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는 조선을 어떻게 이해하고자 했는가

        고지마 야스노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7 일본사상 Vol.0 No.32

        The view towards Yanagi Muneyoshi is often polarized in Korea. While some praise him as “a Japanese who loved Korea,” others disdain him as an advocate of colonial identity. In any case, evaluation is often strongly influenced by contemporary historical context. Namely, Yanagi was widely praised because of his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art up until the 1960s, but with the rise of Korean democracy movement from the late 1960s to 1970s, Yanagi came to be criticized with heightened current of racial culture and ethnism in the background. In Japan, through the 1960s and 1970s, Yanagi was highly assessed because of his humanistic attitude, and from the late 1980s, his achievements began to draw wider attention from different fields of study: arts and crafts, religious studies, history of ideas, and Korean studies. Literature concerned with Yanagi kept growing in numbers through the 1990s and 2000s, and with the mingei (folk art) boom, he came to be dubbed as “the father of mingei.” However, simultaneously, he was heavily attacked by numerous studies, especially those concerned with orientalism and gender theories, which shed light on his problematic subconscious. Bearing such Japanese and Korean contexts of evaluation towards Yanagi in mind,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s in which he tried to understand Korea- a “philanthropic understanding” –and suggest an epistemological commonality between Yanagi and several other figures, such as Nishida Kitarō, Kurata Hyakuzō, and Yuasa Hachirō. 한국에서의 야나기 무네요시에 대한 평가는 나뉜다. 야나기를 ‘조선을 사랑한 일본인’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고, 식민지 이데올로기를 방조한 자로서 규탄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평가하는 것은 평가 시점에서의 역사적 상황에 강하게 규정된다. 즉 1960년까지는 야나기의 조선 예술에 대한 이해에 깊이 공감하고 그를 칭찬하는 논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에 한국 민주화 운동이 고양되고 이에 연동 하여 민중을 기반으로 한 민족 문화와 민족주의의 부흥 운동이 배경이 되어 야나기 비판의 논조가 높아졌다. 일본에서는 1960년, 70년대부터 야나기의 휴머니즘을 높이 평가하는 연구가 추진되고, 80년대 후반이 되면 야나기는 더욱 공예의 역사, 종교학, 사상사, 조선연구 등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다루어지게 되었다. 90년대, 2000년대에 야나기 연구는 한층 무게를 더해 갔다. 또한 이 시기에는 민속 붐의 고조를 배경으로 야나기는 ‘민속의 아버지’로 널리 민속 애호가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동시에 이 시기에는 오리엔탈리즘론, 젠더론의 관점에서 야나기의 의식을 문제삼아 야나기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나오기 시작해 이윽고 ‘비판의 대합창’을 드러내기에 이른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야나기를 향한 한일의 다양한 논점을 역사적으로 정리 한 후, 야나기가 조선을 이해하려고 노력했을 때, 그 이해의 본연의 자세 -‘애정에 기초한 이해’-를 고찰하고 그것이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구라다 하쿠조(倉田百三), 유아사 하치로(湯浅八郎) 등의 인식론과 통저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무인양품(無印良品)’의 성공사례를 통해 보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의 전통 연구

