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강도희(Kang, Do Hee),장경은(Jahng, Kyung Eu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만 5세에서 만 6세 사이의 학령 전기에 해당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7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어머니-자녀 애착에 관련된 배경 변인을 통제한 후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자녀 애착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높은 수준의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어머니-자녀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더라도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심리·성격적 특성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적응적 기여를 동시에 고려하여 어머니-자녀 애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면담을 통한 개입방법을 설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To this end, in this study, 279 mothers with children aged from 5 to 6 year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child attachm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higher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resulted in a lower level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High level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child attachment.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moth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That is, even if the level of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was high, it was found that a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tendency resulted in a lower negative effect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mother-child attac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to improve the mother-child attachment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mothers’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adaptive contribution of their self-oriented perfectionism.

      • KCI등재

        어머니-걸음마기 자녀 간 갈등과 걸음마기 자녀의 기질 및 애착과의 관계

        김현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ther-child conflict during toddler years ,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a child’s temperament. A total of forty mother-toddler pairs between 24 and 36 months of age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flicts between mother and child during free play session and clean-up time were observed, and mother-child attachment and the child’s temperament were measured using parent re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the more frequent and longer the conflict occurred in clean up tim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the more often they experienced conflict due to disagreement about information or current situation in free play context, and more toddlers used the mitigation strategy in both free play and cleanup time, and when the conflict occurred, children used mitigation strategies and mothers tried to resolve conflict. Second, the lower the child's ability to self-regulate, the more frequent conflict occurred between mother and chil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onflict related to the rules, and worse strategies were used when solving problems. Meanwhile, the higher self-control capacity,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the child being the conflict initiator in clean up time.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nflict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improving the quality by considering the context of conflict, attachment in children, and child's tempera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걸음마기 자녀 간 갈등, 어머니-자녀 간 애착, 자녀의 기질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24개월-36개월 사이의 걸음마기 자녀-어머니 40쌍이었다. 어머니와 자녀 간에 놀이와 정리 중에 나타나는 갈등을 관찰하였고 어머니와 걸음마기 자녀 간 애착과 걸음마기 자녀의 기질은 어머니가 보고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와 자녀 간 애착의 정도가 낮을수록 정리정돈 중 갈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길게 이어졌다. 반면 어머니와 자녀 간 애착의 정도가 높을수록 놀이 상황에서 정보나 현 상태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갈등을 겪는 경우가 많았고, 갈등 발생 시 자녀가 완화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어머니가 협상으로 갈등이 해결되도록 기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자녀의 기질 중 조절능력이 낮을수록 어머니와 자녀 간에 갈등이 빈번히 발생했고, 규칙과 관련된 내용으로 갈등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갈등의 해결과정에서 악화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정리정돈 맥락에서 자녀가 갈등을 시작하는 빈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갈등의 맥락과 자녀와의 애착이나 자녀의 기질을 고려함으로써 걸음마기에 발생하는 어머니와 자녀 간 갈등의 양을 줄이고 질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유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자녀 애착의 조절효과

        강도희 ( Kang Do Hee ),장경은 ( Jahng Kyung 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유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유아의 불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애착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6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80부를 대상으로 SPSS 25.0 통계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3.5의 Model 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자녀 애착은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유아의 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를 통해 조절효과의 구체적인 방향과 강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낮을 때에는 어머니-자녀 애착을 통해 유아의 불안이 더 낮아지지만,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높을 경우 어머니-자녀 애착을 통해 유아의 불안을 낮추는 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 관련한 상담 및 자녀와의 애착 관계 형성을 위한 양육 코칭, 유아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놀이치료 등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on child anxiety and determine whether mother-child attach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 anxiet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others of children aged 5 to 6. The data from a final sample of 280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software and Model 1 from PROCESS Macro 3.5.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mother-child attachment partial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 anxiety. Examining the specific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moderation effect through graphs, it was found that when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was low, mother-child attachment led to lower child anxiety. However, when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was high, mother-child attachmen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child anxiet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s related to maternal rejection sensitivity, parenting coaching for building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play therapy to alleviate child anxiety.

      • KCI등재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가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 요구에 미치는 구조관계 분석

        정성은(Jung, Sung Eun),김수향(Kim, Soo 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가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 요구에 미치는 각 하위요인을 찾고 이들 변인 간 구조관계를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근본적인 동기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3〜5세의 자녀를 유아교육기관에 취원시키고 있는 전국의 408명의 어머니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13~16일 동안 실시하고 설문자료의 분석은 SPSS 22.0과 AMOS 20.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가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에 미치는 구조관계는 첫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과 기대, 교육기관 요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므로 유아교육기관은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적절한 교육환경 구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는 어머니의 애착과 교육기관 요구를 부분매개 한다. 자녀에 대한 애착이 기대로 기대가 우수한 유아교육기관 교육환경을 요구하는 관계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은 유아의 발달을 고려한 교육환경구축과 함께 유아에 대한 애착을 바탕으로 이들을 충분하게 보호하고 안심할 수 있는 환경 구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each sub-factor of the mother s attachment and expectation to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s educational environment needs, analyze these transformative human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identify the fundamental motivation of the social needs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The study selected 420 mothers across the country who are applying for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to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13 to 16 days of June 2017 and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was made using SPSS 22.0 and AMOS 20.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ttachment and expectation of the mother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firstly, the mother s attachment and expectation to the infant s child, and the demands of the institution vary depending on the age and sex of the infant, so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mposition of th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of the infant. Second, the mother s expectations of her infant child partly reflect the mother s attachment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 s demands. You can see that attachment to children forms a elationship that calls for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high expectations. Therefore,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based on their attachment to infants, fully protects them and provides a safe environment.

