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장애 영유아의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 성별, 연령별, 언어지연과 정상 집단 간 문제행동의 차이

        백지현 ( Baek Jee-hyun ),하은혜 ( Ha Eun-hy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정신장애 영유아 중 언어지연의 성별, 연령에 따른 비율과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DSM-Ⅳ를 기준으로 의사소통장애집단/비의사소통장애 집단, 언어발달검사(LDS) 기준으로 언어지연집단/비언어지연집단을 나누어 집단 간 문제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소아정신과 등 세 곳에 의뢰된 만18-35개월 영유아 145명를 대상으로 K-CBCL 1.5-5 유아 행동평가와 언어발달검사(LDS)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 영유아중 언어지연의 비율은 전체의 90.3%였으며 세부적으로는 남아 및 연령이 높은 집단의 언어지연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언어발달검사(LDS)의 어휘력점수는 K-CBCL 1.5-5의 위축, DSM-정서문제, DSM-전반적 발달문제 척도의 T점수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를 성별 집단 별로 살펴보면 여아의 어휘력 수준은 위축, 내재화, DSM 전반적 발달문제 척도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남아의 어휘력 수준은 DSM 정서문제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DSM-Ⅳ를 사용한 임상가의 진단을 따라 나누었을 때. 비 의사소통 장애 집단의 K-CBCL 1.5-5의 주의집중문제의 T점수가 의사소통장애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다. 넷째, 언어발달검사의 어휘력척도를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언어지연 집단의 K-CBCL 1.5-5의 위축, 수면문제, DSM-정서문제, DSM-전반적 발달문제의 T점수는 비언어지연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검사(LDS)와 K-CBCL 1.5-5를 사용하여 임상의 영유아 중 언어지연 비율을 탐색하여 남아의 취약성을 확인하였고,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임상 영유아집단 내에서도 진단과 언어지연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탐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ate of language delay in toddler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and behavior problems and the difference in behavior problems among language disorder/non language disorder and language delayed/language normal groups. The participants, who were referred to psychiatry clinics and rehabilitation centers, comprised 145 toddlers (100 boys, 45 girls). The K-CBCL 1.5-5 and the Korean LDS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90.3% of the clinic-referred toddlers were delayed in language. Additionally, vocabulary scores and withdrawal, DSM-affective problems and DSM-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sca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Considering sex, girls`s vocabulary scor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withdrawal, internal problems, and DSM-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For boys, there were on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SM-affective problems. Further, based on a clinician`s diagnosis, the non-language disorder group`s ADHD scale`s 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anguage disorder group. Finally, based on LDS vocabulary cut-off, language the delayed groups` levels of withdrawal, sleeping problem, DSM-affective problems, DSM-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and 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This stud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 of language delayed toddl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language development and behavior problem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 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안소현,이병인,배성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support needed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each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or who are currently teaching them.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38 concepts, 11 subordinate categories, and 3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creating a constant cycle of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and inappropriate behavior due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Second, participa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by guidi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participants requested support for teacher education, realistic family support, and teachers' awareness improvement on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for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is about the understanding, educational support, and practical direction of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eachers who guide the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guided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in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하는 유아교사의 지도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지도하고 있는 4명의 교사를 개별 심층 면담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38개의 개념, 11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이 의사소통 어려움으로 인해 또래 관계의 어려움과 부적절한 행동이 연쇄적으로 거듭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지도하며 언어발달지연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언어발달을 돕기 위해 교사가 직접적으로 지원하거나 동료교사 또는 전문가와의 협력, 가정과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을 위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현실적인 가족지원, 교사들의 인식개선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의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들과 그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지원 및 실천적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이진경,조윤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 중 또래들에 비해 언어발달이 늦은 유아들이 있는지 물어보고, 이들이 언어발달지연을 보인다고 선별한 유아 30명에 대한 언어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의 선별은 관련 검사 결과 정확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의뢰한 보육교사의 선별기준과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부모의 수용 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현 대처방안과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지역에 있는 보육시설 10개 기관 13명의 보육교사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결손을 보이는 언어특성과 부적응 행동에 따라 언어발달이 지연된다고 의뢰하였고, 둘째,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부모들의 태도는 무관심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서 교사에게 먼저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해 상담하는 등 다양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넷째,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위하여 전문가와 기관의 지원,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자료와 기준의 제시, 낮은 교사 대 아동비율 등의 지원 요구를 제기하였다.

