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별(kalpanā)의 정의 : 쁘라즈냐까라굽따(Prajñākaragupta)를 중심으로

        배경아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불교인식론논리학 전통에서 분별은 인간의 인식과 언어의 문제로 다루어진다. 이 학파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는 디그나가 (Dignāga ca. 480-540)는 분별을 ‘명칭이나 종 등을 결합하는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대상을 명칭 등과 결합 될 때에만 언어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한다. 다르마끼르띠 (Dharmakīrti ca. 600-660)는 분별을 ‘언어표현을 갖는 지(知)’ 혹은 ‘언어표현과 결합 가능한 현현을 갖는 지’로 정의함으로써 언어와 결합하지 않고 외계의 실재에 간접적으로 기반하고 있는 지를 인정하고 실천적인 효용의 의미를 함축시킨다. 쁘라즈냐까라굽따 (Prajñākaragupta ca. 780-840)는 분별을 ‘한정요소 등과 결합하는 대상의 현현을 갖는 지(知)’ 로 정의함으로써 분별도 분별의 대상도 동일한 지라는 유형상지식론의 관점에서 분별의 본질적인 원인은 외계의 실재하는 대상이 아니라 지 내부의 인식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Prajñākaragupta defined conception as a cognition displaying something that is connected to the qualifier, etc. (viśesanādisambandhavastupratibhāsā pratītih kalpanā). The definition has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from Dignāga’s definition according to which conception consists in the association with a name, a genus, etc. (nāmajātyādiyojanā) and Dharmakīrti’s statement to the effect that conception is a cognition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a verbal designation (abhilāpasamsargayogyapratibhāsā pratītih kalpanā). It is implied by the definition to he’s "the epistemological theory of having an apearance" explaining the yogācāra on the basis of self cognition. For instance, in his opinion, conception’s apearance is formed by vasanā, not an external something or sāmānya. Prajñākaragupta also defined conception as the apprehension of what can be associated with something. And like Dharmakīrti, he thinks that the qualifier, the qualified and their connection do not exist in reality. There is also a definition according to which conception is caused by a word, and vice versa. According to Prajñākaragupta, the above definition support the fact that the definition of perception (i.e., ‘being devoid of conception’ kalpanāpodha) is established by means of self-cognition. Prajñākaragupta analyses conception theory in terms of the yogācāra school that it is bases upon internal cognition not external something to decide if an object of conception and linguistic item is real or not real.

      • KCI등재

        분별(vikalpa)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김현구(Kim, Hyun-G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1

        이 글에서는 분별을 인지언어학의 의미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는 불교와 인지과학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선행 작업이다. 분별을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하여 본문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Ⅱ장에서는 불교의 ‘무아’설과 ‘체화된 인지’ 이론을 비교하였다. Ⅲ장에서는 인지언어학이 주장하는 추상적 개념의 신체적 뿌리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중관학파가 바라보는 중생의 괴로움의 원인으로서 ‘분별’의 양상과 이를 의미만들기로 접근한 인지언어학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괴로움의 주된 원인을 무명 ? 번뇌로 특징짓는 불교 교리의 특성 상 번뇌의 내용과 구조를 성찰하였다. 또한 인간 사고의 기반인 언어의 가상성에 대해 접근한 인지언어학의 방법론 역시 번뇌에 대한 현대적 이해로 보인다는 점을 밝혔다. 하지만 불교는 번뇌를 제거하여 해탈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인간 사고의 본질로서 언어를 탐구하는 인지언어학과 다른 종착역을 노정한다. 다시 말해 중관학파는 분별을 번뇌의 특징으로 규정하며, 분별이 갖는 부정성에 주목한다. 반면 인지언어학은 분별을 인간 종(種)의 개성으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인지언어학은 분별이 의미화의 ‘차이’이며, ‘의미만들기’라는 시각에서 진화와 사회화의 과정에서 발달하고 획득한 특수한 신경기능으로 받아들인다.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different manifestations” (vikalp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mantic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is lead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Buddhism and cognitive science. In my discussion, I will deal with the following issues. In Chapter Ⅱ I will compare the Buddhist idea of “denying a self” (an?tman) with the embodied cognitive theories. In Chapter Ⅲ I will explore the physical roots of the abstract concepts that are the main claims of cognitive linguistics. In Chapter Ⅳ I will explore what the Madhyamaka regards as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the cause of suffering,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to thes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meaning-making. Because Buddhism characterizes the main cause of suffering as the delusion (avidy?) and affliction (kle?a), I will reflect o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affliction. It seems that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linguistics is a modern understanding of affliction in that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to hypothetical language is the basis of human thought. Buddhists pursue liberation by removing affliction, while cognitive linguistics explores language as the essence of human thought. As a result, Buddhism and cognitive linguistics have their ways. In other words, the Madhyamaka defines thes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characteristic of affliction, and pays attention to the negativity of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However, cognitive linguistics accepts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as part of the personality of the human species, treating them as the “differentiation” of the signification and studies the specific aspects of the neural function obtained an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soci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making.

