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우수등재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정덕유,이민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5 간호행정학회지 Vol.21 No.3

        Purpos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ask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and level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with no family or family paid auxiliary caregiv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488 items: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of nursing task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WIN 21.0. Results: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tasks were patient nurs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Nursing tasks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ere medication and transfusion and nursing tasks with the highest knowledge were also medication and transfusion. Nursing task (subcategory) most frequently performed was oral medication. Nursing task (subcategory)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as mental status observation and nursing task (subcategory) with the highest knowledge was vital sign check. Nurs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mean scores for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low.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perform daily living assistance services more often than previously, and nurses need to be prepared to do these tasks. 연구 목적: 입원환자의 간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포괄간호서비스를 통해 간병서비스의 제도화를 추진하여 추후 전국으로 확대 할 예정이다. 그러나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가 명확히 분류, 명시되지 않아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업무의 실태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는 포괄간호서비스병원 1차 시범사업에 참여중인 5개 의료기관의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9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간호업무별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총 486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와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12개 간호업무영역(대분류) 수행도는 ‘환자간호관리 및 정보관리’, 중요도는 ‘투약 및 수혈’, 지식정도는 ‘투약 및 수혈’이 가장 높았고 간호업무영역별 149개 간호업무(소분류) 수행도는 ‘경구약 투약’, 중요도는 ‘의식상태 관찰’, 지식정도는 ‘활력징후 측정’이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49.42±8.67점, 직무만족은 문항 평균 점수 2.78±0.793점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서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r=-.60, p<.001). 대상자가 수행하는 간호업무 중 직무만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0,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관 기능 관찰’(r=.25, p=.006),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8, p=.002), ‘침상 홑이불 부분 교환’(r=-.22, p=.017) 이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간호업무는 ‘가습기 적용’(r=.29, p=.001),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9, p=.002),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자살예방을 위한 관찰’(r=-.39, p<.001),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2,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기능 관찰’(r=-.30, p=.001), ‘각종 감시기를 통한 관찰’(r=-.28, p=.002) 이었다. 결론: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 중 일상생활 보조업무의 수행이 증가하였으며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낮고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 일상생활보조업무 수행은 직무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만족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 간호업무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 일부병원을 중심으로

        류규수,홍수환 慶山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1

        1. 연구의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업무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대구·서울지역 종합병원(400병상이상) 8곳에서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간호업무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 190명·병동간호업무종사자 251명·외래간호업무종사자 59명으로 총 500명이었다. 스트레스는 그 요인으로 업무량·간호기술·동료와의 역할분담·타의료요원과의 관계·상위직과의 관계로 나누었으며, 직무만족요인으로는 의사결정요인·집단갈등 요인·역할수행요인·개인사회문화요인으로 나누었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연령·교육정도·근무처·종교·결혼여부·간호경력·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 간호직을 택한 동기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분석, 회귀분석, 상관분석.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업무종사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2.9177점으로 보통이다(3)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대상자의 전체 스트레스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본 바, 20세에서 24세군과 교육정도가 전문대졸군과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서는 기혼군에서, 간호직을 택한 동기에 있어서는 경제적 면을 고려한 군에서, 그리고 빨리 간호직을 그만두고 싶다군이 비교되는 군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더 심하였다. 셋째, 연령은 간호기술과 상위직과의 관계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 경력에서도 업무량·동료와의 역할분담·상위직과의 관계에서 매우 유의했다. 넷째, 근무처에 따른 전체 스트레스정도는 중환자실 간호업무종사자가 병동간호업무종사자에 비해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했으나, 환자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병동간호업무종사자의 스트레스가 더 높았다,(p<0.01) 다섯째, 대상자의 전체직무만족정도는 2.8668점이였으며(p<0.01), 특히 집단갈등 요인과 역할수행요인에서 더 높은 만족정도를 보였다. 여섯째,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경력·결혼여부·간호직을 택한 동기·간호직에 종사할 예정 기간에 대해서는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일곱째,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모든 스트레스요인과 직무 만족요인 중 의사결정요인과는 역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상관계수는 약하게 나타났고, 그 외의 관계에서는 (+)상관이었으나, 역시 상관성은 아주 약했다. 특이점은 업무량과 의사결정만족요인. 업무량과 역할수행만족요인은 상관계수가 다른 요인보다 다소 강하였으나, 그 관계는 보통의 관계를 가졌다. 2.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 본 연구의 한계점은 표본선정의 대표성 문제였다. 즉 조사대상을 부산·대구·서울 지역 8곳 병원을 한정하였으므로 연구대상이 전체 병원의 간호업무종사자를 대변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개인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나. 스트레스정도 및 그 관계에 있어서는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정도 및 그 관계를 스트레스와 관련한 연구들이 많지 않음을 감안하여, 연구를 시도하였지만. 표본대상자의 문제 및 연구서술상 스트레스에 더 치중하여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을 더 심도 있게 다루지 않았음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스트레스정도와 직무만족정도가 높은 정도는 아니였지만 대체로 상위직과의 관계와 업무량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한다는 점에서 병원 경영자들은 간호업무종사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업무량을 적정화하는데 더욱 힘을 기울려야 할 것이고. 병원조직 중 간호조직이 타 조직보다 경직되어 있음이 본 연구의 결과와 기타 일반적 소견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 KCI등재

