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간의 야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연구 - 참여형 전시예술을 중심으로 -

        박민혁 ( Park Min-hyu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1 전시디자인연구 Vol.18 No.2

        과학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사회의 여러산업군에서 변화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첨단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발맞추어 전시예술분야에 있어서도 참여형 전시예술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하였는데, 참여형 전시예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러 기술을 활용하며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참여형 전시예술과 기존 예술분야와의 차이점, 참여형 전시예술이 인간과 상호작용 함으로써 발생하는 영향을 사례를 기반으로 하여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야생성이라는 특정한 소재의 사전적 정의로써 가지게 되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고 인간의 야생성을 새롭게 정의하면서 참여형 전시예술이 경험적 요소로써 인간의 본성 및 인류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탐색해보고 자 한다. 지금까지 이어온 전통적인 예술은 단방향성을 가지고 시각적인 부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참여형 전시예술은 기술적인 측면을 가미한 상호작용요소를 통해 관객과의 소통을 이끌고 적극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이러한 점들을 기반으로 참여형 전시예술의 활용성과 발전가능성에 대해 전망해보고자 한다.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various industrial groups of society are changing and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igh-tech society.In keeping with this phenomenon, a new genre of participatory exhibition art has emerged in the field of exhibition art. Participatory exhibition art plays a role of delivering socially meaningful messages by utilizing various technologies over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tory exhibition arts and existing art fields, and the effects of participatory exhibition arts interacting with humans based on example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participatory exhibition art can affect human nature and human society as an empirical element, breaking away from the stereotype of a specific material of wildness and defining human wildness. Traditional art that has continued so far has been often unidirectional and relies on the visual part, but participatory exhibition art is evaluated as having high development potential in that it can lead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elicit activity through interaction elements with technical aspects. Based on these points, I would like to predict the usabil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participatory exhibition art.

      • KCI등재

        영화 <늑대소년>과 여성의 원형적 감정들

        김길훈(Guyl-H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영화 <늑대소년>은 여성관객의 숨겨진 본래적 욕망을 늑대를 통해 은유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대부분의 늑대이야기는 인류 역사에서 체득된 늑대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을 그리고 문화적으로 악의 상징으로서의 늑대에 대한 심적 응징의 보상 등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물리적 공포와 처벌대상의 늑대가 아닌 내면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원형적 야성의 은유로서의 늑대에 주목했다. 사춘기 순이의 괴기스런 늑대인간에 대한 경험과 노년의 순이가 이를 회상하는 가운데 여성의 본래적 (성적) 욕망이 모습을 드러낸다. <늑대소년>에 성적 묘사는 없다. 하지만 주인공 순이의 늑대소년과의 교감을 통한 자아성장과정 속에서 프로이의 성이론, 성적 욕망의 억압과 해소 그리고 승화의 메커니즘을 읽어본다. 브뤼노 베틀하임의 전래동화 『빨간모자』의 분석을 통해 사춘기 순이의 본래적 욕망을 분석하고 크리스티바 에스테스의 늑대이야기를 통해서는 노년의 순이가 잊고 있었던 여성의 야생성을 역 추적한다. 본 연구는 <늑대소년>이 생물학적 존재에서 사회적 존재로 거듭나는 가운데 억압되고 제거된 아니면 숨겨져 있던 여성의 본래적 욕망을 재 각성시키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표면적으로 <늑대소년>이 잔잔한 로맨스의 달콤함을 보여주지만 내면적으로는 환타지한 늑대인간과의 사랑을 통해 억압과 금기에 대한 저항의 쾌락과 연계된다. The Movie, A Werewolf Boy, describes metaphorically the hidden desire of female audience. The majority of stories about wolves contains fear of wolves inherited by and learned through human history struggling with the nature. They also shows punishment and reward toward wolves as a cultural symbol of evil.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wolves as a metaphor of hidden original desire rather than as a subject of fear and punishment. Soon-Hee’s experience with a wolf-boy in her period of puberty and her remembering the experience in her old age expresses her original sexual desire. The movie, A Werewolf boy does not directly deal with sexual content. However, SU-NI’s growth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wolf-boy informs us Freudian theory of sex and the mechanism of sexual desire and its repression or realization. Brun Bettelheim’s “Little Red Riding Hood” was used to analyze Soon-hee’s desire during her puberty and Clarissa Estes’s “Women Who Run with the Wolves” were used to explore SU-NI’s wildness forgotten in her elderlyhood. This study shows in the process of wolf boy’s transformation from biological being into social being awakened the hidden and original desire of woman.

