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지구, 거제·해금강지구 어류 종조성 계절변화

        노형수(Hyung Soo Noh),권순열(Soonyeol Kwon),이창일(Chang-Il Lee)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지구와 거제·해금강지구에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계절별로 이각망 등으로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상주·금산지구에서 9목 35과 58종, 2,743마리, 68,531.2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개체수에서는 전갱이가 42.1%(1,156마리)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성대가 24.5%(16,823.4g)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거제·해금강지구에서는 10목 27과 48종, 1,779마리, 176,629.9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개체수에서는 전갱이가 24.1%(411마리)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뱅에돔이 25.4%(44,839.4g)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개체수와 생체량의 계절별 변화는 수온과 관련성이 있으며, 여름과 가을철이 겨울보다 개체수와 생체량이 높았다. 상주·금산지구와 거제·해금강지구에서의 어류의 종조성은 회유성 어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from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angju · Gumsan and Geoje · Haegumkang reg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ere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fyke net etc. from May, 2012 to February, 2013. In this survey 9 order, 35 families, 58 species (2,743 individuals, 68,531.2 g) were collected in Sangju · Gumsan region. Of them Trachurus japonicus occupied 43.2% of total individuals and Chelidonichthys spinosus occupied 24.5% of whole biomass. In Geoje · Haegumkang region 10 order, 27 families, 48 species (1,779 individuals, 176,629.6 g) were collected. Of them Trachurus japonicus occupied 23.1% of total individuals and girella punctata occupied 25.4% of whole biomas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r in summer and autumn than in winter, and the seasonal variation may be related to the water temperature.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as affected by a migratory fish in Sangju · Gumsan and Geoje · Haegeumkang region.

      • KCI등재

        관평천 개발에 따른 장기간 어류 생태적 특성 변화 및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오자윤,이상재,안광국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4

        This study investigated a long-term variation trend of water quality, fish compositions, and ecological health conditions in the Gwanpyeong stream located in the nearby Daejeon metropolitan cit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on the aquatic ecosystem. The sampling was made in four surveys (2009, 2010, 2016, 2019) before and after urbanization. The urban development was conducted in 2008, resulting in the stream's ecological disturbance, and the stream restoration was conducted in 2012. Thus, stream monitoring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cological trends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on. The multi-metric models for Fish Assessment Index(FAI) and 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HAI) were applied in the fish community and organ–level, respectively, to assess the ecological health of the stream. Minimum turbidity and chlorophyll-a(Chl-a) occurred in the mid-stream(St. 2), and this was probably due to rapid current velocity in the riffle zone. We collected 18 fish species,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40.6%). In 2016 immediately after the stream restoration, the relative proportions of sensitive species and insectivore species were the highest along with highest values in the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index, resulting in the best condition in the ecological health, based on FAI model values. However, the ecological health, based on the FAI, became worse in the latest survey conducted in 2019. The analysis of the HAI model based on the organ-level approach showed skin erosion in the fish of upper stream, kidney defects in downstream, and the liver and gill defects observed in all sites, indicating that the anatomical health was also affected. 본 연구에서는 2009–2019년 기간 동안 대전시 외곽의 도심개발에 따른 인근 하천(관평천)의 상류, 중류, 하류의 구간에서4회 조사(2009, 2010, 2016, 2019)를 통해 이화학적 수질, 어류 종 조성, 생태 건강성 특성에 대해 장기간 변화추이를분석하였다. 본 하천지역에서 도심개발은 2008년에 이루어졌고, 2012년에는 하천복원사업이 수행되어 하천복원 전과 후의특성변화 추이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천 생태건강도 평가를 위해 군집수준의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를이용하였고, 어류의 기관(Organ) 수준에서 해부학적 건강도(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I)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에서는 중류(St. 2)에서 가장 낮은 탁도와 엽록소(Chl-a)가 측정되었다. 이는 빠른 유속에 의한물리적 요인 때문으로 나타났다. 어류 조사에서는 총 18종이 채집되었고, 피라미(Zacco platypus)가 가장 우점 하는 종(40.6%)으로 나타났다. 하천복원 직후(2016)에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과 충식종(Insectivore species)이 우점, 종 다양도 및 종 풍부도 지수 상승, 생태건강도 지수(FAI)가 상승하여 생태 건강도는 “최상상태(A: 87.5)”로 나타났으나 가장최근 조사인 2019년에는 전 기간에 비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Organ) 분석에 의거한 해부학적 건강도 지수(HAI) 분석에 따르면, 피부손상(Skin)은 상류에서, 신장 손상(Kidney)은 하류 역에서 나타났고, 간(Liver)과 아가미(Gill)의 손상은모든 지점에서 나타나 해부학적 측면의 건강도에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제주도 남부 사계리 연안에서 삼중자망으로 어획된 어류군집 변화

