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관련 학술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장영은,성미영,장문수,김성석,임아름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3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known to have difficulty in language development such as lower level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ability because their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years is influenced by non-Korean parents. Therefore, more research interest on language development and educ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Korean ability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interest in languag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academia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systematic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We conducted a word cloud analysis focusing on research types, topics, and research methods based on 113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0 to 2018. As a result, first, the number of studies in the period showed an increase and decrease over time but an slight overall decrease. Second, most of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re is a lack of language development studies for toddlers who are experiencing rapid developmental periods. Third, research on multicultural preschoolers was mainly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on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for further research on multicultural preschool language developme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ademic research trends, it was confirmed that policy research related to language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lagged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olicy research focusing on language education and programs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helped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literatures in language development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vided the future direction in research in Korean education for the children.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닌 부모의 영향을 받아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음운인식능력이 낮고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능력이 낮은 등의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 교육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라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학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대한 관심을 이와 관련한 연구결과가 체계적으로 축적되고 있는지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를 주제로 한 113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연구유형, 그리고 연구방법을 축으로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해당기간 연구의 편수는 증감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대다수의 연구가 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급격한 발달시기를 경험하는 영아기에 대한 언어발달 연구는 부족하여 영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 유아 관련 연구가 양적연구 위주로 실시되었는데, 다문화 유아 언어발달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해서는 질적 연구를 더 수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술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와 관련된 정책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교육과 각종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는 정책연구의 확대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의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언어발달 현황을 파악하고 언어발달 지원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언어강사의 문화지능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장인실,박영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fundamental dat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empowerment of bilingual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interrelationship concerni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ultural intelligence as individual capabilities that are required for adaptation as well as other cultural surroundings. For this study, we measured the level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ultural intelligence of 108 bilingual teachers in the area of Gyeonggido and Inchon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level of cultural intelligence of bilingual teachers was 4.85 whereas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3.66. Both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The cultural intelligence of bilingual teachers i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training and education career.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bilingual teachers only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when looking at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training. Moreover,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cultural intelligence. As a result of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nd the sheffe post-tes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ow, medium, and high rank. Using these results, we have discussed the matter for bilingual teachers to refer to their cultural intelligence in order to empower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ho have a responsibility to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다문화언어강사들을 대상으로 타문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개인의 능력을 나타내는 문화지능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기․인천지역 108명의 다문화언어강사의 문화지능과 다문화 교수효능감 수준을 측정하였고, 배경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언어강사의 문화지능은 평균 4.85,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평균 3.66으로 모두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언어강사의 문화지능은 최종학력, 이중언어강사 경력, 다문화 연수 경험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경우 다문화 연수 경험에 따라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문화 지능 수준에 따라 다문화 교수효능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Sheffe 사후검증 결과 문화지능 ‘상’집단과 ‘중, 하’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다문화언어강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해 문화지능이 참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모경환,이재분,홍종명,임정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linguistic minor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of diverse students,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such as Germany,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current KSL and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this article suggests improvement plans for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First of all,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diverse familie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bilingual literacy, educational equality, and global citizenship required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is globalized world. Standard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 models and share exemplary practices. All students in need of KSL and bilingual education have the right to be taught by high-quality teacher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tudents whose first languages are not Korean introduces more accountability for teachers,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언어는 사회 및 집단의 주요한 문화유산이자 소통의 도구이며 소속 구성원 간 이해와 연대의식, 소속감과 애착을 형성하는 토대이다. 따라서 공존과 통합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상한 다문화 시대에,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은 매우 중요한 정책 아젠다가 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언어교육 정책은 사회의 공식 언어를 교육하는 것과 학습자의 제1언어를 유지,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승어 교육 혹은 이중언어교육으로 구분된다. 공식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도모하는 동시에 제1언어의 습득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개인이 지닌 교육적 자산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6년 다문화 교육이 정책 아젠다로 등장한 이후,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시적인 변화와 성과를 달성해 왔다. 이제는 그간 축적해 온 교육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정책의 전문화 및 세분화를 모색할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바람직한 다문화 언어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차원의 목표와 원리, 접근 방식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발달 원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일본․독일․캐나다․미국 등, 주요 국가의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KSL)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여, 정책 측면, 프로그램 측면, 운영 측면에서의 약점과 강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 목표,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체제, 교강사 운영, 학교-가정-사회의 지원 체제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 연구

