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중국어 문장의 주어에 대한 두 가지 분석체계와 교육적 고찰

        이은경 한국중국학회 2015 중국학보 Vol.72 No.-

        講授漢語語法時面臨的對句子、對主語的不同分析法的出現起因於硏究者對語法體系的認識和他所持的理論觀點的不同。主語部分-謂語部分的句子分析法是以句子本位的語法體系作爲理論背景的句子成分分析法(中心詞分析法), 而主語-謂語的句子分析法是以句本位語法體系爲理論背景的短語結構分析法(卽層次分析法)。對於前者的分析法存在著這是對印歐語語法分析法的模訪的批評, 也存在著討論對敎學應用的好處的說明。而對後者的分析法, 他們覺得應用與操作有些繁雜, 不適用於敎學語法, 還是比較突出地强調對硏究語法方面的效用和更能體現漢語的特點的分析法, 認爲這是對漢語語法的特點更有說服力。本硏究根據不同的敎學對象和敎學目標, 把我們的對象針對於學習漢語的外國人, 把我們的目標設定爲讓他們更準確的組織和使用漢語的句子, 考察즘마應用什마分析法能구幇助我們達到更好的敎學效果。句子成分分析的觀點認爲這樣的分析法在比較長的句子上操作時簡便和把握中心意義時壹目了然。但根據本文的考察語法敎學的初期有必要讓學生們按照層次分析的觀念練習병應用直接成分分析。讓學生掌握從短語結構到句子結構的層次分析的應用以後, 其實高級水平的學習者才能自然接觸到的比較長、比較復雜的句子, 不用次處處都做層次的分析和理解, 而自然就能조出巨資的中心詞把握住句子的主幹, 進而卽使是線性的描寫和講法也能淸楚句子正確的結構和意思。本文認爲其實起初對層次模糊的話, 不管句子長還是短, 흔難正確地做到中心詞分析要求的조中心詞來分析和了解句子意思的程序。從而這樣的語法敎學對我們終究的學習和應用目標, 卽提高對句子的理解、組織應用能力沒用實質性的幇助。

      • KCI등재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 가능성에 관한 고찰

        정초영,황보규,김성철 해양환경안전학회 201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5 No.5

        본 연구는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어구 및 어법이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터빈과 해저케이블에 미치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서남해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연구 대상 해역으로 설정하여, 주변 국가어항의 선박 현황을 조사하였다. 어선의 현황을 참조하여 22개의 어구 및 어법에 대하여 위험도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전문가를 통해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위험도가 낮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에서도 조업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외줄낚시, 대낚시, 멸치챗배였으며, 위험도가 보통으로서 조업이 가능하기는 하나,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구 및 어법은 바닥주낙, 뜬주낙, 끌낚시, 오징어채낚기, 문어단지, 주꾸미소호, 연안통발, 주목망, 낭장망, 고정자망, 유자망이었다. 위험도가 높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조업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형망, 빔트롤, 건착망류였으며, 위험도가 아주 높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이 허용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안강망, 기선권현망, 오터트롤, 외끌이기선저인망, 쌍끌이기선저인망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fishery in offshore wind farms and evaluate the risk linked to the presence of turbines and submarine cables in these areas. With this objective, we studied an offshore wind farm in the Southwest Sea and the current state of vessels in the surrounding National Fishing Port. The risk assessment criteria for 22 fishing gears and methods were set by referring to the fishing boats; thereafter, the risk was assessed by experts. The fishing gears and methods that could be safely operated (i.e., associated with low risk) in the offshore wind farm were: single-line fishing, jigging, and the anchovy lift net. The risk was normal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but the fishing gears and methods that need attention are: the set long line, drifting long line, troll line, squid rip hook, octopus pot, webfoot octopus pot, coastal fish pot, stow net on stake, winged stow net, stationary gill net, and drift gill net. Moreover, the fishing gears and methods difficult to operate in the offshore wind farm (i.e., associated with high risk) were: the dredge, beam trawl, and purse seine. Finally, those associated with very high risk and that should not be allowed in offshore wind farms were: the stow net, anchovy drag net, otter trawl, Danish seine, and bottom pair traw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해양환경특성에 따른 해저케이블 설치 및 보호방안