        고준철,김보연,한송헌,김민선,곽정현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4 수산해양기술연구 Vol.60 No.2

        A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ri, southern Jeju Island was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trammel net from 2012 to 2022. The total fish species caught by trammel net were identified 88 species, 46 families, 12 orders, and the number of appearance and biomass were 3,479 individuals and 883.6 kg. The annual variation of species was the highest in 2013 at 46 species and the lowest in 2021 at 30 species. The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was higher in summer at 67 species and lower in winter, autumn at 47 species. The annual diversity index, evenness index, and richness index were appeared 2.42-3.00, 0.69-0.78 and 5.18-7.24 at each years. The dominance index appeared highest in 2013 and the lowest in 2018.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fish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at the dissimilarity level of 57%, and results of SIMPROF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among the two groups. The subtropical fishes were identified a total of 42 species (47.7%) an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2013 at 25 (54.3%) species and lower in 2018 and 2021 at each 17 (54.8~56.7%)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of subtropical fishes were appeared rabbit fish (Siganus fuscescens), scarbreast tuskfish (Choerodon azurio), bluestriped angelfish (Chaetodontoplus septentrionalis), balloon fish (Diodon holocanthus), and flag fish (Goniistius zonatus) at study sites. 제주도 남부 사계리 연안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군집구조와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삼중자망을 이용하여 어획물 종조성 및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온은 2012년 대비 2022년에 0.8℃ 상승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2목 46과 88종이 어획되었으며 쏨뱅이목 (5과 22종), 농어목 (22과 48종) 어종이 전체 어획종의 61%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기별 어획종수는 고수온기인 8월에 67종으로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저수온기인 2월과 11월에 47종으로 가장 적게 어획되었다. 시기별 어획 개체수와 생체량은 8월에 1,134개체, 269.2kg으로 가장 높았으며, 11월에 725개체, 152.6kg으로 낮았다. 연도별 종다양도(H’), 균등도(E’) 및 풍부도(R) 지수의 범위는 각각 2.42∼3.00, 0.69∼0.78, 5.18∼7.24로 2018년에 낮고, 2013년에 높게 나타났다. 아열성 어류는 총 42종, 출현율 47.7%로 나타났으며, 년도별 어획종수는 2013년에 25종(54.3%)으로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2018, 2021년에 17종(54.8∼56.7%) 가장 적었다. 조사해역에서 어획된 아열대성 어류의 주요 우점종은 독가시치, 호박돔, 청줄돔, 가시복, 아홉동가리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제주도 북부 북촌리 연안에서 어획된 어류군집의 장기변화(2012∼2022)

        고준철,김보연,한송헌,김민선,곽정현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3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9 No.4

        제주도 북부 북촌리 연안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군집구조와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삼중자망을 이용하여 어획물 종조성 및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연도별 평균 수온, 염분은 각각 17.4℃, 33.1 (2012), 18.1℃, 33.6 (2013), 18.6℃, 33.4 (2014), 17.7℃, 32.2 (2015), 17.6℃, 33.5 (2016), 19.4℃, 33.8 (2017), 18.1℃, 34.0 (2018), 18.8℃, 33.4 (2019) 18.6℃, 33.5 (2020), 19.0℃, 33.4 (2021), 17.8℃, 33.6 (2022) 로 수온의 경우 2012년 대비 2022년에 0.4℃ 상승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5목 53과 95종이 어획되었으며 쏨뱅이목 (5과 22종), 농어목 (25과 39종) 어종이 전체 어획종의 73%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기별 어획종수는 고수온기인 8월에 66종으로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저수온기인 2월과 11월에 45종으로 가장 적게 어획되었다. 시기별 어획 개체수와 생체량은 8월에 1,238개체, 280.1kg으로 가장 높았으며, 2월에 597개체, 155.4kg으로 낮았다. 연도별 종다양도 (H’), 균등도 (E’) 및 풍부도 (R) 지수의 범위는 각각 2.11∼2.80, 0.64∼0.80, 4.70∼7.34로 2017년에 낮고, 2014, 2021년에 높게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은 쏨뱅이, 범돔, 쥐치, 독가시치, 아홉동가리, 졸복, 참돔 등으로 이 어종들은 계절에 상관없이 조사해역 내에서 우점 출현하고 있었다. 조사기간 동안 아열성 어류는 총 38종, 출현율 40.0%로 나타났으며, 년도별 어획종수는 2022년에 22종으로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2015∼2017년에 10종으로 가장 적었다. 조사해역에서 어획된 아열대성 어류의 주요 우점종은 독가시치, 거북복, 긴꼬리벵에돔, 아홉동가리, 범돔, 강담돔, 청줄돔 등으로 나타났다. Long term variations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 Bukchon-ri were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trammel net from 2012 to 2022. Water temperature increased by 0.4℃ in 2022 that was less then 2012.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95 species (53 families and 15 orders) of fishes were identified, Scorpaeniformes (five families and 22 species) and Perciformes (25 families and 39 species) accounted for 73% of the total number.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summer than winter, showing a peak in summer at 66 species and lower in winter and autumn at 45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biomass peaked in summer at 1,238 individuals and 280.1 kg, and were the lowest in autumn at 597 individuals and 155.4 kg. The annual diversity index, evenness index and richness index were appeared 2.11-2.80, 0.64-0.80 and 4.70-7.34 at each years. The dominance index were appeared highest in 2014 while 2021 were appeared the lowest in 2017. The subtropical fishes were identified total of 38 species (40.0%) an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2022 at 22 (52.4%) species and lower in 2015-2017 at each 10 (31.3-37.0%)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of subtropical fishes were appeared rabbit fish (Siganus fuscescens), boxfish (Ostracion immaculatus), smallscale blackfish (Girella melanichthys), flag fish (Goniistius zonatus), stripey (Microcanthus strigatus), rock porgy (Oplegnathus punctatus), and bluestriped angelfish (Chaetodontoplus septentrionalis) in study sites.

