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픔’을 “관(觀)”하기

        이혜민(Lee, Hyemi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2

        사람들은 자신의 아픔에 대하여 어떻게 말하고, 그러한 아픔은 어떻게 언어화되는가? 본 논문은 한의원에서의 언어 사용에 대한 언어인류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개인의 신체적인 경험 중 하나인 ‘아픔’의 언어적 구성, 즉 ‘아픔의 언어화’를 탐구한다. 연구자는 한의원 세 곳에서의 현장 연구를 통해 발견된 아픔의 언어화 작업을 크게 두 유형으로 분류한다. 첫째는 일차적인 언어화 작업으로, 이는 환자가 느끼는 ‘아픔’이라는 감각이 언어적인 형태로 옮겨지는 것, 즉 아픔의 번역을 말한다. 둘째는 이차적인 언어화 작업으로, 이는 한의사와 환자 간의 상호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아픔의 표현, 의미, 해석의 틀이 재편되는 과정을 말한다. 본 논문은 한의사와 환자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두 유형의 언어화 작업에 대한 언어인류학적 기술과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하여 아픔의 언어화가 아픔에 대한 단 하나의 언어에 동의되고 공유되는 정적인 성격의 작업이 아니라, 환자와 한의사의 상호작용을 속에서 충돌되고 설득 혹은 협상을 통해 재구성되는 역동적인 성격의 작업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How do people talk about their pain, and how is their pain being verbalized? This study attempts a linguistic anthropological analysis on language use in local Korean Medicine clinic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xamine linguistic construction of ‘pain,’ otherly put, the verbalization of ‘pain.’ This study explores two categories on verbalization of pain: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The primary process is translating the senses of pain into communicative forms. By the language ideology and Korean Medicine ways of sense-experience, verbose, descriptive, synesthetic, and symbolic expressions become possible and furthermore, are encouraged. For instance, figurative speeches, or expressions with similes and metaphors, are prominently applied by both doctors and patients. Especially for doctors, citing classical Korean Medicine texts or applying nonverbal acts are customarily employed. The secondary verbalization process is the regimentation of verbalized expressions in medical interactions. This reflects the reconstruction of expressions,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of pain through doctor-patient interactions. Patient-orientedly verbalized at first, the pain gets rearranged into the doctor-oriented language and knowledge as the medical communication is unfolded. This ethnography argues to highlight on processual aspects of the pain verbaliz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pain verbalization is not an automatic nor stable transformation done through a single way of speaking; rather, the study stresses the process of pain verbalization as a complex, dynamic, social process done through participants’ conflicts, negotiations, fine-tuning on expression, meaning, and knowledge on the pain.

      • KCI등재후보

        개념 언어화를 위한 질문방법

        이종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2

        Bruner가 교육의 목적을 지식의 '일반적 전이'라고 주장한 이후 개념 학습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주요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개념 학습은 입시에서 지식중심 평가의 영향으로 '일반적 전이'보다는 개념 자체 '이해'에 그치는 경향이 높다. 이 결과 개념 학습은 개념 자체를 아는 정도이면 평가에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그것을 '언어화'하여 타인에게 이야기하는 상태로 나아가는 경우가 드물다. 하지만 개념을 일상성 속에서 언어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학습자가 고등사고로 나아가는데 토대가 된다는 점을 이해한다면, 개념 언어화를 위한 질문은 교사의 필수적 자질의 하나라 할 수 있다. 필자는 개념 언어화를 위한 질문으로 Taba의 질문전략을 제시하고, 그의 질문전략이 이후 여러 연구자들의 개념 언어화 질문의 토대가 되고 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The concept learning has been highly recognized in a curriculum since Bruner mentioned 'general transfer' of knowledge was the major purpose of education. The way of differentiation of students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entrance examination in Korea. The concept learning has placed more weight on understanding concept itself than 'general transfer'. Many Korean teachers have assumed that students have needed to know the concept itself, and that they have not needed to transfer the concept to others with verbal. However, when the Korean teachers understand that verbalizing concept helps learners to improve their thinking power, they consider the essential disposition of teacher as making questions that encourage students to verbalize concepts. This research utilizes Taba's strategy of Questioning as a method of making Questions that stimulate students to verbalize concepts. It discovers that Taba's strategy of questioning has been adopted in much research dealing with strategies of questionings for verbalizing concept. It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concepts in textbooks in the USA has followed the Taba's strategy of questioning.