      • 놀이 대상자에 따른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 분석 : 4세 5개월 ~ 6세 아동

        손소라,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8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언어발달에 지연을 보이는 아동들은 다차원적으로 문제를 보인다. 그 중에서 언어의 기능적 부분 즉, 화용의 문 제가 최근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의 중재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언어능 력의 지연으로 인해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서는 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놀이 대상자에 따른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의사소통 상위기능 사용빈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경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생활연령 4세 5개월에서 6세 까지의 아동을 대상 으로 연구하였다. 또래와의 놀이상황에서는 2명씩 짝을 지어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를 측정하였다. 치료사와의 놀이상황에서는 치료사 1명, 아동 1명이 입실하여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를 측정하였다. 놀이시간은 둘 다 20분 정도였다. 놀이상황은 녹화를 하였으며, 녹화영상을 보면서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 래와의 놀이상황에서 의사소통 상위기능 사용빈도 분석 결과, 요구기능(37.38%), 반응기능(29.54%), 주관적 진술기능(42.30%), 대화내용 구성요소기능(24.32%)은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정상발달아동 보다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객관적 언급(53.65%), 대화내용 수신표현기능(20.91%), 발전된 표현기능(1 0.20%)은 언어발달지연 아동에 보다 정상발달 아동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대상 자에 따라 보이는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치료사와의 놀이상황에서 더 많은 의사소통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와 의사소통 상황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좀 더 면밀하게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이와 함께 아동의 발화 샘플을 통해 형태 및 구문 능력을 함께 분석한다면 언어발달지연 아동들이 어떠한 언어의 형태 및 구문으로 자신의 의사를 타인에게 전달하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학령기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배경지식 유무에 따른 추론 능력

        김선경(Sunkyoung, Kim),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배경지식 유무에 따른 상황 추론 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초등 2-3학년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 10명, 생활연령 일치 일반 아동 10명, 언어연령 일치 일반 아동 10명의 총 3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제는 배경지식 제시 조건 10문항, 배경제식 무제시조건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아동들은 배경지식 제시 조건에서 상황설명 2문장과 관련 배경지식 문장 1문장을 들은 후, 상황에 대한 추론을 수행하였고, 배경지식 무제시 조건은 상황설명 문장 후 배경지식 문장 없이 추론을 수행했다. 연구결과: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배경지식 제시 여부와 관련 없이 두 조건 모두에서 생활연령 일치 아동 뿐 아니라 언어연령 일치 아동과도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또한 추론 오류유형은 배경지식 제시 유무에 따라, 집단에 따라 양상이 달랐다.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모든 조건에서 생활연령 일치 아동과 언어연령 일치 아동에게는 보이지 않는 ‘무응답’과 ‘이해실패’ 오류유형이 나타났다. 배경지식 무제시 조건에서는 ‘틀린 추론’ 오류가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배경지식 제시 조건에서는 ‘미숙한 추론’이 압도적이었다. 결론: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 지연아동은 언어연령 일치 일반 아동보다도 미숙한 추론능력이 관찰되었으며, 명시적으로 정보가 제시되었더라도 관련된 정보의 연결을 기반한 추론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류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추론실패에 대한 원인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situational reasoning ability according to background knowledge of school-age children with delayed borderline intelligence language development. Method: 10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delay in the second or thi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10 chronologically age-matched (CA) children and 10 language age-matched (LA) children were part of the study. The task consisted of 10 items for background knowledge conditions and 10 items for no background knowledge conditions. In the background knowledge condition, children were made to listen to two sentences describing situations and one sentenc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performed inference about the situation. In the no background knowledge condition, the children listened to two sentences of the situation description, and performed inference without the background knowledge sentence. Results: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delay show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s compared to both CA and LA children, in both conditions. However, the type of reasoning error varied depending on the group and conditions. In both conditions,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delay displayed “no-response,” and “failure of understanding” errors, which were not visible i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were observed to have less proficiency in inference than LA children. It was further confirme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inference based on related background information even if it was explicitly presented. Additionally, through error analysis, the causes of their reasoning failure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언어 및 문해 발달에 대한 인식조사

