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폭시 레진의 타 재료 배색 효과와 입체적 질감 표현법 연구

        한은주 ( Han¸ Eun J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에폭시와 타 재료의 혼합 실험과 알지네이트, 라텍스 및 아세테이트지를 이용해 에폭시의 배색 방법과 입체적 표면 질감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실험과 T7 에폭시를 이용한 다양한 입 체 질감 표현에 대한 실험을 통해 에폭시 재료의 조형 재료적 가치를 증명하고 그 활용 방법을 제공함 으로써 에폭시 재료에 대한 조형적 측면의 다양한 가공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서는 에폭시의 표면 이미지 표현에 있어 타 재료와 다양한 틀의 가공을 이용해 배색 표현과 입체적 질 감 표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중점을 둔 연구이다. 각 실험의 재료 선택에 있어 그 범위는 매 우 넓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배색 효과와 입체적 질감을 나타내는 데에 활용 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것을 대표적으로 선정하여 본 연구의 결과물로 정리하고, 그 결과를 도표화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에폭시의 종류는 경도, 투명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타 재료의 혼합을 이용한 배색 효과와 틀 성형 등을 이용한 입체적 질감표현이 연구의 핵심 과정이기에 에폭시는 #A 에폭시와 T7 에폭시만을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에폭시는 액상의 상태에서 고체화 되는 특성을 가진 재료이기에, 그 특성에 맞게 다양한 색과 질감을 표현하는 효과적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쟁점이다. 이 두 가지 조건이 만족하면, 조형 재료로써 활용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 과정을 통해 에폭시를 이용한 다양한 입체적 질감과 배색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물론 에폭시는 변수가 많은 재료이기에 더욱 많은 실험과 그에 대한 경우의 수를 확보하여 재료의 활용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재료 연구를 꾸준히 이어나가 조형을 하는 이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연구를 지속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providing various processing information on the formative aspects of epoxy materials by demonstrating the formative and material value of epoxy and providing its method of application through experiments on the color scheme and various methods expressing three dimensional surface texture of epoxy by mixing experiments of epoxy with other materials and by using alginate, latex, and acetate paper, and T7 epoxy. This study expecially places a great emphasis on suggesting the utilization methods of color shemes and texture expressions by using other materials and various molds in expressing the surface image of epoxy. Since the scope of each experiment's material selection is so wide, this study uses a method of representative selection of what is considered highly useful for representing color effects and stereoscopic texture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organizing and charting the results. The types of epoxy are divid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hardness and transparency, but in this study, only #A epoxy and T7 epoxy are selected for experiments because the threedimensional texture expression using color combination effect by mixing of other materials and molding is the key process of the study. Epoxy has a properties of solidifying in the liquid state, so finding effective ways to express various colors and textures for its characteristic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This is because if these two conditions are all satisfied, the value of use as a formative material will be much higher. As a result, through this experimental process, it was possible to derive various approaches of three-dimensional texture and color scheme using epoxy. Of course, epoxy material has many variables depending on its type and the mixture materials. Therefore, the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more experiments and the number of cases for them,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materials. This researcher, intend to continue these studies on materials constantly to be of practical help to those who are in the formative

      • KCI등재

        에폭시 배합비에 따른 내열성 복합재료 최적조건

        신평수 ( Pyeong Su Shin ),왕작가 ( Zuo Jia Wang ),권동준 ( Dong Jun Kwon ),최진영 ( Jin Yeong Choi ),성일 ( Ill Sung ),진달샘 ( Dal Saem Jin ),강석원 ( Suk Won Kang ),김정철 ( Jeong Cheol Kim ),박종만 ( Joung Man Park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4 Composites research Vol.27 No.4

        2개 이상의 에폭시 기지재의 배합비를 이용하여 최적의 에폭시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이 실험에서 노볼락계 에폭시 및 아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를 기지재로 사용하였다. 그에 따라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한 최적의 에폭시 배합비를 유추하였고, 에폭시의 내열성 및 계면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중량측 정기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의 변화를 파악하였고 정적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기계적 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에폭시 배합비에 따른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인장, 압축, 굴곡강도를 상온에서 및 노화시간에 따라 파악하였다. 에폭시와 유리섬유간 계면을 개념도로 나타냈다. 시험 결과 에폭시 배합비에 따른 적외선 피크 및 유리전 이온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서로 다른 에폭시의 배합비가 1:1일 때 기계적물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Composites Research : The optimum condition of glass fiber/epoxy composite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two epoxy matrices. Novolac type epoxy and isocyanate modified epoxy were used as composites matrix.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of mixing matrix, optimum mixing ratio of epoxy resins was obtain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rmal stability and interface of epoxy res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as observed by DSC instrument, and static contact angle was measured by reflecting microscope. Change of IR peak and Tg was conformed according to different epoxy mixing ratio. After fabrication of glass fiber/epoxy composites, tensile, compression, and flexural properties were tested by UTM by room and high temperature. The composites exhibited best mechanical properties when epoxy mixing ratio was 1:1.