      • KCI등재

        『괴물이 찾아오다』에 나타난 이야기(하기)의 역할에 관한 고찰

        오봉희 ( Oh Bong-h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 No.60

        이 논문은 이야기를 문제 시뮬레이션으로 보는 조나단 갓셜의 논의를 바탕으로 패트릭 네스의 『괴물이 찾아오다』에 나타나는 이야기(하기)의 역할을 고찰한다. 갓셜에 따르면 이야기는 삶의 중대한 문제들을 모의 실험함으로써 실제의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 우리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논문은 우선 『괴물이 찾아오다』에서 주목나무 괴물이 코너에게 들려주는 세 편의 이야기들 각각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검토하고, 그 특징들이 코너가 처해 있는 문제 상황에 대해 무엇을 함축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괴물의 이야기들과 코너의 이야기가 어떤 방식으로 그의 문제 상황들을 모의 실험하며, 어떻게 그가 문제 상황들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돕는지를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이야기의 야생성과 이야기하기의 치유력도 같이 살펴본다. 괴물의 이야기들은 각각 코너와 할머니의 관계, 그와 아버지의 관계, 그와 해리의 관계와 연결되고, 코너의 악몽으로 구성되는 네 번째 이야기는 그와 엄마의 관계, 특히 임박한 엄마의 죽음을 모의 실험한다. 이 이야기들은 현실의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코너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 이야기들은 코너에게 두 가지 진실을 일깨워 준다. 하나는 이야기가 모두 행복한 결말로 끝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인간은 서로 충돌하고 모순되는 마음과 생각들을 지닌 복잡한 존재라는 것이다. 코너는 이야기(하기)를 통해서 이것들을 깨닫고, 엄마가 아픈 상황과 임박한 엄마의 죽음에 대해서 자신이 느끼는 복잡하고 모순된 마음과 생각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순된 생각들과 싸우는 길은 진실을 말하는 것임을 깨닫는다. 이런 깨달음 덕분에 코너는 엄마의 죽음은 혹독한 시련이 되겠지만 이 시련을 견디고 헤쳐 나와 치유될 것임을 알게 된다. Based on Jonathan Gottschall’s discussion of stories as problem simula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story(telling) in Patrick Ness’s A Monster Calls. According to Gottschall, stories simulate big problems of human life and thereby allow us to practice possible responses and solutions safely. This paper first examines what characterizes each of the three stories told by the yew tree monster in A Monster Calls and analyzes what those characteristics imply about Conor’s problematic situations. We then examine how these stories simulate Conor’s predicaments and how they help him to overcome them. We also look at the wildness of stories and the healing power of storytelling. The monster’s three stories respectively allude to Conor’s relationship with Grandma, with Dad, and with the school bully Harry. The fourth story, in which Conor’s truth is hidden, directly addresses his relationship with Mom and simulates Mom’s impending death. These stories improve Conor’s ability to understand and deal with his problematic situations. They also convey the following truths: One is that stories do not always have happy endings. The other is that humans are complicated beasts whose mind frequently contradicts itself. With the help of the monster, Conor accepts these truths, which in turn helps him to understand his own self-contradictory mind and complicated thoughts about Mom’s impending death. Furthermore, he learns that we can only fight contradictory thoughts inside us by speaking the truth. Although Mom’s death will be a terrible ordeal to him, Conor will go through it, survive it, and then be healed.

