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적 에토스 개념으로 본 설교자 주기철 연구

        신성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3 복음과 실천신학 Vol.28 No.-

        이 논문은 설교에 있어서 설교자의 에토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 다. 본고는 먼저 주기철 목사의 설교의 영향을 산정현 교회와 평양신학교의 신 사참배 반대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설교의 영향이 설교의 내용이나 전 달에 기인하기 보다는 설교자의 삶과 인격, 능력에 기인한 것이었음을 밝힘으 로써 설교학의 관심이 설교자에게로 더욱 확대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오늘날의 한국교회와 청중의 상황을 감안하여 설교에 있어서 본문과 청중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설교자 자신을 돌아보는 과정이 필요함을 논증하였다. 이 를 위해 고대 수사학에서 체계화 된 에토스개념을 기독교적 의미로 정의하여, 이를 토대로 설교자 주기철 목사의 에토스를 분석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체계화된 에토스 개념은 청중의 신뢰를 이끌어내기 위해 연출된 이미지였지만 어거스틴은 이러한 세속적 에토스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여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설교자에게 나타나는 신적 인격과 능력을 에토스 개념으로 이해했고 또한, 진리와의 접촉을 통해 진리가 설교자의 삶 속 에 체화되어 나타나는 삶의 방식으로 이해했다. 본 논문은 설교에 있어서 말씀 의 권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기독교적 에토스를‘신적 계시의 에토스’,‘ 훌륭한 삶의 방식으로서의 에토스’,‘ 설교 속에 표현되는 품격의 에토스’으로 정의하 였고 이를 통해 주기철 목사의 인격과 삶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기철 목사 는 끊임없는 기도생활을 통해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는 탁월한 인격을 소유하 였고 끊임없는 진리 접촉을 통해 자신의 삶에 진리가 체화된 삶의 방식을 소유 하고 있었다. 당시 한국교회의 열악한 신학적 환경으로 인해 그의 설교가 본문 주해나 청 중을 고려한 전달 방법에 있어서는 다소 부족할 수 있었지만 그가 소유한 설교 자로서의 마땅한 에토스로 인해 그의 설교는 청중의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 있 는 설교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오늘 한국교회 강 단의 상실된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에토스를 함양하고자 하는 한국교회 설교자의 몸부림이 필요한 것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acher’s ethos for sermons.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s of preacher Ju GeeChul’s sermon through a process of opposing to ‘Worship Shrine’ of Sanjunghyun church and Pyungyang theological school first, and verifies that the preacher’s life, personality, and ability results to this kind of Sermon’s effect rather than sermon’s contents or deliveries. And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of ethos which is organized by the ancient rhetoric into Christianomical concept. And this paper analyzes preacher Ju GeeChul’s sermon based on this concept. This shows that the ethos which can authorize sermons are “ethos of divine revelation”, “ethos as a mode of good life”, and “high-class ethos revealed in a sermon”. To restore lost authority of Korean Church’s pulpit, Korean Church’s preachers have to struggle with restoring this kind of ethos.

