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지안확률변경분석을 통한 에너지효율성 추정: 재고자원효율성이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김길환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4 기업경영리뷰 Vol.15 No.2

        제조기업에게 재고관리는 핵심관리 영역이다. 효과적인 재고관리는 비용절감, 자본운용의 효율성, 고객만족도 제고 등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 들어 제조기업의 효과적인 에너지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에너지효율성 제고는 비용절감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문제에 대한 대응과도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재고관리성과의 효과를 에너지효율성 측면에서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업의 재고관리성과와 에너지효율성 간의 관계를 검토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Modi & Mishra(2011)가 제시한 재고자원효율성을 재고관리성과 지표로써 차용하였고, 에너지투입거리함수에 기반하여 에너지효율성을 정의한 뒤 베이지안확률변경분석을 통해 에너지효율성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에너지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자원효율성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국내 22개의 주요 철강기업이며 분석기간은 2011~2019년이다. 주요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기업의 전체 에너지효율성의 평균값은 0.8630이었다. 둘째, 에너지사용량에 미치는 자본의 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에너지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자원효율성의 효과는양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주요 결과는 에너지효율성 제고를 위해 재고자원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과 최첨단의 장비 및 기계의 도입이 에너지효율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적 실무적 사점을 제안한다. 또한 베이지안확률변경분석을 통해 에너지효율성을 추정했다는 점 그리고 재고관리성과 지표로써 재고자원효율성을 차용하여 처음으로 에너지효율성과의 관계를 살펴봤다는 점이 본 연구의 주요한 학문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Inventory management is a pivotal management area for manufacturing companies, as effective inventory management catalyzes cost reduction, enhances capital utilization, and augments customer satisfaction. Concurrently, the significance of efficient energy management in manufacturing sectors has been increasingly highlighted. Enhancing energy efficiency not only contributes to cost reductions but also addresses the global challenge of climate change. In this regards, it is imperative to assess the impact of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lens of energy efficienc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s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its energy efficiency. To surmount the constraints of previously utilized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this research adopted the inventory resource efficiency metric as proposed by Modi & Mishra (2011). Moreover, energy efficiency was conceptualized based on the energy input distance function, and Bayesia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was employed to estimate this metric. The impact of inventory resource efficiency on energy efficiency was subsequently analyzed. This analysis encompassed 22 major Korean steel companies for the period spanning from 2011 to 2019.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energy efficiency of the companies under analysis was found to be 0.8630. Secondly, the negative impact of capital on energy usage was exhibited. Thirdly, a positive effect of inventory resource efficiency on energy efficiency was observed. These findings underscore that enhancing energy efficiency necessitates the improvement of inventory resource efficiency. Moreover, the introduction of state-of-the art equipment and machinery is likely to further enhance energy efficiency. Additionally, the application of Bayesia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for estimating energy efficiency, coupled with the first-time use of inventory resource efficiency as an indicator of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to explore its relationship with energy efficiency, provides significant academic contributions to this field.