        한국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성균(Sung kyun Lee)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4

        이 연구는 패널자료 분석기법을 통하여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 현황 및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한국 임금근로자 가운데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들의 비중과 스트레스 정도가 최근 들어서 높아지고 있다. 패널자료에 대한 확률효과 순서형 프로빗 분석 및 구간자료 회귀분석에 의하면,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 경험 범위와 정도는 고용형태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 교육이나 직업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없으며, 종사상지위와 고용형태의 차이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 직업이나 임금수준이 동일한 경우에도, 임시·일용직 혹은 간접고용 취업자들의 스트레스가 상용직 혹은 직접고용형태 취업자보다 더 높은데, 이것은 고용불안정성 및 이중적 업무관리를 경험하는 비정규직 임금근로자들이 정규직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현실을 잘 나타낸다. 따라서 한국사회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는 직업과 같은 전통적 사회경제적 지위보다는 고용형태와 같은 새로운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업무긴장이론을 한국사회에 적용하면, 업무요구도와 업무통제권 등 업무관련 요인이 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총 근로시간이 많은 임금근로자들이 업무스트레스를 더 받는다는 사실, 그리고 업무상 관리감독역할 자체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킨다는 사실은 업무긴장이론의 가설과 동일하다. 그러나 업무통제권을 나타내는 또 다른 변수인 의사결정권한이 많은 임금근로자가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는 점은 기존 가설과 다른 결과이다. 최근 한국의 사업체들은 의사결정의 권한과 성과를 동시에 강조하기 때문에, 의사결정권한이 많은 직장인일수록 업무성과에 대한 부담도 높아져 스트레스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사회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 근로시간 단축, 고용불안정 해소,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문제를 보상하는 제도적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tress and its determinants of the Korean wage earners, using the panel data analysis methods. The Korean data shows that the stress of the wage earners, in terms of the stress range and its level, increased between 2011 and 2012. Following the random effect ordered probit model and the interval data regression model, stress of the Korean wage earners came from the employment types rather than such traditional variables as education and occupations. While occupation does not affect the stress range and its levels, temporary-daily workers and indirect employees feel higher levels of stress than the regular or direct workers. For them, the unstable employment conditions and the double job control practices at the workplace increase their stress levels. Applying the job demand control model to the Korean case, the paper also finds that job demand and job control at the workplace have net effects on the stress of the Korean wage earners. As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rgues, working time increases both the stress level and its range, while job control role buffers stress. However, contrary to the job demand control model, the wage earners with more job decision latitudes feel higher stress levels in Korea. This reflects the competitive workplace environments, demanding more outcomes. Thus we need several measures to reduce the stress of wage earners in Korea, such as shorter working time, more stable employment conditions, and the stronger legal protection for the health of the employees.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업무부담감과 스트레스가 현장충격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상섭,정지연,박정현,김지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den and stress on scene stress.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970 fire fighters who work in the fire station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4.0 and AMOS 7.0. The job burden(p<.001) and stress(p<.001) significantly influenced upon the scene stress. The higher the job burden(β=.409), the higher the stress(β= .243), the scene stress became higher. This was expressed by 35.4% of the explanation. Through this data, in order to reduce the scene stress, it is necessary to lessen the job burden and stress.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업무부담감과 스트레스가 현장출동 시 받는 스트레스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소방공무원 9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자료수집은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4.0과 AMOS 7.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업무부담감과 스트레스가 현장충격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부담감(p<.001), 스트레스(p<.001)는 현장충격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부담감이 높을수록(β=.409), 스트레스가 높을수록(β=.243) 현장충격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부담감과 스트레스가 현장충격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35.4%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방공무원의 업무부담감과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현장충격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소방공무원의 현장충격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업무부담감과 스트레스를 낮추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광고회사 직무 스트레스와 업무불만이 업무창의성과 팀 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조경식,이철영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최근 변혁기의 전통적 광고회사들이 처한 업무스트레스와 불만의 증가 상황과 업무창의성 및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에 대한 산업적, 사회적 요구의 증가가 광고업 종사자 개인에게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업무스트레스와 업무불만을 독립변수로, 조직몰입과 업무창의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팀 성과와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광고회사직원들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에 의거한 이론적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① 업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과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② 업무불만이 조직몰입, 업무창의성, 팀 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③ 조직몰입이 업무창의성, 팀 성과, 삶의질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④ 업무창의성이 팀 성과와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가설들은 유의한 수준으로 지지되었다. 반면 업무스트레스가 업무창의성과 팀 성과 인식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가설들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개인수준에서 업무스트레스와 업무불만, 업무창의성, 팀 성과와 삶의 질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업무창의성과 조직몰입은 조직의 성과를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업무불만이 업무스트레스 보다 조직몰입, 업무창의성, 팀 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더 높으므로 실무적 측면에서 업무불만의 통제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study is to analyze the individual-level effects of recent issues in advertising industry; the rises of job stress and dissatisfaction, the growing demands on job creativity and work and life balance. We set up a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job stress and job dis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reativity as mediate variables and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s dependent variables. As results, negative effects of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negative effects of job dis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creativity,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creativity,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effects of job creativity on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re supported, while negativ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creativity and perceived team performance are rejected. In conclusion, the study implies that major variables of this study–individual job stress, job dis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job creativity,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lso job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understood as positive measures that affect not only job performance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Lastly, in term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sinc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dissatisfaction is stronger than those of job stress, appropriate management of job dissatisfaction should be mandatory.

