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인식 비교

        신창숙,서유경,안성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8 No.1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인 수용언어·표현언어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하여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으며, 언어재활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관찰 평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100그룹)가 배포되었으며, 272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4부를 제외한 총 258부(86그룹)를 분석하였다. 장애유아의 수용·표현언어능력에 대한 현재수준 과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영태 등(2003)이 개발한 표준화 검사「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Scale:PRES)」에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하위영역은 인지개념 및 의미론, 음운 및 구문론, 화용론의 3개의 하위척도로 총 90문항으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하여 총 18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가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에 대한 인식은 기대수준이 현재수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 현재수준에 대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 간의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인지개념 및 의미론과 음운 및 구문론에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화용론에서 부모집단과 교사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와 언어재활사 집단에서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 현재수준의 화용론은 부모가 언어재활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아의 표현 언어 현재수준에 대한 부모, 유아교사, 언어재활사 집단 간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인지개념 및 의미론, 음운론 및 구문론, 화용론에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 기대수준에 대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부모집단과 교사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와 언어재활사 집단에서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 기대수준을 부모가 언어재활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영역 인지개념 및 의미론, 음운론 및 구문론, 화용론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장애유아의 표현 언어 기대수준에 대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 간의 인식 비교한 결과 교사와 부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집단과 언어재활사집단에서 장애유아의 표현 언어 기대수준을 부모가 언어재활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인지개념 및 의미론, 음운론 및 구문론, 화용론에서도 같은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장애유형에 따라 인식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애유형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장애유형에 따라 가지는 언어능력의 특성으로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고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하여 현재수준을 파악하고 기대수준을 가진다면 언어발달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에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의 기대수준에서는 세 집단에서 부모와 언어재활사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인식 비교를 하는 데 있어 편견이나 기술의 부족에 의해 다르게 인식을 수 있다. 하지만 장애유아가 속해 있는 여러 환경에서 보여지는 언어능력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세 집단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가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바르게 이해하다면 유아의 특별한 행동에 적절하게 개입을 할 수 있으며, 풍부한 교육적 환경을 조성하고 자극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발달에 대한 적절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과 함께 유아의 언어능력 발달에 대한 기대는 그 능력에 대한 가치의 부여, 선호도를 반영하고 발달을 자극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 교사, 언어재 활사는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언어능력의 발달에 대하여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함께 연계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하여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해를 높일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연계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간의 인식 차를 줄이기 위해 장애유아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가지고 세 집단이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특성 비교

        고정희(Junghui, Ko),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를 동반한 말소리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이 단순언어장애아동,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언어연령 5세 1개월에서 5세 11개월에 있는 언어발달지체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 9명, 단순언어장애 8명,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10명, 일반아동 10명의 총 37명 아동이었다. 아동들은 음절분리, 음절탈락, 음절대치, 음소변별, 음소대치의 음운인식과제를 각 8문항씩 총 40문항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음운인식과제 총점에서 일반아동 수행이 유의미하게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순수 말소리장애가 높았다.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이 가장 낮았으나 단순언어장애아동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음운인식 과제유형에 따른 집단별 수행을 살펴본 결과 음절분리와 음절탈락에서만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아동은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보다 저조한 능력을 보였다. 결론: 언어발달지체 동반 말소리장애는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유사한 음운인식패턴을 보이며, 순수 말소리장애보다는 저조한 음운인식능력을 보이고 있으나, 그 차이는 음운인식과제 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s compared to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children with a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and general children.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9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s, 8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10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and 10 general children(a total of 37). All children performed a total of 40 tasks, 8 phoneme discriminations, 8 phoneme substitutions, 8 syllable isolations, 8 syllable deletions, and 8 syllable substitutions. Results: the performance of the general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total score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t a significant level, followed by those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The scor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 were the low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formance from that of children with SLI.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typ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s showed poorer ability than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in syllable separation and syllable deletio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s showed a similar phonological awareness pattern to children with SLI, and showed poorer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than pure speech sound disorders, but the differenc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

