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업사이클링 패션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업사이클링 제품 인식 및 선호도 분석 연구

        정경희,배수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패션제품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향후 업사이클링 패션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광주광역시 성인 20-40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269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응답자 연령대의 대부분이 패션제품 구매에 있어 평소 관심이 있고, 패션제품에 대한 구매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업사이클링패션제품 구매경험이 대다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업사이클링 패션제품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있었다. 둘째, 업사이클링 패션제품 사용이 환경에 직접적이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하고는있으나,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한 선호도는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업사이클링 패션제품 구매경험 유무에 따라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업사이클링 패션제품 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업사이클링 패션제품에 대한 인식부족 개선을 위해 단계별로 대상에 따라 적용할 수있는 업사이클링 패션교육프로그램이 개설될 필요가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뿐만아니라 다양한 교육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업사이클링 패션교육을 통해 학습함에 따라 직접적인 환경보호 실천으로 이루어지며, 지속가능한 의생활 실천으로 사회적 인식변화에도 긍정적인 기여를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upcycling fashion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upcycling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269 questionnaire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focusing on adults in their 20s and 40s in Gwangju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interested i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nd had purchasing power for fashion products, but most of them did not have experience purchasing upcycling fashion products, indicating that it was necessary to promote upcycling fashion products. Second, although we recognize that the use of upcycling fashion products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 our preference for upcycling products is not high.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eco-friendliness and the perception of upcycling fashion product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upcycling fashion product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open an upcycling fashion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target to improve the lack of awareness of upcycling fashion products. Through this, it can be used not only in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but also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and it is expected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social perception change by practicing sustainable fashion as it learns through upcycling fashion education.

      • KCI등재

        디자인을 통한 국내 업사이클링 산업 활성화 방안 제시

        정서준(Jung, Seojun),김원섭(Kim, Wonsup)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4 No.3

        연구배경 : 국내 업사이클링 산업은 정부와 기업의 관심과 달리 국외 업사이클링 선진국에 비해 발전이 느리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업사이클링 산업에 미치는 요인과 문제점을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사전적 정의를 통해 업사이클링의 개념을 이해하고 국내 업사이클링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문헌 및 관련 기관의 자료, 보고서 등을 수집하였다. 둘째, 국내의 업사이클링 산업을 해외 업사이클링 산업과 비교하여 미성숙한 단계로서 다각적인 기반이 구축되어야 하는 산업임을 파악하였다. 국내 업사이클링 산업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업사이클링 기업, 마켓, 관련 활동들을 기업, 기관의 사이트와 기사 등에서 포괄적으로 수집하였다. 셋째, 이를 종합하여 국내 업사이클링 산업의 기업 유형 및 생태계를 파악하고 분석한 뒤 특성을 찾아내고 시사점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 최종적으로 정리된 시사점을 토대로 국내 업사이클링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론 및 도구의 연구 개발, 다양한 경로를 통한 안정적 소재 수급, 온라인 마켓 개선, 지속가능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네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기존 국내 업사이클링 산업의 생산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재의 안정적인 확보와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극복할 수 있으며, 기업과 소비자의 직접적인 소통 및 소비자의 시장 참여 유도와 친환경적 문화확산 및 소비 시장 규모 확산을 도모할 수 있다. Background : Despite the attention from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toward the domestic upcycling industry, its growth is slower compared to that in other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domestic upcycling industry, and presents ways to stimulate it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Methods : First, we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upcycling by defining it.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is industry, we collected literature, data, and reports from related institutions. Second, the domestic upcycling industry is underdeveloped compared to the overseas upcycling industry; thus, various foundations need to be established. To concretely identify the industry’s status , we comprehensively collected data from websites and media articles regarding the activities of domestic upcycling firms, markets, and institutions. Third, after integrating these data, we analyzed the types of firms, the ecosystem in the industry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five points. Result : Finally, based on these implications, in order to revitalize the domestic upcycling industry, we present four different solutions: (1) research and development of upcycling design methodology and tools, (2) diverse channels to secure stable sources of materials, (3) improving online markets, and (4) developing sustainable educational programs. Conclusion : With this research, we hope to: help overcome the limitations in existing production methods of the domestic upcycling industry, find ways to secure stable sources of materials and use them efficiently, foste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firms and consumers while encouraging the latter to participate in markets, promote an eco-friendly culture, and expand the size of the consumer market.

