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과 한국인의 여가인식 및 문화 비교 -중국유학생들의 관점에서-

        박진경,주완청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mpare recognition and culture of leisu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addition to this, reasons for the differences identified were to be further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8 Chinese students in Korea through a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from May 2012 to June 2012 by a Chinese researcher.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the concept of the term leisure occupies different mean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due to certain cultural characteristics. While most of the Korean leisure focused on physical activities but Chinese leisure focused on frame of mind. Second, the differences are from a geographic environment and economic situ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ird, the differences are from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s. In particular, Koreans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leisure: groupism, job stress, and health. Finally, that the differences also arise as a result of the different leisure environments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leisure in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문화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 한국사회에 많이 유입되고 있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관점에서 한국인과 중국인의 여가인식과 여가에 대한 문화의 차이를 살펴보고,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해석주의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목적의 규명을 위하여 경기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질적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인들은 여가를 활동의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반면 중국인들은 여가를 마음이 평안한 상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개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이 여가에 대한 차이는 지리적 환경, 경제적 상황에 따라서 여가활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문화적 특성에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여가가 다르게 인식되었는데 한국은 집단주의, 일에 대한 스트레스, 건강지향과 같은 여가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여가환경도 한국인과 중국인의 여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여가인식과 문화에 대한 비교문화연구를 통하여 한국인들의 여가인식 및 문화에 대한 현재 상황을 보다 명료하게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문화적 환경이 다른 중국인들의 한국인들의 여가인식 및 특성을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분석 : 1인미디어 활용자의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황윤미,윤소영 한국여가문화학회 2007 여가학연구 Vol.4 No.3

        온라인상에서의 개인 출판물, 개인 방송물을 뜻하는 1인미디어는 인터넷시대의 새로운 형태의 소통수단이자 여가활용 매체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1인미디어 사용자의 특성 및 여가인식, 그리고 1인미디어로 표현되는 여가활동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경향을 형성하게 된 요인들과 영향들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이 실시한 ‘여가사례 온라인 공모전’ 응모작사례(670점)와 ‘여가인식조사’자료(56점)를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자신의 여가활동을 1인미디어로 표현하는 활동은 20․30대, 여성의 참여율이 가장 높았으며, 1인미디어 사용자는 여가를 대부분 여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1인미디어에 나타난 여가활동은 개인중심 여가활동, 관광지향형 여가활동, 체험형 여가활동의 경향이 강했으며, 이러한 여가활동은 동반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여가활동 참여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 결정요인

        김보람(Kim, Boram),김매이(Kim, May) 한국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생활만족과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여가생활만족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토대로 1955년도 출생부터 1963년까지에 해당하며 여가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1,479명의 표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여가생활만족에 미치는 결정요인은 여가인식, 시간부족, 주관적 건강인식, 근무시간, 성별, 가구원 수 순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행복 결정요인은 여가생활만족, 주관적 건강인식, 여가인식, 지출부담,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즉,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생활만족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예측 변인이며, 여가인식 및 주관적 건강인식은 여가생활만족과 행복에 공통적인 결정요인임이 밝혀졌다. 반면, 여가제약에 있어 여가생활만족에는 시간적 측면(시간부족)이, 행복에는 소득측면(지출의 부담)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부분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유전적, 환경적, 의도적 활동 모두에서 여가생활만족과 행복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결정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앞으로도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생활만족과 행복관련 많은 연구가 다각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baby boome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data of the 1,479 participants who were born from 1955 to 1963 were selected in 2019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data and used for further analyses. Using SPSS 24.0, frequency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leisure consciousness, perceived lack of time,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working hours, gender an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nfluenced the leisure satisfaction of baby boomers significantly; however, leisure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leisure consciousness, burden of expenditure and gender explained the happiness of baby boomers, respectively. Leisure satisfaction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the happiness of baby boomers while the leisure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was important for both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terestingly, perceived lack of time is a significant constraint of leisure satisfaction but burden of expenditure is that of happiness. The most of the results were in line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however,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baby boomers.

