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ㆍ고교 양궁 지도자와 선수간의 상호작용이 선수의 운동만족, 신뢰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홍길동(Kil-Dong Hong),김경식(Kyong-Sik Kim),배기열(Ki-Yeol Bae)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중ㆍ고교 양궁 지도자와 선수간의 상호작용이 선수의 운동만족, 신뢰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와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7년도에 개최된 문화관광부장 관기와 화랑기 전국 양궁선수권대회에 참여한 중ㆍ고교 양궁선수를 모집단으로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 220명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의 알파값과 공변량구조분석의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였다. 신뢰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위해 SPSSWIN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위하여 AMOS 5.0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궁 지도자와 선수간의 상호작용은 선수의 운동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양궁 지도자가 선수와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선수의 운동만 족은 높아진다. 둘째, 양궁 지도자와 선수간의 상호작용은 지도자에 대한 선수의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즉, 양궁 지도자와 선수간의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지도자에 대한 선수의 신뢰는 높다. 셋째, 양궁 지도자와 선수간의 상호작용은 선수의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양궁 선수의 운동만족은 지도자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즉, 양궁 선수의 운동만족이 높을수록 지도자에 대한 신뢰는 높다. 다섯째, 양궁 선수의 운동만족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섯째, 양궁 지도자에 대한 선수의 신뢰는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친다. 즉, 양궁 지도자에 대한 선수의 신뢰가 높을수록 운동은 지속된다. 결국 중ㆍ고교 양궁 지도자와 선수간의 상호작용은 운동만족과 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운동만족과 신뢰를 통하여 운동지속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운동만족과 신뢰가 상호작용과 운동지속의 관계를 강화시켜 주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archery trainers and players to the exercise satisfaction, trust and adher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a theoretical model through theory trimming.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some of the archery trainers and players participated in korea archery championship in 2007 were selected as a collected group. Total 220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rchery trainers and player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a brochure named ‘the survey on the interaction, exercise satisfaction, adherence, Tru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ronbach' α was calculated to check up the reliability and was .661~.855.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EM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archery trainers and players influences on the exercise satisfaction. More interaction gives the players more exercise satisfaction.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archery trainers and players influences on the trust for trainers. More interaction makes the more trust.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archery trainers and players did not influences on the exercise adherence. Fourth, the exercise satisfaction influences on the trust for trainers. More exercise satisfaction makes the more trust. Firth, the exercise satisfaction did not influences on the exercise adherence. Sixth, the trust influences on the exercise adherence.

      • KCI등재

        1960년대 양궁(洋弓)대회 참가를 둘러싼일본 궁도(弓道)계의 양상 ‒잡지 『弓道』와 참가자들의 대담 내용을 중심으로‒

        이헌정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In this study, focus on 1967, Junji Miyata, a Kyudo player that participated in the Amersfoort International Archery Competition as a traditional Japanese bow. And analyzed talking that the player by Junji Miyata and supervisor by Hosoi Hidehiko. First, Hosoi and Miyata did not readily accept that archery was going to the archery competition. Because that Kyudo and archery were thought t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rules and competition rules. However, in Miyata, a considerable sense of challenge was demonstrated and actively engaged. As a result of the report prepared by Miyata after the contest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t the time, Miyata did not think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archery competition was simply a one-time event, and ordered development through scientific analysis. However, in 1968, the All Nippon Kyudo Federation withdrew completely from the archery and concentrated on archery as a tradition. No longer kyudo will go to the archery competition. Ultimately, the transformation of archery as an international game ended in a single attempt, but this series of events means that, at least at the stage of 1967, the archery is not merely an image of tradition.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ies of modern sports. When we look at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flow of postwar Kyudo was not simply a process of restoring, maintain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It is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archery’s identity and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1967년 일본의 궁도 선수인 미야타 준지가 아메르스포르트 국제양궁대회에 일본의 전통 활로 참가한 것에 착목하여 당시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인 미야타 준지(宮田純治)와 감독을 맡았던 호소이 히데히코(細井英彦)의 대담을 분석하였다. 호소이와 미야타는 모두 궁도가 양궁시합에 나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궁도와 양궁은 도구의 발달 방식과 경기규칙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야타가 대회 후에 작성한 보고서와 당시에 발간된 신문 기사들 또한 함께 본 결과, 호소이와 미야타는 궁도의 양궁대회에 참가에 대한 입장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미야타는 양궁대회의 참가가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 아닌, 양궁과의 대등한 경기를 위해 궁구와 사법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개발을 주문하기도 하였으며 호소이 또한 참가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으나 이후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양궁 종목이 나왔을 때의 전궁련의 반응과 무관하지 않았다. 전궁련은 궁도의 양궁대회 참가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 궁도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68년, 전일본궁도연맹은 양궁으로부터 완전히 철수하여 전통으로서의 궁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더 이상 궁도가 양궁대회에 나가는 일은 없게 된 것이다. 이를 보았을 때 전후 일본궁도의 흐름은 단순히 전통을 복원・유지하고 계승해가는 과정이 아닌, 궁도의 정체성과 발전의 방향을 정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양궁(洋弓)대회 참가를 둘러싼 일본 궁도(弓道)계의 양상 -잡지 『弓道』와 참가자들의 대담 내용을 중심으로-

