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따른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성혁,김용일,채의융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이 한국사회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 괴리감과 충격에 따른 적응과정에서 여가활동 유형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의 차이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문화적응은 주변화, 동화, 현지화, 통합, 분리 등 5개의 차원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의 속성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문화 적응형, 모국문화 유지형, 비주류형 등 3개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군집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의 차이검증 및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체험 여가활동은 유의수준 5%이하에서 세 군집 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문화 적응형이 가장 높은 참여정도를 보이고 그 다음 모국문화 유지형, 비주류형 순으로 나타났다. 사교적 여가활동은 유의수준 5%이하에서 한국문화 적응형이 가장 높은 참여정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 모국문화 유지형, 비주류형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인 관련 여가활동과 매스미디어 여가활동은 세 군집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 참여유형 중 사교적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가장 큰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 매스미디어 여가활동, 문화체험 여가활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인과 관련한 여가활동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leisure activities on acculturation types of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 man and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leisure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14 to March 25, 2011. From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ive factors for the acculturation were extracted which include 'marginaliz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integration', and 'glocalization'; Secondly, three cluster groups were classified based on five factors by cluster analysis: 'A type of cultural adaptation Korea'; A type of native culture maintenance'; and 'A type of fringe';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cultural experiential leisure and sociable leisur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families and friends leisure and mass media leisure. Finally, sociable leisure was the most positively influenced factor in terms of the leisure satisfaction, followed by mass media leisure, cultural experiential leisure. The findings indicate that a leisure support network is needed for improved acculturatio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여가활동유형과 문화적응과의 영향 연구-언어 능숙도와 사용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은정,이희찬,강혜순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6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여가활동유형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언어 능숙도와 사용도 수준이 여가활동과 문화적응의 영향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그들의 안정된 문화적응을 위한 여가활동유형 모색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전문가 델파이 기법을 실행하여 결혼이주여성 여가연구에 적합한 여가활동 32개 항목을 선정하였고, 유효표본 343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와 LIMDE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과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우도비율검정분석(Likelihood ratio test: LR-test)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여가활동 참여유형은 ‘취미 여가활동’, ‘문화체험 여가활동’, ‘가족지향 여가활동’, ‘사교적 여가활동’의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가족지향 여가활동’, ‘문화체험 여가활동’, ‘취미 여가활동’의 요인 순으로 여가활동 참여를 많이 할수록 문화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여가활동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언어 능숙도와 사용도는 조절효과를 갖는다. 언어 능숙도와 사용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게 ‘가족지향 여가활동’과 ‘문화체험 여가활동’이 문화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언어 능숙도와 사용도가 높은 집단에서만 ‘취미 여가활동’이 문화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두 집단 모두 여가 참여를 통한 효과적인 문화적응을 하기위해서는 ‘취미 여가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여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trend of foreigners to Korea can be witnessed in the Korean men marry immigrant women. The fusion of cultures through interracial marriage is complex.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leisure activity on cultural adjustment; proficiency and us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on leisure activity and cultural adjustment. A survey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43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SPSS 18.0 and LIMDEP 8.0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indicated firstly that the classification of 'family activity', 'cultural experience activity' and 'hobby activit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influence on married immigrant women’s’ adjustment to Korean culture. Secondly,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s group which indicated a high proficiency and usage of the Korean language, 'family activity', 'cultural experience activity' and 'hobby activity' were the most influential categories; while for those with a low language proficiency, 'family activity' and 'cultural experience activ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adjustment to Korean culture.