        안승환,김동선,Ahn, Seung-Hwan,Kim, Dong-S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1

        일반적으로 해저케이블 보호공법에는 매설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한국 연안역에서는 양식어장이라고 하는 특수한 여건과 조업 선박의 어구어법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호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한국의 해저케이블에 적용되어 있는 보호공법에는 해양의 저질 상태에 따라서 깊이를 달리하는 매설공법, 연속적인 Concrete mattress 공법, 주철관과 U-duct를 이용한 공법, Concrete bag을 쌓는 공법, 돌을 쌓는 Rock berm 공법, Mortar bag을 쌓는 공법 및 FCM (Flexible Concrete Mattress) 공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보호공법은 설치 해역의 해양환경특성과 친환경적인 공법보다는 해저케이블의 위해요소에 대한 안정성만을 고려하여 해저케이블 보호공법을 선정하여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저케이블 위해요소와 수심, 해저질 등의 해양환경특성과 보다 친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해양환경특성별 적정 보호공법을 제시한다. The burial method has been generally used for the protection methods of submarine cable. Especially in Korea, various types of protection methods have been used according to fisheries and fishing implements. In these days, all the protection methods - burial, continuous concrete mattress, cast iron pipes, U-duct, concrete bags, rock berm, mortar bags and FCM(Flexible Concrete Mattress) are applied to the submarine cable, but these methods just focus not on the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and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but on the safety of submarine cable against the external damages. This research presents the protection methods of submarine cable according as the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 external damages, depth of water, seabed condition and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 KCI등재