        이헌정 ( Lee Heon-jung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본 연구에서는 1967년 일본의 궁도 선수인 미야타 준지가 아메르스포르트 국제양궁대회에 일본의 전통 활로 참가한 것에 착목하여 당시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인 미야타 준지(宮田純治)와 감독을 맡았던 호소이 히데히코(細井英彦)의 대담을 분석하였다. 호소이와 미야타는 모두 궁도가 양궁시합에 나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궁도와 양궁은 도구의 발달 방식과 경기규칙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야타가 대회 후에 작성한 보고서와 당시에 발간된 신문 기사들 또한 함께 본 결과, 호소이와 미야타는 궁도의 양궁대회에 참가에 대한 입장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미야타는 양궁대회의 참가가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 아닌, 양궁과의 대등한 경기를 위해 궁구와 사법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개발을 주문하기도 하였으며 호소이 또한 참가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으나 이후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양궁 종목이 나왔을 때의 전궁련의 반응과 무관하지 않았다. 전궁련은 궁도의 양궁대회 참가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 궁도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68년, 전일본궁도연맹은 양궁으로부터 완전히 철수하여 전통으로서의 궁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더 이상 궁도가 양궁대회에 나가는 일은 없게 된 것이다. 이를 보았을 때 전후 일본궁도의 흐름은 단순히 전통을 복원·유지하고 계승해가는 과정이 아닌, 궁도의 정체성과 발전의 방향을 정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focus on 1967, Junji Miyata, a Kyudo player that participated in the Amersfoort International Archery Competition as a traditional Japanese bow. And analyzed talking that the player by Junji Miyata and supervisor by Hosoi Hidehiko. First, Hosoi and Miyata did not readily accept that archery was going to the archery competition. Because that Kyudo and archery were thought t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rules and competition rules. However, in Miyata, a considerable sense of challenge was demonstrated and actively engaged. As a result of the report prepared by Miyata after the contest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t the time, Miyata did not think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archery competition was simply a one-time event, and ordered development through scientific analysis. However, in 1968, the All Nippon Kyudo Federation withdrew completely from the archery and concentrated on archery as a tradition. No longer kyudo will go to the archery competition. Ultimately, the transformation of archery as an international game ended in a single attempt, but this series of events means that, at least at the stage of 1967, the archery is not merely an image of tradition.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ies of modern sports. When we look at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flow of postwar Kyudo was not simply a process of restoring, maintain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It is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archery’s identity and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

        박재영(JaeyoungPark),김병준(ByoungjunKim),김영숙(YoungsookKim)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는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수 양궁선수와 비우수 양궁선수의 차이를 검증하고,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에 대한 심층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한양궁협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고등부, 대학부, 실업팀 양궁선수 233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양궁선수 5명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 질문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양적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는 귀납적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각도검증에 의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성별과 소속팀별 강점 인식 및 강점 활용수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전과 단체전 입상경력이 있는 선수들이 입상경력이 없는 선수들에 비해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을 더욱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은 긍정적 경기 운영 능력 및 긍정적 심리 요인과 같은 자신의 강점을 명확하게 인식하였으며, 이를 활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스포츠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반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선수 및 지도자뿐만 아니라 스포츠심리상 담사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of elite archers. Research participants for survey were 233 archers of high-school, college, and professional levels. 5 archery Olympic medalist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8.0 program.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validity of results were examined by triangu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according to gender and level. Secondly, elite archers, who experienced in achieving medals at individual and team competitions, illustrated higher level of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compared to non-elite archers. Thirdly, Olympic medalists perceived their strengths, such as positive competition manage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Furthermore, Olympic medalists used their strengths in competition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sport psychology counseling program of strength approach for athletes, coaches, and sport psychologists.