      • KCI등재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나타나는 특성 - 소재와 기법 및 제품사례중심으로 -

        차임선 ( Im-sun Cha ),한정임 ( Jung-im 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과 자연 고갈에 대한 위기의식이 부각되면서 버려지는 쓰레기들로 야기되는 환경오염을 줄이는 방법과 리사이클링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여 단순한 리사이클링에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한 단계 높은 차원인 업사이클링 디자인에 대한 고찰이다.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나타나는 소재와 기법의 특성과 제품디자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고부가 가치를 지닌 제품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인 자료와 그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과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나타나는 특성인 소재와 기법에 대한 연구는 여러 선행연구 및 서적과 관련 문헌자료를 수집하였고, 제품사례연구는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2005년 이후의 외국 디자이너들의 제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첫째, 단순히 재료가 가지는 가치만을 재활용이나 재사용하는 다운 사이클의 개념이 아니라 환경에 대한 재투자와 버려진 폐기물에 대한 디자인 요소를 더하여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업사이클링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둘째,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사용한 소재에는 일반적으로 종이, 섬유, 가죽, 비닐, 타이류, 나무, 유리, 금속 등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점차 재활용되는 소재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셋째,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사용한 기법에는 패치워크, 플레이팅, 위빙, 니팅과 크로쉐, 꼴라쥬 기법 등 주로 수공예적인 요소가 강한 기법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하여 내구성이 강한 재활용된 서로 다른 소재들의 결합과 위빙, 크로쉐, 패치워크, 플레이팅 등의 섬세한 기술을 요하는 수공예적인 기법의 사용으로 희소성과 독창성이 돋보였다고 할 수 있다. 결론 업사이클링 제품 디자인의 연구를 통하여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소재의 개발과 제작 비용저감 및 기존의 공예기법뿐 만 아니라 독특한 기법들을 연구함으로써 업사이클링의 디자인제품을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As the worldwide attention the urgency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pletion of natural wasted began receiving attention for research on how to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waste and recycling methods.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a study on the flow of these contemporary one step higher level of upcycling designs into functional, aesthetic from simple recycling.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appear in the upcycling product design, we propose a theoretical data and the problem needed to develop products with high added value and a firm grasp on upcycling product design. Methods Research on the upcycling Theoretical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appear in the upcycling products designs were collecting relevant literature and several previous studies and books, products, case studies since 2005 can be seen in upcycling products design site in. It was discussed mainly the product of foreign designers. Result Results First, simply growing interest in upcycling design to create new value to the product by adding design elements for reinvestment and abandoned waste to not concepts environment of the down cycle that only recycling or reuse value with the material. Second, the material used in the product design upcycling in general in paper, textile, leather, vinyl, Thailand Chapter, wood, glass, metal, etc. has been widely used, the area of materials recycling which has been gradually expanded. Third, the design techniques used in the product has been used up cycling a lot of patchwork, plating, weaving, knitting and Black Chevron, mainly handicraft techniques such as collage elements have a strong technique. Fourt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materials with durable recycled through the upcycling product design case study and weaving, knitting, crochet, patchwork, plating was a use scarcity and originality of handicraft techniques that require sophisticated technology stand out, such as can do. Conclusion Upcycling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through a study of the product design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 and not just lowering costs and production of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By studying the unique techniques upcycling the design of high value-added industries can develop.

      • KCI등재

        무용에서 업사이클링의 미학적 특성과 작품 사례 탐색

        김연재 한국무용연구학회 2024 한국무용연구 Vol.42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무용에서 업사이클링의 개념의 특성을 미학적으로 분석하고, 현재까지 업사이클링에 관련한 작품사례를 탐색하여 개념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분석을 통해 기존 업사이클링의 특성을 분석하여 무용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업사이클링의 특성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또한 무용 업사이클링 특성에 적합한 작품사례를 탐색하여 무용에서의 실천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먼저 기존 업사이클링에 관한 특성은 분석 결과는 상호, 융합 통한 새로운 가치로 재생산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계성(소통), 스토리텔링, 참여’가 핵심 요소로 도출되었다. 이를 무용에서 살펴보면 업사이클링에 대한 개념은 움직임적 특성, 공간적 특성, 감성적 특성으로 나뉘었다. 세 가지 특성에서 움직임적 특성은 감각의 소통이 드러나며, 공간적 특성으로는장소의 맥락성이 강조되고, 감성적 특성은 재생성의 통로 역할로써 분위기 연출을 통해 실천할 수 있었다. 결론: 무용에서는 업사이클링의 관계성이 감각의 소통으로 나타나며 무용에서는 감각적 움직임을 강조하는 것을 통해 업사이클링을 실천할 수 있다. 업사이클링의 스토리텔링 특성은 무용에서 장소의 맥락성으로 풀어낼 수 있다. 이는무용에서 장소특정형 공연으로 업사이클링을 실천할 수 있다. 업사이클링의 참여 특성은 무용에서 참여는 뵈메의 ‘분위기’ 개념을 통해 공연의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장치인 오브제, 음악, 조명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 업사이클링을 실천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esthe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upcycling in dance and to explore and conceptualize examples of works related to upcycling to date. Method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upcycling through literature analysis, we aim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that can be practiced in dance.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plore examples of work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upcycling and seek practical measures in dance. Result: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mean reproducing new values through mutual and convergence, and ‘relationship (communication), storytelling, and participation’ were derived as key elements. Looking at this in dance, the concept of upcycling was divided into movement characteristic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three characteristics, the movement characteristic reveals communication of the senses, the spatial characteristic emphasizes the contextual nature of the place, 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 can be practiced through creating an atmosphere as a passage for regeneration. Conclusion: In dance, the relationship of upcycling is expressed through communication of the senses, and upcycling can be practiced by emphasizing sensory movement in dance. The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context of place in dance. Upcycling can be practiced from dance to site-specific performances. The participatory characteristic of upcycling is that in dance, upcycling can be practiced through various elements such as objects, music, and lighting, which are devices for creating the atmosphere of a performance through Boehme's concept of ‘atmosphere’.