        이병진 ( Lee Byungjin )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8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는 무명(無名)의 공인들이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만들어낸 일상잡기(雜器)에서 美를 발견하고 독자의 심미안(審美眼)을 통해 새로운 美의 개념과 민예(공예)이론을 전개했다. 야나기의 민예사상은 메이지시대(明治,1868-1912)에서 다이쇼시대(大正,1912-1926)로의 이행기인 20세기 초반에 등장한다. 이상주의적 낭만주의 성향의 시라카바(『白樺』) 그룹의 중심 멤버로 서구예술에 경도되었던 야나기가 한국, 일본, 중국 등의 동양 민예품에서 새롭게 美를 발견하고 그것을 서구의 보편적인 가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자리매김 한다. 이것은 야나기가 일본인으로서 강한 자의식과 함께 서구의 보편적 가치를 통해 동양적 가치를 재발견한 것이었다. 또한 공예(craft)는 순수미술(fine art)과 달리 숙련된 기술(technology)을 중심으로 창출된 아름답고 실용적인 가치를 우선한다. 대표적으로 중세를 동경하고 산업혁명으로 인한 예술의 기계화에 반발하여 수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윌리엄 모리스의 ‘아트 앤드 크래프트 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이 있다. 그것은 산업혁명 이후 기계화로 인해 소멸된 인간성의 회복과 전통적인 美의 복구를 주장한 것이었다. 이렇게 근대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회의하던 사상이 서구적 가치를 우선하고 따르던 일본에 동시에 유입되면서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의 기저를 이루게 된 것이다. 그 결과 야나기는 일본의 근대화시기에 근대를 회의하고 동양의 민중 공예품에서 동서양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미의 가치를 발견하기에 이른다. 세상을 올바르게 하는 것은 정치적인 문제가 아닌 ‘예술’이라는 심미주의적인 색채를 강하게 지니면서도 생활과 미의 문제를 자신의 철학적 과제로 삼았던 야나기 무네요시. 그리고 쓰임새에 호응하는 형태의 도구(물건)가 본질적으로 아름답다고 하는 야나기의 공예 철학은 오늘날 세계적인 생활 잡품 의류 업체인 ‘무인양품(無印良品)’의 마케팅 철학으로까지 진화하고 있다. Yanagi Muneyoshi (1889-1961) discovered the beauty in the everyday nuggets created by hand without the use of machines by anonymous names, and through the aesthetics of his readers, And craft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general overview of what Yanagi‘s folklore ideology has been formed in, and which cultural ideological position it currently has in Japan. The formation of Yanagi’s folklore idea overlaps with the period of Japanese moderniz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moving from the Meiji era to the Daisyou era. At that time, Japan was active in accepting Western art and literature as modern representations. Yanagi is a central member of the Shirakaba (literally “白樺”) literary movement group formed under idealist romanticism and serves as an introduction to Western literature and art in Japan. Since then, Yanagi, who has been hard at work in Western art, finds oriental beauty in crafts such as Korea, Japan, and China and highly evaluates and positions it as equivalent to Western universal value. It was a universality that was found in the Orient and Japan’s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o-called Western. It is a phenomenon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art and ideas that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West for a long time, and it has been compressed and mixed with the influx of Japan into the emerging modern nation. In the case of craft, it means beautiful handicraft created by skillful technology, unlike fine art. At the same time, crafts are oriented toward practical artistic values. John Ruskin, who is considered to be an idealist in the life and workings of later medieval artists and craftsmen, and William Morris, who admired his influence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manual labor by opposing the mechanization of art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It is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It is claimed that the restoration of humanity and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beauty, which had been extinct due to mechanization after the so-called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way, the idea of meeting critically with the modern world was introduced to Japan which followed Western values first, and it became the base of Yanagi Muneyoshi’s folk art thought. In the case of Yanagi, William Blake’s early philosophy of mystical religion has been firmly established and forms an aesthetic value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absolute beauty and ugliness. These influences are combined with the Buddhist idea of Buddhism and develop into the folk art of Buddhism. As you can see, Yanagi meets modern time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of Japan and finds the value of universal beauty that transcends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oriental folk crafts. Yanagi Muneyoshi, who made the world a right, not a political matter, but a philosophical task of life and beauty, with a strong aesthetic color called ‘art’. Yanagi’s craft philosophy, which is said to be essentially beautiful, is evolving into the marketing philosophy of the world’s leading fashion apparel company, Unmanned Product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anagi ‘s craft philosophy and the marketing philosophy of’ unmanned products’. And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folk crafts of Yanagi, whose industrial design products, which are mass-produced by using machines like ‘MUJI’, are oriented to beautiful handicrafts? In what context did the unmanned manufacturing company develop the craft philosophy into a marketing philosophy? We review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current Yanagi’s Mingei movement as an idea.