      • KCI등재

        교대 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최경란,허성은,문덕환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융합적으로 규명하여 간호 업무수행 성과를 제고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15년 3월 2일부터 2015년 3월15일까지 B광역시에 소재하는 모대학병원에서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 244부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무스트레스 평균점수는 3.57점, 간호업무성과 평균점수는 3.69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업무성과의 하위영역인 대인관계 업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간호업무성과의 지속적인 향상을 위하여 실제적 인 직무스트레스관리 중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교대근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효과적으로 관리된다면 질 높은 간호업무성과를 통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way of effectively managing job stress of shift work nurses,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shift work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through convergence research. A total of 244 questionnaires obtained by a survey targeting nurses, who were doing shift work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B city, in the period from March 2 to 15, 2015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3.57 points, and the mean score of nursing performance was 3.69 points. Job stress mad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dimensions of interpersonal duty.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more accurately identify shift work nurses' job stress and efficiently manage the nursing personnel. Moreover, if shift work nurses' job stress is effectively managed by preparing practical job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nursing performance,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will be provided through high quality nursing practice.

      • KCI등재

        업무상 과로나 스트레스로 인한 심뇌혈관 질환과 업무상 재해

        박창범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외법논집 Vol.41 No.2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overwork or stress-related death or cerebrocardiovascular disease (CCVD) is rapidly increasing. In June 2013, the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released updated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CCVD according to Schedule 3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IACIA) which suggests overwork as average of 60 hours a week for 12 weeks, average of 64 hours for 4 weeks, or the amount of work or time increase more than 30 percent greater than day-to-day operation of the case definition. However, reference to the standards of IACIA seems to be very harsh. At the same time, they are not scientifically proven. Therefore, we investigated many clinical studies related to excessive work- or stress-related CCVD. In previous studies, overwork is related to the increase of the incidence of CCVD which included less than 60 hours in a week. Furthermore, employees who experience work-related acute, subacute, and chronic stress can act trigger of cardiac events. Overall, the author insists that there is a lack of scientific evidence in the criteria of current En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IACIA), and, therefore, the amendment is necessary. Judicial case is currently considered the current Enforcement Decree to a mere reference and seems to more lenient and interpret meaning of ‘proper casual relationship’ of overwork to be ‘joint cause’, ‘relative dominant cause’, or ‘the casual relationship which does not dement the proof of clear medical cause. But the problem is that those criteria are ambiguous and arbitrary. The author insists that both of individual standard or average people is inappropriate when judicial tests decide whether job stress or overwork is related to CCVD and other alternative approach is needed. 최근 한국에서 과다한 업무량과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과로사나 심뇌혈관으로 고통받고 있는숫자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산업재해로 신청하는 경우도 급속히 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과로나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뇌혈관질환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는 법률과 판례가 과학적으로 합당한것인 지에 대하여 현재까지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과로 및 스트레스와 심뇌혈관질환과 관련된 임상연구들을 문헌고찰하여 현재의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이 과학적으로 합리적이고 타당한 지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여러 임상연구들에서 표준근로시간보다 과도한 근로시간은 심뇌혈관질환의 유병률을 그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현재 고용노동부 고시에서 정하고 있는 주 평균 60시간 이하의 근로시간에서도 유의하게 심뇌혈관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업무와 관련된 급성, 아급성 및 만성 스트레스도 심뇌혈관질환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발병 일주일 전 일상 업무의 증가가 뇌심혈관질환의 유병률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 논문은 확인할 수 없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결과를 종합한다면현재 업무상 재해 인정과 관련하여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및 고용노동부 고시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며 따라서 현재의 연구결과와 합당하게 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여러 임상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의 과다한 업무량이나 직무상 스트레스와 관련된업무상 재해 여부를 결정하는 법령의 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주제어: 업무상 재해, 스트레스, 과로사, 심뇌혈관질환* 경희대학교

