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에 관한 통시적 고찰

        김인천(Kim, In-ch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8 동유럽발칸학 Vol.10 No.2

        반-게르만 정서에 기초한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의 역사는 이미 15세기부터 시작된 것이다. 체코어의 순수성을 지키고자 이미 오래전에 정착한 독일어 요소들의 사용을 억제하거나 신조어의 조어방식이 독일어와 동일하면 이를 제거하려 했던 급진적인 성향에 이르기까지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는 체코어 표준어형성의 전 과정에 개입하였다. 이처럼 언어순수주의는 그 자체가 학제(學際) 간 연구의 관심을 끄는 사회언어학적 연구 대상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19세기와 20세기 초 표준 문어체코어의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는 그동안 체코 언어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 하여 왔다. 이는 일차적으로 서구 언어학계의 일반적인 연구풍토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언어순수주의는 훈련받지 못한 언어학자들이 자국의 언어에 대한 우월적 태도나 민족주의적 성향을 드러내는 저급한 연구 분야’로 터부(taboo) 시 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로는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는 표준체코어의 발달사에 부정적 영향만을 끼쳤다’라는 프라하학파의 화석화된 명제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표준체코어가 그 기능과 지위적 측면에서 하위 언 어층위인 일상구어에 의해 위협을 받는 현실에 직면해 있음을 고려해 볼 때 그 발단이 된 언어순수주의에 대한 통시적 고찰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The history of Czech linguistic purism, based on Anti-Germanism, originated in the 15th century. As a conservative effort or activities to protect the purity of Czech language, it served to restrain the use of German loanwords which had taken root a long time prior, and even tried to eliminate coined words which were regarded as having been created on the basis of similar word formation in German. Overall, Czech purism intervened greatly in the overal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tandard Czech. Linguistic purism is thus a relevant research topic for an interdisciplinary area such as sociolinguistics. The Czech purism that played a important role in rebuilding Written Standard Czech from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did not attract the attention of either Czech linguists or the public. As is well known, the lack of interest in the Czech purism is caused by the scientific climate of Western linguists who generally deem purism taboo. They consider purism to be a research field used by untrained linguists to express their hidden national superiority over “impure” foreign elements. Another important reason is closely connected to the fossilized idea that Czech linguistic purism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zech.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Standard Czech is currently being confronted with a crisis of its proper function and status, the diachronic approach to the question at hand is deemed a timely and relevant subject for discussion.

      • Visual C++을 이용한 성적관리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우원택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4

        C언어는 1972년 미국의 AT&T에 있는 벨(Bell)연구소에서 Unix운영체제와 함께 사용할 목적으로 데이스리치(Dennis Ritchie)에 의해 개발된 범용의, 절차적, 컴퓨터 프로그래밍 명령 언어로써 많은 다른 플랫폼에 보급되어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프로그래밍언어 중의 하나이다. C언어는 많은 다른 인기언어들은 문론 특히 당초에 C언어를 보강할 목적으로 설계된 C++언어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C언어는 기업 소프트웨어, 게임. 오락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에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C언어는 저급언어와 고급 언어를 총칭하여 대표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언어로 이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의 이해와 개발에 가히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비주얼스튜디오 닷넷에서 제공하는 Visual C++의 Win32 콘솔프로젝트를 이용하여 C언어로 성적처리시스템을 개발해 봄으로써 C언어의 신텍스(Syntex)와 알고리듬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의 게임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유사 알고리듬을 활용해 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대중 매체 언어와 국어 연구