        옹진군 소청도 미역채취 기술의 다양성과 지속의 함의

        송기태 ( Song¸ Ki-tae ) 남도민속학회 2021 남도민속연구 Vol.43 No.-

        본고에서는 2020년과 2021년 소청도 현지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파악한 미역채취 기술의 다양성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함의를 찾고자 했다. 옹진군 소청도 미역채취 현장에서 파악한 다양한 어구어법을 조간대와 조하대의 기술로 구분하고, 다양한 채취 기술이 지속될 수 있는 이유를 환경적 요인, 생업 관련성, ‘좋은 미역’에 대한 선호 등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관행이 지속될 수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먼저 조간대에서 사용하는 낫의 다양성과 물때에 따른 낫의 사용을 살펴보았다. 소청도에서는 일반 낫과 함께 손잡이가 1m~2.5m까지의 다양한 장낫을 사용한다. 멀리 있는 미역은 장낫을 사용하고 가까운 곳의 미역은 일반 낫을 사용하는데, 단순한 거리 조절이 아니고, 썰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을 고려하여 다양한 낫을 사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썰물이 모두 빠진 후에 작업하는 것이 편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썰물이 빠져나가는 중간 시점부터 작업을 시작해 간조가 되었을 때 작업을 마무리한다. 그래서 작업을 처음 시작할 때는 주로 장낫을 사용하고, 간조가 되면 일반 낫을 사용한다. 조하대의 미역채취로 배를 이용한 방법과 잠수하여 채취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배를 이용할 때에는 물이 많이 빠지는 사리 때 해안가에 정박하여 장낫으로 채취하고, 잠수꾼들도 주로 사리 때 해안가에서 잠수하여 낫으로 물속 미역을 채취한다. 과거 소청도의 남자들은 대부분 잠수꾼이었다는 주민들의 주장에 근거하면, 잠수하여 채취하는 것이 주된 방법이고 신체적으로 잠수를 못할 경우에 배를 이용하여 물속 미역을 채취하는 것이다. 소청도의 미역채취 기술의 다양성이 갖는 함의를 환경적인 조건, 생업을 고려한 채취 시기의 조절, 물속 미역에 대한 선호 등으로 파악하였다. 조간대에서 다양한 장낫을 사용하는 이유는 지형적 조건으로 공간이 한정되기 때문이었다. 소청도 전체 해안에 미역이 서식하지만, 조간대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은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 최대한 많은 양의 미역을 채취하기 위해 바닷물이 모두 빠져나가기 전부터 미역을 채취하는 것이다. 채취 시기가 변화된 정황을 통해 두 가지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재는 5월 말부터 6월 말까지 30일 동안 채취하는데, 과거 잠수꾼이 많던 시절에는 6월 21일~22일에 드는 ‘하지’ 이후 한 달간 채취하였다. 그 이유는 잠수꾼들을 배려하기 위해 채취 시기를 최대한 뒤로 미루는 것이면서, 동시에 보리농사를 마치고 미역 건조장을 확보하기 위함이었다. 끝으로 조간대의 미역보다 물속 미역을 선호함으로 인해 기술의 다양성이 지속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1970년대 제주해녀를 통해 고무옷이 도입되었을 때 소청도에서는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남자들도 착용하고, 여자들도 비로소 잠수를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반응은 서남해와 다른 선택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서남해에서는 고무옷이 등장하면서 남자 잠수꾼들이 자연스레 도태되거나 소멸하기 때문이다. 소청도에서는 현재까지 남자 잠수꾼이 지속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물속 미역을 선호하는 식문화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잠수를 하거나 배를 이용해야 길고 부드러운 물속 미역을 채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조간대에서 장낫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길게 낫을 뻗어 조하대의 미역을 채취하는 데 노력을 기울인다. 결론적으로 물속 미역이 ‘좋은 미역’이라는 선호가 기술의 다양성을 지속하게 하는 문화적 기반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diversity of sea mustard harvesting techniques identified during field investigation in Socheong-do Island in 2020 and 2021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behind the diversity. For this purpose, various fishing methods and gears identified at the sea mustard harvesting site in Socheong-do were divided into intertidal zone techniques and subtidal zone techniques. The reasons why the various harvesting techniques in the island can be continued were identified as environmental factors, relevance to livelihood, and preference for ‘quality sea mustard’. Based on this, the practice could be continued. First, the variety of sickles used in the intertidal zone and the use of different sickles according to the tide time were examined. In Socheong-do, along with general sickles, various long sickles with handles ranging from 1 meter to 2.5 meters are used. A long sickle is used for collecting sea mustard from a distance, and an ordinary sickle is used for collecting sea mustard nearby. Various sickles are used not for the purpose of simple distance control, but from consideration of ebb time. As for sea mustard harvesting method in the subtidal zone, the collection using a boat and the collection by diving were examined. When a boat is used, it is anchored near the shore during the high tide season and long sickles are used for collecting sea mustard. Divers mainly work near the shore during the high tide season to collect sea mustard with sickles. The implications of the diversity of sea mustard harvesting techniques in Socheong-do were identified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djustment of harvesting time in consideration of livelihood, and preference for sea mustard under the water. Sickles of various lengths were used in the intertidal zone because the space was limited due to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Although sea mustard inhabits the entire coast of Socheong-do, only a small portion of the intertidal zone can be used. Therefore, in order to collect as much sea mustard as possible in a limited space, they collect sea mustard before the seawater drains away completely. Observ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the change in the harvesting period confirmed two facts. Currently, sea mustard is collected for 30 days from the end of May to the end of June. In the past when there were many divers, it was collected for a month after the summer solstice, which occurred around June 21-22. The reason was to wait for the water temperature to rise in consideration of divers, and at the same time to secure a space for drying seaweed after finishing barley farming. Lastly, the diversity of harvesting techniques is maintained due to the preference for sea mustard under the water over sea mustard in the intertidal zone. When wetsuits were introduced through Jeju haenyeo (female divers) in the 1970s, Socheong-do accepted them wholeheartedly, and men wore them, and even women began to dive. This reaction is special in that it is a choice different from that made in the western coast and southern coast because, as wetsuits were introduced i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male divers naturally disappeared. Male divers still exist in Socheon-do,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food culture that favors sea mustard growing under the water. This is because they have to dive or use a boat to collect the long, soft sea mustard that grows under the water. People who use long sickles in the intertidal zone make efforts to extend their sickles and collect sea mustard in the subtidal zon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ference that sea mustard under water is ‘quality sea mustard’ is the cultural basis for various harvesting techniques to continue.