      • KCI등재

        프리셉터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업무 부담에 관한 연구

        한주희(Joohee Han),유은광(Eun Kwang Yoo) 대한스트레스학회 2018 스트레스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프리셉터 간호사, 즉 신규 간호사의 교육을 담당하는 경력 간호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업무 부담 정도를 파악하고 업무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S시, I시 대학병원 2곳에 근무하는 3년차 이상의 프리셉터 경험이 있는 간호사 17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높은 직무요구로 한국인 근로자 직무 스트레스 참고치의 상위 25% 이상 수준이었다. 대상자의 직무 요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프리셉터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측정한 결과, 신규 간호사와 관련된 업무 부담이 4점기준 2.7점으로 가장 높았다. 프리셉터의 업무 부담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는 근무 부서, 신규 간호사 교육기간, 최종학력으로 나타났다. 향후 프리셉터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업무 부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반복 연구를 제언하며, 간호사의 업무환경 및 처우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aims to investigate occupational stress and burden in preceptor nurses. Methods: A total of 173 preceptors have more than 3 years experiences were recruited from 2 university hospital in S-city and I-city. Results: The job demand of occupational stress in preceptor nurses was higher than top 25% of Korean worker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job demand, preceptor’s burden examined, the preceptor’s burden related to new nurses was higher than other reasons. Variables influencing preceptor’s burden were; work department, education period per new nurse and education level of preceptor. Conclusions: We suggest repeated research of preceptor nurse’s occupational stress and burden with more variables and it is necessary policy support for nurse’s work environment and improved treatment.

      • KCI등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소진 및 간호업무성과 비교

        김연실,박정애,서은경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1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job stress, burnout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nurses who work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In addition we identified a correlation among job stress, burnout and nursing performance. Method : The participants were 80 nurses(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40, general wards: 40)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assess job stress, burnout and nursing performance.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nur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job stress and burnout than general ward nurse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rsing performanc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Conclusion : In order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system with high patient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strategies to solve job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an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본 연구는 보호자가 없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스트레스, 소진 및 간호업무성과를 비교하였으며, 각 요인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 총 80명을 대상이었고, 두 집단의 일반적 특성은 모두 동질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 및 확대를 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소진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략 개발 연구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희진,배정이 국가위기관리학회 2014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6 No.2

        본 연구는 정신과 간호사가 근무 중에 느끼게 되는 업무스트레스의 양상을 파악하고, 정신과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직무만족을 높이고, 간 호사 자신의 자아실현을 도모하여 질적인 정신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 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 원 정신과와 5개 정신전문병원에서 만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간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업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와의 차이를 검정해 본 결과 업무스트레스는 대상자의 결혼상태(t=12.59, p=.001)와 병원형태(t=8.28, p=.005)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학력(F=3.19, p=.026), 정신과 근무 경력(F=4.792, p=.003)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직무만족도의 차이에서는 대상자의 연령 (F=2.87,p=.025), 정신과 근무기간(F=3.32, 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 다.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r=.19, p=.024)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 고.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r=-.17, p=.043)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 역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이므로, 여러 가지 상황과 관련된 업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 방안과 정신과 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unified administrative system on North and South Korea according to previous review studies. And I suggest for necessary administrative system the purpose of settlement. Unification types of problems occur after the unification administrative system seen a variety of previous studi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I propose the threedimensional scheme. Finding results First, the stabilization of North Korea is a fundamental requirement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integration. Second,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should be integrated administrative system. Third, thorough and predictable situatio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specifically assumed. However, this study is free to suggest their views but prediction of limitation about the administrative system. So It contributes research proposals in terms of the other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