      • KCI등재

        재고최소화와 에너지효율성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국내 철강기업을 중심으로

        김길환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2 기업경영리뷰 Vol.13 No.3

        Energy efficiency is critical issue for steel companies because they consume a lot of energy in the produc- tion process. Also, inventory management is one of the paramount management activities for steel companies because they mainly produce intermediate good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 tory management, which is the important management activity to steel companies, and energy efficiency, which is critical due to the nature of their production process. To achieve this goal, we define energy efficiency with distance function and estimate it using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Morovere, given that lean inventory manage- ment has been widely applied among most companies, we adopt the concept of inventory leanness to evaluate the level of inventory management within the steel company and use emprical leanness indicator to estimate inventory leanness. Also, we consider energy efficiency as a dependent variable and empirical leanness indicator as a independent variable to exma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efficiency and inventory leanness, and we analyze the impacts of company size and industry dynamism on energy efficienc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nergy efficiency is around 0.901, which is lower than the optima energy efficiency. Second, both company size and industry dynamism have the negative impacts on energy efficiency.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 the managerial implication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energy ef- ficiency,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rs of steel company to actively introduce the lean approach for the inven- tory management. Second, it is required for the mangers of large steel company to examine whether energy is efficiently used in production process. Meanwhil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lated literatur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ory leanness and energy efficiency―not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and then revealing the effectiveness of lean inventory management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생산시스템의 특성상 철강기업의 에너지효율은 중요한 이슈이다. 또한 철강기업은 중 간재를 주로 생산하므로 재고관리가 핵심 관리 활동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철강기업의 ‘핵심 관리 활동인 재 고관리’와 ‘생산시스템의 특성상 매우 중요한 에너지효율’의 관계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거리함수 (Distance Function)에 근거하여 에너지효율성(Energy Efficiency)을 정의한 후 확률변경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통해 에너지효율성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린방식(Lean Practice)의 재고관리 접근이 기업들 사이에 광 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는 점을 감안하여 철강기업의 재고관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개념으로 재고최소화(In- ventory Leanness)를 채택하였고, 실증최소화지표(Empirical Leanness Indicator)로써 이를 추정하였다. 또한 에너 지효율성과 재고최소화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에너지효율성을 종속변수로, 실증최소화지표를 독립변수로 하 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추가로 에너지효율성에 미치는 기업 규모와 산업역동성(Industry Dynamism)의 효과도 검 토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철강기업의 평균 에너지효율성은 0.901로 최적의 에너 지효율성 수준보다 낮은 수준에서 실제 에너지효율성이 결정되고 있다. 둘째, 재고최소화는 에너지효율성에 양의 영향을 주고 있다. 셋째, 기업 규모 및 산업역동성은 에너지효율성에 음의 영향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주요 결과 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에너지효율성 개선을 위해 철강기업의 관련 실무자는 린방식 의 재고관리를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규모가 큰 철강기업의 관련 실무자는 에너지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재고최소화와 에너 지효율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에너지효율 개선 측면에서 작동하는 린방식 재고관리의 효과성을 밝혀냈다는 점 에서 관련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 KCI등재

        중국의 에너지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석탄, 전기, 물 에너지를 중심으로

        Zhang, Dong-Zhe,Zhang, DongMing,김종순 韓國商品學會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5

        The new energy development and energy efficiency technology is the futur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Over the past 30 years, China has maintained an annual growth rate of nearly 10%. But now, China is facing an energy short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To address these issues, China capitalized on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and increased investment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technology. In 2009, China invested 4525.3 billion RMB to counter it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This was corresponds to 1.33% of GDP in 2009.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 use of energy will bring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hina is amajor energy consum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inese each regions of energy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inese each regions of energy efficiency, Identify regions that need improvement in regions of energy efficiency, and ultimately to assess the level of energy efficiency in China, and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and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to evaluate the Chinese each regions of energy effici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efforts of China's energy efficiency to pursue a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hina's Central Government to improve the each regions energy efficiency. 지난 30여 년 동안 연평균 10%에 가까운 고성장으로 중국은 에너지 부족과 환경오염 문제에 시달려 왔다. 환경문제개선에 있어 사후처리보다 사전 조치와 통제가 중요한데, 중국은 사전 조치와 통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법을 제정하여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관련예산을 확대하고 베이징올림픽을 계기로 오염문제 해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세계의 공장으로서 생산과 소비에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에너지이용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경제발전의 모순(矛盾) 속에서 제한된 에너지 자원으로 경제적 수익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효율성 향상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2010년 중국통계년감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각 성·시 에너지이용 효율성을 분석하여 에너지이용 효율성이 낮은 지역을 파악하고, 이들 지역이 벤치마킹 할 수 있는 에너지이용이 효율적인 지역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DEA기법을 통한 실증분석으로 에너지이용 효율성 향상이 시급한 지역과 이들 지역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지역들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비교 분석 - 에너지 원단위 분석법 및 맘퀴스트 분석법을 적용하여 -