        강은희 ( Kang Eun Hee ),이지윤 ( Lee Ji Yu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 연구는 유아기 언어 및 문해 발달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언어 및 문해 발달 이해, 언어 및 문해 발달지연에 대한 인식 수준을 5점 척도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 결과 언어발달에 대한 인식, 문해발달에 대한 인식, 언어 및 문해발달 지연에 대한 인식 수준은 유아교사의 개별변인(연령, 학력, 경력, 장애관련 연수 유무, 언어 및 문해 발달지연 아동 경험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언어 및 문해 발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조기선별과 진단에 중요성, 유아교사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의 언어 및 문해 발달에 대한 인식정도는 관련 교육 경험과 지연아동 경험 등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요구도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취학 전 유아들의 발달지연 여부에 대한 조기 선별과 진단을 통한 체계적인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에게 언어 및 문해 발달 관련 이해와 진단 및 중재를 위한 교육과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discovery of problems and intervention in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The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141 kindergarten teachers, each answer was measured on 5point scale. The level of aware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variables(Age, Education, Career, disability-related training, and experience of children). Also, the questionnaire showed a high score on the necessity for education on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and diagnosis, and necessity for teachers training.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was a lot affected by the experience of related education and the education experience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abilities and as a result, the education is required a lo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systematic education service through early screening and diagnosis on the delay of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it can be said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an education and support in related issues such as language development and literacy development, diagnosis, and intervention.

      • KCI등재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컴퓨터 기반 검사와 종이 기반 검사의 수용 및 표현어휘 수행력 비교

