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정책 방향 모색

        박인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9 No.-

        한국의 영재교육 정책은 과학 수학 영재교육을 중심으로 정책 틀이 형성되었다. 이런 정책의 틀에서는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개별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을 설계하기가 어렵다. 언어·문학 영재교육은 정책 주체가 명확하지 않다. 단일한 정책 주체에 의해 집중적이고 통합적인 정책 수단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언어·문학 영재교육은 교과 통합적 교육과정과 더불어 경험 통합적 교육과정 정책을 지향해야 한다. 따라서 언어·문학 영재교육은 그 정책적 성패가 교육과정의 복선화 다원화에 달려 있다. 또 언어·문학 영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압축이 어느 정도 필요하나 ‘속진형’ 압축보다는 ‘심화형’ 압축이 더 적절하다. 언어·문학 영재성은 도덕성 발달의 요소와 반드시 함께 결합되어야 한다. 언어·문학 영재교육을 담당할 교사 양성은 중요한 정책적 과업이다.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데, 석사과정에 준하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영재 학생들이 작가나 언어적 전문 영역의 인사들과 함께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이 분야 교사 운영 시스템에 개방적이고 역동적인 체제를 강화해 주도록 한다. 언어·문학 영재교육은 학문영재를 지향하기보다는 언어·문학적 수월성이 가지는 소양적 도구적 요소를 고려하여, 영재성 교육이 일반 교육으로 연계되어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한다. 이는 수학 과학 영재와 변별되는 요소이기도 하다.

      • KCI등재

        한국과 호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비교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중심으로-

        김유연,이규빈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3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Both countries had an identity, historically as a homogeneous nation in the past, but have now acknowledged the constantly changing situations in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that occurred in Australia during the 1970s and in Korea during the 2000s have respectively started to implement and review their multicultural policies. In the case of Australia, which holds a longer history of multicultural policies than Korea, may be able to provide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olicy document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and supplemented them by both an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key people concerned. We have discovered that Korea has been implementing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as a part of its multicultural policy since 2006. However, while it is still in a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paradigm’ targeting primarily on immigrant students, Australia’s policy is moving beyond transitional and conservative bilingual education elements to additional bilingu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 also includes Auslan(Australian Sign Language). Based on this analysis, the potential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are derived as follows: 1. The policy should move away from the paradigm of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to help immigrant students adapt to Korean society and to move into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to achieve an authentic and cohesive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do this, however, we will need to propose a method to reorganize the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select the languages of the community from the viewpoint of a bilingual education. 2. When choosing a language for a biling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ority in our society. 3.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bilingu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policies should be revised as well. 본 연구는 한국과 호주의 학교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다문화 시대의 바람직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과 호주는 인구 구성과 정부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일원론적 국민 구성을 표방하다가 각각 1970년대와 2000년대에 다문화사회로 접어들어 다문화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보다 오래된 다문화 정책 시행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호주의 사례는 한국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발전에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연구 범위는 초중등학교에서 시행되는 다문화학생의 모어 교육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과 호주의 정책문서들과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문헌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정책 담당자와의 이메일 혹은 전화 인터뷰를 통해 보충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은 2006년부터 다문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2010~2012년 시기에 이중언어강사 양성 및 다문화거점학교 지정 등의 정책이 시작됐고, 2013~2017년에는 기존 정책을 유지하며 이중언어교육보다는 한국어교육과정(KSL)에 치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주는 1978년부터 지속적으로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여 왔다. 이주 학생을 위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인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는 1981년부터 정규 수업시간에 포함되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두 나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정책은 아직 다문화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이행적 이중언어교육에 머물러있는 반면, 호주의 정책은 이행적․보존적 이중언어교육을 넘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첨가적 이중언어교육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수화언어도 대상 언어에 포함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학생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이행적 이중언어교육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제2외국어교육을 이중언어교육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언어를 단위학교가 선택하도록 재정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둘째, 이중언어교육 시행 언어를 선택할 때 좀 더 소수자의 시각에서 배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상과 같이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언어강사와 특수교육교사 양성정책도 함께 바뀌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어교육 정책의 방향 ;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방향

