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지 시대 일본 한문소설집 『 야창귀담(夜窓鬼談)』의 한 연구

        김정숙 ( Jeong Suk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夜窓鬼談)』은 이시카와 고사이(石川鴻齋, 1832-1918)가 편한 것으로 작자가 사방을 두루 돌아다니며 전해들은 奇文異談을 기록한 한문소설집이다. 작자는 전통 설화를 모으면서도 그에 대한 객관적 고증을 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일부 작품에 대해서는 중국 소설의 영향을 받았지만 소설가의 태도로 변개시킨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모란등」은 에도 시대 이후 상당히 유행한 「모란등기」 유화의 일부로, 당시 라쿠코가였던 산유테이 엔쵸의 라쿠코 「모란등롱」을 듣고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고 기록한 것이다. 「화신」과 「속황량」은 『요재지이』에서 모티브를 차용하되 상당한 변개를 한 것으로 저자의 소설가적 면모가 두드러진다. 「鬼字解」나 「鬼神論」을 통해 드러나는 이시카와 고사이의 귀신관은 전대 유학자들이 지닌 귀신론의 종합으로 보인다. 즉 귀신은 인간 세계의 밖에 위치하여 알 수 없는 존재이기에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 이토 진사이의 귀신관의 일면이 보이는 한편 이를 비판하고 귀신제례의 의의를 주장했던 오규 소라이처럼 국가를 수호하는 성인 군자의 혼령과 그에 대한 제사를 중시하였다. 『야창귀담』이 창작되던 시기에는 이와 유사한 한문소설집이 활발하게 출판되었는데 그 대표작으로는 요다갓카이(依田學海, 1833-1909)의 談海)』, 『談叢』이나 갓카이가 평을 한 키구치산케이(菊池三溪, 1819-1891)의 『奇文觀止 本朝虞初新誌』, 미키아이카(三木愛花, 1861-1933)의 「新橋八景佳話」, 「情天比翼緣」 등이 있다. ``귀신 이야기 모음집``인 『야창귀담』은 앞으로 동아시아 문헌설화집에 나타난 유학 자의 귀신관에 대한 비교 연구나 중국 문학의 수용과 변개라는 수용사적 측면에서 좋은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Yachangguidam』 is Japanese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by Ishikawagosai. It contains traditional tales of Japanese and romantic stories similar 『Gyodengshiwha』, 『Yojaejiee』. When he wrote a ghost story, he checked up the truth into referring to sundry records, or added a similar stories. 「Morandeng」 is a related story with 「Morandenggi」 since the Edo period, he wrote new story with Yencho`s 「Morandengrong」. 「Hwasin」, 「Sokwhangrang」 was made of 『Yojaejiee』, but a marked change proved author`s true character. Ishikawagosai put various view of ghost together, Etozinsai and Ogwusorai, but he holded strongly to his objective point of view about a ghost. In Meiji periods, Chinese classics advanced by private schools and publications. After Chinese popular novels were imported, man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wrote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 『談海』, 『談叢』, 『奇文觀止 本朝虞初新誌』, 『昔昔春秋』, 「新橋八景佳話」, 「情天比翼緣」.