      • KCI등재

        친숙의 정도와 이야기 문맥에 따른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의 은유이해 특성

        신후남,권도하 한국언어치료학회 2010 言語治療硏究 Vol.19 No.2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of using metaphor comprehension to distinguish children with NVLD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from children with VLD (verbal learning disabilities) and TYP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ight children with NVLD, 15 children with VLD, and 15 TYP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ranged from 5 to 9 years of ag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g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NVLD and TYP in the comprehension of frozen metaphors in different conceptual domain or syntactic structure. When presented with novel metaphors in sentences, children with NVLD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YP children, but not with children with VLD. The results were the same in perceptual metaphors or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NVLD and children with VLD in the comprehension of metaphors in story contex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VLD and TYP children. 본 연구는 은유문장에 대한 친숙의 정도와 이야기 문맥에 따른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의 이해 특성을 언어성 학습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은유이해의 차이가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을 구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K-WISC-Ⅲ, 기초학습기능검사, K-ROCF를 통해 선정된 5~9세의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 8명, 언어성 학습장애 아동 15명 그리고 일반아동 1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은유이해 검사도구는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실험 후,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친숙한 관습적 은유의 이해에서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은 다른 두 집단의 아동 모두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친숙하지 않은 창의적 은유의 이해에서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은 언어성 학습장애 아동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일반아동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 문맥에서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은 언어성 학습장애 아동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반아동과의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이 언어성 지능에서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위언어능력이 요구되는 은유 특히, 그 은유표현이 친숙하지 않은 창의적 은유일 때 보다 더 분명한 이해의 어려움을 보이며 문맥적 단서를 활용하는 능력에서 열등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은유이해의 차이가 일반아동으로부터 비언어성 학습장애 아동을 판별해내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나아가 은유이해력 검사는 친숙의 정도 측면에서 관습적 은유보다는 창의적 은유를 이용해야 하며 이야기 문맥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령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문헌연구

        진연선(Yeon Sun Jin),권유진(Eugene Kwon),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4

        배경 및 목적: 학령기 언어장애 비 율의 증가와 학문적 관심 증가로 인해 학령기 언어발달과 학령기 언어장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와 국내의 언어병리학 분야에서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분석하여 그 동안 의 연구를 종합하고 또한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1년부터 2007년에 발표된 국내외 언어병리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논문 선정 기준에 맞는 총 36편의 연구 논문을 선정하였다. 총 36편의 논문은 학령기 언어발달연구와 학령기 언어장애연구로 나누어 국외와 국내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총 36편의 연구 논문 중, 국외 연구는 1991년부터 최근까지 총 29편, 국내 연구는 2002년을 시작으로 총 7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국외논문의 경우 언어발달연구가 9편(31%)이었으며, 언어장 애 연구는 20편(69%)이었다. 국내연구의 경우 언어발달연구가 4편(57%)이었으며, 언어장애연구가 3편(43%)이었다. (2) 언어발달연구의 경우, 국외 연구는 초등학생(5편, 56%), 초등학생과 청소년(2편, 23%), 그리고 성인(1편, 21%)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언어영역별로는 담화(4편, 45%) 연구가 가장 많았 고 그 다음은 의미(3편, 33%), 문법(2편, 22%)영역 순이었다. 이에 반해 국내에서는 4편의 연구가 모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편의 연구가 모두 담화 연구이었다. (3) 언어장애연구의 경우, 국외 논문은 단순언어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11편, 55%)가 가장 많았고, 언어학습장애(5편, 25%), 언어장 애(3편, 15%), 학습장애(1편, 5%)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총 20편의 논문 중 담화(8편, 40%)영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문법(7편, 35%), 화용(4편, 20%), 의미(1편, 5%)영역이었다. 반면 국내논 문은 단순언어장애(2편, 77%)와 학습장애(1편, 33%)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담화(1편, 33%)와 화용(2 편, 67%)영역에서 연구가 있었으나 의미와 문법영역에서는 연구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외 연구와 국내 연구를 비교하여 연구형태, 언어영역별로 요약하였고, 향후 국내에서 이 루어져야 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Backgrou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cent research trend regarding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disorders of school-aged children. Methods: We reviewed the articles published from 1991 to 2007 in the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that focus on speech-language pathology. A total of 36 article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research areas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disorders).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each article and analyzed aspects of language,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dependent variables, and major results. Results: (1) Of the 29 articles published abroad, nine (31%) focused on language development and 20 (69%) focused on language disorders. Of the seven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our (57%) pertained to language development and three (43%) pertained to language disorders. (2) In the international articles pertaining to language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school-aged children (23%),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23%), and adults (21%). Most of the international articles focusing on the aspects of language development specifically analyzed discourse (45%) followed by semantics (33%) and grammar (22%). A of total four articles published in Korea analysed school-aged children, and they all focused on discourse studies. (3) In the articles on language disorde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55%), Language Learning Disability (LLD)(25%), Language Impairment (LI)(15%), and Language Disability (LD)(5%) in the international journals. Most of the international articles focusing on the aspects of language disorders specifically analyzed discourse (40%) followed by grammar (35%), pragmatics (20%), and semantics (5%). Participants in the Korean articles were children with SLI (77%) and LD (33%), and these articles focused on pragmatics (67%) and discourse (33%). Discussion & Conclusion: We discussed the results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and disorders of school-aged children.