        한상용,서영욱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4

        The transport secto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 huge benefit in other industry sectors and national economic activity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provision of mobility and accessibility and accounting for about 21% of domestic energy consumption and about 19% of greenhouse gas emissions(CO2 emissions). Therefore, in this respects, the evaluation of energy efficiency for the transport sectors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case study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for evaluating energy efficiency of transport sectors in OECD countries have been a little performe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erform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for evaluating energy efficiency of transport sectors(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in OECD countries from 1990 to 2007 using each energy consumption and actual transportation data. For this purpose, we specifically used the methodology for the evaluation of energy efficiency of passengers/freight and transport mode in the OECD countries in this paper, that is energy intensity method(energy efficiency index) and Malmquist approach(MPI,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Especially, we used energy consumption data and actual transportation data(passenger : passenger, passenger-㎞, freight : ton, ton-㎞) for transport sectors(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of the individual countries in order to estimate energy efficiency index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of transport sectors in OECD countries. Hereafter, it is estimated that this stu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offering suitable information for the decision of policy direction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of transport sectors through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for energy efficiency of transport sectors(road, railway, aviation and navigation). 교통부문은 ‘이동성(mobility)’과 ‘접근 용이성(accessibility)’의 제공을 통해 타 산업부문 및 국가경제활동에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편익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내 에너지 사용량의 21%,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9%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통부문의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평가는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교통부문 간 에너지 효율성을 평가한 연구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OECD 국가의 교통수단별 에너지 소비량 및 수송실적 자료를 이용하여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주요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다년간의 에너지 효율성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원단위 분석법 및 맘퀴스트 분석법을 활용하여 국내를 포함한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국내외 에너지 효율성 평가 사례를 고찰하고, 국내를 포함한 OECD 국가별 여객/화물 및 교통수단별 에너지 효율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원단위 및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MPI,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산정을 위해 개별 국가의 도로, 철도, 항공, 해운 등 교통부문별 에너지 소비량 및 수송실적(여객 : 인, 인-㎞, 화물 : 톤, 톤-㎞) 자료를 이용하였다. OECD 국가의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평가를 위한 연구방법론으로는 에너지 효율성 원단위의 산정을 위해서는 에너지 원단위 분석법(Energy Intensity Method)을 활용하였고,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MPI) 산정을 위해 비모수적 생산성 분석법인 맘퀴스트 분석법(Malmquist Approach)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교통부문별 에너지 효율성 평가를 통해 향후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있어 중요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전력 생산 에너지 비중 구조에 따른 주요 국가별 효율성 비교

        박응석,김대철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6 산업혁신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와 비 OECD 국가의 전력 생산 효율성을 살펴보았다. 전력 생산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DEA와 Post-DEA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토대로 각 국가의 전력생산 효율성과 단계적 벤치마킹 대상을 파악하고, 각 국가의 전력 생산을 위한 개별 에너지원의 비중이 효율성과 연관성 있는 패턴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효율성 관점에서의 전력 생산 에너지원의 비중에 대해서 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DEA 분석 중 CCR 모델에서 가장 효율성이 높은 국가는 전체 19개 국가 중 5개 국가였으며 전체 평균 효율성은 0.883이었다. 한편, BCC 모델에서 가장 효율성이 높은 국가는 12개 국가였으며 전체 평균 효율성은 0.951이었다. Post-DEA인 Tier 분석을 실시하여 단계적 벤치마킹의 대상을 파악하였다. 전체 3그룹 중 Tier 1에는 한국을 포함한 5개 국가가 선정되었으며 Tier 2에는 7개 국가, Tier 3에는 4개 국가가 선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국가별 전력 효율성을 벤치마킹하는 경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효율적인 국가들의 에너지 비중을 파악하였다. 전력 효율성은 각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부존자원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생긴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효율적인 국가는 충분한 부존자원인 화석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었다. 충분한 부존자원이 없는 국가들은 전력 효율성 차원에서 원자력에너지를 사용하였다. 한국은 부존자원이 없지만 가장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한국은 원자력에너지를 사용하는 정책을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In this research,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electricity for major OECD countries and non-OECD countries was studied. DEA and Post-DEA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efficiency of generating electricity. Under these research methods, it figured out electric efficiency of each of countries and phased benchmarking objects as well as the distinctive feature of efficient countries by electricity production sources’ composition. With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ed a policy about the composition of electricity production sources in terms of efficiency. The overall average efficiency was 0.883 and 5 countries of all 19 countries were the most efficient counties in CCR model.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12 countries which were the most efficient countries in BCC model with the overall average efficiency 0.951. In tier analysis, it divided each of countries into 3 groups. They are 5 countries in Tier 1 groups including of Korea, 7 countries in Tier 2 groups. and rest of countries that did not be included in these Tier groups. This result could give information about the way of benchmarking to make better electricity efficient countries. Also, an energy composition of the efficient countries was found. There is distinctive feature that electricity efficiency was depended on how much the endowed resources were held. Most of the efficient countries using fossil energy sources had sufficient endowed resources. Otherwise, using nuclear energy was recommended in terms of electric energy efficiency. Because Korea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country even though does not have sufficient endowed resources, Korea should keep their generating policy using nuclear energy to generate electricity efficiently.

