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탐색 ; 어휘 교육 평가의 이론적 고찰 -목표와 내용 타당도를 중심으로-

        이도영 ( Do Young Lee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0 No.-

        어휘력을 둘러싼 평가 논의의 딜레마는 어휘력을 협소하게 보느냐 넓게 보느냐에 기인한 것이었다. 하지만, 어휘력을 협소하게 보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 많은 연구자들은 어휘력이 일반적인 언어 능력과 구분되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어휘 교육 평가의 목표와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는 ``어휘 사용 규칙(조건)``으로 어휘력을 넓게 볼 필요가 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기호 체계로서의 어휘 의미``와 ``상황 맥락으로부터 추출한 어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상황 맥락으로부터 추출한 어휘 의미``는 ``기호 체계로서의 어휘 의미``를 포함한다. 이처럼 어휘력을 넓게 보면 협소한 의미의 어휘력은 넓은 의미의 어휘력에 당연히 포함되므로 어휘력을 좁게 볼 이유가 없다. 그런 다음, 어휘력이 일반적인 언어 능력과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살펴본다. 즉, 어휘력과 일반적인 언어능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들은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식으로 어휘력과 일반적인 언어능력을 모순 관계인 것처럼 취급하였다. 하지만, 이는 정도 문제인 것이다. 극단적인 한 쪽은 어휘력을 협소하게 보는 것으로 순수 어휘력이라 할 만한 것들이다. 평가 상황에서는 어휘의 ``사전적인 의미``를 묻거나 어휘 단독 문항이 이에 해당한다. 그 반대쪽은 어휘력과 이해력, 표현력의 구분이 모호한 어휘 평가 문항들이다. 그 중간쯤에는 문맥적 의미를 묻는 어휘 평가 문항이 있게 된다. 이론적으로는 양 극단에 걸친 모든 어휘 평가 문항 개발이 가능하지만, 광의의 어휘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더 바람직하다 하겠다. The dilemma about vocabulary power evaluation comes from the breadth of vocabulary power. However, to regard vocabulary power narrowly has no validity. Most of researchers emphasize on the combination of vocabulary power and general linguistic ability. Therefore, to obtain the objective and content validity of vocabulary education`s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ocabulary power as ``rules (conditions) of language use``. It includes essentially ``vocabulary meaning as sign system`` and ``vocabulary meaning derived from situational contexts``. Also ``vocabulary meaning derived from situational contexts`` includes ``vocabulary meaning as sign system``. Like this, it has no reason to regard vocabulary power narrowly. Because broad conception of vocabulary power implies narrow conception of vocabulary power. After that, it needs to investigate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between vocabulary power and general linguistic ability. Until now, we knew that vocabulary power and general linguistic ability are incompatible. But, to regard certain items as vocabulary power or general linguistic ability is a matter of degrees. Extreme one side is to evaluate vocabulary power narrowly. The other side is to evaluate vocabulary power combining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The middle side between two extreme sides is to evaluate contextual meaning of vocabulary. It is desirable to evaluate vocabulary power combining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 KCI등재