      • KCI등재

        Question of ethical embodiment or disembodiment in Classical Rhetoric

        Kim, Jonggab(김종갑) 한국수사학회 2014 수사학 Vol.0 No.20

        청중을 상대로 하는 연설에서 로고스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가 에토스이다. 화자는 자신의 성격이나 명성, 신망, 권위, 외모 등을 최대한 이용함으로써 설득의 목표를 달성할 수가 있다. 그럼에도 수사학에서 에토스는 로고스와 파토스에 비해서 무시되는 경향이 강했다. 화자는 상황에 따라서 가면을 쓰고 벗듯이 다양한 에토스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칫하면 가식의 수사학으로 폄하되기도 하였다. 이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텍스트 내적 에토스와 외적 에토스를 구별하였다. 후자가 화자의 진정한 모습이라면 전자는 연설을 통해서 드러나는 화자의 이미지, 혹은 청중이 그에 대해 갖게 되는 이미지를 뜻한다. 플라톤이 우려했던 것은 텍스트 내적 에토스였다. 화자가 자신의 본래의 모습을 감추고 선한 사람처럼 연기함으로써 청중을 미혹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 글에서 논자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규정하는 의미에서 에토스를 점검한 다음,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가 그러한 에토스의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하였는지 살펴보게 될 것이다.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의 에토스에 대한 태도는 이중적이다. 그들에게 화자의 훌륭한 에토스는 훌륭한 연설의--충분조건은 아니지만--필요조건이다. 원칙적으로 가식의 수사학은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희망사항에 지나지 않겠지만, 그러한 주장이 가능했던 이유는 귀족들만이 공적 연설을 하도록 허용되었던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 한몫을 차지한다. 더불어서 희랍인들과 달리 로마인들은 에토스가 쉽게 변하는 것이 아니라 일평생 꾸준히 지속되는 성향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가식으로서 에토스에 대해 우려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 KCI등재

        복음의 ‘소통’과 ‘설득’을 위한 누가-행전의 수사적 관심

        이두희(Lee, Doo Hee)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3

        누가-행전은 제2성전 시기 유대교와 그리스-로마 문화가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던 시대에 기록되었는데, 그 당시 가장 중요한 문화적 요소 중의 하나는 수사학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위-키케로 등의 수사학 교본이 잘 알려져 있었고, 가르쳐지기도 했다. 따라서 누가-행전의 저자도 수사학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은 다분하며, 많은 신약학자들은 누가-행전에서 발견되는 수사적 특징들을 밝혀보고자 여러 각도에서 노력해 왔다. 이에 더하여 필자는 이 논문에서 누가-행전이 심각하게 숙고했을 것으로 보이는 또 다른 수사적 특징, 즉 에토스에 대한 강조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로고스, 파토스와 더불어, 에토스는 연설/설교를 보다 설득력 있게 만들어주는 증명의 3요소 중 하나이다. 화자/연설가의 도덕적 특성/경향성을 가리키는 에토스는 화자가 말하고자하는 바를 청자가 보다 수용적으로 듣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화자/연설가에게 있어서 청중으로 하여금 연사가 좋은 에토스의 소유자임을 알게 하는 것 (혹은 그렇게 생각하도록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했다. 누가-행전의 저자는 그것을 잘 알고 있었고, 그래서 그리스도인/그리스도인 공동체/그들의 신앙의 대상인 하나님과 예수님의 좋은 에토스를 보여주는데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던 것 같다. 그 증거는 세 가지 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첫째는 ‘증명(행 17:31), 에토스, 증명하다’ 등의 수사적 용어사용에서, 둘째는 바울의 밀레도 설교(행 20:17-35), 성전 뜰 설교(행 22:1-21), 아그립바 왕 앞에서의 설교(행 26:1-23) 등에서 드러난 에토스의 강조, 마지막 세 번째로는 공동체의 하나 됨(참고. ?μοθνμαδ?ν 부사의 사용), 회개의 열매 맺음(참고. ‘회개’를 핵심어로 한 수미상관, 눅 3:8-행 26:20), 백성으로부터 칭찬 받는 공동체에 대한 강조이다. 누가-행전의 저자는 왜 그런 에토스의 제시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 것일까? 하나 된 마음으로 기도하며 회개의 열매를 맺는 가운데 백성들로부터 칭찬 듣는 이로부터의 복음이 훨씬 더 청중들에게 잘 수용될 것을 확신했기 때문일 것이다. 누가-행전의 궁극적 기록 목적이 무엇이었든지 간에, 그러한 에토스 쌓기 작업은 복음의 소통과 설득을 위해 매우 중요했을 것이다. 