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개신교 여교역자의 인권

        이정숙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3 아시아여성연구 Vol.42 No.-

        초기 한국개신교 교회는 여성 해방의 종교로 소개되었고 여성교육을 주도하고 여성의식을 계발하여 가정과 교회, 그리고 사회에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인간으로 살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고 평가된다. 한편 1970년 이후 급성장한 한국교회는 오히려 여성억압의 종교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의 주된 이유는 남성중심적 한국교회 구조가 여성의 역할을 고정시키고 여성지도자, 특별히 여교역자에 대하여 성차별적 대우를 하고 있다는 데 근거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교회 여교역자들의 인권이 침해당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각 교단의 여성안수현황과 여교역자의 교역실태조사를 통하여 여교역자들의 인권의 현주소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 이 논문은 첫 번째로 여성안수에 관한 이론적 토론을 정리하고 있다. 성서와 관련하여 여성안수는 성서의 여성관련구절을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의 문제로 교회역사 속에서 여성들의 지위와 역할을 규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어온 것을 볼 수 있다. 개신교가 여성안수를 허용한 것은 성서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성서를 읽는 자들의 역사적 맥락을 중시하는 결과이지만 이러한 해석이 모든 개신교 교단에서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두 번째로는 한국교회 여성안수의 교단별 현황을 다루고 있다. 여성안수의 허용여부는 단순히 성경해석만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부정적으로는 한국문화의 여성비하적 요소, 긍정적으로는 교회성장을 위한 대안으로서 여성안수가 다뤄지고 있다. 세 번째에서는 다양한 여교역자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여교역자의 교역실태를 분석하고 있다. 여교역자들은 일반적으로 낮은 임금과 제한된 교역내용(심방과 상담)을 담당하여 교회전체의 교역자라기보다는 여신도 전담의 교역자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안수를 받은 여교역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소명감을 더 확인하고 교역조건에서나 경제적으로도 더 나은 대우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안수가 여교역자에게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결론으로 필자는 여성안수의 범교단적 확대와 여교역자에 대한 대우개선, 여교역자들의 공적참여도 확대 등을 여교역자 인권개선안으로 들고 있다. While in its early history, the Korean church was known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liberation of Korean women, the modern Korean church is often criticized for being male-oriented in its structure and for being discriminatory against women leadership. In the first place,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is criticism is that the church does not support women in carrying out their calling, that is, women's ordination. Several churches are still strongly opposed to the discussion of women's ordination. Secondly, the church does not treat women clergy equally with their male colleagues. This article attempts to deal with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women's ordination, and the work condition of women clergy in the Korean church in three stages: 1) the validity of women's ordination based on biblical and historical discussion, 2) the present situation of women's ordination by denominations, 3) the analysis of the work condition of women clergy based on the surveys. In the denominational discussion of women's ordination, cultural and church growth factors are considered to be as significant as biblical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surveys which had been conducted by organizations, denominations, and persons (including the author's own), it is clear that women clergy feel more confident and secure after their ordinatio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y are mistreated in the church. Specifically, their job description is often confined to home visitations and counseling (especially for unordained clergy women) regardless of the wishes of women clergy. Their salary is lower than male clergy. Another inherent problem is that women clergy have a hard time finding full-time positions in local churches. Although low income and less appealing work conditions seem to be universal rather than particular, the remaining Confucian culture also plays a negative role in the Korean church. In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s three things in order to minimize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women clergy in the Korean church by promoting the following three resolutions: 1) adoption of women's ordination in the denominations which had rejected women's ordination, 2) correction of mistreatment of women clergy and promotion of equality in work, and 3) increase of women's represent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es of the church.