        전은주 ( Eun Joo Jeon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다문화 가정 학생에게 언어 교육은 언어 권리를 실현하는 방법이다. 우리나라의 다문화적 상황은 외국인 근로자 가정 보다 국제결혼 가정에 의하여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특정이 있다. 그리고 분단국가라는 상황에서 발생한 새터민 가정 역시 다문화적 상황에 노출된 언어적 소수 집단이라는 점이 다른 나라와 차이가 난다. 또 귀국 가정 학생 역시 언어와 문화로 인하여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한 유형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학교 교육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은 다문화 가정 학생의 유형과 우리나라의 다문화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 지원 정책의 대상이 분명해야 한다. 둘째, 언어 교육의 목표 역시 대상에 맞게 설정되어야 한다. 셋째, 언어 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넷째, 언어 교육 지원에 필요한 사전 연구와 개발이 충분히 되어야 한다. 다섯째, 언어 사용 현상과 언어 교육에 대한 중장기적인 연구 계획이 필요하다. 여섯째, 언어 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추진 체계가 수정되어야 한다. Language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tudent is a way to realize his language right. Multi-cultural situation in our country is characterized by predominance of international marriage rather than by foreign laborer family. Besides, a migrants or defectants from North Korea on the background of a separated nation are a linguistic minority, which adds to the multi-cultural situation. Moreover, returnee students need some educational support because of unaccustomed language and culture and, therefore, should be included as one type of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Both the typ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and th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language educational policy for such students at school. For this,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at our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First, the target population for the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clear. Second, the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level of the target population. Third, the specialization of the teachers for the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warranted. Fourth, prelim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necessary for language education support is needed. Fifth, long-term research plan is needed for language use and language education. Sixth, booster system needs to be corrected for efficient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과 전망

        김상수(Kim, Sang-so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이 연구는 국제 사회의 상황과 한국 사회의 언어적, 문화적 배경으로 인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언어 정책의 관점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정부 기관의 언어 정책과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한국어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이 느끼는 한국어 교육 정책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관찰하여 향후 한국어 교육 정책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에 필요한 논의의 기반을 삼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프로그램인 Nvivo 11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도하였다.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한국어 교사들의 인식 조사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전체 코딩 수는 77개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항목은 정책 추진 기관, 한국어 교사, 세종학당, 정책 일반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언어 정책은 합리적이고 타당성이 있어야 하며 실행 계획은 실현 가능성이 커야 체계적인 언어의 사용과 효율적인 언어의 보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언어의 사용과 보급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또한 언어 교육 정책, 한국어 교육 정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due to the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society diversified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based on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f language polici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government agencies, .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data using Nvivo 11, a qualitative research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report of Korean teacher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he total number of coding was 77, and specific items could be categorized as policy promoting agency, Korean teacher, King Sejong Institute, and general policy. Language policy should be reasonable and feasible and implementation plan should be realizable so that systematic language use and efficient language diffusion can be achieved. In order to use and disseminate these languages, systematic and efficient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is,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Korean education policy are also needed.

      • KCI등재후보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중언어정책에 관한 비교사례 연구-프랑스·일본 사례 중심으로-

        정해수 한국미래교육학회 2015 미래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정책 및 제도가 어떤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지고, 그 형성되어진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시행되는 정책들은 과연 현장에서 수요자 중심의 실용성과 효과성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자 한다. 이중언어교육은 매우리보다 먼저 다문화사회에 진입하여 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프랑스와 우리와 비슷한 시기에 다문화사 회로 진입하여 다문화정책 추진하고 있는 일본의 다문화정책 및 제도의 사례를 찾아 비교 분석하여 미래 적 지향적인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 정책 중 중점으로 살펴 볼 정 책은 이중언어교육정책이다. 이중언어교육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학교생활의 적응과 학업성취, 그리고 이들이 성장하여 사회구성원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기본이 되는 정책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중언어교육 을 위해 이중언어강사 양성하여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정책은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 보다는 학교 밖에서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프랑스는 학교 안의 정규교과 과정에서 다문화교육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는 지방자치 단체와 학교 안에서 다문화교육정책이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책 실현을 위해 법안을 마련하고 정책의 기본 방향과 세부사항을 중앙정부에서 주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중언어교육 정책이 마련된 것은 누구를 위한 것인지에 대한 필요성과 정책의 형성과정, 정책의 실용 성과 효과성을 위해 우리나라의 이중언어교육 또한 교육을 주관하는 학교라는 기관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 수립 전에 다양한 인적구성원들에게 필요성에 관해 많은 논증과 함께 검증 단 계의 형성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정책의 실용성과 효과성을 위해 기존 정책에 관한 성찰 과정이 반드 시 필요하겠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how multi-cultural policy and system are made, what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cy and system is, and whether they are effective for consumers The cases of France, which started multi-cultural society earlier than us and underwent trial and error, and Japan, which started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similar period to us,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to suggest future oriented policy.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bilingual education policy.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is the basic policy that helps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to adjust to school, to improve scholastic achievement, and to play a role as a member of the society when they grow up. Currently, the government promotes and supports bilingual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Korea is done more outside of schools than in class. On the other hand, in France, the policy is done within regular curriculum, and in Japan, it is performed in local governments and schools. To practice the policy, laws are prepared, and basic direction and details are conducted by central government.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school for the reason why the policy is made and for whom it is made, along with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olicy. For this, demonstration and verification process for various members about the necessity should be done befor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In addition, government's self-examination process for the existing policy is needed for the policy's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 KCI등재