오늘날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 교회는 이 점에 대한 성찰을 통해 효과적인 복음 사역을 위한 중요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Luke-Acts was written in the period when the second-temple Judaism and Greco-Roman culture heavily influenced on the way people think and behave. At that ti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factors was rhetoric. Rhetorical textbooks of Aristotle, Cicero, Quintilianus, and pseudo-Cicero were read and taught.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author of Luke-Acts was also exposed to the influence of rhetoric. A number of New Testament scholars have sought to reveal rhetorical characteristics Luke-Acts betrays in its narrative. In line with those previous studies, I attempts to find out another rhetorical aspect Luke-Acts took seriously, that is, an special emphasis on ?thos. Ethos is one of the three components that make speech/oration more persuasive together with logos and pathos. As a moral character of orator/speaker, ?thos paves the way so that the audience may sympathetically listen to what the orator has to say. Therefore, it is very significant for orator to make the audience think that the orator has good character/disposition in every way. The author of Luke-Acts, being well aware of it, seems to pay a special attention to show or create positive ?thos of Christians, Christian community, and God/Jesus as the objects of their belief. The evidence of it could be found in three ways. First, Luke-Acts’s use of language shows the author’s familiarity with the concept of rhetoric such as pistis (Acts 17:31) and ?thos. Secondly, several narrative scenes seem to take the importance of ?thos into account (Acts 20:17-35; 22:1-21; 26:1-23). In those scenes, the author emphasizes the ?thos of characters in question so that he may enhance the power of persuasion. Lastly, several themes of Luke-Acts that the author highlighted seem to be related to the concept of ?thos: unity of community (the use of adverb ?μοθνμαδ?ν, faith community praying with one mind), repentance/bearing fruits of repentance (cf. inclusio, Luke 3:8; Acts 26:20), and persons and community praised by people (Luke 4:14-15; Acts 2:42-47; 5:13). Why did the author of Luke-Acts pay so much attention to showing or creating ?thos? Regardless of whatever his ultimate purpose of writing Luke-Acts may be, the ?thos building was so important to prepare the audience to listen to his message in a favorable way. The message from Christians bearing fruits of repentance through their prayer with one mind and praised by all people would certainly be more persuasive. This reflection gives us an important lesson that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should take seriously, that is, the significance of Christian ?thos. When we can show our good moral character to the world, the world will listen to what we tell them about the gospel and its power of salvation.