      • KCI등재

        천운영 소설의 야생 이미지와 ‘견딤’의 인간학

        홍기정 문학과환경학회 2021 문학과 환경 Vol.20 No.1

        In Cheon un-yeong’s Short stories, there are often characters who assault someone without losing their reason. And on the other side of them, there are characters who are ruthlessly attacked and endured. They do not resist or cry, they just crouch and endure with the punching and kicking. They are ‘people who endure violence’ and form an important axis in the character composition of Cheon's Short stories. This paper is a study of these 'people who endure violence'. They are those whose endurance and endurance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personality. This paper shows how "endurance of violence" appears in Cheon’s Short stories and how it relates to wildness, the main aesthetic of Cheon’s Short stories. It also reveals that “endurance of viole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human understanding and life understanding of Cheon's Short stories. Some conclusions drawn by this paper are as follows. 1) In Cheon’s Short stories, almost everyone including the attacker endures something. Objects of endurance are a kind of 'violence' from reality and destiny. 2) The image of the wild, a prominent attraction of Cheon’s Short stories, is often related to the power of enduring this violence. In particular, appetite and aggression are usually the means to endure pain in reality. 3) Cheon’s Short stories show that enduring suffering is a universal condition for all people, and all of them are ultimately compassionate. But there is a qualitative difference in the way of enduring suffering, and the difference is not simply negligible. 4) There are people in Cheon's Short stories who endure pain only by the power of pure endurance, not by the means of eating and hitting. They do not cry or scream in spite of the harsh beatings of reality and destiny, and they keep themselves undisturbed. This reveals the belief that 'bearing' can be a way of keeping our own original images pure for the inevitable sufferings that are always present in life. 천운영 소설에는 자주 이성을 잃은 채 누군가를 폭행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들 맞은편에, 무자비한 공격을 당하면서도 그저 그것을 참고 견디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저항하거나 피하지 않고 그저 웅크린 채, 퍼부어지는 주먹질과 발길질을 몸으로 받아내며 견딘다. 그들은 ‘매질을 견디는 사람들’로서 천운영 소설의 인물 구도에서 중요한 축을 이룬다. 이 논문은 이들 ‘매질을 견디는 사람들’에 대한 연구이다. 그들은 참고 견디고 버텨내는 것이 성격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이 논문은 ‘매질의 견딤’이 천운영 소설에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살피고, 그것이 천운영 소설의 주요 미학인 야생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살펴본다. 또한 ‘매질의 견딤’이 천운영 소설의 인간 이해와 삶 이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의 하나라는 것을 밝히고, 그것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이 논문이 도출해 낸 몇 가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운영 소설에서는 폭력적인 사람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인물들이 무언가를 견디는 사람들이다. 견딤의 대상이 되는 것들은 현실과 운명으로부터 가해지는 일종의 ‘매질’과 같다. 2) 천운영 소설의 두드러진 매력점인 야생의 이미지는 자주 이러한 ‘매질’을 견디는 견딤의 힘과 관련된다. 특히 식욕, 공격욕 등은 대개 현실에서의 고통을 견디기 위한 방편이 된다. 3) 천운영 소설은 고통의 견딤이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인 삶의 조건이며, 이들 모두가 궁극적으로 연민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고통을 견디는 견딤의 방식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간단히 무시해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4) 천운영 소설에는 먹고 때리는 등의 방편들에 의지하지 않고, 순수한 견딤의 힘으로써만 고통을 견디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현실과 운명의 가혹한 매질에도 불구하고 울거나 소리 지르지 않으며, 흐트러짐 없이 자기 자신을 지켜낸다. 이는, 삶에 늘 있게 마련인 어찌할 수 없는 고통들에 대해서 ‘견딤’이 우리 자신의 본래적 상(像)을 순결하게 지켜내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드러낸다.

      • KCI등재

        The “Ruination” of Englishness: Jamaican Nature and National Identity in Michelle Cliff’s Abeng

        ( Ji Eun Lee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21 현대영미소설 Vol.28 No.3

        This article examines how Michelle Cliff’s Abeng challenges the colonial notion of Englishness embodied in the great house by interfusing wild Jamaican nature and the domestic, cultured Englishness. For this purpose, I borrow Michelle Cliff’s idea of “ruination,” which she defines as a process of reformulation initiated by wild Jamaican nature in her essay “Caliban’s Daughter: The Tempest and the Teapot.” The great house in Jamaica described in the novel shows colonial Englishness, whereby Jamaicans are forced to understand themselves through the European perspectives implemented by the institutional education. Cliff’s novel, however, shows Englishness in the process of “ruination” by blurring the hierarchical binary between the cultured English great house and the wild Jamaican nature in its blending descriptions and fragmenting narratives. The image of the wild English woman who resides in a great house defies English norms of clean tidy domesticity and reshapes cultured Englishness into untamed wildness. Cliff’s Abeng reshapes the hierarchical binary between culture and nature that has justified colonialism into a connective continuum of new possibilities.