        구현정 ( Koo Hyun J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70 No.-

        대중 매체 언어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 발달한 것으로 그 파급력은 의사소통 방식뿐만 아니라 언어 체계 자체에도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 연구에서는 대중 매체 언어의 유형을 인쇄 매체 언어, 방송 매체 언어, 디지털 매체 언어로 나누어 현대국어 연구의 자료로 전자화된 자료와 연구 내용을 살피고, 매체 생태학, 매체 언어학, 용법-기반 언어학으로 나누어 대중 매체언어를 연구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이와 같은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방향을 문체적 다양성 연구, 현대국어 구어 연구의 확대, 잠정적 문법의 발견이라는 관점으로 논의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형식적, 관념적, 문어적, 문장 중심적, 규범적, 사변적 언어 연구방법으로부터, 기능적, 용법 중심적, 구어적, 담화 중심적, 의사소통적, 문화 중심적 연구방법으로 전환함으로써,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언어의 본질에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Mass media language is a recent development that was made possible by the advances made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powerful impact of the mass media language is such that it brought forth change not only in the modes of communication but, more fundamentally, in the language itself as a linguistic system. Classifying the types of mass media language in three subtypes of media, i.e., printed, broadcast, and digital media. This paper overviews the digit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of mass media and digital communication, introduces newly emerging subdisciplines of linguistics as a consequence of change in communication modes and means, i.e, media ecology, media linguistics and usage-based linguistics, and their research methods for mass media language. The discussion assumes the perspectives involving stylistic diversity, expansion of colloquial language research, identification of emerging grammar. This paper calls for a shift from the traditional formal, abstract, literary-based, sentence-centered, prescriptive and speculative research methods, to more functional, usage-based, colloquial, discourse-centered, communication-based, and culture-centered research methods. It is argued herein that resulting analyses can enable us to understand more clearly the essence of language as a tool of communication.

      • KCI등재

        언어 교실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제1언어와 제2언어를 사용하는 상황 연구 -한국어 교사 및 학습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신성철 ( Seong Chul Shi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09 언어사실과 관점 Vol.2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제2언어 교실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제1언어와 제2언어를 사용하게 되는 상황을 상정하고 이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실 언어를 선택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실수업에서 학습자의 제1언어와 제2언어가 갖는 역할과 사용 시점, 수업 활동별 교실 언어, 비언어 강좌의 수업 언어, 교실 언어의 교육적 가치와 효과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식 조사는 한국어 교사 27명과 한국어 학습자 38명으로 부터 얻은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이루어 졌으며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수업 운영과 교육적 효과라는 측면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선행 외국어 학습 경험이 독일어 어휘의 의미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주소정 한국독어학회 2020 독어학 Vol.42 No.-

        Das Deutschlernen in Korea erfolgt erst nach dem Erwerb der Muttersprache(L1) Koreanisch und dem Erwerb der ersten Fremdsprache(L2) Englisch, d. h. Deutsch wird in Korea als eine der Tertiärsprachen(L3) gelernt. Die Lernmechanismen der L3 unterscheiden sich jedoch von denen der L2, u. a. im Hinblick darauf, dass die Faktoren von vorherigen Fremdsprachenlernerfahrungen beim L3-Erwerb miteinander agieren. Im Vergleich zu L2-Lernenden besitzen L3-Lernende noch umfassendere sprachliche Ressourcen, die beim L3-Erwerb aktiviert und transferiert werden können, und verfügen zugleich über ein erhöhtes metasprachliches Bewusstsein sowie Fremdsprachenlernstrategien und -techniken. All dies ermöglicht einen schnellen Einstieg in die Zielsprache und fördert das effiziente Lernen. In dieser Arbeit wird mithilfe eines Wortschatztests untersucht, welche persönlichen Variablen aus vorherigen Fremdsprachenlernerfahrungen besonderen Einfluss auf das Deutschlernen ausüben und wie diese Einflussfaktoren in der Unterrichtspraxis Deutsch als L3 methodisch und didaktisch berücksichtigt werden sollten. Im empirischen Forschungsteil konnten die Probanden, die sich aus 58 Studierenden ohne Deutschkenntnisse zusammensetzen, allein anhand ihrer vorhandenen sprachlichen Kenntnisse und Erfahrungen größtenteils erfolgreich die Bedeutung von 305 unbekannten deutschen Wörtern, die mit den entsprechenden englischen Wörtern phonologische bzw. orthographische Ähnlichkeiten aufweisen, zuordnen. Außerdem konnte mit einer multivariaten Analyse festgestellt werden, dass sich diese Erschließungskompetenz jedoch weniger auf die Motivation zum L3-Lernen, die Zahl der gelernten Fremdsprachen oder die Lerndauer einer bereits gelernten Sprache stützt. Vielmehr wird sie von der Englischkompetenz der jeweiligen Probanden, den Lernerfahrungen einer europäischen Sprache außerhalb des Englischen und auch zum Teil von dem Selbstbild als Fremdsprachenlernender bestimmt. Die Ergebnisse der empirischen Forschung weisen darauf hin, dass die Deutschlehrenden vor dem Kursbeginn die Fremdsprachenlernbiografie ihrer Lernenden erfassen und den Deutschunterricht je nach persönlichen Voraussetzungen in Hinsicht auf diese Einflussfaktoren methodisch und didaktisch differenziert gestalten sollten. 근래 제3언어 학습이 제1언어 및 제2언어 학습과 차별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이여러 경험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제3언어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이미 배운 언어들과 목표어 사이에교차언어적 영향이 발생하며, 정서적, 인지적 요인의 양적, 질적 변화가 나타난다. 이와 함께 높은 메타언어적 의식, 본인의 학습유형에 대한 이해, 다양한 외국어 학습전략 활용 능력 등 선행 언어 학습경험을 제3언어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제3언어 학습을 특징짓는 선행 언어 학습 경험 요인 가운데 어떤 요인이독일어 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선행 언어 학습 경험이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해 보려 한다. 이를 위해 독일어 학습경험이 전무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독일어 유사 어휘의 의미를 추론하게 하는 경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처음 접하는 독일어 어휘 중 상당수의 어휘에 대하여 그 의미를 성공적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다변량 선형회귀분석 결과 추론 성공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자의 제2언어 실력과 유럽어 학습 유무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어 학습자로서의 긍정적인 자기상도 경계선 상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수업의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이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남긴다.