      • KCI등재

        수사학 전통에서 본 에토스와 문화

        박우수(Park, Woo So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6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사학의 역사에서 말하는 사람의 성품이나 인격을 의미하는 에토스는 파토스, 로고스와 함께 설득의 요소로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역사적으로 에토스에 대한 해석은 말하는 사람의 인품을 통해서 그대로 재현되고 배어난다는 주장과, 말하는 사람의 인품과는 상관없이 말의 설득력은 화자가 청자에게 자신의 이미지를 얼마나 잘 적응시켜 호응하도록 만들어내느냐 하는 쪽에 달려있다는 주장으로 대별된다. 전자를 이상적인 에토스 관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현실적인 에토스 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은 서구적 전통에서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각각 대변하고 있다. 플라톤의 생각은 기독교 수사학에서 그 정점에 이른다고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는 마키아벨리의 수사적 조작과 대중 설득의 기술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서구수사학 전통에서 말하는 에토스에 대한 두 가지 생각은 동양의 수사학 전통에서도 역시 유사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서구의 수사학 전통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동양에서는 말이 곧 사람이라는 이상주의적인 에토스 전통이 강한 것이 사실이지만, 현실주의적인 에토스 관 역시 고대로부터 발전되어 왔다. 공맹의 사상이 전자의 전통을 대변한다고 한다면, 후자의 현실주의적인 생각은 동양의 마키아벨리로 불리는 한비자에 의해서 대변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비자에 의해서 유교적 전통에서 강조된 도덕적인 에토스는 청중의 심리적인 투영물이 되거나, 청중의 기내나 숨은 동기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독자적인 의미를 상실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에토스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전통에도 불구하고, 말하는 사람의 도덕적인 수월성을 의미하는 에토스는 결국 언어를 통해서 표현되고 밝혀져야 할 성질의 것이기 때문에 언어적 속성과 그 언어가 담지하고 있는 문화적 가치와 규준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Both in the Western and Oriental tradition of rhetoric, ethos comprises one of the three ways of proving in persuasion, together with pathos and logos. Ethos means primarily the noble and virtuous character of the speaker. However, in a broad historical perspective, ethos is interpret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at ethos as the noble essence of the speaker is embodied in his speech and the speech reflects the speaker's virtues, while the other is that ethos is the verbal construction of the speaker's character, regardless of his or her innate nature, whose character the speaker adapts to the expectations and conditions, both mental and physical, of the given audience. According to the latter, the degree of success in persuasion depends on the mutual fitnes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hearer. If we can call the former view of ethos idealistic, the latter can be named as realistic and pragmatic. These two different views of ethos are represented in the West by Plato and Aristotle respectively, and in the Orient by Confucius and Han-Fei. In comparison with the Western rhetorical tradition, Oriental rhetoric puts more emphasis on the authority and personality of the speaker. However, the pragmatic view has developed in ancient China, along with an idealistic view of ethos. In ancient China, the Platonic idealism is upheld by Confucius and his descendents stressing moral excellence of men, while the sophistic and pragmatic rhetoric is represented by Han Fei-tzu, who is called the Machiavelli of the Orient. If Confucianism posits moral excellence of the speaker as the quintessential core of a speech, Han-Fei regards the idealistic ethos as vain and helpless in a real political situation. In order to be convincing, he thinks it is imperative to have a full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an audience. For Han, the success of a speech depends on the degree of projection and adaptation of the speaker's character into the hidden motives of an audience. Though ethos has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rhetoric, it is clear that it cannot be considered apart from the question of the subjectivity and culture of the speaker. The question of ethos becomes more complicated when we come to the theories of structuralism, poststructuralism, and Lacanian psychoanalysis. These critical theories deny the concept of a stable autonomous self. Currently, the ethos of the speaker seems to be replaced by a logos and by the system in which he is positioned. Attenuation of a subject i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calls our attention to the problem of ethos of a speaking subject. As ethos is the meeting point of an individual with his society and culture, the study of ethos requires investigation into cultural orientation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 KCI등재

        형사소송의 이념과 사회통합

        송희식(Song Hee-Sik)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東亞法學 Vol.- No.50

        형사소송의 이념은 일반적으로 실체진실주의와 적법절차주의라고 말해진다. 그러나 독일에는 적법절차의 정확한 번역어가 없으며, 영미에서는 ‘실체적 진실’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처럼 전혀 다른 법문화의 이념적 에토스를 모두 다 수용하고 그것의 조화를 추구한다는 것이 한국 형사절차의 공식적 이념이다. 미국문명에서 적법절차는 자유주의와 공화주의 에토스가 만나는 지점이다. 그것은 국가권력의 행사에 대하여 실체적 한계를 규정하는 것이고, 기본권을 수호하는 절차적 보장책이다. 이것이 미국의 헌법적 사회통합양식이다. 이러한 사회통합의 기제는 또 하나 있는데 그것이 배심재판제도이다. 이 역시 국가권력을 불신하는 자유주의와 공민의 자치를 믿는 공화주의 에토스의 산물이다. 그리하여 배심재판은 실체적 진실의 발견보다는 공민의 자치에 대한 신뢰를 확인하는 이벤트이고 사회통합의 의례이다. 이에 대하여 실체진실주의는 영토국가의 전통이 오랜 지역에서 국가공동 체에서의 정의를 실현하는 절차의 이념이다. 실체진실은 국가적 정의의 기초이고, 정의는 국가공동체의 사회통합의 에토스이다. 전문법관제의 법관은 수사적 진실을 자료로 하여 사회통합을 위한 실체적 진실을 국민 앞에 선언하는 성직의 수행자이다. 그리하여 실체진실주의와 전문법관제의 배경은 국가 공동체에 대한 믿음과 정의의 에토스이다. 이처럼 사회적 배경과 정신적 에토스를 달리하는 두 개의 이념을 조화시키 겠다는 것이 한국 형사절차의 이념이다. 이것은 한국사회의 법문화적 에토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문제이고, 독특한 사회통합의 기제를 창조하는 문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결여되어 있으며 소송구조에 있어서는 마치 한사람의 배심원이 재판하는 상황을 무의식적으로 상정하고 있다. 또한 외래적 이론을 전제하는 적법절차주의와 실체진실주의의 논쟁이 있을 뿐, 그 기반과 내용을 형성하는 한국의 정신적 에토스와 사회통합의 기제에 대해서는 문제의식 자체가 미치지 못하고 있다.