        오소정,김영태,김영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9 특수교육 Vol.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적절한 언어평가의 프로토콜과 적절한 치료접근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서울·경기지역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특성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자료수집과 분석의 틀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언어발달 평가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검사 결과를 기술적,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가정환경 변인과 언어능력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취학 전 만1세 3개월에서 6세까지의 다문화가정 아동 47명(남 35명, 여 12명)과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아동들은 (1) 다문화가정의 자녀로, (2) 모두 서울글로벌센터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 언어발달 검사에 참여하였다. (3) 어머니의 출신국은 총 10개국으로 참여 아동수를 기준으로 베트남(28%), 중국(21%), 필리핀(17%), 일본(11%), 몽골(11%)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과: 전반적인 검사결과를 볼 때 다문화가정 아동은 표준화된 언어검사에서 일반 한국아동들과 마찬가지로 연령 증가에 따라 향상된 수준의 언어수행을 보였다. 3-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PRES 검사의 경우, 검사 참여아동의 20% 정도가 전반적인 언어이해나 표현에서 언어발달 지체 또는 장애를 보였다. SELSI 검사의 판단 기준으로 볼 때 언어발달 지체(정밀검사 의뢰) 판정을 받은 아동이 70%로 검사에 참여한 아동 상당수가 언어발달 지체로 평가되었다. 아동의 언어검사 결과와 가정내 관련변인간 상관 관계 분석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 가정 내 변인은 어머니 연령과 거주년수, 어머니의 한국어 능숙도였다. 논의 및 결론: 상당수의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 한국아동 대상 표준화 검사에서 언어발달지체를 보이긴 하지만 검사절차와 문화적 차이 및 SES 등의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언어지체 여부의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아동의 언어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어머니의 출신국, 한국어 능숙도, 한국거주기간, 그리고 연령 등의 변인들을 고려한 검사결과의 해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anguag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Seoul and Kyung-Ki area and a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related family factors. Participants were (1) 47 children aged from 1 to 6 years (36 boys and 12 girls), (2) from multicultural family by international marriage, (3) participants of Speech-Language assess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hildren in Seoul Global Center. The results of standardized language tests were compared with norms of the standardized tests and analyzed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family factors such as mother's ag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or language policy in family.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for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improving language performance in function of their age in standardized language tests. Twenty Percentage of participants in PRES and 70% of participants in SELSI were diagnosed to "language delay". The language ability of thes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ther's ag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The various possible factors contributing this language developmental pattern were discussed with caution.

      • 다문화 한국 사회를 위한 이중 언어 교육

        이창덕(Lee, Chang Deok)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글에서는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문제, 특히 이중 언어 교육 문제를 살펴보고,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한 이중 언어 교육 방향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 소통 환경의 변화와 이중 언어 교육의 개념과 역사, 목적과 방법 등을 다루고, 한국 다문화 가정의 이중 언어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전통적으로 단일 민족과 문화를 자랑하고 지향하던 한국사회가 21세기 들어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면서 앞으로는 더 이상 단일 민족으로서 국어 교육만을 고집하기 어렵게 되었다. 현재 교육환경에서 소수자로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이중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것은 다문화 가정 자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구성원 전체를 위한 사회 통합과 국제 경쟁력을 위해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이중 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중 언어 교육은 언어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 가치관 등 다양한 교육내용이 함께 다루어지 는 총체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고 교사 연수와 학부모 연수가 필요함을 논하고, 자격을 갖춘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다문화 교육 교사로 양성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가올 다문화 사회의 여러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 각 부처와 다양한 학문 영역에 속하는 사람들이 다문화 교육을 위해 협의하고, 구체적 다문화 교육 실행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먼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한 국가들이 걸어간 이중 언어 교육, 다문화 교육의 실행 과정과 성과를 점검하면서 미래 한국사회가 바람직한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이 상생의 시너지를 내는 사회를 형성하도록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 monolingual, mono-cultural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a few recent surveys,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out every school level for all the members of the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min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contention, I have explained the concept, history, purpose, and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And I have suggested the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irst, it must be started on the basis of the request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econdly, the contents of bilingual education for minor students should be expand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 comprehensive area needed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 as same as the major students. Thirdly, for the effect positive results, all the other students except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uld be taken to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It would be helpful to integrate the various people in the mut-icultural future society of Korea. Finally, I have suggested to have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study and take training for the multilingual education programme. For fre hopeful progress into rrulti-culttrral society integrated with every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authorities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to thrive every effcrts to set up nation-wide plan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 otrer multi-cultural societies.