      • KCI우수등재

        『땃뜨바쌍그라하』 1213-1217에서 분별(kalpanā)의 의미

        조은별(Cho, Eunbyeol)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61 No.-

        디그나가(Dignāga, ca. 480-540) 이후 불교도들은 지각(現量, pratyakṣa)을 정의할 때, ‘분별을 배제한 것’(kalpanāpoḍha)이라는 견해를 기본적으로 유지한다. 이후 다르마끼르띠(Dharmakīrti, ca. 600-660)는 지각이 분별을 배제한 것일 뿐만 아니라 ‘착오가 아닌 것’(abhrānta)이라고 덧붙이며, 또한 분별에 대해서는 ‘언어표현을 가진 인식’이라고 설명한다. 지각과 분별에 대한 다르마끼르띠의 부가적 정의는 이후 다양한 해석학적 논의를 발생시킨다. 샨따락쉬따(Śāntarakṣita, ca. 725-788)의 『땃뜨바쌍그라하』(Tattvasaṃgraha)와 그에 대한 까말라쉴라(Kamalaśīla, ca. 740-795)의 주석에서는 ‘언어표현을 가진 인식’이라는 정의를 해명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들은 문법학자 바르뜨르하리(Bhartṛhari, ca. 450-510)의 『바꺄빠디야』(Vākyapadīya)에 나타난 견해를 차용하여, 언어표현을 직접적으로 동반하지 않더라도 분별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음 세 가지 근거를 통해 확립한다. (1) 말을 배우지 않은 아기들도 분별을 통한 활동방식(itikartavyatā)에 익숙하다. (2) 생각하고 상상하는 등의 분별은 언어에 의해 꿰뚫린 것처럼 그 필연적인 관계가 부정될 수 없다. (3) 분별에 의해서 언어와 지시대상이 고정적 관계를 맺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언어사용(vyavahāra)이 발생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언어표현이 실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영역까지 분별의 외연을 더욱 폭넓게 설정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언어와 지시대상의 관계가 착오(bhrānta)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이러한 접근은 디그나가가 불교 인식논리학을 체계화한 이후로 발생한 불교 안팎의 쟁점들을 수렴하여 통합적인 이론적 틀을 제시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The perception (pratyakṣa)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means of valid cognition (pramāṇa) but its definition (lakṣaṇa) varies across Indian intellectual traditions. After Dignāga (ca. 480-540), Buddhists basically accepted the definition of perception that it is free from conceptualization (kalpanāpoḍha; Pramāṇasamuccaya 1.3c). Dharmakīrti (ca. 600-660) follows Dignāga s definition in his Pramāṇavārttika 3; however, in the Nyāyabindu 1.4-5 and the Pramāṇaviniścaya 1.4a-c, he states perception is not only free from conceptualization but also non-erroneous (abhrānta). In addition, Dharmakīrti defines conceptualization (kalpanā) as cognition with verbal expression (abhilāpinī pratītiḥ). The Tattvasaṃgraha (TS) of Śāntarakṣita (ca. 725-788) and its commentary, the Tattvasaṃgrahapañjikā (TSP) of Kamalaśīla (ca. 740-795) made significant efforts to explain Dharmakīrti s definition of conceptualization. In particular, they explained that conceptualization functions even in cognition without verbal contents by borrowing the views expressed Vākyapadīya chapter 1 Brahmakāṇḍa of Bhartṛhari (ca. 450-510). In TS 1214-1217, Śāntarakṣita establishes that conceptualization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verbal expression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1) Even an infant who has not learned to speak is accustomed to the behavior pattern (itikartavyatā). (2) The linguistic nature of conceptual activities such as thinking and imagining cannot be denied. (3) The use of language (vyavahāra) in which word and its referent seems to have a fixed relationship is caused by conceptualization. In this manner, Śāntarakṣita extended the scope of conceptualization. According to him, conceptualization is not just cognition with verbal expression, but it encompasses speechless cognition since conceptualization occurs as if having verbal expression (sābhilāpeva; TS 1214).