      • KCI등재

        한국 교회 여교역자의 목회 경험 사례 연구와 치유를 위한 여성신학적 제언

        이난희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본 연구는 치유를 요청하는 한국 교회의 여교역자들의 목회경험을 심층면접 방법 으로 연구하여 그들이 당면한 신학적 및 목회적 문제들을 여성신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중요한 핵심 요소들로 교리와의 관련성, 군사문화와의 관련성, 치유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연구하였다. 과거세대 여교역자들의 목회 경험은 전쟁과 가난의 고난, 성차별적 교회 구조 안에서의 무조건적인 인내와 순종, 담임목회 자를 보조하는 보조자로서의 역할 전담을 보여주었다. 현재세대 여교역자 2인의 목회 경험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발견하였다. 최목사는 가부장적 환경에서 여성의식이 생겨났고, 학생운동 여성운동과 기독교의 결합을 시도해 왔다. 그녀는 미혼 여교역자의 불안을 경험하였고, 남녀 대립 을 치유하기 원하며 나아가 비혼, 이혼, 재혼 가정 등 모든 가족 형태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포용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기존의 남성중심적 교회에 얽매이기 보다는 새 롭고 자유로운 형태의 목회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목사는 기혼 여교역자로서, 가사노 동과 자녀양육뿐 아니라 목회활동을 같이 감당하는, 이중 부담과 이중 차별을 경험하 였다. 그녀는 여교역자 자신도 성차별적인 교회 안에서 많은 상처를 받으므로 치유되어야 한다고 보며, 기존의 남성중심적 교회 안에서 보조적 역할만을 하기 보다는 새 로운 목회를 지향하며 시도하고 있다. 결론에서 본 연구자는 교회내 견고한 위계질서의 연쇄체와 남성적 군사문화를 극 복하며, 교인들을 교회에 머물게 하기 위해 죄와 공포의 교리를 이용하는 것을 극복 해야 한다고 보았다. 여교역자의 좌절과 상처를 초래하는 모든 것을 죄로 보는 포괄 적 이해를 제시하였고, 평신도뿐 아니라 여교역자들도 치유를 필요로 함을 밝혔으며, 방어적, 소극적이 아닌 여교역자들의 경제적, 재정적 상황까지도 개선하는 적극적, 물 질적 치유가 행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research paper tries to study women pastors’ pastoral experiences through a method of in-depth interview and to analyze theological and pastoral problems facing them from a 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under the circumstances of plummeting credibility of Korean churches and Covid 19 crisis. I pointed out crucial factors in the study of women pastors’ pastoral experiences such as relevance to doctrines, relatedness with military culture, and necessity of healing. Pastoral experiences of women pastors (or not ordained evangelists) of the past generation showed mostly suffering from Korean war and poverty, unconditional endurance and obedience in the gender discriminatory structure of church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 women pastors that I had, I could find out the following facts and implications. Rev. Choi, 56 year old, confessed that she had experienced a serious feeling of instability or mental anxiety when she had served and worked in the churches as a single woman pastor. She wants to heal and overcome the antipathy or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In addition, she hopes to include all various forms of family and household such as being single or divorced or remarried. Rev. Choi does not want to belong to the existing male-centered churches, so she encourages younger women pastors to attempt a new type of pastoral care, again and again. Rev. Lee said that she experienced double gender discrimination because she had to do the household works, raising children as well as studying, pastoral care as a married woman pastor. She claims that pastors must overcome using doctrines of sin and fear related with sin. She asserts that many women pastors go through hard times due to hurts originated from unequal church structure, and that women pastors need healing desperately. In conclusion, I argued that churches must overcome a chain of hierarchy of male and female/ pastor, elder and lay people. I also asserted that churches should stop making use of doctrines of sin and fear for the purpose of making people not leave the churches. I argued that the concept of sin should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and that sin is what violates God’s image in women pastors, thus what brings about their hurts and frustration. My last point is that healing must be not a defensive, passive one but an active, material healing.