      • KCI등재

        한ㆍ중ㆍ일 文言短篇集 속 요괴와 귀신의 존재양상과 귀신담론 - 『天倪錄』, 『聊齋志異』, 『夜窓鬼談』을 대상으로

        김정숙(Kim Jeong-Suk)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성리학의 이념 하에서 자연철학적 귀신의 개념과 조선시대 실제 삶 속의 귀신관념은 서로 충돌하여 때로 정치적 이유로, 사상적 이유로 조선에서 귀신은 문제적 존재였다. 그러나 인격적 존재로서의 귀신은 종종 문학적 소재로 등장하곤 했는데 우암의 문인이었던 임방의 〈천예록〉은 조선후기 문언단편집으로서 전체의 반 이상이 귀신담과 관련된다. 그중 많은 것이 제사와 관련된 귀신담으로 제사를 통해 만난 귀신을 통해 제사의 중요성, 장지 선택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또한 무당이나 마마신, 관왕묘 등 무속적 귀신에 대해 그 존재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귀신이나 奇異를 인정했던 우암과 그의 영향을 받았던 임방의 유연한 귀신관에서 기인한다.<BR>  〈요재지이〉에서 귀신담은 서사적 흥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는 도구로서의 귀신담과 강한 성적 욕망의 투사로서의 귀신담이다. 전자는 〈요재지이〉가 포송령의 처지에서 기인하는 孤憤之書의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며 후자는 〈수신기〉 이래로 귀신과의 성적 결합을 소재로 하는 중국 문학적 전통의 영향과 작가의 억압된 욕망의 분출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BR>  〈야창귀담〉 속 요괴와 귀신은 앞의 두 작품에 비해 매우 구체적이며 기괴한 모습을 지니는데 이는 에도시대 이후 출판물의 발달과 연극 등 예능의 성행으로 인해 귀신이 가시화된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다. 작가 이시카와 고사이는 근대의 한문학자로서 전래의 귀신담을 수록하되 귀신에 대해 객관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특히 〈귀신설〉과 〈귀자해〉를 통해 귀신을 객관화하고 체계화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Under an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the concept of Gui-Shin in the natural philosophy and the conceptof Gui-Shin in real life of the Joseon Dynasty collided with each other. Thus, Gui-Shin was the issued existence in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reason. However, Gui-Shin as a personal existence was often utilized as a literary matter. 〈Cheon-Ye-Rok〉 by Imbang, a pupil of Uam Song, Si Yeol, is a se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in the latter term of the Joseon Dynasty and more than a half of its contents is related with Gui-Shin story. Many parts out of the Gui-Shin story are related with ancestral rites and show importance of ancestral rites and burial place’s selection through Gui-Shin seeing in ancestral rites for the most part. Also, it has an attitude to recognize existence of shamanist custom’s Gui-Shin as Mudang, Mamashin and Gwanwangmyo. Such an attitude is caused by a flexible Gui-Shin view of Uam recognizing Gui-Shin or mysteriousness and Imbang getting an influence from Uam.<BR>  Gui-Shin stories in 〈Yojaejiee〉 imply various meanings as well asdescriptive interest. Representative things out of them are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criticize an unreasonable reality and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show strong sexual desire. The former has a meaning of Gobunjiseo (孤憤之書) which 〈Yojaejiee〉 is caused by Posongryeong’s position and the latter got an influence from Chinese literary tradition with sexual combination with Gui-Shin as its subject matter since 〈Sushingi〉 and is analyzed to expose the writer’s suppressed desire.<BR>  Monsters and Gui-Shin in 〈Yachangguidam〉 has more concrete and strange features than those in the above two works. It is caused by cultural backgroundwhich people made Gui-Shin visible by publications’ development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prevalence as play and more after the Edo age. A writer Isikawa Gosai kept an objective attitude about Gui-Shin though he collected traditional Gui-Shin stories as a modern scholar of Chinese literature. Specially, he had an attitude to objectify and systematize Gui-Shin through 〈Gui-Shin Theory 鬼神說〉 and 〈Gui-Shin Analysis 鬼字解〉.