      • KCI등재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도 모니터링

        이진혁(Jin-Hyuk Lee),김대현(Dae-Hyun Kim)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6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6 No.3

        에폭시 수지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구조물의 접합과 제조에 사용된다. 구조물의 안전성과 접합재료의 최적 성능 확보를 위해서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 과정 모니터링 기반의 공정 제어가 요구된다. 광섬유 센서는 실과 같은 형태적 특징으로 인해 에폭시 수지의 경화 모니터링에 적합한 센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fiber Bragg grating, FBG)를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의 경화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제 실험을 통해, FBG를 기반으로 에폭시 수지의 경화과정에서 에폭시의 부피 수축에 의해 센서에 가해지는 변형률을 측정하고 온도의 변화에 의한 신호 변화를 보정하여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형률의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두 가지 에폭시 수지의 경화도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에폭시 종류에 따른 경화과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FBG 센서가 에폭시 수지의 경화도 모니터링에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In several industrial fields, epoxy resin is widely used as an adhesive for co-curing and manufacturing various structures. Controll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required for ensuring robust bonding performance and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s. A fiber optic sensor is suitable for the cure monitoring of epoxy resin owing to the thready shape of the sensor. In this paper, a fiber Bragg grating (FBG) sensor was applied for the cure monitoring of epoxy resi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FBG sensor can monitor the status of epoxy resin curing by measuring the strain caused by volume shrinkage and considering the compensation of temperature. In addition, two types of epoxy resin were used for the cure-monitoring; moreover, when compared to each other, it was found that the two types of epoxy had different cure-processes in terms of the change of strain during the curing. Therefore, the study proved that the FBG sensor is very profitable for the cure-monitoring of epoxy resin.

      • KCI등재

        에폭시 레진의 입체 형태 제작과 표현법 연구

        한은주 ( Han¸ Eun J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조형 디자인 확장을 위한 이미지 스케일 기반의 레진 및 실리콘 성형기법 개발과 활용방 안에 대한 연구>의 3년 차 연구 중 에폭시 레진의 입체적 가공에 대한 실험을 바탕으로 에폭시를 이용한 다양한 입체적 형태의 성형 방식을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 조형적으로 활용 가능한 방법을 선정 하여 도식화하여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순차적으로 면을 연장하여 구축하는 방식에서는 평면형과 곡선형 및 선형의 가공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일체형 틀을 제작하여 가공하는 방식으로는 아세테이트지를 이용한 틀 제작을 통해 음각과 양각의 패턴 표현 및 곡선형의 형태 틀을 제작하는 방식을 실험하고 각 실험에는 형태에 적합한 배색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플러스터 백을 사용하여 입체와 패턴을 가공하는 방식에서는 플라스틱 백과 플라스틱 용기를 활용하여 표현 할 수 있는 에폭시 레진의 가공 방법을 실험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인 <에폭시와 안료를 이용한 회화적 표현 방법 연구>와 <에폭시의 배색 효과 표현법 연구 Ⅰ>에서 제시한 에폭시 레진의 평면적 가공, 회화적 표현법, 발색 단계 및 배색의 표현법을 바탕으로 입체적인 형태의 구축으로 확장된 연구이다. 에폭시는 온도나 점성의 변화에 의한 변수가 많은 재료이기에 본 연구는 동일 실험을 최소 5회 이상 반복하여 도출된 평균적인 결과 값을 사용하였고, 변수 발생이 많은 실험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을 통해 에폭시의 다양한 입체 구성 방식의 기본틀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한 이미지 표현의 활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에폭시의 입체 형태 표현이 중점이 되는 연구로, 이를 통해 조형 재료의 적용에 있어 활용 가치가 있는 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Based on the experiment on the three-dimensional processing of epoxy resin in the third year of the study, < A Study on Expression Methods of the Color Combination Effect Epoxy Resins Ⅰ >, this study aimed the molding methods of various three-dimensional forms by using epoxy, and selected the methods that can be used formatively to summarize by schematizing them. Th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ways. The method of continuously extending the surface was to focus on planar, curved, and linear processing. The method of integrated molds was to produce acetate film frames, and the method of producing pattern expression and curved molds was used in each experiment with color schem. Also, it experimented the processing method of epoxy resin, which can be expressed by using plastic bags and plastic containers, in the method of processing solids and patterns using plastic bags. It is an expanded study by constructing the three-dimensional form based on the planar processing of epoxy resins, pictorial expression, coloration phase, and color combination expression presented in the precedent studies 「Methods of Pictorial Expression with Combination of Epoxy and Pigment」 and < A Study on Expression Methods of the Color Combination Effect Epoxy ResinsⅠ >. Since epoxy is a material that has many variables by changes in temperature or viscosity, in this study, it used the average result value derived by repeating the same experiment at least five times, and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high variable generation were excluded. As a result, by presenting the basic frame of various three-dimensional composition methods of epoxy through experiments, it was possible to suggest the use of image expression through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ression of the three-dimensional form of epoxy. Through this, it intends to provide the data with value for practical use in the application of formative materials.