      • KCI우수등재

        중년층의 여가인식 및 여가유능감이 여가지속에 미치는 영향

        장성운(JangSung-woon),김건희(KimGun-hee),권순재(KwonSoon-jae)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2

        본 연구는 중년층의 여가인식 및 여가유능감이 여가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도권 중심 40대 이상 중년층을 대상으로 수거한 총 23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 SPSS/PC 20.0을 이용하였으며, 설문문항을 공통요인별로 간편화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일관성 신뢰도분석 및 요인 간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년층의 여가인식은 여가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둘째, 여가인식은 여가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셋째, 여가유능감은 여가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used 237 of the middle-aged cases who reside in the area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isure Recognition and Leisure Competence on Leisure Continuation, and used convenience sampling as the sampling method. For data proces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by using SPSS/PC 20.0 for Windows to simplify common factors of survey questi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has also been performed as well.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Leisure Recogni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Leisure Competence Second, the Leisure Recognition has positive effect on Leisure Continuation Lastly, it is also shown that Leisure Competence has positive effect on Leisure Continuation.

      • KCI등재

        여가제약 요인이 스포츠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포괄적 이해

        전성범(Sung Bum Chun),이민석(Min Seok Lee) 한국여가문화학회 2022 여가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제약 요인이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여가인식 및 건강인식 관련 변인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관계와 함께 분석하여 여가제약 개념을 더욱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의 원자료에서 지난 1년간 지속해서 참여하는 여가활동이 있는 20대 이상 성인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4,107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여가제약 요인, 여가인지, 일-여가 균형, 주관적 건강상태, 성별, 연령, 소득 등이 독립변인으로 설정되었으며, 다양한 참여 여가활동 응답으로부터 스포츠 활동을 분류하여 개인의 스포츠참여 점수를 산출하고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해 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제약 요인 중 시간, 경제부담, 미세먼지가 스포츠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일-여가 균형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스포츠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가제약이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가인식 및 건강인식 관련 변수와 성별, 연령, 소득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하는 모형이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eisure constraints more comprehensivel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leisure constraint factors on sports participation along with the leisure cognition, health perceptions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sampled from the raw data of the 2020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Adults in their 20s and older who have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continuously for the past year were targeted. 4,107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Leisure constraint factors, leisure cognition, work-leisure bal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gender, age, incom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s’ sports participation scores were calculated by classifying sports activities from various leisure activity type responses, which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leisure constraint factors, time, monetary, and fine d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in sports. Second, work-leisure balanc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particip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a model controlling leisure and health perception-related and demographic variables was more suitable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ffects of leisure constraints on sports participation.