        박지숙(Ji Suk Park),최성희(Seong Hee Choi),이경재(Kyoung jae Lee),최철희(Chul-Hee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한국판 수용 · 표현 어휘력 검사에서 컴퓨터 기반(태블릿 PC) 매체와 종이 기반 매체를 이용하여 매체의 변화가 아동의 언어 수행력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생활 연령이 만 3-7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정도와 통합언어연령에 따라 각각 두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검사를 실시하고 매체를 다르게 하여 무작위 순서로 수용 · 표현 어휘력검사(REVT)를 일주일의 간격을 두고 실시하였다. 원점수, 총 반응시간, 문항별 평균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검사 매체 간 차이를 살펴 보았으며, 언어발달지연 정도와 통합언어연령에 따라 검사 매체 간 수행력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REVT검사 결과, 수용 및 표현 어휘 원점수 모두 종이 기반 검사보다 컴퓨터 기반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한편, 언어지연 정도의 중증도에 상관없이 컴퓨터 기반 검사에서는 표현형 어휘검사에서 총 반응시간과 문항별 평균 반응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짧았지만, 수용형 어휘검사에서는 총 반응시간만 현저히 짧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모든 언어 발달 지연 아동군에서, 검사 결과는 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컴퓨터 기반 검사는 언어 발달 아동의 집중도를 유지하며 반응 시간을 줄이고 어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각 매체 검사의 규준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검사에 사용되는 매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performance on the Korea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changed depending on media type (computer-based (tablet PC) vs. paper-based). Method: A total of 27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ges 3 to 7 years, participated. All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anguage development delay and the age of integrated language using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to evaluate language development. The REVT was conducted at weekly intervals using different media in a random order. Raw score, total response time (TRT), and average response time per question (ART) were measured between different media type and compared based on the degree of language development delay and the age of integrated language. Results: Our study found statistically higher raw scores in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in the computer-based test compared to the paper-based test. On the other hand,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the language delay, TRT and A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computer based expressive vocabulary test, but only TR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receptive vocabulary test. Conclusion: In this study, in all language development delayed groups, the test result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In particular, computer-based tests, rather than conventional paper-based tests, maintained the concentration of language-delayed children and helped reduce reaction time and improve vocabulary performance. Thus, the type of media used for the tes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Early and Later Phonological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Minkyeong Pi(피민경),Seunghee Ha(하승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24개월에 부모 보고에 의해 상이한 표현언어수준을 보인 구개열 아동을 추적 관찰하여, 36개월에 이르렀을 때 자발화에 나타난 음운 및 언어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4개월에 표현언어가 지연된 구개열 아동 7명을 표현언어지연 구개열 아동, 표현언어가 정상인 구개열 아동 6명을 정상언어발달 구개열 아동으로 구분하였으며, 비교 집단으로 일반 아동 7명을 포함해 총 2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이 36개월에 이르렀을 때 세 집단의 자발화 50발화에 나타난 음운 및 언어 발달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표현언어지연 구개열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모든 음운지표 결과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상언어발달 구개열 아동과 일반 아동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언어지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표현언어능력이 지연된 구개열 아동 중 절반은 일반 아동의 언어 발달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초기에 표현언어능력이 지연된 구개열 아동이 이후 평균음운길이, 단어단위 근접률, 단어단위 정확도, 자음정확도, 자음목록 면에서 일반 아동은 물론 표현언어능력이 정상범주였던 구개열 아동에 비해서도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2세에 부모 보고를 통해 말·언어 발달 위험군으로 선별된 구개열 아동에게 음운 측면에 초점을 맞춘 조기 중재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onological and language outcomes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at 36 months of age, who present differing levels of early language skills which were identified at 24 months of age by parent repor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 children with CP who presented delayed expressive language (DEL) group, 6 children with CP who presented normal language development (NLD) group, and 7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Fifty utterances were collected from these 20 children and analyzed using phonological measures (PMLU, PWP, PWC, PCC, consonant inventories) and language measures (NDW, NTW, MLUw, MLUm). Results: DEL children with CP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phonological measures when compared with TD; while the NLD children with C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T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found in the language measures; however, half of DEL children with CP did not reach the language level of TD.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L children with CP have weaker later phonological skills in comparison to both TD and NLD children with CP. However, in terms of language skills, they appear to catch up to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rly intervention with children with CP who are identified as high risk through parent reports at 24 months should aid on phonological development.

      • KCI등재

        Executive Function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Vocabulary Delay