      • KCI등재

        철제유물에 사용된 에폭시수지 제거를 위한 Nd:YAG 레이저 클리닝 실험 연구

        이혜연,조남철,이종명,유재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1 보존과학회지 Vol.27 No.3

        에폭시수지는 우수한 내구성과 접착력, 적당한 강도 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재질에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수지가 경화되면 제거가 어려우며 특히 유물에 적용된 후에는 재처리시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그러므 로 본 연구에서는 유물에 손상 없이 에폭시수지를 제거하는데 Nd:YAG 레이저클리닝을 적용하여 보았다. 실험은 안료를 섞지 않은 에폭시수지와 안료를 섞은 에폭시수지를 부식시키지 않은 철편과 부식시킨 철편에 도포한 시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레이저 에너지와 조사 횟수를 증가시키면서 수지 표면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안료를 섞지 않은 에폭 시수지는 부식된 철편에 도포되었을 때 높은 레이저에너지에서 제거되었다. 그러나 부 식시키지 않은 철편에 도포한 경우와 안료를 섞은 에폭시수지는 제거되지 않고 색상만 변하였으며 레이저빔의 고온으로 인해 수지가 녹아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FT-IR 분석 결과 레이저 조사 후 변화된 에폭시수지는 성분 변화가 없었으며 레이저빔에 의해 제거된 면에서는 수지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SEM-EDS 분석 결과 제거된 표면에서 소량의 에폭시수지 잔유물이 남아 있었으며 소지금속의 용융현상도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Nd:YAG 레이저클리닝의 에폭시수지 제거 가능성과 한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poxy resin has superior durability and adhesive strength and proper physical strength so that it is used to diversity materials for multi-purposes. However epoxy resin is hardly removed after hardening specially once it is applied to artefacts,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m under re-conservation. This paper is an experimental study on removing epoxy resin applied to iron objects using Nd:YAG laser cleaning system. Tests conducted i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creasing laser energy and pulses would give effect on samples. The samples were prepared in a way that epoxy resin, itself pure and one which was mixed with pigment and they were applied to iron coupons and corroded iron coupon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xperiment, pure epoxy resin applied to corroded iron coupons was ablated at high laser energy but epoxy resin applied to iron coupons and mixing with pigment were not ablated but discolored and bubbled due to laser induced heat generation. Results of FT-IR showed no component alteration of shifted resins and no residues on the surfaces ablated by laser irradiation. From SEM-EDS for removed surfaces, the debris from epoxy resin and melting iron was observed.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or laser cleaning to remove epoxy resin from iron objects.

      • KCI등재

        산 무수물계 및 아민계 경화제를 이용한 열경화성 에폭시 섬유 제조 및 물성

        신평수 ( Pyeong-su Shin ),김종현 ( Jong-hyun Kim ),박하승 ( Ha-seung Park ),백영민 ( Yeong-min Baek ),권동준 ( Dong-jun Kwon ),박종만 ( Joung-man Park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6 Composites research Vol.29 No.6