      • KCI등재

        국내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및 진단평가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홍새미,박성종,유민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2

        Purpos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notified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 and the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s) in charge of assessing language disorders have to recognize and consider them in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investigated SLPs’ perception level of the diagnostic criteria by MOHW and current assessment approach of the language disorders to establish proper guidelines of diagnosis for language disorders. Methods: We conducted a nationwide online survey with 23 questions across 3 domains (responders’ characteristics, perception level of diagnostic criteria by MOHW and current assessment approach of language disorders) on SLPs registered with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We analyzed the results of completed questionnaire received from 362 responders. Chi-squared test or Fischer's exact test were used to compare difference in perception level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level, working institution and period of clinical experience. Results: Overall, SLPs’ perception level of the diagnostic criteria by MOHW was low. However, SLPs with the first - level certification, those in a tertiary medical center and those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level than the other groups. The assessment tools used in the diagnosis of language disorders and method of interpreting results varied widel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level of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 by MOHW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guidelines of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 목적: 보건복지부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해 고시하였으며, 언어장애 진단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들은 이에 대해 인지하고 임상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공정한 언어장애 판정을 위한 진단평가 지침 수립을 위해 현재 고시되어 있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를 파악하고 언어장애 진단평가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언어재활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언어재활사에게 구글 설문지 주소를 포함한 문자를 발송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362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응답자의 배경정보에 관한 문항 9개, 장애 판정기준 인식에 관한 문항 5개, 장애 진단평가 실태에 관한 문항 9개로 총 2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진단평가 실태에 관한 문항 응답은 장애 유형별 진단 경험 유무에 따라 참여를 제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각 문항의 응답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참여자의 자격증 급수, 근무기관, 임상경험에 따른 인식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 및 피셔의 정확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는 모든 언어장애 유형에서 전반적으로 낮았다. 1급 자격증 소지 집단, 3차 의료기관 종사 집단, 임상경험 10년 이상 집단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인식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장애 진단 시 사용되는 검사 도구 및 검사 결과 산출 방법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 향상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국내 의료기관의 언어장애 진단평가 실태 조사 결과는 추후 언어장애 판정을 위한 진단평가 지침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의 언어장애 유무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단적 일상생활,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차이