      • KCI등재

        청년 1인가구 여가인식탐색 : 네트워크기반 의미연결망분석의 적용

        함연주(Ham, Yeun-Ju),원영신(Won, Young-Shin),김수연(Kim Sue-Yeon)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네트워크 기반 의미연결망 분석을 적용해 우리나라 청년 1인가구의 여가인식을 탐색하고 여가지원정책 연구에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년 1인가구’가 가지는 여가에 대한 태도, 생각 및 의견을 통해 여가인식을 탐색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여가인식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20-34세 1인가구이다. 연구대상은 비확률 표집방법 중 유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설문을 통해 수집 된 201개의 질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어정제 및 주요단어를 선정하고 KrKwic를 이용하여 주요단어의 공출현빈도를 산출한 뒤 KrTitle을 이용하여 행렬을 산출하였다. 이때 산출 된 전체문장은 1206개였으며 추출된 전체 단어의 수는 1945개였고 독립된 단어의 개수는 189개였다. 그 후 UCINET6를 이용해 중앙성 값을 산출하고 Netdraw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으며, CONCOR분석을 통해 군집화 하였다. 연구결과 청년 1인가구의 여가인식은 ‘시간<SUP>*</SUP>’, ‘금전적<SUP>*</SUP>’, ‘일상’, ‘스트레스해소’, ‘부담<SUP>*</SUP>’의 단어를 기반으로 관계와 연결강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청년 1인가구는 여가를 시간적 또는 활동적 정의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여가의 전반적 이미지 및 기능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나 여가 참여조건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또한 청년 1인가구는 여가를 노동을 위한 준비시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network-ba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explore the leisure perceptions among Young Single-Person-Households and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for the study of leisure policy.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leisure perceptions with Young Single-Person-Households through answers related to attitudes, thoughts, and opinions about leisure in their groups, revealing their leisure awareness characteristics. The target of the study is a young single-person-households of one aged 20-34, currently living in Seoul. For the selection of a research target, a significant sample extraction method,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was used to respond to the survey using self-administered method. The data of this study was 201 qualitative major word data collected from through the questionnaire that has been, selected and cleansed. Based on the data I have calculated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of major words using KrKwic, and calculated the matrix using KrTitle. The total number of calculated sentences was 1,206 and the total number of extracted words was 1,945. Also, the number of independent words was 189. Then, the centrality value was calculated using UCINET6 and the network was visualized using the Netdraw program, and clustered through CONC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methods and analyses are as follows. The study found that the leisure perception of Young Single-Person-Households was forming relationships and connection strength based on words such as ‘time’, ‘money’, ‘daily’, ‘stress relief’ and ‘burden’. They took leisure as a time or an active definition. And they have positive perception of the overall image and function of leisure, but negative perception in areas related to leisure participation conditions. In addition, they tended to recognize leisure as a preparation time for labor.

      • KCI등재

        특수교사의 기본교육과정 여가 활용 교과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고혜정 ( Koh Hyejung ),이미숙 ( Lee Misu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의 선택교과인 여가 활용 교과의 운영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여가 활용 교과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여가 활용 교과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의 수업 운영 실태, 여가 활용 교과에 대해 가지고 있는 특수교사의 인식, 그리고 여가 활용 교육과정 영역의 구체적 활동에 대한 필요성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에서 여가 활용 교과를 선택교과로 선정하여 활용하고 있었지만, 여가 활용 교육을 위한 제반 시설의 부족으로 여가 활용 교과를 지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특수교사들은 여가 활용 교과 지도 시 실생활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다양한 여가활동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을 중점 지도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수교사들은 여가 활용 교과를 통해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만족감과 행복감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여가 활용 교과의 영역별로 다양한 활동의 필요성 정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학생의 여가 활용 교과 운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leisure subjects and the awareness of the special teachers` awaren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116 teachers of special schools. We wanted to look at the awareness of special teachers for leisure subjects, and the need for specific activities in the area of leisure education courses. As a result, most of the school participants chose their leisure subjects as elective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supervise leisure courses due to lack of facilities for leisure education, and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to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practical leisure activities in real life and leisure activities. The teachers suggested that students experience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leisure lessons, and suggested the need for diverse activities in the areas of leisure use. Based on the outcome of the above, it was proposed to operate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신노년 세대의 여가인식과 성격유형이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이선희(Sun-Hee Lee)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2 사회복지상담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신노년 세대의 여가인식과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성격유형이 매개효과로서 어떻게 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규명함으로써 신노년 세대의 생활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신노년 세대인 만 55세-만 67세를 대상으로 2021년 6월4일부터 7월20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최종 57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이 연구의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각 변수들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측정변인 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결과, 첫째, 여가인식은 여가에 대한 지식과 자기인식을 포함하는 인지적 측면의 평균이 3.86, 여가와 놀이에 대한 태도, 여가참여와 의사결정을 포함하는 정서적 측면의 평균이 3.94로 나타났고 여가인식의 전체 평균은 3.83으로 나타나 연구대상의 여가에 대한 인식 및 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활만족도는 평균 3.51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인 사회적 만족도(M=3.66), 신체적 만족도(M=3.60), 정서적 만족도(M=3.54), 인지적 만족도(M=3.29) 순으로 높은 평균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신노년의 생활만족도에 대해 여가인식의 정서적 측면, 성격유형인 실패과장형, 적극적 통합형, 의존적 수동형, 자기부정형 순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사람들은 여가인식의 정서적 측면, 성격유형인 실패과장형, 적극적 통합형, 의존적 수동형, 자기부정형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여가인식과 성격유형이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실증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on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new elderly generation by analyzing and investigating how personality types work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new elderly gene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urveyed from June 4 to July 20, 2021, targeting the new elderly generation aged 55 to 67, and the final 575 copi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Data analysis in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 variables to find ou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patterns of each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average of cognitive aspects including knowledge and self-awareness of leisure was 3.86, the average of emotional aspects including leisure and play, leisure participation and decision-making was 3.94, and the overall average of leisure perception was relatively positive.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n average of 3.51, followed by sub-factors such as social satisfaction (M=3.66), physical satisfaction (M=3.60), emotional satisfaction (M=3.54), and cognitive satisfaction (M=3.29). Second, the emotional aspect of leisure perception, personality type failure and intestinal type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in the order of leisure perception, positive integration, dependent passive type, and self-adverse type, and peopl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empirical dat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perception and personality type with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권리로서의 놀이와 여가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