      • KCI등재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홍길동(Kil-Dong Hong),임태희(Tae-Hui Lim),고용주(Young-Ju Ko)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7년도에 개최된 전국 중ㆍ고 양궁선수권대회에 참여한 양궁팀의 지도자 113명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본 추출하였다. 측정도구는 Hewitt & Flett(1991)가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를 임태희(2005)가 한국적 문화와 정서에 맞도록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와 조만태(1998)가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척도로 각각 5점 척도와 7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 13.0 for Windo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궁 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은 개인완벽, 타인완벽, 사회완벽 요인 순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여건스트레스,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 지원체계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 요인 중에서 개인완벽 요인은 직무여건스트레스,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와, 타인완벽 요인은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궁지도자의 개인완벽주의 성향 요인은 직무여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완벽과 타인완벽주의 성향 요인은 시합스트레스와 직무부하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of archery train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3 archery trainers who worked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s archery teams. Some of the archery trainers who participated in korea archery championship for junior in 2007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developed by Hewitt and Flett(1991) which was revised by Lim(2005) into Korean and The Job Stress Scale developed by Jo(1998). Responses were made on 5-point and 7-point scale.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elf perfectionism, person perfectionism, social perfectionism highly on the perfectionism of archery trainers and job condition stress, game stress, job load stress, support system stress, interpersonalrelation stress highly on the job stres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job condition stress, game stress, job load stress and self perfectionism, between the game stress, job load stress and person perfectionism. Third, self perfectionism affect on job condition stress and self and person perfectionism affect on game stress, job load stress.

      • KCI등재

        양궁선수의 지도자 믿음이 그릿과 훈련만족에 미치는 영향

        기보배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rchery players' leadership beliefs affect grit and training satisfaction.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5 athletes of university student directors registered with the Korea Archery Association. Data collection used a questionnaire, an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Results: Firs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archery player's leadership faith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in part.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leader belief, intimacy, training composition, guidance method, and exercise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grit, effort persistence. In addition, intimacy, fairness, training composition, guidance method, and exercise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est continuity, and intimacy, training composition, and guidance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situational adaptability. Second, archery players' leadership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training satisfaction in part.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leader belief, intimacy, fairness, and athletic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leader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trai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training compos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aining environment, fairness, training compos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evaluation, and training methods and athletic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improve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related to archery players and archery leaders will be conducted. 목적: 본 연구는 양궁선수의 지도자 믿음이 그릿과 훈련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대한양궁협회에 등록된 대학생 이상의 선수 215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양궁선수의 지도자 믿음은 그릿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지도자 믿음의 하위 요인 중 친밀도, 훈련 구성, 지도 방법, 운동 능력은 그릿의 하위 요인인 노력 지속성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친밀도, 공정성, 훈련 구성, 지도 방법, 운동 능력은 흥미 지속성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쳤으며, 친밀도, 훈련 구성, 지도 방법은 상황 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양궁선수의지도자 믿음은 훈련 만족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지도자 믿음의 하위 요인 중 친밀도, 공정성, 운동 능력은 훈련 만족의 하위 요인인 지도자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훈련 구성은 훈련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공정성, 훈련 구성은 기능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훈련 방법, 운동 능력은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궁선수 및 양궁지도자와 관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심박수 바이오피드백기법을 활용한 국가대표 후보 양궁선수의 각성조절훈련 효과 분석