      • KCI등재

        확률적 거리함수를 활용한 지역별 에너지효율성 추정

        정다솜 ( Dasom Jeong ),강상목 ( Sangmok Kang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2021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에너지효율의 지표인 에너지원단위(Energy Intensity)를 넘어 확률적 프런티어 접근으로 우리나라의 지역별 에너지효율성을 추정하고 이를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1998 - 2018년 기간 동안의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에너지효율성 및 에너지원단위 효율성을 확률적 거리함수를 활용하여 추정한다. 부가적으로 선행연구에서 혼재하고 있는 자본스톡 추계방법들에 따른 에너지효율성 순위의 강건성을 살펴본다. 분석 결과 첫째, 세 가지 에너지효율의 지표에 따라 지역의 순위에 상당한 변동이 있었으므로 이들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에너지효율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미하지만 조금씩 개선된 반면, 에너지원단위 효율성은 미미하지만 하락했다. 마지막으로 자본스톡 추계방법에 따른 지역별 에너지효율성은 강건하지 않았다. 경제분석에서 중요한 자본스톡 추정 시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by estimating the regional energy efficiency in Korea using the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beyond the energy intensity tha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n indicator of energy efficiency. In this paper, energy efficiency and energy intensity efficiency were estimated as a stochastic distance function from 1998 to 2018 for 16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In addition, the robustness of energy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apital stock estimation methods which had been mixed in previous studies was review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regional rankings according to the three energy efficiency indicators, so they should be used complementary to each other. Second, while the energy efficiency improved little by little over time, the energy intensity efficiency decreased slightly though. Lastly, energy efficiency by region according to the capital stock estimation method was not robust. Care must be taken in estimating capital stock, which is important in economic analysis.

      • KCI등재

        베이지안확률변경분석을 이용한 국내 철강기업의 에너지효율성 분석

        김길환(Gilwhan Kim) 글로벌경영학회 202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1 No.2

        철강기업은 생산과정의 특성상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한다. 따라서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 국내 철강기업의 에너지효율성(Energy Efficiency) 개선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철강기업의 에너지효율성 개선을 위한 효과적 관리의 출발점은 철강기업의 에너지효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이전 연구들은 주로 일반적인 확률변경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적용하여 철강기업의 에너지효율성을 추정하였다. 한편, 베이지안 추론(Bayesian Inference)을 확률변경분석에 접목시킨 베이지안확률변경분석(Bayesian Stochastic Frontier Anaysis)은 모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함으로 더 정확하고 유연한 추정치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베이지안확률변경분석을 적용하여 국내 철강기업의 에너지효율성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처음으로 베이지안확률변경분석을 적용하여 국내 철강기업을 대상으로 에너지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깁스샘플링(Gibbs Sampling)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22개 국내 주요 철강기업의 2011~2019년까지의 에너지효율성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적의 효율성을 1이라고 했을 때, 철강기업의 전체 평균 에너지효율성은 0.5450이었다. 둘째, 2011년부터 2013년 까지 분석대상 철강기업의 연도별 평균 에너지효율성은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고 2013년 정점을 보인 후 감소추세를 보였다. 셋째, 각 기업별 평균 에너지효율성을 비교해 보았고 0.8 이상의 비교적 높은 에너지효율성을 보인 기업들을 확인하였다. Steel companies, due to their production processes, emit a large amount of greenhouse gases. Therefore,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m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e starting point for effective management of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in steel companies is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their energy efficiency. Previous studies primarily utilized traditional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o estimate the energy efficiency of steel companies. Meanwhile, Bayesia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which incorporates Bayesian Inference into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offers the advantage of more accurate and flexible estimates by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parameters. Despite the advantages, there has been no research applying Bayesia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o analyze the energy efficiency of Korean steel companies. This study is the first to apply Bayesia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o Korean steel companies, using the Gibbs Sampling technique to estimate the energy efficiency of 22 major Korean steel companies from 2011 to 2019.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nergy efficiency of steel companies is 0.5450. Second, from 2011 to 2013, the yearly average energy efficiency of the steel companies analyzed shows an improving trend, peaking in 2013, followed by a decreasing trend. Third, a comparison of average energy efficiency across individual companies reveals the firms with relatively high energy efficiency, exceeding 0.8

      • KCI등재후보

        에너지 관련 법상 에너지 이용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삼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가천법학 Vol.6 No.2