      • KCI등재

        교회 내 여교역자 인권의 실태와 처우 개선을 위한 제안 ― 한국기독교장로회를 중심으로

        이영미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3 신학연구 Vol.60 No.1

        The present paper aims to suggest an alternative policy and system that may improve the human right of women pastors in the churches, especially in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PROK). The discussion is based on the report on “the Survey of the Women’s Human Right in the PROK,”(2022 Report) summarized by JI&Com Research.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he Standing Committee of Gender Equality, PROK, in cooperation with the Women Ministers’ Association of PROK and PROK Women’s Networking. This paper withdraws four main issues for the improvement of women pastors’ human rights and the aboli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the church. Most of all, the church must change the member’s consciousness of patriarchal church system that roots in Korean Confucianism and need to offer gender education. The 2022 report shows 65.0% of the respondents see the reason of sexual discrimination of the women pastors comes from the patriarchal culture and tradition, followed by male-centered theology. The education needs to be regular and open to the pastors and elders, as well as church members. Second, the 2022 report shows that the hierarchical and male-centered decision making system is the most serious obstacle that blocks the democratization of communication in the church. For the democratization of decision making, the Presbytery urgently adapts the gender quota system in the election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General Assembly,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Presbytery, and the church leaders in the individual churches. The 2022 report suggests the proper percent of gender quota is 30~50% of women representatives. Third, the 2022 report points out the area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pastors are in the order of the calling process of pators( 51.4%), work position based on the sex-role stereotype conception( 44.5%), wage(24.1%), decision making(22.3%), church rituals( 19.6%). Especially, the high rate of the response(91.7%) supports the need of the maternity & parental leave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hild caring. The policy must be legislated in the church law. The presbytery needs to prepare a strategic manual for the churches. The church also may consider telecommuting work and commuting flexibility for the child rearing pasto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solidarity of women pastors and co-working pastors. Many pastors confess the experience of the encouragement by co-working pastors in the context of discrimination when they stand up against the misogyny. 이 글은 한국기독교장로회 양성평등위원회가 최근 실시한 「기장 내 여성인권 실태조사 보고서」(이하 2022년 보고서)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기장 여교역자의 인권 상황과 처우 개선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2년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인식 개선과 성인지 감수성 향상을위한 교육의 필요성, 교회의 위계적, 남성중심적 의사결정 구조의 민주화와이를 위한 여성, 청년 할당제 확대, 출산, 육아휴직 제도의 법제화와 총회차원의 재정적 지원 등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2022년 보고서는 여성 목회자가 남성 목회자와 동등한 존중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가부장적 문화와 관습’(65.0%)과 ‘기독교 신학이 남성 중심적으로 해석되어 왔기 때문’(40.2%)임을 보여주었다. 목사와 장로뿐 아니라 교회 구성원들의 관습과 문화 그리고 신학 전반에 걸쳐 성평등적 인식을 갖추도록 교육이 성평등적 성서 재해석과 함께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2022년 보고서는 교회 내 위계적, 남성 중심적 의사결정 구조가 성평등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교회 내 여교역자의 처우 개선을위해서는 교회의 위계적, 남성 중심적 의사결정 구조의 민주화가 바탕이되어야 한다. 의사결정 구조의 민주화와 관련해서, 장로교단에서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총회에 파송되는 총대와 관련된 할당제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제기되었고, 가장 적절한 여성할당제의 비율을 30~50%였다. 2022년 보고서는 여성 목회자의 불평등 분야로 ‘목사 청빙 때’(51.4%), ‘남녀로 역할이 고정된 업무 배치(심방, 손님 대접, 교회학교 담당 등)’(44.5%), ‘사례(임금)’(24.1%), ‘결의기구에서의 배제’(22.3%), ‘교회 예식에서의 배제/소외’(19.6%) 순의 응답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특별히 여성 목회자들의업무 지속성과 처우 개선을 위해서 출산/육아 휴직제도 마련의 필요성과시무권 보장에 대한 대책 마련에 대한 요청이 가장 높게 나왔다. 출산/육아휴직에 대한 정책을 마련하자는 헌의안이 제106회 총회 때 통과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방안이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제도확립 방안으로 출산육아휴직의 법제화와 총회 차원의 매뉴얼 마련, 남녀교역자 상관없이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고, 휴직 시 사례 지원금을 총회의 생활보장제 대상자로 선정하는 대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육아를 감당하는 교역자에게 부분적인 재택근무, 출퇴근 시간의 유연화 등을 배려해주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 끝으로 무엇보다 여교역자들이 동료 교역자들과 서로 인식을 공유하고지지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해 정보를 공유하는 등 공동체로서 역량을 강화해나감으로써 비상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장 여교역자들의 삶, 사역의 실태와 미래에 대한 추구 - 2010, 기장 여교역자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

        김애영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1 신학연구 Vol.48 No.1

        This article gives a detailed crit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statistically shown in 2010 by The Women Minsters Associ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PROK). I have compared the material with the statistics of women-men church ministers of PROK 2007, and have also used other materials written on the question of PROK’s gender equality. The fact that the rate of women ministers in number in our church is very low shows the male exclusiveness of women in our church. Also women theology students in Hanshin University complain very severely about the inequal situations of existing churches of PROK.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women ministers and workers in 2010, we have come to know their situations are very poor and miserable and need to be solved on the whole. Their problems are inseparably related to PROK’s actual system and policy. As a systematic and feminist theologian, I have asserted that their problems must be tackled by PROK’s community itself, raising questions to PROK as such, whether its community be aware of the situations of women ministers, and whether PROK’s community be just and progressive enough for solutions and betterment in the matters of women ministers. Most of women ministers and workers feel satisfied in their ministry and works, in spite of their poor conditions on the whole, of their economic difficulties, and insecurities. They demand a better economic support and a reform of church policy for the betterment of its institution itsel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ake of their ministry. My basic assertion is that women ministers should not remain only in their requests, as above stated. They must claim further that there will be no future hope in the whole PROK Church, unless it make move towards relevant reforms of church systems as such. They do not even dare to demand and raise their open requests for a better economic supports and church reform on the whole. I have attempted to make women ministers to become conscious of their needs of a reform of church institution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