      • KCI등재

        이중언어사회화가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남아출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아버지의 자녀를 중심으로-

        송채수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8 No.-

        The bilingual socializ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s defined as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encourage their children to speak the mother tong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1) the relationship among bilingual socializatio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ir paren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2) how bilingual socialization or bilingual education affects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Using government’s panel survey data, the data of 436 multicultural children, aged from 9 to 17, born to SE Asian immigrant women was analyzed. And the scientific control has conducted to find changes in the self-esteem after 6 month bilingual education for 30 multicultural children whose mothers are Vietnamese or Cambodian immigrant women. Results are as follows. Bilingual socialization affec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as well as higher parental satisfaction. A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also found. The experimental group of bilingual education showed higher self-esteem of multicultural children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ther tongu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is not simp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n important mediator of cultural identity and family cohe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ocus on teaching the mother tong and supporting parent-led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한국인 아버지 등 가족이 협력해 외국 출신 어머니 모국어를 자녀에게 전수하고 사용하도록 격려·권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이중언어사회화, 자녀의 자존감, 부모자녀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역동을 밝히며, 2)이중언어교육 참여로 자존감의 변화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성가족부의 전국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 전국의 동남아출신 어머니 다문화가족중 만 9〜17세 자녀 43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기 성남시 거주 다문화자녀중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 어머니의 만 6〜14세 자녀 3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을 6개월간 실시, 교육받은 집단(실험군)과 받지 않은 집단(대조군)간 자존감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자녀의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를 매개로 자녀의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와 자존감 사이에 매개효과를 보여 부모가 주도하는 이중언어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넷째, 6개월간 교육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국어는 단순한 소통수단이 아니며, 문화정체성과 가족응집력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따라서 주류언어 중심의 이중언어교육정책을 어머니 모국어 중심으로 전환하고, 다문화가정내에서 부모 주도의 이중언어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와 의사소통: 언어병리학의 지평에 서서

        김화수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 No.2

        언어는 문화 가운데서 생각하고 말하고 이해하며 타인과 관계하며 존재하기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언어치료사, 의사소통전문가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사회에 접근하도록 하며 이러한 욕구들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이들은 언어에 문제가 있는 사람과 마주칠 때 개인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진심어린 존중을 바탕으로 하여 접근을 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먼저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에 접근하기 위해 언어장애와 언어차이의 차이점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는 의뢰인의 연령이나 발달단계에서 기대되는 언어기술에서의 불일치이다. 반면에 언어차이(language difference)는 주류문화의 표준적인 사용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규칙에 지배되는 언어방식이다. 특히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대해서는 상호관계 내에서 전생애적으로 발달하는 언어의 변화에 주목해야하며. 발달의 경로를 따라 시시각각 언어발달과 언어환경의 상호관계 안에서 언어평가 결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한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대한 여러 연구의 고찰을 통해 영유아기로부터 시작된 특수한 언어환경이 초기 언어발달 및 인지언어,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불러일으키고, 결국에는 여기에서 파생된 문제는 학령기, 더 나아가 그 이후 까지 지속되는 문제들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우리나라 다문화언어발달정책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우선 전향적 다문화 가정 정책관점 확산 및 국민의식변화에 따른 의사소통중재의 기회를 넓혀야 할 것 이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도구 개발이 시급함을 논의하였으며 언어 자극 형태, 자료 수집을 위한 재료와 환경선택 등 더 많은 준비가 평가와 중재단계 에서 필요할 것이고, 가족의사소통, 가족언어중재를 통해 자연스러운 활동 안에서 발달을 촉진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Language is essential for a human being to exist in a culture. We communicate via it by thinking, speaking, understanding others, and concerning them. The speech therapist and communication specialist are persons who help people with language problems to access to a society they belong and to balance their needs through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a sincere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clients’ own cultures. This paper discusses firstly the concept of language disorder and language difference to delineate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anguage disorder means a significant discrepancy in language skills relative to a client’s age or expected developmental level. Language difference means a style deviates from the standard usage of the mainstream culture(Paul, 2007). To explain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contexts through their whole lives. The next, we discuss the effect of specific language environments on their early language development as well as cognitive language causing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and leading them subsequent problems through their school-ages and on. Finally, I propose the sp ead of prospectiv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and the opportunity of mediat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national change of peoples’ consciousness to settle the language developmental problem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ese, it is urgent to develop the language battery with a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ontexts and materials for gathering data, the form of language stimulus, and so on to assess their language and give interventions. Also, it is desirable to prompt their language development in a family-centered communi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능동구조의 언어문화와 수동구조의 언어문화 : 비교언어문화학에서 본 한국어와 일본어