        홍성택(Seong-Taek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국가대표 후보 여자양궁선수 3명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심박수 바이오피드백기법을 활용한 각성조절훈련을 양궁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동시에 경기수행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훈련 프로그램은 국내?외 문헌 분석과 스포츠심리전문가 1인, 양궁 지도자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회의를 통해 최종 선정되었다. 세부 내용으로는 기초이론교육, 호흡조절법, 점진적 이완기법, 심박수 바이오피드백기법, 인지재구성, 루틴 등이며, 총 24주의 훈련기간을 기초훈련단계, 숙련 1 훈련단계, 숙련 2 훈련단계, 실전훈련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심박수 바이오피드백훈련기기는 (주)스포닉스에서 개발한 심박수 측정기기(XCOACH)를 사용하였다. 훈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쟁상태불안검사지, 국내양궁대회에서의 성적 및 기록, 선수 관찰 및 면담과 선수 자기평가 등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분석된 결과, 인지적 상태불안요인과 신체적 상태불안요인의 평균점수는 낮아졌으며, 자신감요인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양궁대회에서의 성적 및 기록 역시 현저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 관찰, 면담, 자기평가의 분석 결과, 본 훈련에 대한 참여도와 효과 인식도가 매우 높았으며, 훈련에 의해 적용된 각성조절방법을 시합 중에 적극 활용하여 심리적 안정과 최상의 수행력을 발휘하였다. 따라서 심박수 바이오피드백기법을 활용한 각성조절훈련은 양궁선수의 심리기술력과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ousal control training conjugated heart rate biofeedback for national substitute three archery players. The arousal control training programs was develop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3 archery experts and 1 sport psychologist had meetings. The training programs contained as orientation, breathing regulation, progressive relaxation technique, heart rate biofeedback, cognitive restructuring, routine and consisted of 24 weeks. XCOACH was utilized as heart rate biofeedback instrument. The effects was examined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archery score and ranking, observation, interviews and self assessment. As the results, the score of subfactor was improved on somatic state anxiety,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elf-confidence. As the results of observation, interviews and self assessment, the ability of arousal control was enhanced by using effective psychological skills conjugated heart rate biofeedback.

      • KCI등재

        한국양궁의 저력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이성진,홍성택,박서령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9 코칭능력개발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스포츠 종목이 30년 이상 세계 정상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힘을 ‘저력’이라 명명하고, 한국 양궁 종목에서 저력의 구성 요인이 무엇인지 탐구해보고자 연구참여자들의 답변을 범주화/구조화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장기적 관점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여, 한국 양궁 국가대표팀의 운영 시스템 개선과 균형적인 발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양궁 국가대표팀에서 선수(n=10)와 지도자(n=5)로 활동한 바 있는 연구참여자를 유목적적 표집하고 반구조화 질문지를 적용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양궁의 저력은 어디에서 오는지에 대한 답변을 분석해보면, 첫째, 선수 차원으로는 한국 양궁선수들은 어린 시절부터 전문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탄탄한 기본기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실전 경험을 하고 정신력이 강하다는 점을꼽았다. 둘째, 지도자 차원으로는 엘리트 선수 경험을 통한 우수한 지도력과 전략 개발 노력, 커뮤니케이션 노력이 있었다. 셋째, 시스템 차원으로는 체계적인 훈련 시스템과 독자적인 훈련 방식, 과학적인 멘탈코칭이 저력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환경지원 차원으로는 협회의 행정 지원 능력과 후원사의 장비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양궁의 발전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에대한 답변을 분석해보면, 첫째,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것을 강조하고 둘째, 심리기술훈련에 초점이맞추어져 있는 스포츠과학 지원을 재활, 영양 등으로 다양화 시켰으면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셋째, 유소년 시스템을 점검하고 어린선수들이 우수한 성인 선수로 성장하기까지 다방면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넷째, 개인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좀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이론 교육이 시행되기를 희망하였다.

      • KCI등재

        우수양궁 선수의 심상특성에 관한 질적분석

        이서기 ( Seo Gi Lee ),김은숙 ( Eun Sug Kim ),김성옥 ( Seong Ok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3

