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곰소만 어촌의 어로활동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1970년대 이후 어업의 변화를 중심으로

        조숙정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23 No.2

        This paper examines fishery changes of a fishing village in Gomso Bay ethnographically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local fishing from local fishermen’s experience. Firstly this paper describes one-year- period fishing activities. Then the changes of the fishery and the village from 1970’s to the early 2010’s are discussed in three dimensions of fishing area, fishing equipment and technique, and fishing targets. The fishery of the village in the Bay changed greatly in the mid 1970’s, and the depletion of coast marine resources was getting worse. The significant changes are the motorization of fishing boats, the introduction of nylon fishing nets, the development of new species of fish caught, and the expansion into the open sea. It is remarkable th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in the past became functionally the full-time fishing village. 본고는 곰소만 연안어촌의 민족지적 사례를 통해 서해 조기잡이가 쇠퇴 하는 1970년대 이후 어업의 주요 변화를 미시적 관점에서 기술 · 분석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어민들의 입장에서 중요하게 경험된 어로활동의 변화 가 무엇인지를 이해해 보고자 했다. 먼저 조사지 어촌의 1년 주기 어로활동 을 계절별 · 어장별로 기술함으로써, 현재 어민들이 종사하고 있는 어로활 동의 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어민들이 강조하여 설명하는 어업 변 화를 어로공간, 어구어법, 어로대상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본다. 조 사지에서는 1970년대 중반에 어선의 동력화와 나일론그물이 도입되었고 새로운 어장이 개발되는 등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곰소만과 위도 앞바다에 서 1톤급 풍선을 타고 조기 · 갈치 등을 주낙으로 잡던 어민들은 오늘날 1~2 톤급 선외기 어선과 그물·통발로 꽃게·주꾸미 등을 잡는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1980~90년대에 양식어촌과 관광어촌의 기능을 가졌던 조사 지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오히려 어선어업 중심의 순수 어로어촌으로 기능 이 더욱 강화된 양상이다.

      • KCI등재

        교재 분석을 통한 재외동포 학습자 대상 한국어 입문 교재 개발 방향 연구

        이혜민,권문화,이정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2 No.-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KHL) education, particularly highlighting Korean alphabet instruction as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ing.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local community’s language, serving as a bridge for specific individuals, groups, families, and communities. KHL learners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traditionally targeted learners, necessitating tailored educational approaches and customized learning materials. Despite preschool and elementary students comprising over 63% of global Korean language school enrollment in 2019, research on education for this demographic lags behind that for adults. Additionally, existing textbooks often overlook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young learners. This paper pursues the following objectives: 1) Identifying KHL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to integrate them into Korean alphabet instructional materials. 2) Examin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crucial insights in introductory-level textbook development. 3)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ongoing research on Korean alphabet education for KHL learners. Against this backdrop, chapter 2 explores heritage language Korean education, Korean alphabet instruction for child learners, and features specific to Korean language schools. Chapter 3 analyzes 10 selected textbooks, drawing on established criteria to identify and discuss their unique features. This analysis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H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