      • KCI등재

        후설 현상학에서 에토스 문제

        반성택(Pan, Sung-Ta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3 No.-

        이 논문에서 기존 윤리학에 대한 후설의 비판적 논의로 현상학적 윤리학의 전개에 필수적인 요소로 등장하는 점, 즉 토대나 에토스가 현상학적 철학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설명하는데 기여한다는 점을 밝혀나가고자 한다. 이어지는 논의는 첫째로 고대 아테네에서 에토스의 등장과 프로네시스를 주제로 하여 에토스의 고대적 등장 과정을 다루고 이어서 이를 학문적 인식유형의 토대로 끌어들이는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에서의 프로네시스 개념을 살핀다. 둘째로, 후설전집 29권과 37권에서의 습성과 토대 문제를 다루어 이 영역이 의미로는 바로 에토스를 말한다는 점을 밝힌다. 셋째, 20세기초 후설의 현상학 강의에서 에토스에 대한 명시적 초점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점을 에토스 관련 프로네시스 논의의 역사에서 조명한다. 아울러 프로네시스 문제를 토마스 아퀴나스, 하이데거, 디를마이어 등이 다루어왔으나, 그 충분한 의미는 20세기 중반이 넘어서서야 가다머 해석학과 매킨타이어 등에 의해서 비로소 드러났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련의 논의가 뜻하는 바를 인간 역사의 진행을 생각하며 정리하고자 한다. This essay aims to reveal that Husserl"s critical discussion of ethics has emerged a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the development of phenomenological philosophy, namely that the concept of ethos contributes to clarifying the identity of phenomenological philosophy. The following discussion first examines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which deals with the emergence process of ethos in ancient Athens. Second, it deals with the problem of habits and foundations in Husserliana Volumes 29 and 37. Third, the fact that there is no explicit focus on ethos in the course of Husserl"s phenomenology lec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will be illuminated in the history of the discussion of ethos. Although Thomas Aquinas, Heidegger and Dirlmeier etc. have dealt with the problem of phronesis, the full meaning of it has been revealed only by Gadamer"s hermeneutics and MacIntyre no later tha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Finally, I would like to summarize what these discussions mean by considering the progress of human history.