        오늘날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에너지와 관련된 문제들을 법제적으로 고찰하였는바, 현실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에너지의 헌법적 규정화와 현행 에너지법의 통합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현실적으로 에너지의 고갈과 부족현상에 따른 에너지 이용의 효율화를 위한 대안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의 규제를 강조하였다. 또한 에너지의 이용에 따른 환경오염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특히 에너지 이용의 효율화를 위한 다음의 제고방안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첫째, 오늘날 인간의 생존권 실현에 없어서는 아니 될 에너지 자원의 절대적인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헌법적인 차원에서의 에너지 절약과 효율적 이용에 관련된 관념의 정립이 필요하다. 즉 국가의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성장과 안정, 적정한 소득의 분배 유지,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 방지,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한 규제와 조정을 위한 국가의 에너지 통제와 조정 등 헌법적 차원에서의 에너지 규정의 제도적 보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국 국민의 에너지 이용권과 부족함이 없는 에너지 환경을 향유할 수 있는 권리와 국가의 책무 및 에너지의 절약 내지는 효율화 규정 등 헌법적 차원의 에너지 입법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행 에너지법, 에너지이용합리화법 등 에너지 관련 각 법률들이 에너지 이용의 효율화를 위한 국가와 사용자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바, 각 법률 간의 관계가 연계를 이루어지지 않고 분산되어 있어서 그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에너지 관련 법률체계상 에너지 기본법을 토대로 에너지의 이용 효율화를 위한 에너지의 계획·관리·규제·정보·연구·개발 등 기능적인 법체계와 현재 국내외의 에너지 수급·규제와 에너지 과다소비의 방지에 대한 규제가 미약하므로 현행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 여건을 반영하는 통합적인 법체계의 정립이 필요하다.셋째, 에너지의 고갈과 부족 현상에 따른 에너지의 절약의 일환인 에너지 소비의 능동적 효율화가 필요하다. 즉 에너지 사용의 능동적 효율화를 기하므로써 에너지의 측정, 모니터링 및 통제를 통해 지속적인 변화에 영향을 주어야 하며, 에너지 저소비형 정책 및 에너지 절감 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모든 가전제품 등에 대한 에너지 규제와 기준을 강화시킴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화의 실효성 확보의 수단이 필요하다.넷째, 에너지 이용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이어지는 문제점과 그의 방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의 연계성이 부족하므로 에너지 소비에 따른 환경 오염 방지의 관련 규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oday, after considering issues related with energy which is close to human life in a legislative way, the constitutional regularization of energy and the plan of unifying current energy-related regulations, which seem so important, were proposed, and for the alternative way of efficiency in energy usage resulted by lack and depletion of energy, regulation on efficiency of energy usage was emphasiz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n constitutional energy saving and efficiency as the absolute necessity of energy resources which are vital for human beings’ existence is being issued. In other words, systemic guarantee of constitutional energy regulation such as following should be settled; growth and stability of national economy, maintenance of distributing reasonable income, prevention of market control and abusing economic power, national controlling of energy for restriction and control for economic democratization through the harmony among main economic players. This is, constitutional energy legalization is necessary since civil rights to use energy, rights and national duty to enjoy energy environment without lack of energy, and compulsory regulation of energy saving, or at least efficiency of energy are necessary. In addition, regulation and control for energy efficiency is certainly needed. Second, laws related with energy such as current energy regulation and energy usage rationalization regulate the duty of the nation and the user for efficiency of energy usage, but there is a question about the efficiency since they are dispersed without connection among those. Thus, based on fundamental law of energy, it is necessary to settle functional legal system such as planning, manageing, regulating, informing, studying, and developing energy for energy efficiency and integrated legal system reflecting current energy supply and usage in and out of the country. Third, regulation of energy usage and energy over-use prevention, which are part of energy saving followed by today’s shortage and depletion of energy, are weak. Article 14 of current enforcement ordinance of efficiency in energy usage clearly states the limitation and prohibition of energy usage, and by reinforcing regulation and criteria about other electrics and goods, means to retain effectiveness of efficient energy usage are to be studie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and the environment seems separated because of the lack of detailed connectivity of the problem due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energy usage and the restrictions to prevent those, and the limitation of environment pollution from energy usage is vague. Still, there is no doubt that the main reason for global warming is from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through energy usage. Thus, energy is closely related with environmental issues regarding that it causes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damages in producing, distributing and using energy. Especially, the usage of fossil fuel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acid rain, environmental damage and global warming so that for the preparation of this, energy saving and energy efficiency should be reinforced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study,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bio-energy should be continuously made.