        저소득 가정의 환경자극이 만 2세아의 수용·표현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조우리,황혜정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법정 저소득 가정의 만 2세아와 어머니 50쌍을 대상으로 저소득 가정의 환경자극과 영아의 수용.표현 어휘력 수준을 살펴보고,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자극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저소득 가정의 환경자극 수준은 가정환경자극검사(HOME, 이영, 198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저소득 가정 만 2∼3세 아의 수용·표현 어휘력은 김영태, 성태제와 이윤경(2003)이 제작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자극검사(HOME)의 하위영역 중 일상생활에서 주는 자극의 다양성이 가정환경자극 수준 중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적절한 놀이감의 구비 상태,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 순이었다. 둘째, 본 연구대상 영아의 수용.표현 어휘력이 선행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일반 영아의 어휘력이나 생활연령에 비해 훨씬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휘력 발달 연령의 개인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용 어휘력이 표현 어휘력보다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수용.표현 어휘력은 가정환경자극 변인들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이 영아의 수용.표현 어휘력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넷째, 저소득 가정 만 2세아의 수용 어휘력에는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 어린이의 행동에 대한 훈육태도, 어머니의 모성적 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표현 어휘력에는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 어린이의 행동에 대한 훈육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이 영아의 어휘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 influencing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of 2 year olds from low 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pairs of 2 year olds and their mothers. Environmental impetus level of the low-income families were assessed by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HOME, Lee, 1980)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s were measured by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Kim et al., 2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environment, existence of playing material, mother's behavior as a mom, discipline against infant's action, and mother's subordinate level of affective and linguistic reaction were comparatively high in HOME's subordinate level. Diversity of the impetus in daily lives was the highest level among 6 subordinate elements. Seco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of infants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inferior to normal infants in the result of the prior study. In addition, receptive vocabulary level turned out to be superior to expressive vocabulary level. Thir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of infan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home environmental impetus. Diversity of the impetus occurred in daily live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correlation wi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of infants. Finally, receptive vocabulary level of 2 year olds in low income families were affected by mother's affective and linguistic reaction, discipline against actions of infants, and mother's behavior as a mom in order.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were affected mother's affective and linguistic reaction, and discipline against actions of infants in order. Therefore, mother's affective and linguistic reaction turned out to be subordinate element to have most influence on the vocabulary level of infants.

      • KCI등재

        어휘력 평가의 평가 요소와 평가 유형에 대한 고찰

        이기연 ( Ki Youn Yi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어휘 평가 혹은 어휘력 평가라 지칭할 수 있는 어휘 능력에 대한 평가는 국어 교육 및 국어과 평가 내에서 다양한 시험의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어휘력의 중요성이나 어휘력 평가의 비중에 비해 어휘력 평가는 평가의 목표나 내용 등이 무엇을 근거로 하고 있는지 불분명하고 모호한 상태로 많은 부분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어휘력의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력 평가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어휘력 평가들의 검토를 통해 전통적인 방식의 어휘력 평가 유형과 보다 확장된 방식의 어휘력 평가 유형을 살펴보았다. 어휘력 평가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속담 및 관용표현(사자성어 포함)를 대상으로 크게 의미, 구조, 형태, 지식차원으로 나누어 사전적 의미나 문맥적 의미뿐 아니라 표기, 발음, 품사 정보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소를 평가해야 한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의 대표적 언어 평가에서 어휘력 평가 항목을 살펴본 결과 대체로 의미 중심의 문항이 주를 이루지만 점차 형태나 구조, 사용에 대한 문항이나 실제 사용에 대한 문항들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진화해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defines complex factors of lexical assessment because lexical competence is so delicate and complex. Assessing lexical competence is related to what is "knowing a word.". So the lexical assessment is started from the defining the factors of the lexical competence. That is what is knowing a word. In this study I suggest we have to assess not only the meaning and meaning relationship but also the grammatic knowledge and the other pragmatic and cognitive factors. And after that I review various language tests with Korean, Japanese and English. Almost test types are belong to the way of asking meaning. But now more various type was developed which ask the various factors of lexical competence.