      • KCI등재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 연구

        왕경희(Kyung Hee W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자원을 보존하고 절약하기 위해 폐기된 제품의 소재를 가공하고 해체하여 다시 사용하는 재활용 제품개발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제작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업사이클링 제품을 좀 더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에 사용된 소재의 유형별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소재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국내 브랜드 10곳과 국외 브랜드 46곳의 유형별 소재를 분류하여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브랜드 선정은 전시와 다큐멘터리, 서적, 웹사이트를 조사, 검색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업사이클링 디자인 개념과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발생, 국내외 현황을 조사하였고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는 환경부 폐기물 분류기준을 참조하여 폐섬유류, 폐비닐류, 폐가죽류, 폐종이류, 폐타이어류로 분류하여 브랜드 사례를 조사하였다. 셋째, 사례를 종합하여 소재특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업사이클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은 첫째, 폐섬유류로 주로 많이 제작되며 트럭 덮개, 현수막, 광고판, 자투리 천, 옷, 군복, 담요, 텐트, 낙하산, 소방호스, 안전벨트, 차 시트, 비행기좌석, 커피자루가 사용되고 있다. 둘째, 폐비닐류의 포장용 비닐과 비닐봉지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폐가죽류의 헌 가죽옷과 가죽신발을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가죽, 벨트, 차 시트, 폐가구, 체조기구를 활용하고 있다. 넷째, 폐종이류는 잡지와 카탈로그, 신문에 비닐코팅을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폐타이어류는 타이어 안쪽의 이너튜브와 특별히 가죽 같은 광택의 고품질 원단을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다. 위의 소재유형으로 특성을 도출해 본 결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은 첫째, 여러 소재의 혼합사용 둘째,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공예기법의 활용 셋째, 재료 공급의 한계로 인한 희소성 넷째, 폐기된 제품을 다시 사용할 수 있을 만큼의 내구성이 있다. 이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연구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활성화 방향을 모색해 보면 첫째, 업사이클링 가방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찾기 위해 많은 시도와 실험으로 소재의 다양화에 힘써야 한다. 둘째, 새로운 수공예적인 기법을 발굴하여 소재를 고급화해야 한다. 셋째, 개인의 고유한 감성을 담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여 희소성 있는 차별적 가치의 제품을 창출해야 한다. 넷째,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해 우수한 소재를 개발해야 한다. 이와 같은 활성화 방향은 아직 사회적 관심과 산업적인 기반이 미약한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시장의 제품수준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Korea, a resource poor country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recycling products reusing waste materials through processing and disassembly to preserve and save resources.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develop upcycling things that are made into high value-added products and create new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cases by material types in the upcycling bag design, to deduce the attribute of materials. and then to suggest revitalization plans of the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The scope of this research included the classification and case study of each material from 10 domestic brands and 46 foreign brands and finally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plans of the upcycling bag design. The brands selection was based on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exhibitions, documents, books and web sites. The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 First, this study researched the upcycling concept, the advent of upcycling design, domestic, foreign present condition and the necessity of upcycling bag design. Second, for a brand case study, materials for an upcycling bag design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follows ; a type of waste textile, waste plastic, waste leather, waste paper, waste tire. Third, each material attribute was deduced after integrating all case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plans of an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n the types of an upcycling bag design is as follows. First, a main type is waste textile, in addition, covers for a truck, placards, signboards, remnants of cloth, clothes, military uniforms, blankets, tents, parachutes, fire hoses, seat belts, car sheets, plane seats and sacks for coffee are used. Second, a type of waste plastic including doggie bags and plastic bags is mostly used. Third, a type of waste leather such as old leather garments, remnants of leather shoes, a belt, car sheets, waste furniture and gymnastic gears is utilized. Fourth, a type of waste paper such as magazines, catalogs, and coated newspapers is utilized. Fifth, a type of waste tire is utilized using inner tubes of a tire and is especially developed into glossy leathery fabrics with high quality. Based on these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an upcycling bag design are as follows. First, an upcycling bag design combines different materials. Second, it frequently uses crafts techniques. Third, it has scarcity value because of supply limit for materials. Fourth, it has durability to enable reuse by dismantling wasted goods. This study suggests the revitalization plan of an upcycling bag design in Korea from this research on the material type and attribute of an upcycling bag desig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materials for upcycling bags from many tries and experiments. Second, we need to gentrify materials with finding new handcraft techniques. Third, the differentiated value should be created by product development with individual unique sensibility. Fourth, high-quality materials should be found through developing new technologies and investment. This revitalization plan will be able to raise the status of products and create added value in the Korean upcycling market where social concern and industrial foundation are vulnerable.