      • KCI등재

        그림 표상의 분해와 연결을 통한 언어화훈련이 아동의 표상 재 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희숙(Park, Hee-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표상의 유연성을 다루는 Karmiloff-Smith(1990, 1992, 1999)의 표상 재 기술과정의 발달을 아동의 그림에서 살펴보려 하였다. 표상 재 기술 모형을 촉진하는 표상의 부분-전체 분해 과정과 언어화 과정을 적용하여 표상이 그림의 범주들을 넘나들며 유연하게 변화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84명의 5, 6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람과 집을 두 조각, 여러 조각으로 분해하여 그리도록 지시하였고 분해효과를 보기 위해 통제 조건을 두었다. 또한 각각의 조건에 언어화 및 비언어화 조건을 만들어 총 6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여 그림의 부분-전체 분해 및 언어화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표상의 부분-전체 분해는 특히 두 조각 조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표상 유연성에 있어 분해는 점화의 효과를 가지며 표상 변화에 영향을 주었고 무엇보다 언어화는 분해과정을 촉진하여, 그림 표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림의 부분-전체 분해 과정을 자세히 언어화할수록 표상을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표상의 유연성 즉, 표상의 재 기술을 촉진하기 위한 언어화는 자신의 표상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행동을 언어화하여야 자신의 지식을 명시화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at specifying the content of th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RR) process assumed by Karmiloff-Smith(1990, 1992, 1999) with respect to the emergence of interrepresentational flexibility in children"s drawing behavior. I Hypothesized that the RR process included part-whole decomposition processes that are essential to the ability to produce cross-categorical drawing and verbalizing this process will maximize it"s effects. I presented 5, 6-year-old 184 children with either a two-part or a several-part decomposition task involving a man and a house (experimental conditions) or with no such decomposition task(control condition), prior to a connection task (drawing a man-house). Also, verbalization training was administered to half of children in two conditions(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using verbalization traning processes. The results showed that connection performances were better in children who had previously decomposed the objects into two parts than in children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positive ‘priming’ effect was at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part-whole analysis processes that further facilitated the management of complex connections between the object. Furthermore verbalization helped priming effects out supporting children"s reorganization of implicit knowledge on drawing domain to transfer the implicit knowledge toward explicit forms.

      • KCI등재

        문제 해결로서의 언어화와 문법 교육적 함의

        이동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8 새국어교육 Vol.0 No.116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Croft(2007)’s verbalization as a problem-solving process, and discovering its implications for grammar education. The state in which the speaker intends to convey his experience to the listener corresponds to the initial state of problem solving, and the state in which the discourse is finally produced corresponds to the target state. Constructing meaning and selecting a specific vocabulary / grammar form are all the same as using a linguistic operator.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er’s core competence in the grammatical domain, it is necessary to find a problem-solving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grammatical domain, and to transfer the various grammatical knowledges necessary for solving the problem to grammar education contents. We have resequenc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isting curriculum. The target state of verbalization is defined as sentence production and the grammatical elements of the sentence used as the linguistic operator are related to reach the final target state.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looked for consistency between grammatical elements, and then looked for functional consistency between vocabulary and grammar. 이 글은 Croft(2007)의 언어화를 문제 해결 과정으로 재해석하고, 이것이 문법 교육에 주는 함의를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세형(2005)와 신명선(2010a)가 문법 영역에서 언어화에 대한 논의를 심화․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화자의 개념화’를 출발지로 삼아 도착한 언어 형식은 피동 구문이거나 단어 수준에 머물렀다. 문장이나 문장 이상의 담화를 생산하는 과정도 언어화라고 할 수 있다면 언어화의 과정은 이보다 훨씬 복잡할 것이다. Croft(2007)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의사소통을 하는 가운데 화자의 경험이 언어화되는 복잡한 과정을 잘 설명해 놓았다. 언어화는 언어 사용자가 지능을 사용하여 당면한 언어적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를 토대로 Croft(2007)에서 설명한 언어화의 각 단계를 문제 해결 과정에 대응시켜 보았다. 문법 영역에서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문법 영역에 부합하는 문제 해결 과정을 발견해야 하고, 이 속에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문법 능력을 문법 교육 내용으로 전이시켜야 한다. 이 글은 1차 작업의 성격을 띠며, 그에 맞게 기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다시 계열화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언어화가 아동의 사건기억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Koh, Tae-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아동이 사건을 경험하기 전에 사진 정보를 제공하여 사건기억을 향상시키고지 할때 때 언어화가 사건 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만 알아 본 것이다 만 6세 아동 52명을 대상으로 사건을 경험하기 전에 비언어화. 성인 언어화. 아동 언어화의 조건에 따라 사건과 관련이 있는 그림 이야기를 제시 하였다 조건에 따라 그림 이야기를 들려준 다음날 유아들은 직접 사건에 참여하였다 사건을 직접 경험한지 4 일 후에 유아의 사건기억 수행을 평가한 결과 아동 언어화의 조건에 참여했던 유아들의 사건기억 수행이 비언어화. 성인 언어화의 조건에 참여했던 유아들의 사건기억 수행보다 았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들이 사건을 더 잘 기억한 수 있도록 돕는 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verbalization to present information prior to an event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memory of the event. Sixty-two children, all six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day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event(Visiting the Pirate’s Room), the children devided into a non-verbalization group, adult-verbalization group and child-verbalization group. Non- verbalization group was presented with pictures and narration only. Adult-verbalization group was presented with pictures and narration and then heard the narration verbalized by an adult. Child-verbalization group was presented with pictures and narration and then children were asked to verbalize the narration. In the result was children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child-verbalization group show more event recall ho formance than children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non-verbalization group and the adult-verbalization group. These fìndings provide a suggestion on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the children’s event memory