        다문화 사회와 국어교육 ;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권순희 ( Soon Hee Kwon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4 No.-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호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사례 검토를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이중언어교육이 미흡한 형편이다. 이중언어교육의 논의에서 중요한 개념은 모어와 계승어이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모어는 개개인이 어렸을 때 가정에서 배운 첫 언어로 통계조사를 하는 시점에서도 이해하는 언어이다. 계승어는 모어를 사회적 입장에서 규정한 용어이다. 이중언어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미국 이중언어교육법을 살펴보았으며, 언어 상이론에 입각한 이론을 논의하였다. 또한 유네스코 현장을 살펴봄으로써 `누구나 언어의 차별없이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중언어교육을 통하여 학업 성취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소수와 다수의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하고, 이중언어교육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한다는 이중언어교육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중언어교육 현황을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중언어교육의 긍정적 입장을 서술하고, 결혼이민자의 의식 조사를 통해 이중언어의 필요성을 피력하였다. 그 밖에도 호주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이중언어정책을 KSL을 통한 이중언어교육 실시, 다언어교육정책과 다언어매체 정책, 보조 교사 활용, 다문화 이해 교육, 소수 언어 학습 기회 확대 등으로 제안하였다. In Korea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is insufficient. By having interviews with marriage-immigrants, it was surveyed if they had minds to teach their children bilingualism. Marriage-immigrants usually immigrate into Korea without learning Korean, so they have troubles in communication. Also they have troubles in developing their children`s thinking ability, because their husband and parents-in-law want the marriage-immigrants to bring up their children using Korean. Therefore bilingual education is necessary. Through the study on foreign examples for bilingual education,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was suggested for Korea. The earlier the bilingual education starts, the less social cost is paid. Language is not a simple measure for communication, but it contains the life and soul of the user. Therefore systematic approval of the use of minority`s language will be valuable in the point that the life and sole of the minor race are acknowledged. In America, children of immigrants have tendency to learn their mother language when they enter undergraduate. This is because language is important for them to setup their identity. Bilingualism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bringing up the multicultural students to international citizen in this globalized times. The discussion about bilingual education will bring about a chance for widening the comprehension and concern about immigrant family.