      • KCI등재

        만 5세 읽기능력, 어휘력 및 개인·환경 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

        이기숙 ( Ki Sook Lee ),김순환 ( Soon Hwan Kim ),정종원 ( Jong Won Jeong ),김민정 ( Min Jeo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종단연구로서 만 5세 시기 유아의 읽기능력, 어휘력에 따라, 그리고 유아기의 성, 소득수준, 부모 학력과 같은 개인적 변인과 사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읽기이해능력, 어휘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1차 연구는 2008년 10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재원 만 5세 유아 578명의 읽기능력과 어휘(PPVT-R)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 이루어진 2차 연구 이후 이루어진 3차 연구로서 연구대상 아동이 초등학교 3학년이 된 후 187명을 대상으로 읽기이해능력검사와 어휘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만 5세 시기 읽기능력과 어휘력이 높은 집단이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개인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여아가 읽기이해능력에서 남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이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 아버지 학력과 어머니 학력이 높은 집단이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 결과 만 5세 시기의 읽기능력과 어휘력이 이후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 중요한 요인이지만 유아기 문해 관련 사교육 경험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만 5세 시기의 읽기능력과 어휘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보다 경험적이고 흥미로운 문해환경 조성과 부모와 교사의 적극적인 역할이 요청됨을 시사한다. This longitudinal study was undertaken to discover whethe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at the third grade level in primary school are dependent on children`s reading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at age five. The study also examines whether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at the third grade can be attributed not only to children`s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gender, income level and parents`education levels but also to whether or not the children had some early childhood experience in private educatio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08 to February 2009, and it measured the reading and vocabulary abilities(PPVT-R) of 578 five-year old preschool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n there was a follow-up to the first phase when the subject children entered the first grade in primary school. The present study is the second phase in which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abilities of 187 of these children were tested after they entered the third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at the group with high reading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at age five at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abilities in the third grade than did the groups with lower scores in these areas at age five. 2), an examination of differences due to environmental variables showed that the girl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an the boys, that the high-incom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bot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and that the group with fathers and mothers who had higher education level also g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bot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3), the group with no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during early childhood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bot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 KCI등재

        유아기 어휘력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 고찰: 국내 학술지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박성민 ( Park Sungmin ),임정하 ( Lim Jungh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유아기의 어휘력에 관한 국내 학술지 발표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분석대상 논문을 바탕으로 유아기 어휘력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기 어휘력에 관한 논문 총 8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논문의 발표현황, 연구유형, 연구대상, 어휘력 변인 유형, 측정도구, 어휘력과 함께 분석된 변인들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유아기 어휘력에 대한 연구는 2010년대에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주로 횡단적 접근법을 활용한 경험적 연구가 많았다. 유아의 어휘력은 일대일 개별 면접 방식으로 평가된 경우가 많았으며, 어휘력 변인은 주로 종속변인으로 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 어휘력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으로는 인지발달 영역의 변인이, 환경적 특성으로는 교육기관 특성 중 활동 및 프로그램 변인과 가족 특성 중 부모 변인이 주로 다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 어휘력에 대한 추후 연구의 방향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n vocabulary size during early childhood in South Korea. First,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s and findings from studies on vocabulary size was conducted. Seco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evant to vocabulary size were extracted from published articles. A total of 81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analyzed regarding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instruments, type of variable, and relev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al domain. Results indicated that the articles on vocabulary size of early childhood have been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the 2010s. A structured interview method was most commonly used to assess the child vocabulary size. Vocabulary size was used mainly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cross-sectional approach. Findings also demonstrat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linked to vocabulary size were primarily cognitive factors including reading skill, memory, intelligence, theory of mind, etc. Environmental factors linked to vocabulary size were mainly preschool activity and programs. Future directions on studies of vocabulary size during early childhood are discussed.