      • KCI등재

        게임과 공포 서사를 통해 살펴본 언어화와 공포의 비대칭적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디아블로3>, 현대 괴담, 고전 원귀서사를 중심으로

        최건,장지영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6

        Diablo III, a action role-playing game released in May 2012, achieved great success. Nevertheless, tons of users have criticized that it lacks of elements of horror, even called it ‘sleeping pill.’ This article analyzes that this absence was caused by over-verbalization, and argues that horror and verbalization are in an asymmetric relationship. Horror is not property of object in itself, but product of subjectivity, i.e. imagination. Therefore, horror requires some sort of vacuum, like absence of determination or of homogeneity, as a place for imagination. On the contrary, verbalization erases this vacuum. Verbalization functions as explanation or setting which deprives imagination of its place. Furthermore, describing character as linguistic being is another mode of verbalization which liquidates heterogeneity. Grudge-releasing(解冤) process of traditional vengeful-ghost stories are perfect example for this relationship between horror and verbalization. On the other hand Adorno’s concept of ‘Projektion’ shows that this relation can be observed in psychological or political phenomenon. This analysis demonstrates how verbalization ruined the horrific aspects of Diablo III. On top of that, the conclusion shows inner logic of linguistic attempt which tries to represent horror, not just in case of game or horror narrative, but in general. 언어화와 공포는 비대칭적인 상관관계에 있다. 예컨대 언어화의 과잉은 공포 정서를 구축(驅逐)한다. 이를 규명하고자 본고는 현대 괴담과 고전 원귀서사, 게임 <디아블로3>를 소재로 삼아 비교하고 분석한다. <디아블로3>는 공전의 상업적 성공을 거둔 게임이다. 그럼에도 일각에선 전작과 같은 공포스러움을 구현하지 못했다는 평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지루하다는 이유로 “수면제”라는 밈(meme)이 유행하기도 했다. 본고는 일부 이용자들의 그러한 주장과 반응에는 ‘공포 정서의 탈락’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데, 이때 탈락의 기전은 원귀서사에서 나타나는 해원(解冤) 과정에서의 그것과 정확히 일치한다. 공포는 대상의 즉자적 속성이 아니다. 그것은 주관의 소산이다. 공포는 상상력이 작동할 자리를, 즉 규정성의 부재 혹은 동질성의 부재와 같은 ‘공백’의 자리를 요구한다. 반면, 언어화는 설명, 설정 등의 방식으로 규정성을 제공하는데, 이는 상상의 여지를 박탈함으로써, 또는 대상을 언어적 존재로 묘사해 동질성을 제공함으로써 이질적 간극으로서의 공백을 제거한다. 이런 기제는 <디아블로3> 에서 언어화의 과잉에 의한 공포의 감퇴로 나타났다. 고전 원귀서사의 해원 과정에서는 특정 단계에서 원귀가 언어적 존재로 변모하는데, 이를 통해 공포가 무화된다. 이 두 현상은 공히 공포와 언어화의 비대칭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아도르노의 투사(Projektion) 개념에서도 양자의 반목이 ‘언어적 비언어화’ 의 양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론은 공포와 언어화의 보편적 관계를 논한다는 점에서 게임, 원귀서사를 넘어 공포 정서의 재현을 꾀하는 언어적 시도 일반의 내적 논리를 규명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시각 자극의 언어화에 의한 전역 선행성의 역전