        흔히 사용되는 고분자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더 나아가, 나일론, 아라미드와 같은 연속적인 고분자 섬유가 최근에 제조되고 있다. 이번 실험에서 에폭시를 이용하여 고분자 섬유를 제조하였다. 비스페놀-A 타입의 에폭시가 사용되었고, 아민계 및 산 무수물계 경화제가 사용되었다. 에폭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단계적 승온방식을 이용하여 에폭시 섬유를 경화했다. 계면접착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두 섬유에 대한 상대적인 표면에너지를 수정된 정적 접촉각 방식으로 확인하였다. 인장실험을 통하여 기계적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장실험 후에 파단형태가 경화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민계 경화제를 사용한 에폭시 섬유의 경우 인장강도가 183 MPa로 70 MPa인 산 무수물계 경화제를 사용한 에폭시를 사용한 에폭시 섬유보다 더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Commonly-used polymers are manufactured as versatile forms. Furthermore, continuous polymer fibers are recently manufactured using nylon or aramid fiber. One of common epoxy was also used to make polymer fibers. Bisphenol-A type was used as base epoxy whereas amine and anhydride were used as hardeners. Epoxy fibers was cured by stepping up the temperature to maintain the shape of epoxy fiber. Surface energy was measured to confirm the degree of interfacial adhesion by modified static contact angle method. After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via fiber tensile test, the evaluation of fiber fracture was proceeded. Tensile strength of epoxy fiber using amine type hardener was higher as 138 MPa than anhydride case as 70 MPa. Fractured surface exhibited different failure patterns at the cross-section.

      • KCI등재

        교량받침 공동부 완전충진을 위한 통공앵커의 에폭시 주입성 및 인발성능 연구

        최진우,정진희,박종면,김영호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22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13 No.3

        We present an improved epoxy injection method for the replacement of bridge bearings. To evaluate epoxy injection method, epoxy inj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pull-out experiments for a hollow anchor were conducted. Epoxy injec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injecting epoxy using a hollow anchor in a concrete block to create empty space, cutting the concrete block, and visually checking whether the epoxy was well filled. In addition, the pull-out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o types of hollow anchors that were inserted into the concrete block. From the results of the pull-out experiments, the pull-out strength was compared with that of a chemical ancho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found that hollow anchors have the excellent epoxy injection and pull-out capacity for the replacement of bridge bearing. 이 논문에서는 교량받침 교체를 위한 에폭시 주입 공법을 제시하였다. 에폭시 주입 공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에폭시 주입성 실험 및 통공앵커의 인발실험을 수행하였다. 에폭시 주입성 실험은 빈 공간을 갖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 내에 통공앵커를 이용하여 에폭시를 주입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절단한 후, 주입성능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인발실험은 2가지형태의 통공앵커를 콘크리트 블록 내에 삽입하여 수행하였으며, 2가지 형태의 통공앵커에 대한 인발실험 결과를 비교하고, 케미컬 앵커의 인발강도와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통공앵커는 교량받침 교체공사를 위한 에폭시 주입성과 인발성능이 우수한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토기 ? 도자기 복원에 사용된 에폭시 복원재료의 화학적 제거방법과 그 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원식,배진수,박기정,위광철,홍태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0 보존과학회지 Vol.26 No.1

        에폭시의 황변 현상은 도자기 복원재에 있어 항상 발생하는 문제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재복원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 에폭시의 제거가 선행되어야 하는 바, 본 논문에서는 이의 화학적인 제거법과 그 제거제의 특성들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 파손되어 에폭시로 복원된 다양한 형태의 도자기들에서 에폭시의 화학적 제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디크로로메탄(Dichloromethane)과 Dichloromethane을 기초로 한 Dimethylformamide를 이용한 용액들이 나타내는 도자기 복원에 사용된 에폭시 제거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들 중, 특히 Dichloromethane + Dimethylformamide 용액을 이용할 경우, 색도의 변화, 광택도의 변화, 굽힘 강도의 변화, 무게의 변화, 표면도, 박리 시간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Dichoromethane의 에폭시에 대한 팽윤 성질과 Dimethylformamide의 연화성 증진의 결과로 Dichloromethane은 에폭시와 도자기의 경계면을 팽윤시켜 박리시키면서, Dimethylformaide가 에폭시 자체의 경도를 낮춤으로 매우 약한 내부 결합을 가진 도자기라도 안정한 박리가 가능한 결과로 보인다. 또 이 용액의 직접적인 적용을 위하여 국내 대학 박물관 소장 청화백자모란문 양념단지의 재복원시의 에폭시 제거제로 이용하였으며, 매우 안정된 박리 현상을 발견할 수 있어 추후, 이를 이용하여 재 복원될 도자기 유물에 실적용할 경우, 완벽하고 안전하게 에폭시를 제거함으로 재복원될 에폭시 접착제의 제거에 충분히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의 사용현황과 배합비율에 따른 물성 변화 연구