      • KCI등재
      • KCI등재

        메이지 시대 일본 한문소설집 ??夜窓鬼談??의 한 연구

        김정숙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Yachangguidam is Japanese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by Ishikawagosai. It contains traditional tales of Japanese and romantic stories similar Gyodengshiwha, Yojaejiee. When he wrote a ghost story, he checked up the truth into referring to sundry records, or added a similar stories. 「Morandeng」 is a related story with 「Morandenggi」 since the Edo period, he wrote new story with Yencho's 「Morandengrong」. 「Hwasin」, 「Sokwhangrang」 was made of Yojaejiee, but a marked change proved author's true character. Ishikawagosai put various view of ghost together, Etozinsai and Ogwusorai, but he holded strongly to his objective point of view about a ghost. In Meiji periods, Chinese classics advanced by private schools and publications. After Chinese popular novels were imported, man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wrote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 談海, 談叢, 奇文觀止 本朝虞初新誌, 昔昔春秋, 「新橋八景佳話」, 「情天比翼緣」. 夜窓鬼談은 이시카와 고사이(石川鴻齋, 1832-1918)가 편한 것으로 작자가 사방을 두루 돌아다니며 전해들은 奇文異談을 기록한 한문소설집이다. 작자는 전통 설화를 모으면서도 그에 대한 객관적 고증을 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일부 작품에 대해서는 중국 소설의 영향을 받았지만 소설가의 태도로 변개시킨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모란등은 에도 시대 이후 상당히 유행한 모란등기 유화의 일부로, 당시 라쿠코가였던 산유테이 엔쵸의 라쿠코 모란등롱을 듣고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고 기록한 것이다. 화신과 속황량은 요재지이에서 모티브를 차용하되 상당한 변개를 한 것으로 저자의 소설가적 면모가 두드러진다.鬼字解나 鬼神論을 통해 드러나는 이시카와 고사이의 귀신관은 전대 유학자들이 지닌 귀신론의 종합으로 보인다. 즉 귀신은 인간 세계의 밖에 위치하여 알 수 없는 존재이기에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 이토 진사이의 귀신관의 일면이 보이는 한편 이를 비판하고 귀신제례의 의의를 주장했던 오규 소라이처럼 국가를 수호하는 성인 군자의 혼령과 그에 대한 제사를 중시하였다. 야창귀담이 창작되던 시기에는 이와 유사한 한문소설집이 활발하게 출판되었는데 그 대표작으로는 요다갓카이(依田學海, 1833-1909)의 談海, 談叢이나 갓카이가 평을 한 키구치산케이(菊池三溪, 1819-1891)의 奇文觀止 本朝虞初新誌, 미키아이카(三木愛花, 1861-1933)의 新橋八景佳話, 情天比翼緣 등이 있다.‘귀신 이야기 모음집’인 야창귀담은 앞으로 동아시아 문헌설화집에 나타난 유학자의 귀신관에 대한 비교 연구나 중국 문학의 수용과 변개라는 수용사적 측면에서 좋은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小泉八雲の再話と『夜窓鬼談』

        林淑丹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9 No.2

        Yasōkidan, written by Ishikawa Kousai (1833-1918), is regarded as a notableexample of Japanese Chinese-writing weird [kaiki] novels in Meiji Era, and the workwas fairly famous among intellectuals at that time. Koizumi Yakumo (also knownas Lafcadio Hearn) studied texts included in Yasōkidan and applied some stories forhis own literary works. Koizumi Yakumo’s three novels, The Story of O-Tei, Ofa Mirror and a Bell (Kwaidan: Stories and Studies of Strange Things, 1904) andThe Story of Kwashin Koji (A Japanese Miscellany, 1901) are appropriated fromYankon Syattai, Kitokukin and Kashinkoji in Yasōkidan, respectively. We can find an illustration in Yankon Syattai of Yasōkidan which is the originaltext of Koizumi Yakumo’s The Story of O-Tei. I have investigated how KoizumiYakumo was influenced by this illustration. In addition, Koizumi Yakumo’s Of aMirror and a Bell are appropriated from Kitokukin of Yasōkidan, and at the sametime Kitokukin is appropriated from Ryousai Shii [Liaozhai Zhiyi]. I have illuminatedhow Koizumi Yakumo retold the stories through his three novels, The Story of O-Tei,Of a Mirror and a Bell and The Story of Kwashin Koji, which are adopted fromYasōkidan. And I also investigated how he appropriated the stories from Yasōkidanand then wrote his own weird, fascinating novels.