      • KCI등재

        고전시가에 나타난 에토스의 설득력과 오늘날의 글쓰기 - <관동별곡>에 구축된 에토스를 중심으로 -

        이주영 ( Joo Young Lee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이 논문은 고전시가 텍스트에 나타난 발상과 표현이 오늘날의 글쓰기 및 작문 교육에 어떤 의의를 갖는가에 대한 모색이다. ‘나’를 말하는 글쓰기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자아성찰과 같은 내성(introspect)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데 비해, 본고는 ‘나’에 대한 글쓰기의 구성적 측면, 즉 타인과 세계를 향한 자기 표현 또는 ‘자기 정체성 구성’의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글쓰는 주체가 어떤 사람으로서 자신을 드러내는가, 혹은 글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이나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어떻게 구성하는가는 에토스(ethos)와 관련된 문제이다. 본고는 고전시가 중 가사(Gasa, 歌辭) 양식이 장르적 특성상에토스 구성의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하다고 보아,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화자의 에토스가 갖는 설득적 효과를 고찰하였다. <관동별곡> 텍스트 내에 구축된 화자의 지배적 이미지는 적선(謫仙, relegated immortal), 즉 천상계에서 지상계로 유배 온 신선이다. 이는 <관동별곡>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산중(山中)과 후반부에 해당하는 바다를 아우를 수 있는 이미지이며, 중앙 정계로부터 소외되었으나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자기 소임을 완수하고 성공적으로 복귀할 존재로 자신을 형상화하는 작자 정철의 에토스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정철은 텍스트속에 구축된 에토스를 통해, 수용자들에게 자신을 ‘배척당하지만 변함없이 비범하고 당당한 존재’로 받아들여 주도록 요청하고 있는 셈이다. 에토스가 갖는 이 같은 설득의 힘은 오늘날의 ‘나를 말하는 글쓰기’ 혹은 ‘나에 대한 글쓰기’의 교육적 설계에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기반성 및 치유뿐만이 아니라 ‘외부로 향하는 나’, ‘외부에 제시할 나의 이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또한 개인적 차원의 ‘나’뿐만 아니라 ‘우리로서의 나’도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글쓰기 주체의 내부와 외부를 아우르는 ‘나를 말하는 글쓰기’를 통해, 글쓰기와 자기 삶의 괴리나 글쓰기의 윤리성 및 책임성 문제에 대한 해결 방향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ideas and expression in classical poetry texts towards today``s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it focuses on different aspects. As for preceding studies on self-reflection writing, the focus was placed on introspective aspects such as exploring one``s identity. As for this study, however, it focuses on the compositional aspects of writing about oneself: ``self-expression`` towards others and the world; ‘composition of self-identity.’ How a writer reveals oneself in terms of character and how their identity and self-image are formed in writing are related to ethos. Among the classical poems, Gasa style seems to be appropriate for dealing with the composition of ethos. Thus, this study has explored the persuasive effects of a speaker``s ethos with focus on <Gwandong Byeolgok> written by Songjiang Jeongcheol. In <Gwandong Byeolgok>, the dominant image of the speaker is ``relegated immortal.`` In other words, a supernatural hermit who was exiled to this world from heaven. The image is portrayed through mountains in the beginning and ocean in the later part of <Gwandong Byeolgok>. It is almost identical to the ethos of the author Jeongcheol who was portrayed as a highly ambitious individual. Although he was alienated from the central political circles, he is determined to return to heaven after completing his mission with his supernatural power. Through the ethos established in the text, Jeongcheol is telling readers to accept him as a ``extraordinary and confident individual, although he was shunned by others. ``Given the persuasiveness of ethos, today``s writing education, particularly self-reflection writing and writing about oneself needs major chang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you towards the world`` and ``image of you in the outer world`` need to be considered, beyond self-reflection and healing. Second, ``you in the world`` has to be considered, beyond your personal aspects. Through ``self-reflection writing`` that spans both the internal and outer world of a writer,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gap between writing and one``s life and solutions to ethical and accountability-related issues of writing.