      • KCI등재

        외국인 학습자 대상 어휘력 진단과 측정 방안

        김명광(Kim Myoung kwa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1

        이 글은 외국인 학습자들의 어휘력을 진단하는 데 고려해야 할 내용과 그 측정 방안을 살펴본다. 2절에서는 어휘력에서 다루어야 할 범위를 밝히기 위해 어휘부 처리 과정을 검토한 후 ‘어휘부 자체의 지식, 그리고 이 어휘부와 타 부문과의 연결 지식’이 ‘어휘력’의 범주에 속함을 밝힌다. 3절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어휘력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는 어휘 오류를 진단 차원으로 접근한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어휘 오류는 표면적인 현상 분류도 필요하지만, 이러한 오류가 왜 나타났는지에 대한 심리 과정적 현상에 대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에서 논의를 한다. 곧 외국인 학습자들의 오류는 L1과 L2라는 이중 어휘부의 관계 속에서 파악되며, L1의 심리적 간섭 현상으로 인해 오류 현상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음을 논증한다. 4절에서는 계량적 측면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의 어휘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고찰을 한다. 계량적인 측면의 어휘력은 학습자가 ‘실질적인 의미 전달을 잘하고(어휘 밀도),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며(어휘 다양도), 섬세한 어휘를 풍부하게 활용하는 능력(어휘 정교도)’과 같이 세 가지 측면으로 측정할 수 있다. 5절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자료를 통해 이 세 가지 측면의 측정법을 적용해 본다. 아울러 적용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feature, scope of lexical ability and measur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Quantitative Analysis for foreign learner of Korean. In chapter 2, this paper discusses on the process of lexicon component for tracing scope of the lexical ability. In chapter 3, this paper approaches the lexical errors to diagnosis dimension. It means that diagnosis approach is the most important one with the view of understanding underlying psychological phenomena of the foreign learner s errors rather than as the classification of superficial types cause the lexical errors can be clarified only if you know the duplicative lexicons as L1 and L2, furthermore, L1 s interference to L2. In chapter 4, this paper consider carefully tools of Quantitative-measuring lexical ability. The Quantitative mensuration divides into lexical density, lexical variety, and lexical sophistication. In chapter 5, as existing methods are several problems, I try to revise them, and examine validity of extended methods before apply for actual writing materials of foreign learners.

      • KCI등재

        어린이집 교실문해환경 및 교사효능감이 10-24개월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진경희,유수정,정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vocabulary ability of infants aged from 10 to 24 months, and the effects of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and teacher efficacy on the infants' vocabulary ability. To that e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307 infants aged from 10 to 24 months and their 107 teachers at 37 day care centers located in I city and J city, Jeollabukdo. This study used Infants' acquisition of vocabulary measurement tool(MCDI-K),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evaluation instrument(CELE), teacher's sense of efficacy evaluation instrument(STEB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vocabulary ability of infants aged from 10 to 24 months, receptive words are shown to be about twice as Frequent as expressive words.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and the vocabulary ability of infants aged from 10 to 24 months.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the vocabulary ability of infants aged from 10 to 24 months. Fourth, among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vocabulary ability of infants aged from 10 to 24 months, other areas' environment and data have the greatest effects in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and teacher efficacy as a whole has effects on vocabulary ability. To improve infants' vocabulary power is classroom teachers develop a sense of effiicacy and balanced offering of a literacy enviroment in total area shows the necessity of finding ways. 본 연구는 10-24개월 사이 영아의 어휘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교실문해환경 및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I시, J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 총 38개소에서 10-24개월 사이 영아 307명과 그를 담당하고 있는 영아교사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어휘력 측정도구(MCDI-K), 교실문해환경 평정도구(CELE), 교사효능감 평정도구(STEB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24개월 사이 영아의 어휘력은 이해어휘가 표현어휘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10-24개월 사이 영아의 교실문해환경과 어휘력은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셋째, 10-24개월 사이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아의 어휘력 간에는 일반적 교사효능감에서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10-24개월 사이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실문해환경에서는 타영역 환경 및 자료가 가장 영향력이 있었으며, 교사효능감 전체에서 어휘력과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어휘력 향상을 위해서는 교실 전체영역에서 균형있는 문해환경의 제공과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모색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능력과 어휘력의 관계

        김은지 ( Kim Eun-ji ),김명순 ( Kim Myung-soon ),손승희 ( Son Seung-h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어휘력의 차이 및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 4세 유아 120명이었다.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가정은 저소득 가정으로, 300만원 이상인 가정은 일반 가정으로 분류하였다.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손승희(2012)가 개발한 환경인쇄물 읽기 도구와 유아의 수용 어휘력과 표현 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REVT(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 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가정 유아보다는 일반 가정의 유아가 환경인쇄물을 더 잘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 가정 유아보다는 일반 가정 유아의 수용·표현 어휘력 점수가 더 높았다. 셋째, 저소득 가정 유아는 환경인쇄물 읽기능력과 수용·표현 어휘력 점수 간에, 중류층 가정 유아의 경우 환경인쇄물 읽기능력과 표현 어휘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가정 소득수준에 따라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어휘력에 차이가 있으며, 유아의 환경인쇄물 읽기 능력과 어휘력은 대체로 관계가 있었다. 이는 저소득 가정 유아에게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인쇄물을 활용하여 문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저소득 가정 유아들의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and vocabulary ability by their family income. And, it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and vocabulary ability. The subjects were 120 children, who can not read letters, aged 3 to 4 years, from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reas. The Children`s Reading Ability Environmental Print Scale(Son, 2012)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For the children`s vocabulary ability, this study used the 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developed by Kim et al,.(2009).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s. First, the more family income level were high, the more children could read in the environmental print task.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children`s family income in their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ird, children`s environmental print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Furthermore, in the low-incom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nvironmental print reading ability and 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And in the middle-income group,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actively applied environmental print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children who were in progress in vocabulary ability as well as literacy development.