      • KCI등재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효과 연구 : 홈쇼핑 진행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분석

        정은이,정의철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6 No.-

        이 연구는 TV 홈쇼핑 진행자인 쇼호스트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였다.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유사언어, 신체언어, 신체적 외양으로 분류했고, 유사언어는 목소리의 음높 이, 전달 속도, 억양 변화, 발음의 정확성, 휴지(pause), 음색, 목소리의 크기로, 신체언어는 얼굴 표정, 고갯짓, 손짓, 몸짓을 다 포함한 제스처, 자세, 응시 행위로, 신체적 외양은 인상, 체격, 헤어스타일, 복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쇼호스트의 비언어적 요소 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 홈쇼핑 방송 전문가 12명과 아나운서 출신 전문 방송인 12명 등 총 24명의 인터뷰 조사하였다. 또한 CJ오쇼핑의 2012년 9월 10일부터 12일까지의 방송분을 1 차, 2014년 3월 2일부터 4일까지의 방송분을 2차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쇼호스트의 유사언어는 목소리의 다양한 활용을 보이며, 이는 언어적 메시지를 생동감 있게 전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쇼호스트의 신체언어인 표정, 제스처, 자세, 응시 행위 모두 자연스럽고 다양한데, 그 중 제스처는 상품 실연, 주문 유도, 감정 표현, 평가, 지시, 청취 등의 역할을 하 고 있었다. 셋째, 쇼호스트의 신체적 외양은 TV 홈쇼핑 초창기에 비해 더욱 화려하고 세련되 어졌는데, 신체적 외양의 가장 큰 특징은 복장을 상품 실연의 방법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넷째, 쇼호스트는 유사언어, 신체 행위, 신체적 외양 등의 비언어적 요소를 고르게 강조, 설 명, 보완, 설득 등의 의도적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만 보더라도 쇼호스트는 적극적으 로 비언어를 설득 수단으로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쇼호스트 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시청자와 소통하도록 하는 데 유 익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V home shopping show hosts’ non-verbal communic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was categorized into paralanguage, body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Paralanguage included pitch of the voice, the transmission rate, intonation variation, accuracy of pronunciation, pause, tone, and the volume of the voice; body language included facial expression, gestures involving the head, hands, and the body, postures, and gazes; and physical appearance included impressions, constitution, hairstyles, and clothing. To scr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verbal factors for show hosts, a total of 24 persons-12 professional show hosts and 12 professional broadcasters-were interviewed. CJ Home Shopping shows broadcasted from September 10 to 12, 2012 were first analyzed; then, those broadcasted from March 2 to 4, 2014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how hosts' paralanguage is characterized by diverse uses of the voice, which may contribute to vivid description of verbal messages. Second, show hosts use all the factors of body language― facial expression, gestures, postures, and gazes―in natural and diverse ways. Of these, gestures can be divided into goods demonstration, order induction, emotional expression, assessment, direction, listening, and so on. Third, show hosts’ physical appearance has become more splendid and sophisticated than in the initial stage of TV home shopping. Show hosts’ physical appearance is most characterized by using their clothing as a way of good demonstration. Fourth, show hosts use such non-verbal factors as paralanguage, body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evenly for those purposes of emphasis, explanation, supplementation, and persuasion. These characteristics demonstrate that show hosts positively use the non-verbal factors as a means of persua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ference data that can help systematize show hosts' non-verbal communication.