        연구 목적은 우수 양궁선수들의 심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 1에서는 고교선수 57명, 대학선수 25명, 일반 실업 선수 14명 등 총 96명을 대상으로 심상과 관련된 내용을 수집하고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를 토대로 8명의 우수 양궁 선수들을 심층 면접하여 심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고교 394 사례, 대학 117 사례, 실업 73 사례의 원자료 중 중복되거나 유사한 상황을 제외한 93개의 원자료를 채택하고, 이를 심상 시점과 장소, 심상 방법, 심상 내용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2의 결과, 우수 양궁선수들은 주로 연습상황에서 심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식적인 심상훈련을 받은 적은 없지만 선수생활을 통해 쌓아온 자신의 경험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적으로 보이는 겉자세 보다는 속자세를 강조하고, 호흡, 시각, 운동감각을 활용하여 심상을 한다고 진술하였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장점만을 생각하는 긍정적인 심상을 했으며 양궁선수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자신감을 꼽았다. 심상의 선명도는 그다지 뛰어나지 않았으며 심상의 선명도 자체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이들은 평소 연습 시에 많은 반복 연습을 통해서 자신의 속자세에 대한 명확한 단서를 확립했으며, 시합 시에는 그 느낌을 그대로 유지하여 자동화된 몰입으로 수행을 했기 때문에 심상이나 중재전략 없이 시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방형질문지의 결과와 우수양궁선수들의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양궁 심상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ry trait of the Elite Archers. first,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sked 57 high school, 25 university and 14 professional archery athletes. Imagery-related data for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then their contents were analyzed inductively. According to the suggestion of validity committee, only 93 cases were adopted among 394 high school, 117 university and 73 professional cases except similar or repeated ones. Based on the results of validity committee, raw data were categorized into when, where, what, how. second, 8 elite archer participate the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howed that elite archery athletes have rarely participated in formal mental training programs but they used their knowledge gained by experience, and that they put more focus on their feeling during their usual practice and internal posture than on external posture. Therefore internal Imagery can be said to be utilized. Relaxation is often regarded as a prerequisite for Imagery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thletes used progressive relaxation techniques a little, not so much. But they always imagined positive image and considered confidence image is the most important quality they must have. They didn`t have great vividness of Imagery. Some did but others not. They didn`t pay much attention to the vividness itself. Athletes established their own sense of the internal posture through their usual practice and repetition and keep the feeling in a competition and perform automatically without any Imagery or intervention. We are discussed about the different results between non elite archers and elite archers. Finally we proposed imagery research for archery field.

      • KCI등재

        경두개 직류전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이 엘리트 양궁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은국,유진영,김진호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경두개직류전류자극(tDCS)을 엘리트 양궁선수들에게 적용하여 집중력 향상과 그로 인한 경기력 향상에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대학교에 입학하여 훈련 중인 양궁 종목의 엘리트 운동선수(N=17)를 두 집단으 로 무작위 배정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고, 교차 연구 모델(cross design)을 통해 효과 상쇄 기간 후 각 집단을 교차하여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tDCS 처치 집단 17명과 Sham 처치 집단 17명을 평가하였다. tDCS 처치 집단에는 왼쪽 이마 눈썹위쪽(좌측 전두엽피질, FP1)에 양극 전극기를 부착하였고, 음극 전극기는 반대쪽 어깨에 부착하여 2mA 의 전류를 20분간 2주동안 3회 처치하였다. Sham 처치 집단은 tDCS 처치 집단과 같은 위치에 전극기를 부착하고 처음 40초만 전류를 흐르게 하였다. 경기력 향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10발에 대한 양궁점수를 측정하였고, 집중력을 확 인하기 위해 한국형 스포츠 심리기술 질문지 (PSQS)를 구성하는 문항 중 집중력과 관련된 항목을 선별하여 사용하였 으며, 양궁 수행능력의 개선 및 악화와 관련된 주관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GRC scale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양궁 점수의 경기기록과 집중력은 tDCS 처치 집단과 Sham 처치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고, 집단 내에서 처치 시기간의 변화 도 차이가 없었으며, 집단 및 시기에 대한 상호작용에도 차이가 없었다. GRC scale도 tDCS 처치 집단과 Sham 처치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tDCS) on improving their concentration and performance for elite archery athletes. Seventeen archers who enrolled in K-univers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ed to tDCS and Sham groups by using 2×2 cross over design. A current of 2 mA was applied to tDCS group and Sham group for 20 min and 40 seconds, respectively. Archery scores for 10 shots, Global rating of Change (GRC) scale for subjective evaluation of their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Skill Questionnaire in Sport (PSQS) for their concetration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applying current stimul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DCS and Sham groups in archery scores, PSQS and GRC sa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