        강소라,문종훈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1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healthcare needs among disabled persons with and without language disorder. Methods : Using raw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 (2017), this study compared 6,320 disabled persons without language disorder and 229 disabled person with language disorder among 6,549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ADL, and healthcare needs. Results :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were younger (p<.001), illiterate (p<.001), and had higher family income (p=.003)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In addition,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had a higher disability grade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p<.001), and the percentages of brain injury, hearing impairment, an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higher among type of disability (p<.001).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pendence on all items of IADL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p<.001). As the first-ranked healthcare need,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chronic illness management,” and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disability management” (p<.001).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suggest that health care services are needed to improve IADL in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and that the development of a disability management program for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is required. Purpose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언어장애 유무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단적 일상생활, 보건의료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Methods : 연구자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 6,549명 중 언어장애가 없는 장애인 6,320명과 언어장애가 있는 장애인 229명을 비교하였다. 종속변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보건의료서비스로 선정하였다. Results : 언어장애가 있는 장애인은 언어장애가 없는 장애인과 비교하여 나이가 젊었고(p<.001), 무학인 사람이 많았으며(p<.001), 월평균 총 가구 소득이 높았다(p=.003). 그리고 언어장애가 있는 장애인은 언어장애가 없는 장애인보다 장애등급이 더 높았으며(p<.001), 장애등록유형 중 뇌병선, 청각장애, 지적장애의 비중이 높았다(p<.001). 언어장애가 있는 장애인은 언어장애가 없는 장애인과 비교하여 전화하기, 물건사기, 식사준비, 청소하기, 빨래하기, 약 챙겨먹기, 금전관리, 대중교통수단 이용하기에서 의존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 1순위는 언어장애가 없는 장애인이 ‘만성질환 관리’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언어장애가 있는 장애인은 ‘장애관리’가 가장 높았다(p<.001). Conclusion :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도움을 위한 보건의료서비스가 요구되며,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을 위한 장애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비특정 언어장애에 대한 국외 문헌고찰

        김시현,김화수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review studies conducted abroad regarding communication in non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NLI). This study sough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regarding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in Korea by inquiring into the overseas research trends. Methods: This study searched foreign literature in relation to NLI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1. This study analyzed 14 selected theses among the collected papers through a selection process pursuant to established standards. Results: First, the detailed diagnostic criteria for NLI were analyzed according to language ability, nonverbal IQ, and exclusionary criteria. Second, the age groups of the study was oriented to adolescents, preschoolers, and school-age children, in order of magnitude. As for the group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 was equivalent to NLI. There was plenty of research comparing three groups of children with SLI, NLI, and children without language disorders. Third, research methods were principally focused 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urpose, and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longitudinal studies in terms of time. Fourth, the research themes followed the order of expression language, receptive language, and verbal language. The language realm followed the order of morphologyㆍsyntax, semantics, pragmatics, and phonology.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a need to study NLI in parallel with SLI. Additionally, this study confirmed the trends of unequal distribution of methods and themes. Further research on NLI in Korea is required, including studies that facilitate evaluations and mediations regarding relevant themes. 목적: 이 연구에서는 비특정 언어장애의 의사소통에 대한 국외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외의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국내 언어발달장애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에서 2021년 사이에 발표된 비특정 언어장애에 대한 국외 문헌들을 검색하였다. 수집된 논문을 기준에 따라 선정 과정을 거쳐 총 14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비특정 언어장애의 세부적인 진단 기준을 언어능력, 비언어성 지능, 배제 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의 연령대는 청소년, 학령전기 아동 및 학령기 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은 단순언어장애 및 비특정 언어장애 집단 연구가 동일한 정도로 많았다. 단순언어장애, 비특정 언어장애, 일반 아동 간의 3집단 비교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방법은 목적 측면에서 특성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시간 측면에서 종단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는 표현언어, 이해언어, 말 영역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언어 영역은 형태ㆍ구문론, 의미론, 화용론, 음운론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단순언어장애를 연구할 때 비특정 언어장애를 함께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의 균형성 측면에서 방법, 주제 등이 편중된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참고하여 향후 국내에서 비특정 언어장애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을 평가하고 중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아동,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장애아동, 일반아동의 쓰기지식특성