        민수정,이도준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3

        감각적 경험을 언어로 기술하면 그 경험에 관한 감각적 기억이 저하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일컬어 언어 장막(verbal overshadowing) 효과라고 한다. Schooler(2002)[1]는 언어화로 인해 정보처리 방식이 전역적 처리에서 국지적 처리로 전환되기 때문에 언어 장막이 발생한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보처리의 전환이 실제로 일어나는가를 검증하고자 얼굴 자극에 대한 기억을 요구하고 이를 토대로 언어적 묘사를 한 직후에 전역 처리와 국지 처리를 비교할 수 있는 Navon 과제를 실시하였다. 얼굴 재인 과제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외워야 하는 얼굴을 제시한 후 그 얼굴에 대한 언어화를 요구하였으며, 얼굴 재인 과제를 수행한 직후에 Navon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얼굴 재인 과제에서는 언어화를 한 묘사 집단에서 언어화를 하지 않은 통제 집단보다 낮은 재인률을 보이는 언어 장막 효과가 나타났다. Navon 과제에서는 통제 집단이 전역 수준의 정보가 국지 수준의 정보보다 우세하게 처리되는 전역 선행성(global precedence)을 보인 반면에, 묘사 집단은 전역 수준의 정보보다 국지 수준의 정보를 더 우세하게 처리하는 국지 선행성을 보였다. 이는 얼굴을 언어화함으로써 정보처리의 방식이 전역적인 방향에서 국지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그 결과로서 얼굴에 대한 재인이 손상된 것임을 시사한다. ‘Verbal overshadowing’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by the verbal reporting of a visual memory of a face interferes with subsequent visual recognition of that face. Schooler (2002)[1] suggested that verbalization causes a shift from a holistic/global processing orientation towards a more analytic/local processing orientation that is detrimental to face recognition.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this processing shift occurs or not by assessing performance of Navon task following face recognition task, interposing verbalization between encoding stage and retrieval stage. The face recognition task showed the verbal overshadowing effect. In the Navon task, while non-verbalization group showed global precedence, verbalization group showed local precedence. This results imply that the cause of verbal overshadowing effect is a processing shift induced by verbalization.

      • KCI등재

        표상 재 기술에 언어화가 미치는 영향: 균형과제를 중심으로

        박희숙,최경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9 No.1

        Th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model proposed by Karmiloff-Smith describes a process through which children elaborate their knowledge from unconscious and implicit levels to conscious explicit levels. The model also assumes that children in explicit levels are able to express their own representation of knowledge verball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 verbalization training influences children's development of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This study, 222 children aged from 5 to 7 years, who failed to explain their strategies of their solution in the balance task, were recruited.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s. A group of verbalization training was administered to a session using a 12 beam task. Compared to control groups, children in the training group showed more advanced levels of representation than their previous levels in a pretest.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verbalization were salient in younger children.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that verbalization is likely to facilitate children's reorganization of implicit knowledge, and eventually, to transfer the implicit knowledge toward explicit forms. Further research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learning processes based on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Karmiloff-Smith(1992)의 표상 재 기술 모형은 인간이 머릿속에 저장된 정보를 반복적으로 재표상하여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모형은 아동들이 무의식적으로 만들어진 암묵적 표상에서 시작해 명시적인 표상을 거쳐 표상을 의식하고 언어화할 수 있는 단계로 발달한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표상 재 기술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언어화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균형과제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행률은 높으나 언어적 설명을 못하는 암묵수준과 수행률이 낮고 논리적인 언어적 설명이 불가능한 명시적 수준 이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언어화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완전한 명시적 수준에 다다르지 못한 5, 6, 7세 아동 222명을 대상으로 12가지 막대를 사용한 균형 과제를 실시하였는데, 이 과정동안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이유와 결과에 대한 예측을 설명하도록 훈련하였다. 이 결과, 훈련 과제를 수행한 아동은 과제를 시행했으나 언어화하지 않은 조건이나 과제를 시행하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해 모든 수준에서 더 많은 아동들이 이전의 발달 수준보다 표상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어린 아동들에게는 언어화의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신의 행동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생각을 고찰하고 조작하여 암묵적인 지식을 명시적인 지식으로 변화시켜 새로운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교육 활동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후의 연구에서는 균형과제 뿐 아니라 다른 영역들의 과제에서도 같은 표상 재기술의 발달을 검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 그리고 치료작업