      • KCI등재

        ‘사적언어 논의’에 관한 단호한 해석

        변탁규(Byun, Tark-Gyoo)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이 글의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사적언어 논의’를 ‘단호한 해석’의 입장으로 해석해 봄에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후기의 대표적인 논의라고 할 수 있는 그의 ‘사적언어 논의’가 전기에서도 발견될 수 있음을 보이면서, 그 논의의 전ㆍ후기 상관성을 무의미의 측면, 즉 ‘단호한 해석’으로 면밀히 살펴본다. 가령, 전기철학에서의 핵심용어로 간주될 수 있는 ‘말할 수 없는 것’, ‘생각할 수 없는 것’, ‘언어의 한계를 넘어 선 것’ 등은 바로 후기에서의 사적언어 개념과 대응되는 것이다. ‘단호한 해석’의 입장에서 볼 때, ‘사적언어’는 무의미한 언어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의 전ㆍ후기 모두를 통해 살펴보아야 그 진의를 알 수 있다. 이 논의를 통해 우리가 도출할 수 있는 결과는 첫째, ‘사적언어 논의’는 전기에서부터 그가 일관되게 가졌던 주제들 중 하나이며, 둘째 그것은 전기철학에서부터 시작하여 후기철학에 이를수록 그 논의가 더욱 확충ㆍ심화되고 있고, 셋째『논고』의 ‘사적언어’는 사실 세계 밖(언어놀이 밖)에 있지만,『탐구』의 그것은 우리의 언어놀이 안에 놓여있다는 점이다. 결국, 단호한 해석에 따라 ‘사적언어’는 우리의 언어놀이 밖에 놓여있는 것으로, 그것은 사용이 전혀 없는 무의미한 언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논의 자체가 우리에게 함의하는 바는, 그것이 우리 언어놀이 안에서 일상언어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와 역할을 지니는지를 그 대조 속에서 보다 더 선명하게 보여 줄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ittgenstein"s resolute reading in his early and late philosophy based on his private language argument. As it"s widely known, Wittgenstein"s ‘private language argument’ has been arguing about one of the topics of his late philosophy, but it has also been found discussed in his early philosophy. Besides, ‘the private language argument’ sensu stricto can only be grasped by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vate language argument and the main concepts of his early philosophy such as usuage, meaning and rules. Then, we may summarize the continuity in Wittgenstein"s early and late philosophy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private language argument’ hasn"t only been discussed in his late philosophy for the first time, but also it"s been part of the topics that he consistently dealt with in his early philosophy. Wittgenstein holds that the reason why philosophical problems are posed is that the logic of our language is misunderstood. Second, his ‘private language argument’ has been expanded and evolved in his late philosophy since he first discussed it in his early philosophy. In his early philosophy, Wittgenstein views language as static and thus he thinks language is simple, accurate and fixed. However, in his late philosophy, he sees language as dynamic and thus he stresses that the purpose or function of language is not single but numerous, and the meaning arises from the use of language based on the practical language rules. Third, ‘the private language’ was placed in the exterior world of the limit of language his early philosophy, but in his late philosophy, it"s in language games. Therefore, The private language is nonsensical according to ‘resulte reading’. Wittgenstein urged silence on what we cannot speak about which lies outside of the limit of a world like the private language, while tried to signify what cannot be said by presenting clearly what can be said.