      • KCI등재

        『쓴트모어』와 장소의 정령

        강규한 ( Gyu Han Kang ) 한국로렌스학회 2009 D.H. 로렌스 연구 Vol.17 No.2

        After the Second World War D. H. Lawrence left `the waste land` of England and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of a new `place` while living and experiencing a sense of place in several locations including Italy, Ceylon, Australia, Mexico and New Mexico in Northern America. He attempted to put his experience of each of those places in "The Spirit of Place," the first chapter of Studies in Classic American Literature, which significantly demonstrates what his sense of place means. The idea of `the spirit of place` is essential to appreciating St. Mawr, which was written in a wild and mystical place called Toas in New Mexico. Lou, the female protagonist of St Mawr, has been to so many places in Europe that she is `at home anywhere and nowhere.` An encounter with St. Mawr, however, leads her into the reality of `another world,` so that life in London becomes unreal to her. Coming into contact with Lewis, the Welsh groom, and understanding his Celtic tradition also opens up `another world` of others in human society, while the encounter with St. Mawr can be seen to reveal the world of other of non-human beings. Experiences with `another world` through St. Mawr and Lewis bring Lou into a significant communion with the spirit of place as the supernatural other in the wild America. Such encounters with others, in particular the guard/spirit of place, can contribute to an examination of the new possibility of restoring the `placeless` area into a resuscitated place.

      • KCI등재

        현실을 연행하기: 리얼리티 TV <정글의 법칙>의리얼리티 효과

        주현식 대중서사학회 2013 대중서사연구 Vol.- No.30

        본 논의의 목적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정글의 법칙>의 리얼리티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조작 논란이 불거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정글의 법칙>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접근하는 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큰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나 본고에서 논의하려는 리얼리티 효과는 프랑스의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가 정의한 상세하고도 긴 묘사가 제공하는 사실주의적 동기보다는 좀 더 넓은 의미를 지칭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효과란 리얼함의 환각을 구성하고 재현하는 텔레비전의 장치들이 수용자에게 발생시키는 몰입의 시청 경험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정글의 법칙>에서 리얼한 환각을 주기 위해 어떠한 재현의 구조와 시청각적 스타일이 활용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와 연관되어 드러난 다른 사람의 실제 삶에 대해 다양한 층위에서 접근하고 있는 시청자의 보기 행위는 어떤 리얼함의 감각을 지니는가? 등의 질문들이 본 논문에서 논의하려는 핵심적 실체다. 다종다양한 리얼리즘의 스펙트럼이 존재하지만 본고는 시청자의 시공간에로의 몰입, 등장인물에로의 몰입과 관련된 환각주의의 모델을 따라 리얼함의 감각을 리얼리티 프로그램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에서 섬세하게 재구해 볼 것이다. <정글의 법칙> 같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함의 잣대는 현전의 아우라, 믿을만한 자율적인 독립적 리얼리티를 얼마만큼 화면 속에 창조할 수 있는가에 달렸다. 하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함의 환각주의적 모델은 관객과 배우의 관습적 약속에 의해 실제 무대 위 시공간과 인물을 드라마 속 시공간과 인물로 믿어버리는 연극적 환각과 너무나도 닮아 있다. 이 논문에서 리얼리티 텔레비전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의 재현적 현실을 연행되는(performing) 현실로서 전제하고 그것의 오락적, 다큐적 기능에 관한 논의를 전개한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결과적으로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의 리얼리티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본고의 논의는 리얼리티 TV 속 연행되는 현실에 관한 논의의 하나의 사례로서 리얼리티 텔레비전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 본다. 더 나아가 허구적 텔레비전 드라마에 초점을 맞추어왔던 영상 문학 연구 경향에도 텔레비전 문화 연구에 대한 학문적 자극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서 본고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