      • KCI등재

        에토스의 수사학

        하병학(Byung-Hak Ha)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49 No.-

        오늘날 국제사회는 물론 한국사회는 대단한 갈등이 지배하고 있다. 갈등 해소의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있지만, 의사소통을 잘 하기 위해서는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총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잘못된 의사소통방식이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우리사회 갈등의 원인이자 해결책인 의사소통에 대해 수사학의 에토스 관점에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득, 소통의 학문으로서 수사학은 설득의 수단으로서 로고스, 에토스, 파토스를 강조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설득에서 가장 강력한 수단이 에토스라고 한다. 그가 말하는 에토스는 설득함에 있어서 화자로서의 신뢰를 얻기 위해 갖추어야 할, 또는 적어도 갖춘 것으로 보여야 할 성품인데, 이에 대해 실천적 지혜, 덕, 호의 등 세 가지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 세 가지는 〈수사학〉에서 상세히 다루어지지 않으며, 그 의미도 혼란스럽다. 본고에서는 그 구체적인 의미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그의 다른 저작〈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덕, 탁월성과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특히 한국사회에서 화자가 에토스 관점에서 갖추어야 덕목들을 제시한다. Today, not only the international society but also Korean society is dominated by great conflicts. Although communication is emphasized by means of conflict resolution, it is not suggested as a total measure about what ability the speaker needs to communicate well. Wrong ways of communication are deepening confli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mmunication from the ethos perspective of rhetoric. As a study of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rhetoric emphasizes Logos, Etos, and Patos as a means of persuasion. Aristotle says that the most powerful means of persuasion is the ethos. Ethos is a character that should be equipped, or at least possessed, to gain confidence as a speaker in persuasion, phronesis, arete, eunoi’a. However, these three things are not covered in detail Aristotle’s <rhetoric>, and their meaning is also confusing. This paper analyzes their concrete meaning. To this end, this essay compares with arete and phronesis presented in his other work, <Nicomachen Ethics>. Finally, this article presents the virtues that the speaker should have from the viewpoint of the ethos as the intellectual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쓰기를 통한 에토스 구축의 가능성 모색 -정체성과의 연관을 중심으로-

        장지혜 ( Ji Hye Jang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9

        이 연구는 ‘좋은 글’과 ‘덕이 있는 사람’ 사이에서, 그 둘을 매개하기 위한작문 교육의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현재의 작문 교육은 장르에 따라 그 초점이 필자 자신의 내부로만 향하거나, 혹은 독자에게로만 향하는 식의 양 극단에서 진동해 왔다. 그러나 글쓰기는 어떤 장르라 하더라도 필자 자신의 정체성과 무관할 수 없으며, 본고는 쓰기를 통한 에토스의 구축이 학습자 스스로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까지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에토스란 화자에 대한 청자의 신뢰감과 관련된것으로 ‘담론의 결과일 뿐, 웅변가의 성격에 대한 선입견의 결과가 아니’다. 이는 필자의 성격 그 자체, 혹은 필자가 자신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인식하게된 자아가 아니라, 독자와 만나는 지점에서 실제적으로 구축된 자아상에 주목한 것이라는 점에서 에토스의 구축이 담화 속에서 적절하게 필자를 드러내는 방식을 익힘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는 작문 교육의 영역임을 함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에토스는 ‘나 자신’의 이미지가 ‘사회의 윤리·도덕적 가치’에 기반해 조화롭게 결합되어 ‘독자에게 수용’됨으로써 구축될 수 있다. 한편, 쓰기와 관련된 정체성은 자전적 자아, 담화적 자아, 필자로서의 자아, 사회문화·제도적 맥락에서의 자아의 가능성으로 나뉜다. 이중 담화적 자아는 글로 표현된 특정 텍스트 안에서 사회적 맥락에서의 가치, 믿음, 힘에 기반해 독자에게 주는 인상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에토스와 유사한 개념이다. 에토스가 ‘자신의 것’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자전적 자아와의 접점 안에서 구축되어야 하며, 사회문화·제도적 자아의 가능성은 언제든 필자로서의 자아가 넘어서서 새롭게 만들어갈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필자로서의 자아가 쓰기 과정에서 활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내용적으로는 자전적 자아의 경험을 숙고를 거쳐 최대한으로 제시하고,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독자와의 약속의 차원에서 글을 씀으로써, 표현적으로는 상위담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의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자아의 언표화를 시도함으로써 에토스의 구축이 가능해지며, 이것은 필연적으로 필자자신의 정체성의 구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The study began in the question of what is the role of writing education for mediating between ‘good writing’ and ‘man of virtue’. In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instructor focus on only writer’s inward or only reader with the writing genre. Given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writer’s identity and writing regardless of genre of it, this study explor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ethos through writing leads to identity construction . According to Aristotle, ethos is connected with audience’s trust in the speaker, as a result of discourse, not preconceptions about speaker’s character. From this point of view, ethos is neither writer’s own character or self awareness through introspection. Building ethos will be possible learning express the writer in suitable language, so bulding ethos belongs properly to the domain of writing education. In this respect, ethos is built by ‘gaining acceptance in reader’ writer’s ‘own image’ based on ‘moral values in society’ harmoniously. Otherwise, the identity of writer is sorted out a discoursal self, autobiographical self, self as author, possibilities for self-hood in the socio-cultural and institutional context. discourse self is very similar concept to ethos: relates to impression it makes on the reader based on value, belief, power of social contexts in particular text. For ethos be able to function of ‘writer’s own’, ethos shoud be build in the boundaries of autobiographical self, not only beyond possibilities for self-hood in the socio-cultural and institutional context, but also self as author reconstruct possibilities for self-hood, and self as author work actively in the writing process. This study proposed the next contents as educational contents. It is as follows ; make the best use of personal experience of autobiographical self deliberatively, writing as perspective of promise with reader in the light of ethical aspects, and intentional presentation of the Self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metadiscourse.