      •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과 모더니즘

        이병진 ( Lee Byung-ji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3 No.0

        본고는 19세기 중엽 서양의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의 미술공예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에 영향을 받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민예(民藝)사상이 독자적인 동양의 미의식과 종교성이 결부된 공예이론을 수립해가는 과정과, 그러한 민예사상이 야나기 소리(柳宗理) 등 일본의 산업디자인(Industrial Design) 분야의 근대적 조형이념인 모더니즘에 기여한 바를 살펴보았다. 서양에서 미술과 공예를 차별한 예술 패러다임에 반발해 시작한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이 바우하우스나 미니멀리즘이라는 산업디자인으로, 마찬가지로 모리스의 영향을 받은 야나기의 민예운동이 기능성을 가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통해 공업사회에서 인간적인 따스함을 느끼게 하는 야나기 소리의 ‘어노니머스(anonymous, 無名) 디자인’ 혹은 ‘언콘셔스(unconscious, 無心) 디자인’ 등의 산업디자인으로 변해가는 양상은 거의 동일하다. 디자이너의 개인의식에서 생기는 작위적인 요소를 최소한으로 억누르는 것은 민예에서 무명(無名)의 도공들이 전통적인 기법에 의존해 자연의 목소리에 순응한다는 이른바 무심(無心)상태를 말하며, 야나기 소리가 이야기하는 ‘어노니머스(anonymous, 無名) 디자인’ 혹은 ‘언콘셔스(unconscious, 無心) 디자인’과 공통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민예가 등장하는 1920년대의 사회문화적 양상과 1970년대가 공통적으로 대량생산, 대량소비를 극한까지 추진함으로써 그 끝을 알 수 없는 욕망추구에 사회가 건강하지 못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현대의 광고 등 산업디자인이 인간의 욕망추구를 이용해 환경을 훼손하고 인류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제품들을 양산하고 있는 것에 대한 위기의식도 함께 한다. 필자는 대략적으로 세 개의 흐름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해 생각했다. 다시 정리하면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와 함께 대량으로 기계 생산된 조악한 물품들에 대한 위기감에서 시작한 서양의 공예운동(아트 앤드 크래프트), 그러한 공예운동에 불교 미학적 윤리성과 종교성을 투영한 정신운동으로서의 민예운동, 공업사회에서 인간적인 따스함을 지니는 민예의 제작과정과 철학을 본받아 공업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 야나기 소리의 디자인 운동이다. 이 세 개의 운동성에 공통되는 점은 생활에서 분리된 미의 문제를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건전한 물건은 건전한 사회에 머문다는 미와 사회문제를 결부시켜 생각하는 복합적인 시각이다. 특히 민예사상과 디자인 사상의 접점은 디자인은 사회문제 그 자체라고 보고 있는 지점이다. 이는 익명성(無名, anonymous)과 무작위성(無心, unconscious)이라는 개념을 통해 현대사회가 지니고 있는 과도한 개성중시의 사회전반이 안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제작자의 개성이 과도하게 투영된 디자인의 물건은 결코 아름답지 못하며 사회적이지도 못하다는 문제의식이다. 물건은 사회적 소산이며 일상생활에서 사용 목적과 용도에 부합하는 자연에서 얻은 재료와 형태의 디자인이야 말로 아름다운 것이다. 이처럼 미의 문제가 결코 단독적인 개념이 아닌 필연적으로 사회의 윤리성, 종교성 문제와 결부된다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의 본질과 맞닿아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in which Yanagi Muneyoshi’s role in the Japanese folk and craft movement in the 1920s and 1930s, which was influenced by the mid-19th century arts and crafts movement of William Morris, was associated with its own oriental aesthetics and religi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theory and an ideology of folk culture contributed to the formative modernist philosophy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in Japan, as espoused by figures such as Yanagi Sori. Morris’s arts and crafts movement, which began by countering the paradigm that distinguished between arts and crafts in the West, led ineluctably to Bauhaus or Minimalism. The changing aspects of industrial design such as the ‘anonymous’ or ‘unconscious’ design of Yanagi seemed to promote human warmth in society in almost the same way as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of an earlier era. Traditionally, the minimal suppression of the fictional elements of the designer’s personal consciousness entails their ignorance of the theoretical tenets of folk crafts, as they rely on traditional but unspoken techniques to adapt to the imperatives of nature. This is common in ‘anonymous’ and ‘unconscious’ design. Against this backdrop,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1920s, in which folk arts were enlisted in artistic work, and of the 1970s, in which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were promoted, brought about a sense of crisis that society was heading in an unhealthy direction in pursuit of endless desire.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he two periods that is startling, a feeling that both industrial design and modern advertising use human desire to undermine the environment and mass-produce products that do not help humanity. This paper examines three dimensions of this issue: firstly, the Western arts and crafts movement, which began with the spiritual impoverishment brought about by capitalist mass produc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secondly, the folk movement as a spiritual departure that brought Buddhist aesthetics and ethics and religion to bear on such craft movements; and finally the design movement of Yanagi Sori that called attention to the social issues that industrial design should address by follow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philosophy of folk art that imbues industrial society with human warmth. Common to these three dimensions was the effort to restore beauty to life. At the same time, a productive goal is to form a complex view that combines a focus on the beauty to be seen in living in a healthy society with a simultaneous focus on addressing serious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folk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is the point at which design is itself a social challenge. This form of design can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atomized society that the modern world has brought about through the concepts of the anonymous and the unconscious.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 1889-1961)의 ‘민화(民畵)’에 대한 재고 - 민화 개념을 한국미술사에서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