      • KCI등재

        업사이클링 가치 요소를 기반으로 한 패션 브랜드 VMD 사례분석 -서울시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중심으로-

        장지위,엄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오늘날 대량생산과 소비 제품의 남용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자원 낭비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패션산업은 전 세계 폐기물 배출량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해 책임감 있는 개인과 패션브랜드는 폐기물을 자원으로 전환하는 업사이클링 제품 디자인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를 설립하여 이는 일부 가치 소비나착한 소비를 지향하여 소비자들의 높은 열정과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패션브랜드는 오프라인 매장을가까이서 체험할 수 없어 업사이클링 패션브랜드에대한 인식과 체험이 전반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오프라인 매장의 시각적 인식과 체험은 패션브랜드 정보와 인지도를 얻는 가장 직접적인 주요 수단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VMD의 역할은 매장 차별화 전략으로 고객의 브랜드 인지 의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 목적은 업사이클링 시장점유율확대, 판매경쟁력 향상 및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위해 업사이클링 패션브랜드 매장 VMD의 가치표현을 파악하며 업사이클링 브랜드 개발을 위한 오프라인 매장 활성화에 대한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범위는 NICE평가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국내외업사이클링 산업을 기반으로 2020년 이후 서울 소재지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 프라이탁, 래코드, 큐클리프 총 3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인학술논문과 참고서적 문헌 고찰을 통해 업사이클링가치 요소 따라 브랜드 VMD 현황 분석을 위하여 현장조사와 인터넷 온라인 조사 분석하였다. 업사이클링 가치 요소를 기반으로 한 패션 브랜드인 프라이탁, 레코드, 큐클리프 VMD 사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시켰다. 첫째, 환경적 가치는 쇼윈도, 집기와 소품에서 친환경적인 재료와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연출되어지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가치는 소재의 본연의 상태와 색채, 집기, 소도구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감성적인사회 인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출되었다. 셋째, 경제적 가치는 집기 디자인에 반영되어 매장 공간 절약, 소품 다변화, 다기능성 구현의 효율성, 전시된 소품과체험 이벤트 등을 통해 매장 방문을 높여 매출 증가에 기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폐자재 및 재활용 재료를 활용한 집기 등전시대 사용하여 업사이클링 제품을 전시하는 것은브랜드 업사이클링의 환경적 가치를 부각시키고 소비자 구매 욕구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차별화된 매장을 만들어낼 수 있는 FP 존은 사회적 가치를 감성적으로 연출하여 업사이클링 브랜드매장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제품을 시각적으로 경험하는 동시에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에 더욱 풍성한 체험 활동을 더 해 경제적 가치를 더 할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due to the overconsumption of mass-produced goods have become increasingly severe. The fashion industry, in particular,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global waste generation. In response to these environmental issues, conscientious individuals and fashion brands are engaging in the design of upcycled products, transforming waste into resources. The establishment of upcycling fashion brands, advocating for responsible and ethical consumption, has gained high enthusiasm and support from consumers. However,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upcycling fashion brands in offline stores remain generally insufficient. Moreover, the visual perception and experience in offline stores are crucial means for obtaining brand information and recognition, making the effective role of Visual Merchandising (VMD) a potential strategy for store differentiation and influencing consumers' brand awareness.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effective foundational data for the activation of offline stores for upcycling brands,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market share, enhancement of sales competitiveness, and improvement of consumer awareness towards these brands. The study focuses on three offline stores located in Seoul, namely Freitag, Re;code, and Queclyp, based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upcycling industr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ICE Evaluation & Information Service since 2020.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oretical reviews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of Visual Merchandising (VMD) for upcycling brands by conducting on-site surveys and online internet research. The case analysis of Freitag, Re;code, and Queclyp, upcycling fashion brands based on upcycling values, revea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environmental values are portrayed through the showcase, furniture, and accessories, show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nd recycling waste. Secondly, social values are conveyed through storytelling of materials' natural states, colors, and the narrative behind furniture and small tools, aiming to transmit emotional social awareness. Thirdly, economic values are reflected in furniture design, emphasizing efficiency in store space utilization, diversification of accessories, implementation of multifunctionality, and the promotion of store visits through exhibited items and experiential events, contributing to increased sales. In conclusion, demonstrating upcycled products, especially furniture using recycled materials, in the store contributes to highlighting the environmental values of the brand, potentially increasing consumer purchasing desire. Additionally, the creation of a differentiated store with a focus on social values through a designated FP (Focal Point) zone aids in enhancing consumer awareness of upcycling brand stores. Furthermore, the visual experience of upcycling fashion brand products, coupled with enriched experiential activities, is expected to add economic value to the upgraded fashion brand.