        이은지,장성윤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보존과학회지 Vol.32 No.2

        2액형 에폭시 수지는 문화재 보존처리에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 시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비율에 따라 경화특성, 기계적 강도, 화학 구조 등이 달라질 수 있고 대상 문화재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 보존처리 실무자들은 소량의 에폭시수지를 눈대중으로 혼합하거나 가사시간을 줄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경화제를 과량 첨가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속경화형 2종과 일반경화형 2종의 에폭시수지를 대상으로 주제에 대한 경화제의 비율을 0.25~4배로 설정하여 각 경우의 경화특성, 기계적 강도, 화학 작용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속경화형 에폭시수지는 경화제가 0.5~2배일 때 높은 반응열과 함께 경화반응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경화제 비율이 제조사에서 공시된 정비율보다 적을 때 더 높은 기계적 강도가 나타났고 에폭시의 가교결합도 활발히 일어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일반경화형 에폭시수지는 대부분 경화반응열이 낮고 느린 반응속도로 경화가 진행되며, 경화제가 정비율 이하에서 가장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경화제 비율이 2배 이상 일 때는 경화속도가 매우 느려지고 접착강도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합비가 정비율 이하에서는 비교적 빠른 반응속도와 유사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반면 정비율 이상에서는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구현하고자 하는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wo-component epoxy resin is widely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field. However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resin and hardener, curing property, mechanical strength and chemical structure differ which have possibility to effect the stability of cultural heritag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shows hands-on workers in the conservation field tend to mix the epoxy resin with his or her eye measurement when the using amount is small or mix additional hardener to shorten the pot life of epoxy resin.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uring property, mechanical strength and chemical structure of rapid curing type epoxy resin and medium curing type one depending on relative ratio of 0.25~4 of hardener to resin. When the amount of hardener was 0.5~2 times more than the resin, exothermic heat and curing speed were both increased. In case of included hardener to resin was lower than official ratio, mechanical strength (tensile shear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became higher along with active cross-linking bonding of the epoxy resin. Medium curing type epoxy relatively had lower exothermic heat and slower reaction during curing process. It was observed to be put to definite point of mechanical strength under lower content of hardener than official ratio. While, hardener ratio more than twice the resin slowed down the curing greatly and lowered the adhesion strength also. In conclusion, under the lower mixing rate of hardener than official ratio would show relatively fast reaction with similar mechanical strength. Over the official ratio on the other hand, material property drops rapidly. Accordingly, mixing ratio of epoxy resin is expected to be influential to the stability of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산화전극 결합제로서 나피온용액에 혼합된 에폭시가 미생물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송영채(Young Chae Song),김대섭(Dae Seop Kim),우정희(Jung Hui Woo)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1

        팽창흑연과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복합 산화전극을 나피온용액에 다양한 비율로 에폭시를 혼합한 결합제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산화전극 결합제에 함유된 에폭시량이 미생물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산화전극 결합제에 에폭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전극 구성 물질들의 물리적 부착력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활성화저항과 오옴저항의 증가로 인한 내부저항이 증가하였다. 산화전극 결합제로 에폭시를 혼합하지 않고 나피온용액 만을 사용한 대조구의 경우 1,892 mW/m2에 달하였으나 산화전극 결합제에 에폭시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연료전지의 최대전력밀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산화전극 결합제에 에폭시함량이 50%일 때 최대전력밀도는 1,425 mW/m2로서 대조구의 75.3%까지 감소하였으나, 고가의 나피온용액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산화전극 결합제의 물리적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고려할 때 나피온용액과 에폭시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물질은 산화전극결합제로서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composite anodes of exfoliated graphite (EG) and 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 were fabricated by using the binders with different content of epoxy in Nafion solution. The influence of the epoxy content in the anode binder on the performance of microbial fuel cell (MFC) was examined in a batch reactor. With the increase in the epoxy content in the anode binder, increase in physical binding force was observed, but at the same time an increase in the internal resistance of MFC was also observed. This was due to the increase in activation and ohmic resistance. For the anode binder without epoxy, the maximum power density was 1,892 mW/m2, but a decrease in maximum power density was observed with the increase in the epoxy content in the anode binder. With the epoxy content of 50% in the anode binder, a decrease in the maximum power density to 1,425 mW/m2 was observed, which about 75.3% of the anode binder without epoxy is. However, the material consisting of the same amount of epoxy and Nafion solution is a good alternative for anode binder in terms of durability and economics of MF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