      • KCI등재

        가막만 모자반 군락지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윤호섭,안윤근,최상덕,Yoon, Ho-Seop,An, Yun-Keun,Choi, Sang-Duk 해양환경안전학회 201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7 No.1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Sargassum beds in Gamak Bay was determined using fish samples collected monthly by a surrounding net from October 2008 to September 2009. A total of 21 species, 582 individuals and 5,345.1 g of fish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and Perciformes accounted for 47.6 %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akifugu niphobles, Engraulis japonicus and Lateolabrax japonicus predominated in number, accounting for 55 %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Higher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ccurred in June and in September-October. Species were grouped into three by cluster analysis: A) dominant species such as Leiognathus nuchalis and Takifugu niphobles, B) fish collected mainly in spring such as Sebastes inermis, Chaenogobius heptacanthus, Pterogobius zonoleucus, Pholis nebulosa, and Trachyrhamphus serratus, and C) fish collected mainly in autumn such as Engraulis japonicus, Lateolabrax japonicus, and Hyporhamphus sajori. 가막만 모자반 군락에서 2008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월별로 두릿그물로 어류를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1종 582 개체, 5,34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한 어종 중 복섬(Takifugu niphobles),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농어(Lateolabrax japonicus)가 전체 개체수의 55 %를 차지하였다. 12월과 1월에는 어류가 채집되지 않았고, 봄에 수온이 상승하며 증가하여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6월에 높았고, 7월과 8월에는 감소하였으나, 9월과 10월에는 높은 값을 보였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분석한 결과 3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A 그룹에는 출현기간이 비교적 긴 우점종인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와 복섬(Takifugu niphobles)이, B 그룹에는 봄에 주로 출현한 볼락(Sebastes inermis), 살망둑(Chaenogobius heptacanthus), 흰줄망둑(Pterogobius zonoleucu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거물가시치(Trachyrhamphus serratus), C 그룹에는 가을에 주로 출현한 멸치(Engraulis japonicu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학공치(Hyporhamphus sajori)가 포함되었다.

      • KCI등재

        한국 남해안(여수, 남해, 통영) 연안해역 춘·하계 어류 자치어 분포 특성

        최희찬,유만호,윤석현,오현주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6

        한국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춘·하계 어류 자치어 군집의 조성과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남해 의 세 해역(여수, 남해, 통영)에서 RN80 네트를 이용해 매월 1회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0개 분류군의 자치어가 채집되었고, 이 중 멸치가 전체 출현 개체수의 56.8 %로 가장 우점하였으며, 청보리멸, 청베도라치, 망둑어과 타입A, 청베도라치과, 앞동갈베도라치 등이 각각 2% 이상의 개체수비를 보여 우점하였으며, 이상 6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 자치어의 87.5%를 차지하였다. ANOSIM 결과 해역 간에 자치어 조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이러한 자치어 군집의 시기적 변동은 주로 수온 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onthly samples were taken using an RN80 net which was towed horizontally in three different regions (Yeosu, Namhae and Tongyoung) between May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fifty taxa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Among these, Engrauli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56.8 % of the total population,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Sillago japonicus, Parablennius yatabei, Gobiidae Type A, Parablennidae sp., and Omobranchus elegans as dominant taxa, that accounted for 87.5%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OSIM results revealed that regional groups were not separated, but seasonal groups were clearly divid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se differences were caused mainly by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identified by canonic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