        홍재범 ( Hong Jaebeom ) 겨레어문학회 2020 겨레어문학 Vol.65 No.-

        이 논문은 내담자의 자기이야기와 이를 담화의 과정을 거쳐 표현한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서사학의 이야기와 서사의 관계와 동일하다. 서사학의 분석 대상이 허구적 구성물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는 서사치료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왜냐하면 내담자의 주요문제를 내담자가 언어화하는 내용에 근거하여 파악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내담자는 상담가에게 자신이 살아온 삶, 사실이나 사건에 대해 정리되지 않은 정보를 쏟아놓게 된다. 내담자에 의해 언어화된 모든 정보는 내담자의 머리 속에 존재하는 자기이야기의 편린들로 자기서사를 구성하는 내용들이다. 치료사가 일반적인 상담가들과 변별되는 지점은 내담자의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내담자가 언어화된 자기서사를 통해 자기이야기를 반성적으로 대상화하고 자신의 문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자기이야기를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서사적 자극을 줄 수 있어야 한다. 프로이트의 엠마 치료작업은 이러한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내담자는 자기이야기를 말이나 글 또는 그림이나 사진, 영상 또는 몸 등을 표현 매체로 삼아 외화시키게 된다. 즉 내면의 것을 타인이 눈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를 선택해 담화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양한 표현 매체 중 특히 기왕에 산출된 문자텍스트를 도구로 활용하여 치료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를 ‘문학치료’로 간주해 왔다. 이러한 문학치료가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기이야기와 자기서사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통찰이 필수적이다. 이때 담화의 방식을 문자적 외화로 국한시키는 것은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제한적 효과에 멈추게 된다. 언어화를 포함한 다양한 담화의 방식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의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심리치료의 본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counselee's self-story with self-narrative which is exp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discours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is essentially the same as story and narrative in narratology.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analysis of narratology is a fictional compositio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occupy a key position in narrative therapy. This is because the main problem of the counselee has to be identified based on the contents which the counselee verbalizes. The person in charge will pour out unorganized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life, facts, or events to the counselor. All the information verbalized by the counselee is the content that composes self-narrative with the convenience of the self-story that exist in the counselee's head. The point at which therapist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general counselors should be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ee's self-story and self-narrative and provide narrative stimuli so that the counselee can reflectively target the self-story and imagine and realize a self-story that can overcome his or her own problem situation through a verbalized self-narrative. Freud's Emma therapeutic work is an example of this relationship. The counselee will use the self-story as a medium of expression, such as words, writings, pictures, photographs, images, or bodies, to externalize.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iscourse will be carried out by selecting various media so that others can perceive what is inside. Among the various expressive media, the use of specific written text previously created as tools to perform therapeutic activities has been regarded as ‘literature therapy’. In order for these literary treatments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insight into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self-story and self-narrative is essential. At this time, limiting the method of discourse to literal externalization stops in the limited effect of bringing about changes in the inner circle. Exploring how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unselee through various discourse methods, including verbalization, could contribute to achieving the original goal of psychotherapy.

      • KCI등재

        한국수어 음식 명사의 형성 -개념화와 언어화를 중심으로-

        정한데로(Jeong, Handero) 형태론 2018 형태론 Vol.20 No.2

        동일한 대상을 개념화하고 언어화하는 과정에 한국어와 한국수어는 서로 얼마나 유사하게, 또 얼마나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것인가? 이 글은 ‘대상의 개념화’와 ‘개념의 언어화’ 과정을 토대로 한국수어 음식 명사의 단어 형성 양상을 검토하며 그 물음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크게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수어는 단어 형성 과정에 구성성분 내 일부 형태소를 생략하는 방식으로 단어를 만들기도 하며, 한국어와는 다른 개념적 범주화를 보이기도 한다. 둘째, 한국어에서 드러나지 않은 방식의 구성성분 계열관계를 통해 한국수어 고유의 단어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밥, 술, 국수, 가루, 빵’ 어휘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한국수어의 단어 형성 방식이 확인된다. 한국어와 한국수어의 비교 관찰을 통해 보다 일반화된 차원에서 단어 형성을 연구할 수 있다. How similar or different are Korean and Korean Sign Language(KSL) when an object is conceptualized and verbal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answer of this question by examining word formation of food nouns in KSL. We discussed three issues as follows. Firstly, some morpheme that compose a word can be omitted when complex words are formed in KSL, and there is some different conceptual categorization between Korean and KSL. Secondly, own word families of KSL were revealed through paradigmatic relations which we can not find in Korean. Thirdly, we discovered common word formation methods in KSL lexical fields of rice, liquor, noodle, powder, bread. We can make a generalization of word formation principle by observing Korean and KSL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