      • KCI등재

        언어기호의 매체상호성

        강병창 한국독어학회 2017 독어학 Vol.35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ie Intermedialität der Sprachzeichen als Gegenstand einer medien- und kulturwissenschaftlich orientierten Linguistik, bei der die Kulturalitäts- und Medialitätsdimensionen der Sprache theoretisch wahrgenommen werden können. Der Begriff der Intermedialität wird seit einigen Jahrzehnten in den Geistes- und Kulturwissenschaften verstärkt in den Blick genommen. In der Linguistik wurden die kulturwissenschaftlichen Leitbegriffe wie Medialität, Intermedialität und Transmedialität bislang noch kaum beachtet. Dieser Beitrag möchte zu zeigen versuchen, dass auch in der Linguistik der Gegenstand Sprache aus der Perspektive der Intermedialität beobachtet und bestimmt werden kann. Als erster Schritt wird die Medialität der Sprache diskutiert. Es wird davon ausgegangen, dass Sprache nicht als solche, sondern in einer bestimmten medialen Erscheinungsform vorkommt. Dann werden intermediale Phänomene im Sprachgebrauch thematisiert, wobei die Kategorie der Intermedialität als Oberbegriff für die Kategorien Multimedialität (Multimodalität) und Transmedialität aufgefasst wird. Diese intermedialen Erscheinungen, in denen die Schwächen eines Mediums durch ein anderes Medium oder andere Medien ausgeglichen werden, werden als die der extrinsischen Intermedialität angesehen. Im Unterschied dazu wird die intrinsische Intermedialität als etwas in einer medialen Erscheinungsform der Sprache an sich schon unhintergehbar Existierendes aufgefasst. Dabei werden die Interaktion der Mündlichkeit (der gesprochenen Sprache) mit der Musikalität der Stimme und das Zusammenspiel der Schriftlichkeit (der geschriebenen Sprache) mit der Bildlichkeit der Schrift ins Zentrum der Aufmerksamkeit genommen. 본고에서는 언어학 이외의 문화학에서 통용되고 있는‘ 매체상호성’ 개념을 언어학에서도 어떻게 고려하고 어떻게 언어연구의 중심부로 끌어들일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논의한다. 본고에서는 언어 자체도 기호매체/소통매체로 보며, 언어의 매체성은 주로 입말과 글말로 구체화되며, 입말이나 글말이 다른 매체와 어떻게상호작용하는지를 매체상호성 관점에서 개관한다. 매체상호성을 매체와 매체 사이의 상호관련성으로 이해할 때 언어 매체(입말, 글말)의 매체상호성은 매체다중성, 매체전환성 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난다. 언어사용의 측면에서 볼 때 입말 매체는 청각 매체의 제약을 극복, 보완하기 위해 시각 매체(손짓, 몸짓, 표정 등) 와 제휴할 수밖에 없다. 글말 텍스트의 사용도 문자 매체의 제약을 다른 시각 매체(그림, 사진, 다이어그램, 그래픽 등)를 통해 보완하는 방식으로 소통의 효율성을 꾀하게 된다. 또한 언어사용의 매체상호성은 어떤 언어적 정보가 한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옮겨가는 매체전환성(번역/통역, 입말-글말 또는 글말-입말 동시 구현등)으로도 구현된다. 이러한 언어사용에서의 매체상호성 외에 본고에서 특별히 강조하는 것은 언어 매체(입말, 글말) 자체의 내재적 매체상호성이다. 입말에는 목소리가 동시에 나타남으로써 입말의 언어성과 목소리의 음악성이 매체적 상호작용을 한다. 또한 글말에서도 글/문자/텍스트 자체의 그림성이 글의 언어성과 상보적으로 제휴하는 내재적 매체상호성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언어학적 방법에 의한 언어접촉연구

