedalkook period. When chinese scholars got to know that they were unable to drive Mt. Changbai culture - especially ‘Mt. Changbai Faith’ to the chinese culture, they changed the center of ‘Mt. Changbai Faith’ to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as the next best thing. And they advocated that the ‘Mt. Changbai Faith’ belongs to chinese culture because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was changed to chinese Mountain worship(Ritual Culture) since Jin and Qing dynasty. But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was not merely their inherent shamanism, just but a type of the universal Sundo Heaven rituals of northeast asia since Baedalkook period. In spit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China just got to meet Korean Sundo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