      • KCI등재

        어류와 해서포유류의 포획방법에 대한 연구 – 영남지역 삼한·삼국시대 패총자료를 중심으로 –

        유병일 한국문화유산협회 2012 야외고고학 Vol.0 No.15

        삼한 및 삼국시대 패총과 무덤, 주거지에서 확인된 어로 도구는 어망추, 뼈로 만 든 작살, 찌르개, 낚시 바늘, 철제작살로서 함께 출토된 바다어종과 해서포유류와 밀 접한 연관이 있다. 어망추는 모양과 크기, 무게를 고려할 때 투망과 정치망으로 크게 분류되며, 잡을 수 있는 어종은 정어리, 전갱이, 고등어 등의 바다어종과 일부 담수어 종일 것이다. 뼈와 철로 만든 낚시 바늘을 통해서는 조어법이 가능하며, 관련 부속도 구들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맥낚시와 찌낚시 방법을 구사하였을 것이다. 대상어종은 참 돔, 감성돔, 숭어, 방어, 다랑어, 삼치 등이며, 바늘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대상이 서 로 달랐을 것이다. 작살과 찌르개로는 해서포유류를 자루에 묶은 고정식과 분리방법으 로 강치, 고래, 돌고래 등을 잡을 것이고, 이 방법은 고도로 숙련된 기술과 대상물에 대한 사전지식을 갖추어야만 성공이 가능하므로 취락에서 전문집단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다. 유적에서 바다어종과 해서포유류를 잡는 장소는 대부분 유적 근처에 있는 내만성 바 다이며, 강치, 참돔, 삼치 및 방어, 다랑어, 청새치, 고래, 돌고래 등은 연해까지 진 출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동물은 회유와 회귀습성에 따라 내만으로 들어올 때 잡을 수도 있지만 어로도구와 배모양토기(船形土器), 외래계 유물이 확인되는 것을 보면 연 해까지 진출하여 적극적으로 대상어종과 해서포유류를 확보하였을 것이다. 어로계절 은 노래미, 쏨뱅이와 같은 바닥에 서식하는 어종은 연중가능하며, 나머지 어종들은 여 름~가을에 대부분 잡았을 것이며, 감성돔이나 참돔 등은 초겨울과 초봄에 크기가 매 우 큰 개체들을 잡았을 것이다. 해서포유류는 주로 단백질확보, 가죽과 기름, 생활필 수품, 의식 및 장신구제작 원료를 확보하기 위해 전문 집단이 주축이 되어 잡았을 것이 며, 전문집단의 존재는 바다와 도서가 유적 주변에 산재하고, 실제유물, 강치의 전체 골격출토, 장신구제작 등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강치의 일부부위만 확인되는 바 다 근처의 일부 유적과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산, 경주와 같은 내륙지역에서도 강치의 일부부위가 확인되는 점은 이 집단이 직접 강치를 잡은 것이 아니라 전문 집단 으로 물물교환방식 등의 교류방법으로 확보한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fishing implements found in the shell middens, burials and houses of the Samhan and Three Kingdoms period consist of fishing net sinkers, fish harpoons made of bone, spears, fishing needles, iron fish harpoons, and iron fishing needles, all of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ypes of sea fish and marine mammals that have been identified in association with those implements. Fishing net sinker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shape, size and weight, into those that were attached to fixed nets and those attached to thrown nets. The types of fish that could have been caught using such nets include some types of freshwater fish, and marine fish such as sardines, horse mackerel, and mackerel. Fishing needles made of bones and iron were possibly used in pole-and-line fishing and early fishing, but this cannot be known for certain as related accessory instruments have not yet been confirmed. The types of fish targeted include red sea-bream, black porgy, gray mullet, yellowtail, tuna, and spanish mackerel, etc.; the size and shape the needles used would have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fish targeted. Fish harpoons and spears consisted of the fixed type and detachable type and were used to catch marine mammals such as sea lions, whales, and dolphins. They could have only been successfully used when accompanied by highly drilled skill and preliminary knowledge about the targets, and therefore indicte the presence of professionals within the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archaeological sites, the optimum places to catch marine fish and mammals were mostly inland sea locations; sea lions, red sea-bream, spanish mackerel, yellowtails, tuna, spearfish, whales, and dolphins were caught in the coastal waters. The former could be caught in the inland sea due to their circular, returning habits, but the nature of the fishing implements, as well as the presence of boat-shaped ceramic vessels and foreign artifacts, indicates that target fish and mammals were also caught in the coastal waters. Fish that resided on the seafloor, such as rock trout and scorpion fish, would have been caught all year round, and the rest would have been caught mostly from summer to fall. Black porgy and red sea-bream of considerable size could have been caught in the early winter and early spring. Marine mammals would have been caught, by professional groups, mostly to obtain protein, skin and oil, daily necessities, and raw materials for rituals and accessories. The existence of professional groups can be assumed based on the maritime location of the sites, artifacts, the remains of an entire sea lion, and the production of accessories. Moreover, the fact that parts of sea lions were found at inland sites (such as Gyeongsan and Gyeongju), as well as near the sea,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sea lions were obtained through exchange – for example, through a bartering system, with professional catching communities.