      • KCI등재후보

        용서의 기제를 유식학의 관점으로 해석하기

        이지중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3

        Human recognition is revealed through language. Human recognition is needed to associate with the affective components, emotions, which are expressed when it is combined with language If one could find enlightenment when complicated emotional problems like sorrow and resentment are revealed through language named e-an-bun-bul (의언분별) only, one wonders if they could have the eyes to be free from the bondage of such feelings and to handle them. There is one clue that may solve some complicated emotional problems that can shroud one in resentment. This is the awareness that the chain of emotions is not in the object, but in emotions not based on reality. This awareness makes it possible to overcome the feelings of pain caused by anger, along with forgiveness of the self, the opponent, and the situation that drive one to resentment as well. As a concrete method for this, this study presents a dialogue with the inner voice. It is a method to lead people to have an eye that can separate thoughts from feelings. The process leads to the enlightenment that language is not the object to which it refers. Based on this enlightenment, people could turn their minds from anger into human and heavenly minds. Futhermore, they could create the opportunity to evoke the heart of forgiveness.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method can lead minds to self-transcendence of awakening from the prison of manas. 인간의 인식은 언어를 통해 드러난다. 인식엔 반드시 정의적인 것이 수반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의 감정도 언어와 결합될 때 구체화된다. 유식학은 이를 의언분별(意言分別)로 드러난 것이라고 해석한다. 우리의 감정이라는 것은 연기에 의해 현상된 것이자 의언분별(意言分別)로 드러난 것일 뿐이라고 보는 것이다. 의언분별이란 인간의 인식은 언어를 바탕으로 삼아 비로소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세계의 의미는 내가 해석하는 대로 언어로 분별되어 드러난다는 것이다. 우리의 인식이 언어를 ‘인식의 바탕’으로 삼는다는 것은, 언어가 우리의 인식을 가능케 하는 장소이자 인식주관이며 인식작용이라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은 언어가 열어주는 물길에 따라 세계를 지각하고 사유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감정을 비롯한 인간의 인식이라는 것이 단지 언어를 통해 구체화되는 것일 뿐이라면, 우리는 감정과 생각을 분리할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언어는 그것이 가리키는 그 대상 그 자체가 아니라는 깨달음에서 비롯될 수 있다. 이것은 감정의 고리는 그 대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실체가 없는 나의 감정 그 자체에 있다는 것에 대한 자각이기도 하다. 우리는 이러한 깨달음을 통해 스스로 그러한 감정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나 스스로를 옭아매고 있는 감정의 고리를 풀고 자신과 타인 그리고 분노를 일으킨 그 상황을 용서할 수는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다. 나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목소리와의 대화’라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은 우리가 자신의 목소리와의 대화를 통해 생각과 감정을 분리할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끌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언어는 그것이 가리키는 그 대상 그 자체가 아니라는 깨달음에 기초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우리의 마음을 분노에서 인간과 천상의 마음으로 바꾸어 나감으로써 용서의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우리의 마음을 말나식의 감옥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자기초월의 깨달음으로 이끌 수 있는 방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돈점 논쟁의 독법 구성