      • KCI등재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문화자본 - 잠재집단분석을 중심으로

        유승호,박인영,장안식 한국문화경제학회 2022 문화경제연구 Vol.25 No.1

        문화자본 연구는 특정 문화에 대한 취향을 바탕으로 사회적 계층의 차이를 알아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그 후 여가활동 조사를 통해 여러 취향을 동시에 갖는 혼종적 취 향이 문화자본화한다는 연구가 등장했다. 그러나 새로운 디지털환경이 등장하면서 이를 포괄하여 여가활동과 문화자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 지털 등장 이후 급변한 한국사회의 여가 생활을 한국사회의 문화자본을 파악할 수 있는 영역으로 보고 5,000명을 대상으로 여가 생활 방식을 조사하였다.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결과, 영화 관람과 노래방을 많이 이용하는 ‘대중문화 집단’, 여가 활동 을 거의 하지 못하는 ‘여가빈곤 집단’, 스포츠 경기 관람과 국내 여행을 많이 하는 ‘직관 추구형 여가 집단’, 전시회/박물관 관람과 도서관 이용이 많은 ‘탐구형 여가 집단’, 모든 여가활동 지표에서 높은 활동성을 보이는 ‘옴니보어 여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여가 활동 의 유형을 설명하는 데 있어 사회적 특성, 경제적 특성, 인구학적 특성이 집단 구분에 얼 마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조사되었다. 그 결과 여가활동에서의 SNS영향력 증대 와 부모 영향력의 감소, 여가빈곤집단에 대한 사회적 배제 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한국사회의 잠재적인 여가활동 집단과 결정 요인들은 오늘날의 한국 사회를 문화 자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문화적 여가활동의 시간사용에 대한 결정요인 연구: 기혼가구의 가구특성을 중심으로

        박혜련,허식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4

        By using the data of “2014 Time Use Survey”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leisure ti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period in 'out-of-home' rather than 'in-home'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our study purpose, cultural leisure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media leisure activities, cultural arts activities, and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Summarizing the main results, it is found that leisure activities using the media are increasing in dual-earner households and household members needed care service. Media leisure activities can be seen as a passive consumption of leisure time in the households with large time constraints. Therefore, we need various media leisure activities mitigating the time constraints in the long term. Second, for cultural arts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time of non-working 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hat of dual-earner households. Actually, cultural arts need to retain certain period of leisure activities outside the home. Thus, the government tries to provide effective environmental plans to reduce individual time constraints factors. Third, for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we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time is increased when there are no children and when both couples are unemployed. Sport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also suggest further efforts for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 policie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utside the home. 본 연구는 기혼가구의 가구특성에 따라 각 여가활동별 시간사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통계청의「2014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TV시청 및 휴식과 같이 ‘집 안’에서 할 수 있는 여가활동 뿐만 아니라 관광 및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과 같은 ‘집 밖’에서 행하는 활동적인 여가활동에 대한 시간사용의 제약요인을 밝히고 이를 해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문화적 여가활동을 미디어 여가활동,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 스포츠참여 및 야외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의 경우 맞벌이가구 및 가구 내 돌봄이 필요한 가구원에서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시간제약이 클 경우 ‘집 안’에서의 여가활동에 편중되어 소극적으로 여가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시간제약을 완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다양한 여가활동 참여기회를 보장해야하지만, 단기적으로 미디어 이용 여가활동이 단순히 시간을 때우는 여가활동이 되지 않도록 ‘집 안’에서 참여할 수 있는 질 높은 콘텐츠개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 여가활동의 경우 맞벌이가구에 비해 비취업가구 및 1인가구가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가 없는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은 ‘집 밖’에서의 여가활동으로 일정한 시간이 확보되어야하기 때문에, 개인의 시간제약 요인을 완화시켜줄 방안이 필요하고, 이는 부족한 시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스포츠참여 및 야외 여가활동의 경우 문화예술 및 스포츠관람과 마찬가지로 자녀가 없는 가구와 부부가 모두 비취업 상태인 가구에서 참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참여 및 야외 여가활동 역시 ‘집 밖’에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여가활동으로 시간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자녀 돌봄 프로그램 확대 및 단시간 참여 프로그램 확대와 같이 부족한 시간을 이용해 참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자기조절능력,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의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차동혁 ( Cha Donghyuk ),옥선화 ( Ok Sun Wh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1

        주5일 근무제의 전면 시행 및 여가문화의 확산과 함께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의 중요 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지원이 가족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 정부의 정책 단위 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청소년의 교양을 함양하고 균형 있는 성장을 도모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자본으로 인식하고, 여가문화활동이 실제로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2년에 실시한 3차 한국아 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3학년 1,673명을 대상으로, 여가문화활동이 자기 조절능력과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이 관 계가 부의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은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에 모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를 가졌으며,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정적인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이러한 청소년 여가문화활동의 영향력에 대한 부의 학력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부모의 문화자본에 관계 없이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체화된 문화자본으로 기능하여 청소년의 학업 성취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지된다는 의미이며,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하여 사회 계층에 관계없이 청소년이 여가문화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five-day work week,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recognized so important that families,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are trying to provide support for these activities. In this research, we regarded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s a kind of embodied cultural capital which have the intention to educate them as a person of culture with balanced human development. With this regard, we examined whether or not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ir balanced growth. We chose 1,673 middle school seniors from the third wave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in 2012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n, we analyzed the effects of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s embodied cultural capital on their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d not mere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s on all the three latent variables but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self-esteem mediated by the self-regulation.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 did not moderate these influences of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se influences can be maintained equally, irrespective of parents` cultural capital. It also suggests that families,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all should highly encourage adolescents to participate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regardless of their social classes.