      • KCI등재

        小泉八雲の再話と『夜窓鬼談』

        ( Shudan Li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9 No.2

        Yasokidan, written by Ishikawa Kousai (1833-1918), is regarded as a notable example of Japanese Chinese-writing weird [kaiki] novels in Meiji Era, and the work was fairly famous among intellectuals at that time. Koizumi Yakumo (also known as Lafcadio Hearn) studied texts included in Yasokidan and applied some stories for his own literary works. Koizumi Yakumo`s three novels, The Story of O-Tei, Of a Mirror and a Bell (Kwaidan: Stories and Studies of Strange Things, 1904) and The Story of Kwashin Koji (A Japanese Miscellany, 1901) are appropriated from Yankon Syattai, Kitokukin and Kashinkoji in Yasokidan, respectively. We can find an illustration in Yankon Syattai of Yasokidan which is the original text of Koizumi Yakumo`s The Story of O-Tei. I have investigated how Koizumi Yakumo was influenced by this illustration. In addition, Koizumi Yakumo`s Of a Mirror and a Bell are appropriated from Kitokukin of Yasokidan, and at the same time Kitokukin is appropriated from Ryousai Shii [Liaozhai Zhiyi]. I have illuminated how Koizumi Yakumo retold the stories through his three novels, The Story of O-Tei, Of a Mirror and a Bell and The Story of Kwashin Koji, which are adopted from Yasokidan. And I also investigated how he appropriated the stories from Yasokidan and then wrote his own weird, fascinating novels.

      • KCI등재

        すれ違いの美学 -「茨城智雄」から「茨木智雄」へ-

        임숙단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3 일본언어문화 Vol.24 No.-

        The Aesthetics of Passing-by (surechigai) : From Ibaragi Tomoo to IbarakiTomooShibusawa Tatsuhiko (1928-1987) is known as his profound knowledge of rarebooks and uncommon literary works. He wrote Boronji in his later years, whichappeared in literary journal Bungei (November 1982), and was later included inNemuri-hime(1983). The work is based on the story Ibaragi Tomoo which iscontained in Yasokidan (Ishikawa Kousai, Touyoudou 1889-1894), the mysterynovels collection compiled in the Meiji era. Shibusawa Tatsuhiko explains in theend of Boronji as follows: “I changed Ibaragi to Ibaraki, while keeping its story,but the guiding concept and details of the story became different.”Based upon and having started from the original text, Shibusawa wrote a creativefantasy world. How did he refer to and then transform the original text, with regardto the plot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s in Boronji? By examining the image ofthe protagonist Ibaraki Tomoo, and the role of gods and Buddha in the story, I willinvestigate how Shibusawa created his own narrative world.

      • KCI등재

        すれ違いの美学 -「茨城智雄」から「茨木智雄」へ-

        林淑丹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3 일본언어문화 Vol.24 No.-

        The Aesthetics of Passing-by (surechigai) : From Ibaragi Tomoo to IbarakiTomooShibusawa Tatsuhiko (1928-1987) is known as his profound knowledge of rarebooks and uncommon literary works. He wrote Boronji in his later years, whichappeared in literary journal Bungei (November 1982), and was later included inNemuri-hime(1983). The work is based on the story Ibaragi Tomoo which iscontained in Yasokidan (Ishikawa Kousai, Touyoudou 1889-1894), the mysterynovels collection compiled in the Meiji era. Shibusawa Tatsuhiko explains in theend of Boronji as follows: “I changed Ibaragi to Ibaraki, while keeping its story,but the guiding concept and details of the story became different.”Based upon and having started from the original text, Shibusawa wrote a creativefantasy world. How did he refer to and then transform the original text, with regardto the plot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s in Boronji? By examining the image ofthe protagonist Ibaraki Tomoo, and the role of gods and Buddha in the story, I willinvestigate how Shibusawa created his own narrativ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