      • KCI등재

        업사이클링 가구디자인의 활성화 방안 연구

        오미현(Oh Mi hyun),박중원(Park Jung 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3

        지속 가능한 디자인과 예술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오늘날, 업사이클링은 폐기물의 단순한 재사용 및 재활용을 넘어 새로운 가치의 창출이라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쓰레기는 더 이상 폐기되고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니라 용도에 따라 새롭게 혹은 그보다 더 높은 가치를 지닌 것으로 재창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업사이클링은 폐기물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디자인과의 접목을 통한 재화로서의 가치 상승이라는 경제적 효과창출과 버려진 물건을 해체하거나 재조합을 통해 제품 또는 작품으로 창작되어 폐기물의 가치를 높인다.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이 21세기에 들어 급격하게 진화중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인간생활에서 안락한 삶의 필요도구인 가구에 창조적 도구로써 업사이클링 개념의 접목을 통해 환경문제 해결과 더불어 가구디자인의 새로운 창작의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업사이클링의 일반적 정의 및 현대 업사이클링의 현황을 살펴보고, 업사이클링의 사례를 유형별로 분석한다. Ⅲ장에서는 업사이클링 가구디자인의 창출 방법에 따른 현황을 알아보고, 업사이클링이 가구디자인에서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창조의 비전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구디자인에서의 업사이클링 개념의 적용과 영역확장에 있어서 디자이너들이 가져야할 문제의식과 창조적 태도를 탐색하고자 한다. The terminology ‘up-cycle’ and ‘up-cycling’ has been a subject of interest over the recent years. It is beyond recycling thrown away objects and materials. Up-cycle creates new values, emerging as a focal phenomenon as wastes are no longer regarded as being useless. Depending on the function, wastes can take on a new life, possessing a higher value with its newly created development separate from what it used to be in the past. This study proves the fact that up-cycling waste products is on the increase particularly entering into the 21st century. Up-cycling in furniture design is a new concept addressing environmental issues. The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up-cycling for new furniture designs. In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looks at general definition of up-cycling and the current state of this phenomenon. Examples are given to prove the issues confronting this phenomenon. In the third chapter, methods of designing furniture with the concept of up-cycling is addressed. Creative vision using this process is taken into account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designing furniture additionally as defining its role. In conclusion, the study observes the conditions confronted by the concept of up-cycling, saving resource and developing a new approach in design by taking the environment into account. The field of art and design is in reality expanding as such new approaches suggest new ways of using material and design. This is a new concept and a new way of creating.