        임동선(Dong Sun Yim),조연주(Yeon Joo Jo),한지윤(Ji Yun Han),성지민(Ji Min S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언어능력과 집행기능을 구성하는 전환능력 및 작업기억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지역에 거주하며 한국어-영어를 사용하는 만 6-9세 이중언어사용 아동 33명(일반 19명, 어휘발달지연 14명)을 대상으로 전환과제, 비언어성 작업기억과제로 매트릭스, 언어성 작업기억과제로 한국어, 영어 비단어 따라말하기를 실시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집행기능에서 집단 간 수행을 비교하고, Pearson 상관분석으로 집단 내 과제 간 상관을 검토하였다. 결과: 어휘발달지연 집단은 일반 집단에 비해 전환과제와 비언어성 작업기억과제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영어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문항정확도보다 자음정확도로 수행을 비교하였을 때 집단 간 수행 차가 유의하였다. 각 집단 내 과제 간 상관을 검토해 본 결과 일반 집단에서는 REVT 합산점수가 비언어성 및 언어성 작업기억(한국어)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발달지연 집단의 경우 REVT 합산점수가 비언어성 및 언어성 작업기억(영어)과 유의한 상관을 이루었다. 논의 및 결론: 어휘발달지연 집단은 일반 집단과 비교하여 집행기능 하위과제의 수행력이 낮으며, 이들이 언어영역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인지처리영역에서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중언어사용 어휘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평가 및 중재를 계획할 때에 집행기능과 같은 인지능력을 고려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vocabulary delay (BINL and BIVD) show different performance in working memory and shifting, which are subtypes of executive functions. Methods: Thirty-three children (19 normal language group, 14 vocabulary delay group) between 6- and 9-year-old performed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 as a shifting task, Matrix as a non-verbal working memory task, and Korean and English non-word repetition (NWR) tasks as verbal working memory tasks. For data analyse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conducted. Results: The BIV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poorer than the BINL group on DCCS and Matrix,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both NWR tasks between groups was observed. The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in the BINL group, both Korean and English composite score of receptive vocabulary were correlated with performance on Matrix and Korean NWR task, and the accuracy and reaction time of DCC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BIVD group, only Korean composite score of receptive vocabular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on Matrix and the English NWR task. Conclusion: the BIVD group showed poor performance on both shifting and working memory tasks compared to the BINL group. The results implicate that bilingual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have difficulties not only in the language domain but also in the non-linguistic domain. In addition, further investigation on scoring methods of linguistic tasks to bilingual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is required to generalize the findings.

      • KCI등재

        The Implementation of Inherent Strategies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SNARC Effect and Chunking Effect

        양윤희(Yoonhee Yang),문주희(Juhee Mun),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1

        배경 및 목적: SNARC 효과는 심적 수평선(mental number line)에 기반한 수-공간 연합이 발생하여 작은 숫자일수록 왼쪽에서, 큰 숫자일수록 오른쪽에서 수행력이 좋아지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수-공간 연합 능력과 덩이짓기 능력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 언어능력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일반아동 21명, 언어발달지연 아동 15명, 총 3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SNARC 효과를 밝혀내고자 시각적 숫자 찾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언어 및 비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을 측정하고자 단어목록회상 과제와 대칭-비대칭 매트릭스 과제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숫자 찾기 과제는 E-Prime software를 통해 정확도(%)와 반응시간(ms)을 측정하였다. 결과: 두 집단 모두에게서 SNARC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표현언어능력에 대해 반응속도 측면에서의 SNARC 효과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한편, 수용언어능력에 대해서 일반아동 집단의 경우 비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녔으나,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예측인자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두 집단 모두 내재된 정보처리 전략으로써 수-공간 연합능력을 지녔으며 표현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었다. 그러나 수용언어능력의 경우, 일반아동 집단만 덩이짓기(비언어적) 능력이 유의한 예측인자로 나타나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해 수-공간 연합 능력뿐만 아니라 덩이짓기 능력 또한 일관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면 언어능력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and chunking ability among 2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15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L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the SNARC effect exists in the LD group. Methods: This study assumed that there was a mental number line where numbers are sequentially recognized from left to right. In other words, smaller numbers would be induced faster on the left side, and larger numbers would be induced faster on the right side (Gevers et al., 2010). The study included a visual number search (VNS) for verifying the SNARC effect, and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chunking tasks (word list recall, symmetric-asymmetric matrix) for identifying the chunking effect. Results: The SNARC effect was confirmed in both TD and LD children. The SNARC effect also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in expressive language ability. However, in the LD group, neither the SNARC nor chunking effect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receptive language ability. Conclusion: Both groups showed SNARC effects in terms of response time, and there was an inherent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y, which significantly predicte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f LD children were able to consistently demonstrate not only spatial-numerical association but also chunking ability; these could be more useful inherent strategies to facilitate efficient language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