        박태원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의 돈오돈수 주장 이래 전개된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은, 내용상 상호 연관되어 있는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분별 알음알이인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 가?’가 다른 하나이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돈점 논쟁에 내재한 혼란을 해소하고 돈점 논쟁을 새롭게 읽기 위한 독법의 구성이 요청된다. 필자는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조건으로서 ‘언어와 분별의 관계’ ‘분별의 통로’ ‘분별 극복의 방식’을 주목하였다. 선종 선문을 비롯한 모든 불교전통의 관심은 결국 ‘분별로부터의 해방’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 돈점 논쟁의 주역인 선종 선문이 주창하는 돈오 견성의 관건도 결국에는 ‘분별’ 여부에 있고 성철의 지눌 비판 논거인 ‘지해(知解)/해애(解碍)’도 분별을 특징으로 하는 앎/이해라는 점, 그리고 분별과 지해는 결국 언어를 떠나 논할 수 없는 ‘언어의 문제’라는 점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구체적으로는 ‘언어와 분별문법의 형성’ ‘분별의 두 가지 통로 - 이해/관점에 의한 분별과 마음에 의한 분별’ ‘분별 극복의 두 가지 방식과 언어 - 혜학적 방식과 정학적 방식’의 문제를 불교적 사유로 다루어 보았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독법으로 돈점 논쟁을 읽으면, 지눌의 돈오가 혜학과 정학의 두 가지 맥락에서 펼쳐진다는 것, 그의 돈오는 두 지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별하여 접근해야 한다는 관점을 수립할 수 있는 동시에, 돈점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아울러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검토/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 view of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the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I set forth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dividing grammar’ ‘the two way of dividing - dividing by understanding/view and dividing by mind’ ‘the two overcoming methods of dividing and language - the method of wisdom practice(慧學) and the method of concentration practice(定學)’ upon the Buddhist philosophy. This new way of reading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open a new way which can re-investigate and re-appreciate Chi-nul(知訥)’s Seon(禪) philosophy, hi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and Sung-chul(性徹)’s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頓悟頓修), the meaning of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the meaning of Gan-wha-seon(看話禪), and the practice theory of Buddhism.

      • 초기유식의 언어관

        이지중 ( Ji Joong L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9 No.2

        초기유식의 관점에서 보면, 언어는 인간의 세계이해를 가능케 하는 바탕이 된다. 유식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세계가 인식될 수 있는 것은 11식으로서의 의타성이 언어를 소통통로로 삼아 앎의 경계로 현상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초기유식에서 인간의 앎은 언어가 그 바탕이 됨으로써 가능한 것인데, 유식학은 이를 훈습의 기제로 해명한다. 인간의 앎은 훈습에 의한 순환론적인 앎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곧 우리의 세계이해란 언어를 경계로 삼아 현상된 허망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나의 의식에 경계로 드러난 세계는 훈습에 의해 아리야식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그것들의 씨앗이 언어를 빌어 현상된 것이고, 그런 까닭에 언어와 그 언어를 빌어 현상된 세계는 서로 소통성이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단순히 우리의 앎이 아무 의미도 없는 헛된 것임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오히려 우리의 앎과 언어의 관계성에 관한 적확한 해석의 필요성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의 본질과 앎의 관계에 관한 적확한 해석은, 우리 스스로 희론적 분별의 닫힌 세계로부터 열린 세계로의 초월을 말하는 것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곧 무분별지로서 주체가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그렇게 생각하는 지혜이자, 동시에 타인의 존재와 자연계의 사물 모두를 새로이 있는 그대로 깨닫는 것일 수 있다. 그렇다면 초기유식에서 언어와 앎의 불소통성에 대한 적확한 이해야 말로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한 가지 화두라 할 수 있다. In the early Vijnaptimatrata(No-mind), language is foundation that human understand their life-world by use of. Concerning the reason why human can understand their the life-world, even though it is vijnaptimatrata(No-mind), vijnaanavaadin(唯識學) explains that e-ta-sung(依他性, the nature of causal dependence) as 11 vijnapti phenomenalize into consciousness by the help of language. It means that not only human can be influenced by the power of language itself bu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beings that exist based on language.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human knowledges are of no use, which tells we shoul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beings in our life-world. It can be a positive clue that we would transcend from the closed world into the opened one of wisdom. It is the wisdom we see ourself and understand the other humans and beings itself as well. The understanding the name and form(意言分別) of our knowledge is a very important assignment we should carry out.