        원세진(Won, Se-jin)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5

        ‘민화(民畵)’라는 용어는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 1889-1961)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나, 용어에 대한 분분한 이견이 오랜 기간 있어왔다. 본고는 현시점의 한국미술사에서 민화의 개념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재고(再考)한다. 야나기 사상 전반에서 민예(民藝)와 이로부터 비롯되는 민화의 개념을 해석하여 보이면서 향후 변화와 향방을 보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학계에서 논의되어온 민화의 용어와 개념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야나기 미학 사상 전반에 비추어 민화라는 용어의 본의(本義)를 풀어낸다. 민화의 본의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것이 유개념(類槪念) 민예로부터 세분화되어 만들어진 종개념(種槪念)이라는 것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야나기 사후 점층되어 온 용어 제문제(諸問題)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야나기는 시대적 조류의 차원에서 동양의 미 개념을 새롭게 구명(究明)하고자 하였다. 민예와 불교미학(佛敎美學)을 넘나들며 독자적인 미론(美論)을 구축해나갔다. 어떤 지식이나 학문에 속박되지 않고, 무심(無心)으로 미추(美醜)의 분별에서 방황하지 않기에 불가사의한 놀라운 화경이 펼쳐질 수 있었던 것을 야나기는 밝혔다. 야나기는 하수품(下手品)을 통해 진정한 아름다움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타력(他力)에 의해 저절로 아름다워지는 아름다움이었다. 단순한 이지적(理智的) 사상, 분석적 지성만으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의 미 즉 불이미(不二美)의 원(願)을 야나기는 민화에서 읽어내었던 것이다. ‘Minhwa(民畵; Folk painting)’ is the term which was called by Yanagi Muneyoshi(柳宗悦, Yanagi Sōetsu, 1889-1961) for the first time, but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term for a long time. This paper reconsiders how we could interpret the concept of Minhwa in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y. The purpose of it is interpreting Mingei(民藝; Folk craft) from Yanagi’s overall ideology and the concept of Minhwa from this. In addition, it shows the directionality and changes hereafter. This paper organizes various results of research about the term and concept of Minhwa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academia, and interprets the real meaning of the term in Yanagi’s overall ideology of aesthetics. To know that, firstly we have to understand that Minhwa is the specific concept which is made from the generic concept, Mingei. The problems of the term which have been created after Yanagi’s death are organized as three big parts in this paper. Yanagi desired to newly look into the concept of eastern beauty in tide of the time. He had developed distinctive theory of beauty through Mingei and Buddhist Aesthetics. Minhwa was not restricted to any knowledge or study because it was made by absent-mindedness(無心) and borderless between beauty and ugliness. Accordingly, Yanagi discovered the fact that there could be mysterious and marvelous scene in Minhwa. He desired to find the meaning of real beauty through Getemono(下手品; common objects). It was beauty itself by other-power(他力). He could find the beauty which is in inaccessible with intellectual ideology and analytical intelligence, desire(願) of the one undivided beauty(不二美) from Minhwa.