      • KCI등재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관계에서 자녀애착에 의해 조절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황영주,김윤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6

        본 연구는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에 의해 조절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신경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5.0과 SPSS PROCESS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장애수용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장애수용을 통한 자녀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하여,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가 안정적인 심리적 안녕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인인 장애수용과 조절변인인 자녀애착 향상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through disabilityacceptance between the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of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vebeen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effects of mothers’ insecureadult attachmen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re have been significantmoderated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psychologicalwell-being. Third, there have been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attachment through disability acceptance in effects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need for intervention through theimprovement of disability acceptance as mediating variables and maternal attachment asmoderating variables for stable psychological well-being.

      •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모성 정체감과 자녀애착에 관한 연구

        정갑선,최정순 한국교류분석학회 2010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자녀가 있는 결혼이민자의 모성 정체감을 파악하고, 자신이 어머니라고 인지하는 모성 정체감이 자녀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베트남 결혼이민자 1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인 특성 중 학력이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자녀에 대한 애착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모성 정체감 수준과 자녀에 대한 애착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모성 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자녀와의 동일시감 요인이 어머니로서 자기정체감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애착 요인에서는 접촉추구에 대한 정서가 가장 높았다. 셋째,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어머니로서 자기정체감이 긍정적일수록 자녀애착이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자녀애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어머니로서의 자기정체감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애선,정여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on the effects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Parenting Anxiety.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Attachment Anxiety Scale, Attachment Avoidance Scale, Parenting Anxiety Scale, Perceived spouse support scale, and self-compassion scale from 349 mothers with children in childhoo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pouse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anxiety was confirm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arenting anxiety. Third, in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parenting anxiety, the perceived double medi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and self-compassion was confirmed. Conclusion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Anxiety,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was prepar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lated to Parenting Anxiety, and counseling to treat Parenting Anxiet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for effective therapeutic hypotheses and interventions in practice.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49명을 대상으로 애착 불안 척도, 애착 회피 척도, 양육 불안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자기자비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의 통계분석은 SPSS 22.0 및 Amos 2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와 양육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애착 불안과 양육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와 자기 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와 양육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자비가 매개역할 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양육 불안과 관련된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증거를 마련하였으며, 양육 불안을 치료하는 상담 실제에서의 효과적인치료적 가설과 개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자녀 어머니의 애착회피와 장애수용과의 관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

        박미하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of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200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and conducted analysis on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attachment avoidance of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relevant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of disability. Secondly, in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posttraumatic growth had joint mediating effects partly. To help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accept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needs to understand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reduce negative emotions related with attachment avoidance as experienced from their children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nhance posttraumatic growth eventually. 본 연구는 장애자녀 어머니의 애착회피와 장애수용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자녀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녀 어머니의 애착회피는 장애수용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부적 영향이 있었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상 후 성장은 장애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회피와 장애수용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은 부분이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장애자녀 어머니의 장애수용을 돕기 위해서는 애착관계를 이해하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자녀에게서 경험하는 애착회피관련 부정정서를 감소시켜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영유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경험이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이은희,김정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Effectsof Family Origin Attachment of Mothers of First Child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on Parenting StressEunhee Lee & Jeonggyu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the family of origi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raising their first child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survey results of 393 mot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Self-soothing abilit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attachment to the family of origi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 in infa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lf-soothing ability can be considered as a mother's psychological resource to cope with parenting stress. Key Words: Mother of First Child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Family Origin Attachment, Parenting Stress, Self-soothing Ability, Mediating Effect 영유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경험이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이 은 희**ㆍ김 정 규***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첫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경험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어머니 393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 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영유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원가족 애착경험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양육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어머니의 심리적 내적 자원으로 자기위로능력을 고려할 수 있겠다. 핵심어: 영유아 첫 자녀를 둔 어머니, 원가족 애착경험, 양육스트레스, 자기위로능력,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11월 6일, 수정일: 2022년 11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본 논문은 주저자의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일부 발췌・수정한 것임. ** 주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Sungshin Univ., Email: heeya13571@gmail.com)*** 교신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ungshin Univ., Email: jkkim3880@daum.net)

      • KCI등재

        어머니에 대한 자녀의 애착과 아동의 공격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부모의 성취압력의 조절효과

        오윤경,장경은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5

        본 연구는 어머니에 대한 자녀의 애착과 아동의 공격행동 간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성취압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2019 한국아동패널조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의 초등학교 5학년 패널 자료 중 12차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 PROCESS Macro (version 4.2)를 사용하여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와의 애착 중 의사소통과 공격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취 압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어머니와의 신뢰감 있는 애착과 공격행동 간의 관계 를 성취압력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머니와의 신뢰감 높은 애착을 형 성하는 것이 아동의 공격행동을 경감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성취압력을 아동의 공격행동 스펙트럼의 잠재적 결정 요인으로 다루는 것 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공격행동 발달의 근본적인 매커니즘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개입 및 지원 방안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their aggressive behavior while also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Data was obtained from the 12th wave of the 2019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cusing on 5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onduct the analysis, SPSS 26.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version 4.2) for moder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achievement pressu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mothers and aggressive behavior. However, it was found that achievement pressur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ing attachment to mothers and aggressive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ming a trusting attachment with moth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s a potential determinant of a child’s spectrum of aggressive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insights into the fundamental mechanisms of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and suggests intervention and support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