        유경,정은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knowledge among three groups of school-aged children: those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group), those with borderline intelligence-language impairment(BI-LI group), and normal children(NC group). A total of 101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from four to six were recruited from Chonbuk province and three groups of 56 children were finally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stories after looking at the picture “Farm”, as well as after listening to a story “Enju and the Animals”. Their writing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wo types of writing knowledge(Propositional, Strategic). The major findings for each of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NC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propositional knowledge than did either the SLI group or the BI-LI group. The SLI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language knowledge, a subtype of the propositional knowledge, than did the BI-LI group. For all the groups, the score in declarative knowledge was higher than the scores either in language knowledge or in text knowledge. Second, the NC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strategic knowledge than did either the SLI group or the BI-LI group. There wa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ategic knowledge between the SLI group and the BI-LI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writ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LI and BI-LI groups, whereas previous studies imply that there a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further studies o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of the SLI and BI-LI children need to be conducted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which are appropriate for such children.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 중 단순언어장애아동, 경계선지능언어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쓰기지식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언어장애아동 16명,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장애 아동 14명, 일반아동 26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쓰기와 이야기 들은 후 다시쓰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글쓰기 자료에 대하여 쓰기지식 중에서 명제적 지식의 내용지식, 언어지식, 텍스트맥락지식 및 절차적 지식의 총점과 세부항목에 대하여 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명제적지식과 절차적 지식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과 경계선지능언어발달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고 특히 명제적지식의 하위요인인 언어지식에 있어서 경계선지능언어발달장애아동이 단순언어장애아동에 비하여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A Qualitative Study o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Literacy for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y b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황윤미(Yun-Mi Hwang),박현린(Hyun-Rin Park),김승희(Seu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 아동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을 근거이론적 접근을 적용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언어학습장애 치료와 관련한 여러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언어재활사가 언어학습장애 아동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상황과 어려움을 탐색하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시도하는 방안들을 과정과 관계 속에서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전남 지역에서 근무하는 7명의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분석방법에 따라 이론적 표본추출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총 3단계의 분석 과정(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거쳐 수집된 자료의 구상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최종 67개의 개념, 28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의 결과로 언어재활사의 언어학습장애 치료 과정에 대해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고, 언어학습장애와 관련한 언어재활사의 요구와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언어재활사는 언어학습장애 전문성 획득의 어려움과 관련 교육의 부재로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로 인해 언어학습장애 치료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원인들이 근본적으로 소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극적인 언어학습장애 치료가 실시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자료를 통해 언어재활사들의 언어학습장애 치료에 대한 어려움과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추후 치료 교구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인 지원이 확대되기를 기대해 본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various measures for enhancing interventions for language learning disorders (LLD) by taking a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to examine the challenge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experience while treating children with LLD and their solutions. Ultimate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interventions for LLD administered by SLPs by exploring various situations and difficulties that SLPs face dur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LLD and analyzing the measures they employ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from a process and relational standpoi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SL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theoretical sampling per the grounded theory. The concreteness of the data was enhanced through three stages of analysis. Results: Through open coding, 13 categories, 28 subcategories, and 67 concepts were identified. Through axial coding, the paradigm model for the process of LLD intervention administered by a SLP was proposed, and the needs of SLPs related to LLD and alternatives to LLD intervention were presented. SLPs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with treating LLD due to challenges of acquiring expertise in LLD and lack of literacy related education. Because these reasons that post challenges in treating LLD are not fundamentally addressed, SLPs were administering passive interventions for LLD. Conclusion: We hope our findings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education and programs related to LLD in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SLP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 KCI등재후보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이 보이는 언어적 어려움에 대한 중재 방안 고찰

        김윤희(Yun Hee Kim),박지연(Ji Yeon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2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장애와 언어장애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쟁점 중 특히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이 보이는 언어 문제와 이를 위한 중재방안을 고찰한 문헌연구이다. 우선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의 전반적인 언어 특성과 정서 및 행동장애의 하위 유형 및 장애정도에 따른 특성, 그리고 사회적 의사소통 측면의 특성을 고찰한 결과, 정서 및 행동장애아들은 대부분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모두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특히 구문론적 표현과 화용론적인 언어사용에 있어서 문제가 두드러지며 학습장애아들과 언어적 특성 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았다. 그러한 언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을 진단, 평가할 때 언어진단이 포함되어야 하고, 정서 및 행동장애아를 위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 언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들 간에, 그리고 전문가와 가족들 간에 역할 재정립을 통한 협력이 특히 중요하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고찰이 정서 및 행동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및 관련서비스 실행에 시사하는 바와 후속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할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language problems exhibited by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o synthesize intervention approaches to the problems. The nature of the language problems is summarized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s in nature based on severity and types of the disability, and characteristics in social communication. In order to encounter the problems, language assess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interventions for language enhanc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speci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The end product of the present literature review revealed the critical importance of the collaborations among professionals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partnerships between professionals and families.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clinical practic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