      • KCI등재후보

        북미 다문화 사회 이중언어 교육 정책 분석

        황진영(Hwang Jin You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세계의 인구 이동으로 인하여 정치, 사회, 문화 영역에서 새로운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바람직한 사회통합을 위하여 다문화 사회에 대비한 정책들이 속속 등장하였다. 이러한 정책을 다문화 정책이라고 하는데, 다문화 정책의 근간에 있는 것이 바로 언어 정책이다.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사회의 언어교육 정책 제안을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서, 우리나라보다 앞서 다문화 이민 정책을 펼친 캐나다와 미국의 이중언어 정책 현황과 사례를 조사, 분석해 보았다. 북미 이중언어 정책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언어 정책에의 시사점을 (1) 소수자의 사회적응과 올바른 국민 정체성 형성을 위한 언어 정책 (2)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와 이중ㆍ다중언어 능력 향상 독려 (3) 한국 교육계의 다문화주의 개혁으로 정리하였다. 우리의 소수민들에 대한 시각이 '소외계층'이나 '결핍된 존재', '지원의 대상'이 아닌 '한국 사회의 다문화 역량을 증진시키는 잠재력을 지닌 존재'로 바뀐다면, 이들이 갖고 있는 이중/다중적인 언어ㆍ문화적 배경은 국가 간 교류를 매개할 수 있는 미래 사회의 성장 동력이 되며, 일반 국민들에게는 관용과 포용성, 언어 역량을 길러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Due to the demographic change and the drift of population, some new problems come out from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reas of Korea. Even the Korean government is not an exception. Within the desirable social integration there are policies about prepared multicultural societies. All these policies are known as multicultural policies, and the basic multicultural policy is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This study was taken on a basic character to propose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about imported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and the present from indeed multicultural migration policies of Canada and the USA since 1960 before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suggest (1) the proposal on lingual policy for the adaptation of minorities into Korean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ies as people of Korea. (2) The encouragement of the improvement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dual/multi-language ability (3) the renovation toward multiculturalism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f the profile of linguistic minorities is changed from 'disadvantaged,' 'present-deficient,' or 'target of support' to 'existence with potential to promote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society,' their dual/multi-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s can be future growth engines of society to intermediate exchanges between countries. They can also be an instrument to grow tolerance and inclusiveness, and language skills for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모경환,이재분,홍종명,임정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linguistic minor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of diverse students,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such as Germany,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current KSL and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this article suggests improvement plans for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First of all,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diverse familie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bilingual literacy, educational equality, and global citizenship required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is globalized world. Standard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 models and share exemplary practices. All students in need of KSL and bilingual education have the right to be taught by high-quality teacher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tudents whose first languages are not Korean introduces more accountability for teachers,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언어는 사회 및 집단의 주요한 문화유산이자 소통의 도구이며 소속 구성원 간 이해와 연대의식, 소속감과 애착을 형성하는 토대이다. 따라서 공존과 통합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상한 다문화 시대에,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은 매우 중요한 정책 아젠다가 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언어교육 정책은 사회의 공식 언어를 교육하는 것과 학습자의 제1언어를 유지,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승어 교육 혹은 이중언어교육으로 구분된다. 공식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도모하는 동시에 제1언어의 습득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개인이 지닌 교육적 자산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6년 다문화 교육이 정책 아젠다로 등장한 이후,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시적인 변화와 성과를 달성해 왔다. 이제는 그간 축적해 온 교육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정책의 전문화 및 세분화를 모색할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바람직한 다문화 언어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차원의 목표와 원리, 접근 방식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발달 원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일본․독일․캐나다․미국 등, 주요 국가의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KSL)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여, 정책 측면, 프로그램 측면, 운영 측면에서의 약점과 강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 목표,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체제, 교강사 운영, 학교-가정-사회의 지원 체제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에콰도르의 언어정책과 원주민 교육

        유영식(Yoo, Yeong-Sik)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7 중남미연구 Vol.36 No.1

        90년대 들어 다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다민족, 다중언어 사회의 특성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에콰도르 등 안데스 국가들은 다양한 원주민 언어와 문화를 인정하고 국가유산으로서 언어와 문화의 보호와 발전도 허용했다. 이것은 국가의 언어정책과 원주민 교육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에콰도르 국민들의 고유 언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은 원주민들의 개인권리와 집단권리에 대한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동안 ‘민족-국가’건설에 중점을 두고 민족통합을 위해 단일 언어주의와 단일문화주의로 이해되는 동화주의 언어정책을 실시하면서 원주민은 사라져야 할 존재로서 그들의 문화적 언어학적 특성도 사라져갔다. 그러나 에콰도르에는 주류계층과 소수자 간의 관계 속에서 불균등하나마 항상 이중 언어주의와 이중문화주의 상황이 존재했다. 게다가 이중 언어교육은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원주민 학생들의 문화적 현실에 맞게 조정된 상호 문화적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1988년에 EIB 교육을 제도화하기 위해 교육법을 개정하였고 원주민 이중언어 상호문화교육국(DINEIB)을 창설하였다. 원주민들은 EIB 교육을 통해서 스페인어 사용자로 구성된 지배계층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언어적으로 탈식민화하여 그들의 언어와 문화가 동등한 위상을 갖기를 희망한다. 에콰도르 원주민과 고유 언어의 미래도 원주민 교육에 달려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어떠한 교육을 받느냐는 것은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원주민 교육에서 최적의 대안으로 평가 받는 EIB 교육은 원주민 자신들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지배계층이 자신들과 원주민들의 문화와 언어가 대등한 위상을 가진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상호학습이 실현될 경우 EIB 교육정책이 추구하는 기대와 성과는 극대화 될 것이다. 즉‘모두를 위한 이중 언어 상호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상호 문화적 다국민 국가와 다중언어주의 사회 실현을 위해 추구해야 할 방향이다. In the 1990s, most of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began to recognize characteristics of their society as being multiethnic and multilingual. Ecuador and other Andean nations recognized the diversity of indigenous languages and cultures, and allowed for conversation and development to take place by designating them as national heritage. This signified a major change in the language policy and indigenous education of the country. The effort to maintain the languages of the diverse Ecuadorian nationals and their development spurred from the demand for individual and collective rights of the indigenous. Years ago, with the implementation of an assimilation linguistic policy, monolingualism and monoculturalism were sought after to achieve national integration with an emphasis on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In this vision, natives are considered unnecessary beings that are bound to disappear and along with them, their cultural and linguistic heritage. But in Ecuador, even under unequal conditions, there has always been bilingualism and bicultur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minority group. Aditionally, Ecuador recognized that the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ntercultural in order to adapt to the reality of the indigenous student, thus avoiding the traditional method. In 1998, the government amended the Education Act to institutionalize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for indigenous people and created the National Directorate for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Indigenous people want their language and culture to have an equal prestige and status, decolonizing sociocultural and linguistically from the dominant group (Spanish speakers) through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The future of indigenous people in Ecuador and their language depends on indigenous education, but the most important question is what kind of education they should receive.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is the best alternative for indigenous education, but it must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raises the pride for indigenous culture and language. The expecta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language policy would be maximized if a reciprocal learning was obtained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indigenous group, recognizing that their culture and language enjoy the same prestige. In other words, intercultural bilingual education must be for all, since only in this way can the goal of a plurinational state and a multilingual society be achieved.