      • 폐자원흐름분석을 통한 전기 · 전자 제품의 upcycling 활성화 방안

        이희선 ( Hi Sun Lee ),이소라 ( Sora Yi ),한상운 ( Sang Woon Han ),임혜숙 ( Hye Sook Lim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정책 및 사례분석을 통해 업사이클링 개념 및 활성화 방향을 설정하고 폐전기·전자제품 중 냉장고와 컴퓨터를 대상으로 폐자원흐름분석을 실시하였다. 제품폐기 이후의 물질흐름을 배출-수거-전처리-자원회수-판매/수출/처분 등의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회수가능한 자원 및 최종 처리량을 파악하고 폐자원흐름분석 단계별로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 국내·외 정책을 분석한 결과, 한국·EU·일본의 의무 재활용 비율 중 EU의 재활용률 및 재생률 목표가 가장 높았으며, 한국·일본도 EU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EU와 일본은 재생률과 재상품화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저급 또는 수평적 재활용 이외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을 유도하는 추세이다. 제3장에서는 업사이클링 개념의 정의를 위해 국내사례로 “가치상향을 위한 폐기물의 업사이클링”과 “디자인산업의 업사이클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국외 사례는 일본 가전리사이클법의 재상품화 기준과 그 외 문헌을 조사하였다. 업사이클링 개념을 “재활용 공정 등을 통해 폐기된 물질 또는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4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으로 전환, (2)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을 재활용, (3) 에너지회수형 재활용을 물질회수형 재활용으로 전환, (4)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폐전기·전자제품의 폐자원흐름분석을 수행하였다. 냉장고의 폐자원흐름분석 결과 회수된 자원 중 우레탄 재활용이 원활하지 않으며, 폐냉매도 일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는 모니터에 포함된 유리와 기타 잔재물이 매립 또는 소각되는 것으로 나타나 액정의 유리 및 기타 금속자원의 재활용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제5장에서는 폐자원흐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업사이클링 기술 도입방안을 검토하고 폐자원흐름 단계별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냉장고의 경우 전체 도입 가능한 기술 28개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이 13개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기술 9개,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 기술 5개, `에너지회수형 재활용을 물질회수형 재활용으로 전환` 기술 1개로 각각 나타났다. 컴퓨터는 15개 도입 가능한 기술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이 8개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기술 4개,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 기술 3개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컴퓨터는 냉장고와 동일한 기술을 제외하고는 도입 가능한 기술의 대부분이 액정유리 및 기판 재활용 기술이었다. 또한, 냉장고와 컴퓨터의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의 우선적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폐자원흐름분석 단계별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배출 및 수거 단계, 전처리 및 자원회수 단계, 판매/수출/처분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1) 배출 및 수거 단계에서는 폐제품의 상태에 따른 재사용 가능 제품, 보통, 양호 등의 재활용 방향 결정하기 위해 수거 관리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2) 전처리 단계에서 해체, 파쇄, 선별 등의 효율이 낮으면 이후 단계에서 고도의 자원회수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파쇄 및 선별 기술에 대한 집중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전처리 단계 중 해체에는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선별에는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 및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등의 기술 개발이 촉진되어야 한다. 또한 원활한 폐제품의 재활용을 위해 생산자의 재활용 정보 제공 의무를 강화하여 제품의 설계 단계부터 친환경 설계를 유도하는 업사이클링이 필요하다. (3) 자원회수 단계에서는 활성화 방안 4가지에 해당되는 기술이 모두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우레탄 재활용 및 컴퓨터의 재활용률 인정 범위 확대가 자원회수 단계에서는 추가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우레탄은 냉장고 중량의 10% 내외를 차지하는 자원으로 현재 우레탄 소각은 재활용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재활용 인정 범위에 에너지 회수까지 포함시키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른 폐전기·전자제품과의 달리 컴퓨터는 중고품 및 중고부품에 대한 재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중고부품에 대해서는 재활용률 산정을 인정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4) 판매/수출/처분 단계에서는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 `단순 처분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특히 냉장고의 모터로부터 희토류 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업사이클링 개념은 포괄적이므로, 정확한 기준을 적용하여 제품별, 물질별로 구체적인 업사이클링 판단기준을 제시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고도의 업사이클링 기술 적용 시 폐기물 재활용의 정량적인 목표와 다량의 자원회수를 달성하기에도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폐전기 전자제품의 업사이클링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4가지 방향으로 전환을 추진하되 폐자원흐름단계별로 전략적으로 활성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and directions for activating upcycling through a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and upcycling cases. Waste sources circulation flow of waste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WEEE), specifically refrigerators and computers,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 stages into: (1) discharge, (2) collection, (3) pretreatment, (4) resource recovery and (5) sale/export/disposal. The WEEE waste resources circulation flow was analyzed to ascertain the quantity of recovered resources and final throughputs and to make plans for boosting upcycling in stages. Chapter 2 looked into the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on WEEE recycling and found that the EU sets the highest target rate for WEEE recycling and recovery among South Korea, Japan and the EU, while South Korea and Japan have similar levels with that of the EU. In the EU and Japan, the current trend is to use the terms `recovery rate` and `re-commercialization rate` to encourage high-grade and advanced recycling. Chapter 3 defines the concept of upcycling by analyzing domestic upcycling cases and categorizing them as `waste upcycling for added value` and `upcycling of the design industry.