      • KCI등재

        문화예술 여가활동에 대한 결과기대와 문화예술 여가활동이 사회적 유대감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병용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9

        문화예술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요인인 결과기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사회인지이론에 의하면 문화예술 여가활동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혜택에 대한 기대(즉, 결과기대)는 개인의 활동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여가활동에 대한 결과기대가 문화예술 여가활동 (관람활동과 참여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지 그리고 문화예술 여가활동이 사회적 유대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유대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문화예술 여가활동 경험이 있는 25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248부를 회수하였다.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제시된 세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문화예술 여가활동에 대한 결과기대는 문화예술 관람활동과 참여활동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과기대가 개인의 행동 혹은 행도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회인지이론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그리고 문화예술 관람활동과 참여활동은 사회적 유대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유대감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그리고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로움과 사회적 유대감에 있어서 문화예술여가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이려정,김선호,정병웅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5

        가속화되고 있는 개인화로 인해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외로움은 각종 중독행위의 발생요인이며 고독사와 같은 사회병리현상의 결정적 원인이다. 더욱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상승된 외로움, 고립, 소외 등은 사회적 연결의 필요성을 더한다. 인간은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자기를 실현하는 사회적 존재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구조적 고립과 사회적 통합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문화와 예술은 소통의 매개체로 고립, 소외와 같은 부정적 정서를 해소하며 타인과의 유대감을 경험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로움과 문화예술여가활동 참여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03부의 표본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구조모형을 통해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외로움은 문화예술여가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문화예술여가활동 참여는 사회적 유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로움은 문화예술여가활동 참여에 의해 사회적 유대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완전매개)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문화예술여가활동 참여를 위한 계도, 홍보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문화예술여가활동에서 노인전용영화관 이용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솔지(Lee SolJi),윤기혁(Youn KiHyok),이진열(Lee JinYeo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연구는 노인의 문화예술여가활동에서 부산지역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노인전용영화관에의 이용 경험을 보다 깊이있게 이해하고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 질적 현상학연구이다. 분석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구성요소가도출되었다. 5개의 구성요소는 노인전용영화관과의 만남, 노인전용영화관을 찾는 이유, 노인전용영화관이 준 선물, 삶의일부인 노인전용영화관, 노인전용영화관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의 필요성이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부산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노인전용영화관과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노년기의 새로운 삶을 살게된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노인전용영화관에서의 건강하고 건전한 문화예술여가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하고 영적으로 건강한 삶을 산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삶의 일부가 된 노인전용영화관과 함께 존재하기를 간절히 바라며 노인전용영화관의 존속을 위해 정부나 지자체의 관심이 필요함에 대해 깊게공감하며 이를 갈구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문화예술여가 활동에 대한 인식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여가 활동공간이 만들어 질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전용영화관과 같은 좀 더 다양한 노인문화예술여가 활동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이 수적으로 많이 생겨날 필요가있다. 셋째, 지역사회에 있는 노인복지 시설들은 노인들의 문화예술여가활동을 위해 고전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전용영화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서로 상호 간의 협력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에서 고전 영화를 매개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노인전용영화관에 대한 정부나 지자체의 관심과 실제적인 측면에서의 관심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phenomenonlogical study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exploring in more depth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using the exclusive theater for seniors in Busan in cultural and artistic leisure activities. The analysis resulted in five components and 17 sub-components. The five components were the meeting with senior-only theater, the reason for visiting the senior-only theater, the gift given by the senior-only theater. and the need for government interest and support for the senior-only thea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can be discussed in three way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live a new life in their old age through an accidental encounters with the seniors-only theater in Busan.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successful aging and lead a spiritually healthy life through healthy and full-fledged cultural and artistic leisure activities at the senior-only theater. Third, research participants eagerly hoped to exist with senior-only theater that became part of their lives, and deeply sympathized with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need for the survival of senior-only theater.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based on this,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leisure activities spaces need to be created for the elderly. Second, there is a need to create a number of service platforms for more diverse elderly culture and art leisure activities, such as senior-only theater dedicated to the elderly people. Third,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need to pay attention to senior-only theater that provide classical film services for senior citizens cultural and artistic leisure activities and provide services to clients through mutual cooperation with senior-only theater.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programs involving classical movie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that provide social services to the elderly. Fifth,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s interest in senior-only theater in and interest in practical aspects is necessary.