      • KCI등재

        곰소만 어촌의 어로활동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1970년대 이후 어업의 변화를 중심으로

        조숙정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23 No.2

        This paper examines fishery changes of a fishing village in Gomso Bay ethnographically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local fishing from local fishermen’s experience. Firstly this paper describes one-year- period fishing activities. Then the changes of the fishery and the village from 1970’s to the early 2010’s are discussed in three dimensions of fishing area, fishing equipment and technique, and fishing targets. The fishery of the village in the Bay changed greatly in the mid 1970’s, and the depletion of coast marine resources was getting worse. The significant changes are the motorization of fishing boats, the introduction of nylon fishing nets, the development of new species of fish caught, and the expansion into the open sea. It is remarkable th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in the past became functionally the full-time fishing village. 본고는 곰소만 연안어촌의 민족지적 사례를 통해 서해 조기잡이가 쇠퇴 하는 1970년대 이후 어업의 주요 변화를 미시적 관점에서 기술 · 분석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어민들의 입장에서 중요하게 경험된 어로활동의 변화 가 무엇인지를 이해해 보고자 했다. 먼저 조사지 어촌의 1년 주기 어로활동 을 계절별 · 어장별로 기술함으로써, 현재 어민들이 종사하고 있는 어로활 동의 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어민들이 강조하여 설명하는 어업 변 화를 어로공간, 어구어법, 어로대상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본다. 조 사지에서는 1970년대 중반에 어선의 동력화와 나일론그물이 도입되었고 새로운 어장이 개발되는 등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곰소만과 위도 앞바다에 서 1톤급 풍선을 타고 조기 · 갈치 등을 주낙으로 잡던 어민들은 오늘날 1~2 톤급 선외기 어선과 그물·통발로 꽃게·주꾸미 등을 잡는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1980~90년대에 양식어촌과 관광어촌의 기능을 가졌던 조사 지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오히려 어선어업 중심의 순수 어로어촌으로 기능 이 더욱 강화된 양상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