` To examine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re-commercialization standard as defined in Japan`s legislation on recycling of home appliances. We defined the concept of upcycling as “enhancing the value of waste materials or products through recycling process, etc.” and suggested four ways to promote upcycling. Specifically, the upcycling activation plans were classified into: (1)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2)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simply being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3) conversion of energy recovery recycling into material recovery recycling, and (4) improvement of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In Chapter 4, the waste resource circulation flow of WEEE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an upcycling promotion plan. The analysis of the waste resource circulation of refrigerators found that among the collected resources, urethane was not being actively recycled and waste refrigerants were even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in some cases. In the case of computers, glass and other metals contained in monitors were being landfilled or incinerated, calling for the need to develop technology to recycle liquid crystal glass and other metal resources. Chapter 5 examined the introduction of upcycling technolog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and suggested plans for promoting upcycling in each step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In the case of refrigerators, out of 28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in refrigerator upcycling, the biggest share (13) were applicable to converting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followed by 9 technologies that improve productivity or efficiency of recycling, 5 technologies that help in the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currently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and 1 that assists in the conversion of energy recovery recycling into material recovery recycling. In the 15 technologies used for computer recycling, the biggest share (8) were applicable to converting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4 technologies improve the productivity or efficiency of recycling, and 3 enable the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currently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Among the technologies concerned with computer recycling, apart from the ones that can also be applied to refrigerators, most were related to the recycling of liquid crystal glass and substrates. In addition, among the plans to promote the upcycling of refrigerators and computers,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es that convert the recycling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was found to be the most urgently neede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promotion of upcycling in each step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analysis including the discharge, collection, pre-treatment, resource recovery and sale/export/disposal of products were ma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1) In regards to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stage, the current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strengthened so that the conditions of discarded products such as reusable products, products in average condition, products in good condition, etc., can be identified to have their recycling method determined. (2) In the pretreatment stage, investments should be concentrated on shredding and sorting technologies given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high level of resource recovery efficiency with inefficient dismantling, shredding and sorting. In the pretreatment stag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during dismantling and “the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and “improving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should be pursued in the pretreatment stage. Furthermore, the producers` duty to provide recycling inform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r successful recycling of waste products for upcycling that encourages sustainable design from the product designing phase. (3) In the resource recovery stage, all applicable technologies mentioned in the four upcycling promotion plans must be introduced. In addition, in the resource recovery stage, broadening the scope of recycling recognition for urethane and computers must be reviewed. Considering that urethane is a resource that accounts for around 10% of refrigerator weight and its incineration is currently not recognized as recycling, standards that incorporate energy recovery in the recycling recognition rate must be introduced. Considering that the reuse of used computers and their parts are active unlike other WEEE, including the reuse of used parts when calculating the recycling rate should be reviewed. (4) In the sale/export/disposal steps,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o recycle products or items that are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must be pursued, especially the technology to recover rare-earth metals from refrigerator motors. In conclusion, because the concept of upcycling is so broad, it is difficult to present specific criteria for upcycling by product or material. It also seems unlikely that a quantitative target or high degree of resource recovery can be achieved by applying highly sophisticated upcycling waste recycling technologies. To promote the upcycling of WEEE, therefore, we must pursue the transition to the four directions that are universally applicable, while working towards introducing a strategic activation plan that can be implemented in each stage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flow.