      • KCI등재

        영아의 기질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검증 효과

        신애선 ( Ae Sun 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영아의 어휘력과 그들의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질요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0∼24개월의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219쌍을 대상으로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 어머니 양육행동을 조사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은 어휘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양육행동은 영아의 어휘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기질이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의 어휘력 발달을 위한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모-자녀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fants’ vocabulary, their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bout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infants’ vocabulary. This study also aimed to find out mediating effects of temperamental factors in the process of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n infants’ vocabular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19 pairs of infants aged 10~24 months and their mothers of home day-care centers in Jeollabukdo. Infants’ temperament, their vocabulary,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examined and analyzed with structural model.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infants’ temperament has direct effects on their vocabulary. Second, it is shown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have direct effects of infants’ vocabulary. Third, it is shown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function as a medium in the process of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on their vocabulary. Thes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about mothers’ parenting role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for improvement of infants’ vocabulary and a follow-up study.

      • KCI등재

        L2 초기학습자의 어휘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구조적 연구

        ( Heejin Kang ),( Seunghyun Baek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5 외국어교육연구 Vol.29 No.3

        본 논문의 목적은 L2 수동적 어휘력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요인들과 L2 수동적 어휘력과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113명의 3학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L2 어휘습득 전략에 관한 설문조사와 어휘력을 측정하였다. 어휘력 측정은 Woodcock-Johnson III Diagnostic Reading Battery (Woodcock, Mather, & Schrank, 2004)와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영어교과서를 참고하여 동의어, 반의어, 유의어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L2어휘력 습득에 관한 6가지 요인들이 밝혀졌다: 기억 및 인지 전략, 의미발견 전략, 영어 학습태도 및 의지, 부모관심, 모국어 능력, 사교육. 또한 6개의 변수들은 상호적으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더욱이 모국어 능력은 L2 어휘력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었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모국어 능력은 L2 어휘력에 가장 많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내생 잠재 변수로 조사되었고 사교육의 경험은 모국어를 매개로 하여 L2 어휘력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외생 잠재변수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모국어 능력이 L2 언어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상호의존가설(Cummins, 2000)에 부합되며 L2 어휘학습에 있어서 모국어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riables which could potentially contribute to L2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Also, the study sought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ose factors in L2 receptive vocabulary. Total of 113 third-graders were invited and assessed in a questionnaire survey on L2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took a receptive English vocabulary achievement test. The vocabulary test was composed of synonyms, antonyms, and analogies adapted from Woodcock-JohnsonⅢ Diagnostic Reading Battery (Woodcock, Mather, & Schrank, 2004) and elementary English textbook based o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x factors of L2 vocabulary acquisition were found: memory and cognitive strategy, English learning attitude and willingness, parents’ interest on their children’s English learning, first language (L1) proficienc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discovery strategy. Second, all of the six fact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Third, L1 proficiency was a strong predicator of L2 vocabulary ability. In addition,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L1 proficiency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L2 vocabulary ability. Moreover,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an indirect impact on L2 vocabulary ability as a L1 proficiency variab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1 proficiency plays a critical role in promoting L2 vocabulary proficiency. Furthermore, the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the developmental interdependence hypothesis (Cummins, 2000).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