      • KCI등재

        토론자로서의 에토스와 파토스 요소의 중요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인공지능 IBM 프로젝트 디베이터와 인간 챔피언 토론자의 경기를 중심으로

        이민섭(Minseob Lee),진정숙(Jeong Suk Jin),박주석(Joo Seok Park)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신년 특별호

        이 연구는 2019년 2월에 인간 챔피언 토론자와 IBM 프로젝트 디베이터의 토론 경기에서 최초의 인공지능이 왜 인간에게 패배했는지 그 요인을 에토스와 파토스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사가 청중을 설득할 때 필요한 3요소로는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가 있다. 에토스는 연사가 누구냐에 따라 연설이 청중에게 미치는 설득력이 달라지는 것이고, 파토스는 청중의 감정 상태가 어떤가에 따라 연설이 청중에게 미치는 설득력이 달라지는 것이다. 그리고 로고스는 연설 내용이 무엇이냐에 따라 연설이 청중에게 미치는 설득력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로고스를 제외한 질적 사례 연구로 에토스와 파토스적 측면에서 IBM 프로젝트 디베이터의 부족한 부분을 찾고자 하였으며, 에토스 측면에서 IBM 프로젝트 디베이터는 저장된 자료의 양이 방대하고 데이터의 품질이 우수하여 준비 토론자로서의 전문성이 있지만 반박 때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다. 인간 챔피언 토론자는 즉흥 토론 전문가라는 전문성을 토론 전 순서에 걸쳐 고르게 보여주었다. 파토스 측면에서 IBM 프로젝트 디베이터가 청중에게 의구심을 남겼다면, 인간 챔피언 토론자는 청중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불공정한 상황에 대한 분노를 유도했다. 인공지능 토론자가 에토스와 파토스 측면에서 개선된다면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 인공지능이 활용될 가능성이 보다 높아질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tries to find the answer that why the first AI debater lost the debate against the human champion debater in Feb. 2019 in the aspect of Ethos and Pathos. Ethos, Pathos, Logos are the three elements for the speakers to persuade listeners. Ethos is about who is the speaker. Pathos is about who are the listeners. Logos is about what is the contents. This paper excludes logos and uses ethos and pathos for analyzing the weakness of IBM Project Debater to suggest improvements. Qualitative case study is used because the debate in Feb. 2019 is the only case. In ethos, IBM Project debater couldn’t show her expertise as an prepared debate expert in her rebuttals, while the human champion debater showed his expertise as an impromptu debate expert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 pathos, listeners still have doubt from the speeches from the IBM Project Debater, while they feel angry from the unfair situations imagined by the human champion debater. If AI debater improves her ethos and pathos, companies feel more easily to use AI deb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