      • KCI등재

        다언어문화사회 인도의 포용적 언어교육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 인도 3개 언어교육정칙의 내용과 성과를 중심으로-

        신진영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8 No.3

        This study analysed at the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language policy through case studies of India and provided the implications for Korea.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language policy of India which is a multilingual cultural society through Three Language Formula(TLF). Next, it is analyzed practices and results of TLF that maintains the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competitiveness through inclusive language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the TLF in India was ‘social integration, pursuit of diversity,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This attempted ‘social integration based on maintaining multilingualism’. Second, Indian students can learn three languages including their ‘mother tongues’, thereby enabling practical language diversity. Third, the target of the policy was not to distinguish language groups, and it was a universalized and regularized policy that proceeded with the formal education process in India. Fourth, the TLF was practiced continuously for about 50 years. At present, India has no social conflicts among language groups. After completing 12 years of schooling, students are fluent in three languages, including their mother tongues, Hindi and English, and various languages are maintained. So, the goals of TLF were achiev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anguage policy for true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carrying with ‘maintaining multilingualism’. Second, for increasing the linguistic competitiveness of students in multilingu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educational medium language’ and ‘contact languag’ in language plans. Third, the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transformed and expanded, and policy sustainability and universality should be guarant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t only contents but performances of the inclusive multilingual policy of India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o achieve the policy goals. 본 연구는 포용적인 언어정책을 통해 국민화합과 동시에 다양성을 지켜가고 경쟁력도 확보하고 있는 인도의 다언어교육정책을 분석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본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언어정책의 핵심 사안인 정책목표, 정책대상, 정책수단과 이에 따른 정책성과를 중심으로 ‘3개 언어교육정칙’을 분석했고, 정책의 성과 평가를 위해 문헌및 통계자료와 20-30대 인도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도 3개 언어교육정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 3개 언어교육정칙의 목표는 ‘사회통합, 다양성 추구, 경쟁력 강화’로 ‘다언어 유지를 바탕으로 한사회통합’을 시도했다. 둘째, 학생들이 자신들의 ‘모어’를 포함한 3개 언어를 교육받을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인 언어의 다양성 추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셋째, 정책의 적용대상이 모든 학생으로, 언어집단을 구분하지 않았으며 전인도의 정규교육과정으로 진행되어 보편화, 정례화 된 정책이었다. 넷째, 인도의 3개 언어교육정칙은 약 50년 간 지속적으로 시행되었다. 현재 인도는 언어문제로 사회적으로 큰 갈등이 겪지 않고, 12년학교교육을 마친 학생은 모어, 힌디어, 영어 등의 3개 언어에 능통하며, 다양한 모어가유지되고 있어, 3개 언어교육정칙은 ‘사회통합’, ‘경쟁력 강화’, ‘다양성 추구’ 목표를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한 사회통합을 위한 언어정책은 ‘다언어 유지’와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다언어사회에서 학생들의 언어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육매개어’와 ‘접촉 언어’에 주목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언어교육의 정책 적용 대상자 전환 및 확대, 정책의 지속성과보편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가 정책 내용만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에 시사점을 제공한데 반해, 본 연구는 인도의 포용적 다언어정책의 ‘내용과 성과’를 종합하여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정책 목표 달성과 언어적 성과를 높일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