        황영희(?永熙)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1

        본고는 한국노년층이 일제강점기의 학습 환경에서 습득하여 60년 이상 보존하고 있는 일본어를 <접촉언어학(contact linguistics)>의 시점에서 그 보존실태와 관련한 언어내적·외적 요인에 대해 고찰한 필자의 박사논문의 집필과정을 통해 사회언어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일본어연구의 일면을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박사논문에서는 결론적으로 70년에 가까운 잠복기를 거친 한국노년층의 일본어에는 현재의 일본어학습자의 습득과정에서 나타나는 <단순화>와 <합리화>라는 학습자전략이 작용하고 있으며, 당시의 습득환경이 언어외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그 일본어의 중간언어적 형태가 화자간에 연속적으로 보존되고 있음을 밝혔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자로서의 시점으로 거시적(Macro) 관점과 미시적(micro) 관점이 동시에 요구됨을 말함과 동시에, 구체적인 방법론에서 본 연구가 이론에 기초한 가설 검증형이 아니라 (이론구축과 유형화를 위한)언어보존 분야에서의 기술의 빈약함을 고려하여 실증적 근거를 중요시하는 상향식접근법(Bottom-up approach)과 조사선행형 타입(Research-then-theory)으로 진행될 필요성이 있었던 연구접근과정을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프로세스와 어떤 자세로 연구에 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가를 설명하였다. 또한, 제2언어습득연구라는 큰 흐름 속에서 본연구의 의의를 자리매김하고 최근의 연구동향을 예시하면서 앞으로 남은 연구 과제의 제시를 통해 장기적 연구테마를 설계할 수 있는 통찰력을 가질 필요가 있음도 역설하였다. 이상을 통해 일본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젊은 연구자들에게 일반언어학적 관점의 언어접촉연구에서 개별언어학적 관점의 일본어문법요소를 분석대상으로 일본어학습의 역사적인 내용까지 포함하면서 이루어진, 사회언어학적 방법에 따른 (융·복합적 형태의) 일본어연구과정을 가이드(guide)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이버언어공동체와 국어교육

        최지현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본고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형성되고 있는 사이버언어공동체의 국어교육적 의미와 실천적 요구에 대해 검토한다. 사이버언어공동체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의사소통의 인터페이스로 갖는 사이버공동체의 기반이자 실체로서, 인간과 인터페이스 간의 의사소통과 그 속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체험 영역을 중요한 특징으로 삼는 언어공동체를 뜻한다. 본고가 사이버언어공동체에 주목하는 까닭은 크게 다음과 같다. 우선, 사이버언어공동체에서 주체는 새로운 정체성과 활동 양식들을 갖게 된다. 이것은 이 공동체의 인터페이스인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단순히 기능적으로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뜻한다. 또한 사이버언어공동체에 대한 인정은 단일한 메시지를 제한된 채널을 통해 일방으로 다중에게 전송하는 현실세계의 지배적 담론들에 대한 의미 있는 대항 담론을 상정할 수 있게 한다. 왜냐하면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언어가 이를 위한 필요한 조건-새로운 언어 사용 규약, 국지적·사적 담론으로서의 가능성, 담론의 전국적 파급성-들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교육은 사이버언어공동체에 대한 교육적 고려들을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되어야 한다. 1)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언어의 양식성과 형성 중인 규범들에 대한 이해, 2) 언어와 인간의 관계 속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학습과 기억에 대한 새로운 인식, 3) 다중언어 환경과 다중언어주의의 인정과 이를 위한 노력, 4) 사이버교육으로서 국어교육의 위상 재정립. In this study, I examined about meaning and its practical demands of the cyber language community that is formed in cyberspa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yber language community is base, at the same time, substance of cyber community which have computer and network by interface of communication. Also, it is community which makes new experience area formed thereinto with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interface by important characteristic. The reason that I observed in cyber language community mainly as follows; First, a subject has new identity and activity mode in cyber language community. It means that interface of community, like computer and network, does not stay in level mediating communication simply functionally. Also, acceptance of cyber language community can make us suppose a relevant counter-discourse against the dominant discourses that transmit simple message to mass for one side through limited channel as broadcasting in television. Because language in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fulfills its condition that counter-discourse must possess, as much as to say a new rules of language use, possibility as regional-private discourse, and the overall influence of discourse effects. Conclusively, I propos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prepare a educational considerations about cyber language community. And in these considerations following things need to be included. 1) comprehension about the mode of the language in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the norm in the formation, 2) new awareness for learning and memory that is attached importance to language and human relation, 3) approval and effort for acceptance of multiplex language environment and multilingualism, 4) re-thesis of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cyb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