      • KCI등재

        순자(荀子) 언어관의 교육학적 함의: ‘정명(正名)’과 ‘논변[辨]’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유정 ( Lee Yuje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순자 언어관에 보이는 교육학적 함의를 구명하고자 한다. 순자는 동시대 백가(百家)의 명변론(名辯論)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면서 논리적 언어관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여타 유가들과 구분된다. 동시에 그는 훌륭한 논변의 기준으로 선대의 법도를 제시함으로써 유가 전통도 계승하였다. 그의 언어관은 정명(正名)과 논변[辨]에 대한 논의에서 잘 드러난다. 먼저 순자는 정명(正名)을 통해 언어 규정에 전제된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논구함으로써 유가 사상가들과 차별화된다. 그는 정명의 필요성을 논구하는 가운데 언어의 자의성과 약정성을 인정하면서도, 언어 규정을 통치자의 일로 제한한다. 언어 규정은 교육에서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지만 교육의 통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정명은 인간의 천부적이고 보편적인 감각 능력과 인식 능력을 전제하는데, 이를 통해 모든 인간이 지닌 내면적 학습 역량과 보편적 교육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정명의 원리는 언어가 인간의 내적 역량, 특히 분별 능력에 깊이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순자는 언어의 적극적 사용을 긍정하는데, 이러한 태도는 논변[辨]에 대한 논의에 드러난다. 순자는 삼혹(三惑) 비판을 통해 논리적 형식의 정합성을 강조하며, 언어 사용이 인지적 분별에 기여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그는 비십이자(非十二子) 편에서 합당한 논변 내용의 기준으로 선대의 뛰어난 문화업적을 제시한다. 교육의 주된 도구인 언어는 논리 정합성을 갖출 뿐 아니라, 현실적 문제를 탐구해야 하며, 특히 기존의 뛰어난 문화를 포함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Xunzi’s (荀子) view on language. Xunzi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onfucian philosophers in that he built a logical view of language while sharing discussions on the names and disputation (名辯) of contemporary Hundred Schools (百家). In addition, he inherited the Confucian tradition by presenting the previous custom and culture as a standard for proper disputation. His view on language is evident in the explanations of “Correct Naming” (正名) and “Disputation” (辨). Xunzi systematically discussed the problems premised on establishing language through “Correct Naming”. When discussing the necessity of “Correct Naming”, Xunzi acknowledges the arbitrariness and conventionality of language but limits the establishment of language to the ruler’s work. The establishment of language can prevent confusion in education but also lead to control over it. “Correct Naming” presupposes a natural and universal sensory cap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of all human beings, which proves an inner learning ability and educability. The principle of “Correct Naming” is that language can be deeply involved in human inner competencies, especially discernment. On the other hand, Xunzi supports the active use of language, and this attitude is evident in the description of “Disputation”. Through his criticism of “Three Confusion” (三惑), Xunzi emphasizes the coherence of logical forms and that the use of language should contribute to cognitive discernment. Further, in “Against the Twelve Masters” (非十二子), he suggests the sage king (聖王) and li (禮) as the standards of proper language. This reflects his educational thoughts that the superior cultural achievements of his predecessors should be the contents of education. Language, which is the main tool of education, should not only be logically coherent but also be about real-world affairs and, in particular, include the superior culture of its predecessors.

      • KCI등재

        마음치료에 대한 불교철학적 접근: 초기 유식학의 관점에서

        이지중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3

        이 글은 불교철학의 유식학을 어떻게 마음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시론적 고찰이다. 이를 위해 본 논고에서는 유식학의 언어에 대한 기본적 논리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우리가 자신의 의언분별성을 깨닫고 이를 실천한다는 것은 마음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의언분별성에 대한 깨달음은 우리로 하여금 선의 종자식으로 자신의 마음을 훈습할 수 있는 태도를 견지할 수 있게 하는 지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혜로써 우리는 천상과 인간 그리고 열반의 세계로 윤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못할 경우 우리는 그 언어적 분별세계에 갇혀 아수라와 축생 그리고 지옥을 윤회하는 고통의 바다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추구하지 않으면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온전하고 자유로운 삶이다. 이것은 곧 무분별을 바탕으로 삼아 분별하는 ‘무분별의 분별’에 터하는 세계를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목소리와의 대화를 통한 초월로써 이루어지는 세계라 할 수 있다. 이로써 늘 지옥이나 짐승 또는 아수라의 질곡 속에서 사는 내담자를 인간과 천상의 세계 그리고 열반 내지는 빅마인드의 세계로 안내하는 것이 마음치료이자 인문치료의 역할이라고 하겠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he early Vijñaptimatratāvāda(Yogācāra Buddhism) can be utilized for mind therapy. This study delves into the fundamental logic of language of the early Vijñaptimatratāvāda(Yogācāra Buddhis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alizing and practicing eui-eon-bun-byul-seong(意言分別性) in daily life is very important for mind treatment. Because the enlightenment of eui-eon-bun-byul-seong(意言分別性) is wisdom that enables one to perfume(divāsanā) the mind with seeds of good consciousness. With the help of this wisdom, humans can transmigrate into the worlds of heaven, man, and nirvana. Otherwise they can be trapped in the linguistic world of discernment and indulge in the sea of ​​suffering that revolves around asura, the livestock, and hell. Ultimately, what we pursue without seeking is of a life of integrity and freedom. This means a discernment world based on "in-discernmental discernment" and a world made by transcendence through dialogues resulting from various minds. In this transcendental way, we could guide the clients who always live in hell, beast, or asura into the world of human beings, heavenly world, and nirvana or big mind, which I insist is the key role of mind and humanities therapy.