        安增煥(An Jeong-whan) 한국일본문화학회 2001 日本文化學報 Vol.10 No.-

        본고는 마키노 세이이치(牧野成一、 1996)의 언어문화학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의 구조적 특징을 비교하고 있다. 언어문화학이라는 학문은 언어가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에서 출발한 언어와 문화의 관계학이다. 즉 문화적특징을 통해 언어현상을 해석하려는 것인데, 필자 역시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적인 차이점 중 중요한 것 몇 개는 한국문화와 일본문화의 차이로부터 규명될 수 있다는 확신에서 본고를 시작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거의 모든 통사범주에서 유사하나, 수동범주에서만은 놀랄 정도로 커다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 착목해서 필자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각각 능동구조의 언어와 수동구조의 언어로 유형화시켰고, 이렇게 언어유형이 다른 배경을 한국과 일본이 각각 구상의 문화와 추상의 문화라는 상반된 문화구조를 갖고 있다는 데에서 찾았다, 한편, 능동구조의 언어와 수동구조의 언어라는 언어유형에서는 두 언어의 상이한 구조적 차이를 규명하는 데에 유효한 하위의 언어 유형 몇 개가 파생되고 있음을 본고는 명백히 했다. 즉 한국어와 일본어를 각각 시점이 고정적인 언어와 유동적인 언어, 통사중심의 언어와 명사중심의 언어, 결과 중심의 언어와 과정중심의 언어로 하는 대립된 언어유형이 그것이다. 이러한 언어유형은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두 언어의 구조적인 차이를 설명하는 데에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compar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in view of linguistic culturology by Makinoseiich (1996), Linguistic culturology is the study of a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which originates form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language is influenced by culture. That is. through cultural characteristics language phenomena are to be explicated. I have started this study with a conviction that some important things of structural differences which exis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an be clarified from differences between Korean the two countries' culture. Korean and Japanese are similar in almost all syntactic categories, but show remarkably big differences in a passive category. Noticing this, I have embodied Korean and Japanese in their respective language of active structure and that passive structure, and find out that this different background of types of language is attributed to the opposite cultural structure in which Korea has concrete culture and Japan has abstract culture. Meantime I make it clear that some effective sub-types of language are derived in this study in clarifying dissimilar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in types of language of passive structural language and active structural language. That is, the two languages are contrary types of language in that in a point of time Korean is fixed and Japanese is fluid, Korean is verb-centric and Japanese is noun-centric, and Korean is result-centric and Japanese is process-centric. These types of language are very meaningful to explain structural differences of the two languages in an organic relation.

      • 문화와 언어 차이에 따른 의사소통의 문제점

        이점숙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언어란 그 사회의 주요가치관 및 사고방식에 의해서 일정한 조직체로 형성된 것이다. 영어의 경우를 보면 영어의 언어구조에 의하여 영미인의 사고방식과 생활양식 및 습관 등을 표현하고 이해 할 수 있다. 한편 한국어의 경우에도 한국인의 생활방식과 양식, 그리고 습관 등을 표현하고 또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언어와 문화의 관계, 대화예절, 몸짓언어, 잘못 쓰이고 있는 영어, 격언, 사고방식과 영어표현의 차이를 언어와 문화인식의 측면에서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보았다. 1980년대 이후로 많은 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화에 대한 인식도와 언어구사의 결과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효과적인 영어교육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영어의 언어적 요소뿐만 아니라 문화배경지식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병행되어서 행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 조사한 설문들은 문화와 어휘인식의 측면에서 학생들이 영어를 배운 기간을 감안한다면 알아야 할 것들인데 모르고 있었고, 더구나 연수다녀온 학생들도 인식도가 저조했다. 언어와 문화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과 실질적인 실천이 영어교육현장에서 병행되지 못했고 또한 등한시되었음을 반성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언어와 문화 인식에서 오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1. 언어와 문화교육에 대한 일관된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단순한 언어암기 위주의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이나 국가의 문화적인 배경을 우리나라의 것과 비교분석 함으로써 근원적인 한·미간의 주요가치관과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폭넓게 인식한다. 2. 언어와 문화교육에 대한 방법론이 제시되어 보편적 인식이 되어야 한다. 3. 언어와 문화에 대한 다양한 Program, 즉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지도방법의 개발이 선결 과제이다. 역할극, 문화동화법, Projected Media, Culture Island, 펜팔과 테잎교환, 교환학생제도 등을 활용한다. 4. 언어와 문화에 대한 CD-ROM을 활용한 교수법을 개발한다. 5. 언어와 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연수를 강화하여 교사가 충분한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객관적 입장에서 문화를 접촉하도록 하여 생생한 문화적 배경을 학생들에게 지도하도록 해야 한다. 6. 언어와 문화에 대한 내용은 초, 중, 고등학교 교과서에 많이 포괄시켜 학습자들에게 반영되도록 해야한다. 교재가 목표어의 문화를 다양하게 담고 있어 주어진 교과서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익숙해지도록 한다. 7.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문화적 자료를 이용하여 영어권 문화에 친숙하도록 한다. 8. 언어와 문화에 대한 시험문제개발과 평가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