      • KCI등재

        그린에너지 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윤상흠,하귀용,최석봉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6

        그린 에너지 산업은 향후 국내 기업에게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으며 차기 성장 동력으로 가능성을 인식하고 끊임없이 투자한 기업들이 현재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그린 에너지 시장은 아직 도입 초기 단계로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그린에너지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의 경영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선도 기업들을 파악하고 다양한 기업의 투입 및 산출지표의 관점에서 각 기업들이 개선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 분석에서 많이 이용되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활용하여, 국내 53개의 그린 에너지 기업을 실증 분석하였다. 선택된 투입요소는 총자산, 제조원가, 종업원 수이며, 산출요소는 매출액, 당기순이익이다. DEA 분석을 통해 국내 그린 에너지 산업의 효율성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하고 효율성 측면에서 가장 선도영역(frontier)에 속한 기업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효율성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개별 기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벤치마킹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매출액에 따른 규모별, 산업 내 업종별 추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각 기업이 속한 동질성을 가지는 경쟁업체와 상대적으로 비교된 효율성 분석을 통해 현실적인 벤치마킹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전체 연구대상 기업들의 CCR 모형에 의한 평균 효율성은 0.748, BCC 모형에 의한 효율성은 0.787이며, 규모효율성은 0.954로 측정되었다. 매출액 1,000억 이상인 그룹과 1조 이상인 그룹의 경우 효율성 값들이 0.9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1,000억 미만의 그룹의 경우에는 CCR 모형에 의한 평균 효율성이 0.794로 다른 매출액 그룹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매출 규모가 작은 기업들이 비교적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업종별 효율성 평가 결과, 시공 업종이 타 업종에 비해 효율성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잉크/웨이퍼 업종의 효율성 값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firms in green energy industry based on a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pproach. We applied gross asset, manufacturing cost and number of employee as input factors while the total sales and net profit as output measures.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management efficiency across green industry firms according to their sales scale and types of production proces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firm level dynamics of management efficiency in Korean green energy industry. By considering industry specific feature of green energy firms, we have assessed relativ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of management across ICT SMEs. The findings of the paper have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to management strategy for green energy firms and other technology-intensive industry that requires continuous improvement in management efficiency for their competitive advantage.

      • KCI등재후보

        에너지 공기업 연구개발(R&D) 투자의 효율성 측정과 제고 방안

        김현정 한국공공사회학회 2019 공공사회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 공기업의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투자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이러한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에너지 공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전략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에너지 공기업 17개 모두를 대상으로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인 알리오(ALIO: All Public Information In-One)에 공시된 2018년 자료를 바탕으로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CCR 모형의 평균 효율성은 0.4076, BCC 모형의 평균 효율성은 0.7960으로 효율성이 낮은 편이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가스공사가 CCR 모형과 BCC 모형 모두에서 유일하게 효율적이었고, BCC 모형에서만 효율적인 에너지 공기업은 한국전력공사, 한국원자력연료,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였다. 또한 본 연구는 각 에너지 공기업별로 연구개발 투자 활동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순수한 기술적 효율성과 규모 효율성 중에서 무엇을 제고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해 적극적으로 연구개발 투자 활동을 할 계획인 에너지 공기업들에게 어떻게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지를 전략적으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에너지 공기업들에게 연구개발 투자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양적인 성장에만 치중하지 않고, 보다 적은 직원 수와 연구개발 투자 예산을 투입하더라도 보다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질적인 성장을 위한 효율적인 경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s in energy public enterprise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ppose the strategy for the investment of R&D of energy public enterprises. To thi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018 published in the All Public Information In-One (ALIO), a publ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for all 17 domestic energy public enterprises. As a result,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CCR model was 0.4076 and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BCC model was 0.7960, which was inefficient. Specifically, Korea Gas Corporation (KOGAS) was the only efficient in both the CCR and BCC models, and only six energy corporations, including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KEPCO Nuclear Fuel,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KNOC),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KGS), Korea Resources Corporation (KORES), and Korea Gas Technology Corporation (KOGAS), were efficient in the BCC model.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should be improved for each energy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how to improve efficiency for energy public enterprises that plan to actively invest in R&D for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More meaningfully, this study not only focuses on quantitative growth that continuously expands R&D investment budget, but also argues for qualitative growth that can achieve results even if fewer employees and R&D investment budg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