        황옥경,한유미,김정화,양효현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wareness of children on play-leisure as a children's right and sufficiency of play-leisure. The children's awareness of effects and sufficiency playtime has also been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the sufficiency of play-leisure and children's happiness has been analyzed.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ncludes year five pupils of elementary school, year two pupils of middle school and year two pupils from high school. The four districts of Seoul and two rural area of Gyeongi wer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 total of 56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half of children answered they do not know that play-leisure is a child's right and only 40% of parents acknowledge play-leisure as a child's right. The children also acknowledged that the sufficiency of play-leisure time is not enough especially when compared with play-leisure time with friends and family. In regards to the effect of play-leisure, children recognize play-leisure experience with friends as more effective than those experienced with family. Children who have had sufficient play-leisuree experience in the past reported being happy now, while children who had sufficient play-leisure experience with friends and family self- described as being happier. Last, in regards type of play-leisure, children who spent more time in social and outdoors activities acknowledged that they are happier. 본 연구는 아동의 권리로서 놀이․여가에 대한 인식과 놀이․여가의 충분함을 살펴보고, 놀이․여가의 충분함과 아동의 행복감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4개 지역 초, 중, 고등학교 각각 1개 학급과 경기 농촌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각각 2개 학급의 총 563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조사대상 아동 중 절반 정도의 아동이 놀이․여가가 권리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놀이․여가의 권리를 인정해 주는 부모가 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놀이․여가활동의 충분함에 대한 아동의 인식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친구보다는 부모와의 놀이․여가 활동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놀이․여가활동의 영향력은 친구와의 놀이․여가활동 경험이 부모와의 경험보다 현재 생활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과거에 놀이․여가활동을 충분히 한 아동일수록 현재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현재 친구와 부모 모두와 놀이․여가활동을 충분히 하고 있을수록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놀이․여가활동 유형별로는 사교와 야외활동 시간에 보내는 시간이 많은 아동일수록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년세대의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인식, 여가정책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1년 국민여가활동조사 패널자료

        김지혜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대의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여가인식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최근 경기침체와 청년실업 등으로 청년들에 대한 정책과 관심이 매우 높은 상황이나 청년들을 위한 여가 정책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여가생활실태, 여가환경 등에 대한 2020국민여가활동조사 패널자료(조사기간: 2020년 9월7일에서 2020년 11월 16일)에서 청년세대(20~39세) 표본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패널자료의 측정도구는 7점 리커트식 척도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SPSS2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공여가시설만족과 여가인식, 여가정책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둘째, 공공여가시설만족과 여가정책 간에 여가인식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세대의 공공여가시설체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여가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여가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가정책은 청년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수준을 제고하고 국민의 여가문화 향유 증진 및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