      • KCI등재

        노인의 여가시간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문화예술활동 중심으로

        박혜련,허식 여가문화학회 2019 여가학연구 Vol.17 No.4

        For the beneficial leisure life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ime use for social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ctivities. By classifying the elderly as “the semi-elderly”and“the currently-elderly,”this paper investigates more about the differences in activity behaviors of two groups. We use‘2014 Time Use Survey’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and a multivariate tobit model for the cor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determinants of social activities have similar results for both the semi-elderly and the currently-elderly. The time spent on social activities has been shown to decrease if there are family members in the household that need care and are currently working, indicating that these factors can affect individual time constraints. Second, the time spent gap between urban and non-urban areas appeared to arise for the semi-elderly people, so that cultural activities for them should seek to mitigate the gap between regions by enhancing physical accessibility. On the other hand, for the currently-elderly, the result showed that it is urgent for low-educated and low-income people to come up with diverse programs to gain access to cultural activities. Also, we found tha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shows to be a substitute for the currently-elderly. 본 연구는 노인의 유익한 여가생활을 위해 ‘예비노인’과 ‘현재노인’으로 분류하여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한 시간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어 노인의 문화예술활동 참여가 사회적관계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사교활동’의 참여시간에 대한 결정요인을 함께 분석한 후 두 활동 간의 상호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통계청의 「2014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사용하였고, 개인이 다양한 영역의 여가활동을 복합적으로 참여하는 점을 고려하여 종속변수간의 연관성이 반영된 다변량 토빗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교활동의 결정요인은 예비노인과 현재노인이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현재 일을 하고 있거나 가구 내에 돌봄이 필요한 가족이 있는 경우, 즉 개인의 시간제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 경우, 사교활동에 사용하는 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들이 다양한 사회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시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참여 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문화예술활동은 예비노인의 경우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시간사용격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비도시지역의 물리적 접근성을 제고하여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반면, 현재노인의 경우 고학력자와 고소득자가 문화예술활동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저학력자와 저소득층도 문화예술활동의 접근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현재노인의 경우 사교활동과 문화예술활동 간의 상호관계가 대체적인 것으로 나타나므로, 현재노인에게는 사교활동과 문화예술활동을 결합하여 두 활동이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우리시대의 여가문화로서 박물관 관람과 프로그램 참여

        최종호(Choe Jong-Ho) 실천민속학회 2009 실천민속학연구 Vol.13 No.-

        이글은 여가와 여가문화, 여가활동, 여가공간을 중심으로 우리시대의의 박물관 관람과 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여가활동을 위한 박물관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여가활동 증대를 위해서 박물관은 쾌적한 환경과 다양한 OSMU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시문물 관람과 문화행사 참여를 통한 여가활동은 다종다양한 박물관에서 여가문화의 생산과 유통, 공급과 소비를 위한 공간으로서 운영자와 이용자들의 관심과 사랑 속에 복합문화기관으로서 지속적으로 유지ㆍ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21세기 문화정보산업화 시대의 여가문화는 일과 여가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기 보다 일-여가 겸목적 여가활동이 자연스럽게 보편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물관은 우리 모두에게 즐거움과 기쁨. 삶의 지혜를 제공하는 마음의 안식처이자 문화ㆍ자연 환경의 지킴이 공간이자 여가문화의 블루오션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role and functions of a museum as a cultural complex as well as a leisure-cultural center, which products and distributes, or supplies and consumes leisure-cultural products through a study of museum exhibition visits and cultural program participations. A museum as leisure-culture station can do play the role of a leisure center through provid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based on one source multi-use oriented for the comfortable leisure life in the future. Leisure activities through museum exhibition visits and cultural program participations, are able to promote a leisure-culture based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r supply and consumption in the museums as a cultural complex for the institutor and users. For the better leisure-culture, the role and functions of the museum should expand to the leisure center for the better leisure activities, and for the better leisur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