      • KCI등재

        불교철학의 초논리성에 관한 교육적 독법

        이지중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7 No.-

        본 논고는 불교철학의 초논리성에 관한 교육적 독법의 필요성 및 그 실마리를 유식학의 언어적 관점을 중심으로 삼아 탐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선문답이나 ‘色卽是空 空卽是色’ 등의 논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러한 초논리성은, 오늘의 교육이 기본적인 바탕으로 삼고 있는 논리적 영역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에 관한 적확한 이해는 이원적 희론에서 벗어나 우리의 사람됨을 새로이 변화시킬 수 있는 자기 교육적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매우 주목할 탐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논의 결과 이것의 독법의 실마리는 먼저 초논리적 세계의 영역을 논리적 맥락에서 풀어내려는 태도에서 벗어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세계는 언어를 소통통로로 삼아 이루어지는 의언분별(意言分別)적인 것일 뿐이며, 또한 언어와 대상사물은 상호 불투명성의 관계를 갖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간의 앎은 무한성의 무가 언어를 매체로 삼아 유한성의 유로 드러난 것으로서, 곧 초논리적[無] 세계가 언어를 매체로 삼아 사물의 대상성[色]으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리적 세계와 초논리적 세계와의 소통 통로인 언어의 본질을 적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그 세계를 읽어낼 수 있는 단초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불교철학의 초논리성은 여전히 근대주의적 세계관에 기초를 두고 있는 오늘의 교육적 지평의 확장에 의미 있는 시사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reading methods for trans-logicality of Buddhist philosophy in Consciousness- only in language conceptions. In the trans-logicality of Buddhist philosophy found in zen's questioning & answering and the buddhist logic of saek-jeok-see-kong kong-jeok-see-saek[色卽是空 空卽是色] could be a foundational ground of today's educational theory and an opportunity for transforming learner's personality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trans-logicality, we can assert that the Buddhist trans-logicality has lots of importance that we should notice in the educational fiel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discussion, we can argue that the possibilities of reading methods for trans-logicality of the Buddhist philosoph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y is to understand that our knowing is a phenomenon of limited beings which happens from unlimited nothingness. And we have to get out of ourselves from the attitude of making clear the trans-logicality of Buddhist philosophy in logical thinking. Then, the possibilit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al world and the translogical world which are connected and meditated through language to each other as well as being affirmative and un-affirmative/negative at the same time to each other. Finally, the possibilit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our thinking that is uei-un-bun-bul-seung[意言分別性] as well as the obscureness between object and language.

      • KCI등재후보

        언어가 나의 세계를 구성한다는 것에 대하여 - 초기 유식학의 관점에서

        이지중 ( Ji-joong Yi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21 철학 실천과 상담 Vol.11 No.-

        It is self-evident that humans cannot think without language. This cannot be den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early vijñaptimātratā, human consciousness and language have an equal root position. These two can only gain vitality by using each other as causality. This is also the reason that humans can recognize their world even though No-Mind. Then we can say tha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 However, language does not contain the object of recognition as its own substance. The reason why vijňapti[識] can exist as nothing is because language is the home and form of phenomenon of them, and then language can also exist by using vijňapti[識] as the causality, language cannot be a substance. If so, we should say that language and the world revealed by the language is irrelevant each other. Humans can think in language, but the world have appeared by language is not real. This is explained by early vijñapt imātratā as eui-eon-bun-byul(의언분별) with enlightenment. Wisdom is another word for enlightenment, the real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e being can be an eye for a new interpretation of my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