      • KCI등재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시민교육 프로그램 연구-해외 비영리기관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안성희,신윤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Various social problems, environmental threats, and an accelerating technological revolution have emerged in the 21st century. An upcycling design is rapidly emerging in response to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demand for sustainable life resulting from changes in society and industry. We are at the threshold of the age of design, thanks to a networked society connected by Internet broadband. Design educators—often the first to think about space—are also creating a demand for new content-oriented alternatives .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wave of change, the fields of design and design education have become tailored to a new integrated system, which represents a transformation from the early industrial format of the 20th century. This paper begins from the viewpoint that upcycling design is an innovation, not just as an environmental dimension or a professional designer’s dim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revise the value of upcycling design according to creative educational contents for citizens reflecting current trends—in other words, as a “social innovation.” (Research Method)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s that upcycling design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the content for an interesting alternative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 solving, social innovations (contributions), co-designs, and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and designers (educators).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case studies and analyses. Based on the hypothesis, cases of overseas upcycling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surveyed, and relevant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and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this paper identifies the four characteristic elements of social innovation for a citizen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ase study). This paper presents a “characteristic map of the contents of the upcycling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a “characteristic model of the citizen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In summary, this paper provides the groundwork for a basic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domains of upcycling design concepts. It also gives direction for the practical alternative of desig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nov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of a suitable content governance system that is necessary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planning of alternativ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and cultural spaces. (연구 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기술혁명은, 그동안 미루어 두었던 사회문제들과 가속화되고 있는 환경적 위협과 맞물려 사회와 산업의 총체적 전환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제 모든 사람이 디자인을 하는 시대의 문턱에 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점에 다다랐다. 또한 흔히 공간을 제일 먼저 생각하게 되는 디자인 교육 역시 공간보다는 콘텐츠 중심적인 새로운 대안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고 있다. 지나간 20세기의 산업의 분류에 맞추어져 있던 디자인과 디자인 교육의 분류체계는 이제 새롭게 통합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양상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업사이클링 디자인(Upcycling Design)을 단순히 환경적인 차원이나 전문 디자이너의 차원이 아닌 시민 모두를 위한 디자인교육이라는 사회적인 관점을 담아서 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사회문제 해결에 니즈를 둔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시민교육 콘텐츠로 보고, 창의적 시민교육의 대안으로서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새로운 가치를 연구를 통해 자리매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의 가설은, 환경적 가치에서만 다루어졌던 업사이클링 디자인이 그 특성 상 최근 디자인에 있어 요구되고 있는 사회적인 기여, 공동 제작 등의 소셜 이노베이션적 요소들을 디자이너(교육자)를 비롯한 피교육자인 참여자 모두에게 경험하게 하는 흥미로운 대안적 디자인 조형 교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 방법론은 사례연구를 통한 정성연구 방법론이다. 본 논문은 가설을 기반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고 해외 비영리 기관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연구와 분석을 통해 소셜 이노베이션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요소들을 추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로서 사례를 통해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시민교육 콘텐츠로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소셜 이노베이션 시민교육 프로그램 요소’를 4가지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반영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특성 맵’과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 업사이클링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모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디자인 개념의 이론적․실제적 영역의 확장에 대한 유효한 기초연구를 제공할 것이다. 동시에 작금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 디자인 교육의 실천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방향성을 제공하고 향후 대안적 공공 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기획에 필요한 거버넌스 콘텐츠 디자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잉여 원단을 활용한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허진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Based on the concept of up-cycle,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nd implement up-cycle fashion design using surplus fabric occurring in the production ph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italization and new possibilities of up-cycling fashion design with high aesthetic value through the recycling of surplus fabrics, and also to suggest the measures for the practical up-cycling fashion design. As th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considered the concept of up-cycling fashion desig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through the relevant preceding researches, and also drew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based on cases of each type. Also, on top of considering the concept of abstract expressionism and its representative artists and their works, and then drawing and re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erformed the drawing work as a motif. It was realized and developed into design by using the surplus fabrics. Total four up-cycling fashion designs were suggested, and one of them was produced into an actual work. As a result, the drawn external characteristics were efficiently used for each design when developing into design, and especially, the possibility of creative creation was ver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handicraft could be utiliz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expressionism, and realizing and developing the reinterpreted drawing work as a motif into design with the use of surplus fabrics, it could be realized into a result with the value of aesthetic differentiation and scarcity of the existing works. Therefore, the surplus fabrics have enough value of utilization as a material for realizing the up-cycling fashion design, and they could become a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products in the fashion market and also up-cycling products in the fashion design area.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positive up-cycling fashion design could be suggested, a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 of up-cycling fashion design works and products with high value of aesthetics and practicality utilizing the abandoned surplus fabric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업 사이클링의 개념을 바탕으로,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잉여 원단을 활용한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을 제안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잉여 원단의 재활용을 통해 심미적 가치가 높은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활성화와 새로운 가능성을 재조명하고, 실용적인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 개념을 고찰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특성 및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유형별 사례를 기반으로 외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추상표현주의의 개념 및 대표작가와 작품을 고찰하고 특성을 도출 및 재해석하였으며, 모티브로 드로잉 작업을 하였다. 이를 잉여 원단을 활용하여 구현하고 디자인으로 전개하였으며, 총 4점의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을 제안하였고, 그중 1점은 실제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외적 특성은 디자인 전개 시 각 디자인에 효율적으로 활용되며, 특히 수공예적 특성을 활용할수 있어 창의적 창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추상표현주의 특성을 분석하고 재해석한 드로잉 작업을 모티브로 하여, 잉여 원단으로 구현하고 디자인으로 전개함으로써 기존 작품과의 심미적 차별성과 희소성의 가치를지닌 결과물로 구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잉여 원단은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재료로서 활용가치가 충분하며, 패션 시장의 경쟁력을 갖춘 상품개발과 패션디자인 분야의 업 사이클링 상품개발에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긍정적인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할수 있었으며, 향후 버려지는 잉여 원단을 활용한 심미성과 실용성의 가치가 높은 업 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작품 연구와 제품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