      • KCI등재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과 모더니즘

        이병진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3 No.-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in which Yanagi Muneyoshi’s role in the Japanese folk and craft movement in the 1920s and 1930s, which was influenced by the mid-19th century arts and crafts movement of William Morris, was associated with its own oriental aesthetics and religi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theory and an ideology of folk culture contributed to the formative modernist philosophy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in Japan, as espoused by figures such as Yanagi Sori. Morris’s arts and crafts movement, which began by countering the paradigm that distinguished between arts and crafts in the West, led ineluctably to Bauhaus or Minimalism. The changing aspects of industrial design such as the ‘anonymous’ or ‘unconscious’ design of Yanagi seemed to promote human warmth in society in almost the same way as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of an earlier era. Traditionally, the minimal suppression of the fictional elements of the designer’s personal consciousness entails their ignorance of the theoretical tenets of folk crafts, as they rely on traditional but unspoken techniques to adapt to the imperatives of nature. This is common in ‘anonymous’ and ‘unconscious’ design. Against this backdrop,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1920s, in which folk arts were enlisted in artistic work, and of the 1970s, in which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were promoted, brought about a sense of crisis that society was heading in an unhealthy direction in pursuit of endless desire.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he two periods that is startling, a feeling that both industrial design and modern advertising use human desire to undermine the environment and mass-produce products that do not help humanity. This paper examines three dimensions of this issue: firstly, the Western arts and crafts movement, which began with the spiritual impoverishment brought about by capitalist mass produc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secondly, the folk movement as a spiritual departure that brought Buddhist aesthetics and ethics and religion to bear on such craft movements; and finally the design movement of Yanagi Sori that called attention to the social issues that industrial design should address by follow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philosophy of folk art that imbues industrial society with human warmth. Common to these three dimensions was the effort to restore beauty to life. At the same time, a productive goal is to form a complex view that combines a focus on the beauty to be seen in living in a healthy society with a simultaneous focus on addressing serious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folk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is the point at which design is itself a social challenge. This form of design can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atomized society that the modern world has brought about through the concepts of the anonymous and the unconscious. 본고는 19세기 중엽 서양의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의 미술공예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에 영향을 받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민예(民藝)사상이 독자적인 동양의 미의식과 종교성이 결부된 공예이론을 수립해가는 과정과, 그러한 민예사상이 야나기 소리(柳宗理) 등 일본의 산업디자인(Industrial Design) 분야의 근대적 조형이념인 모더니즘에 기여한 바를 살펴보았다. 서양에서 미술과 공예를 차별한 예술 패러다임에 반발해 시작한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이 바우하우스나 미니멀리즘이라는 산업디자인으로, 마찬가지로 모리스의 영향을 받은 야나기의 민예운동이 기능성을 가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통해 공업사회에서 인간적인 따스함을 느끼게 하는 야나기 소리의 ‘어노니머스(anonymous, 無名) 디자인’ 혹은 ‘언콘셔스(unconscious, 無心) 디자인’ 등의 산업디자인으로 변해가는 양상은 거의 동일하다. 디자이너의 개인의식에서 생기는 작위적인 요소를 최소한으로 억누르는 것은 민예에서 무명(無名)의 도공들이 전통적인 기법에 의존해 자연의 목소리에 순응한다는 이른바 무심(無心)상태를 말하며, 야나기 소리가 이야기하는 ‘어노니머스(anonymous, 無名) 디자인’ 혹은 ‘언콘셔스(unconscious, 無心) 디자인’과 공통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민예가 등장하는 1920년대의 사회문화적 양상과 1970년대가 공통적으로 대량생산, 대량소비를 극한까지 추진함으로써 그 끝을 알 수 없는 욕망추구에 사회가 건강하지 못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현대의 광고 등 산업디자인이 인간의 욕망추구를 이용해 환경을 훼손하고 인류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제품들을 양산하고 있는 것에 대한 위기의식도 함께 한다. 필자는 대략적으로 세 개의 흐름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해 생각했다. 다시 정리하면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와 함께 대량으로 기계 생산된 조악한 물품들에 대한 위기감에서 시작한 서양의 공예운동(아트 앤드 크래프트), 그러한 공예운동에 불교 미학적 윤리성과 종교성을 투영한 정신운동으로서의 민예운동, 공업사회에서 인간적인 따스함을 지니는 민예의 제작과정과 철학을 본받아 공업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 야나기 소리의 디자인 운동이다. 이 세 개의 운동성에 공통되는 점은 생활에서 분리된 미의 문제를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건전한 물건은 건전한 사회에 머문다는 미와 사회문제를 결부시켜 생각하는 복합적인 시각이다. 특히 민예사상과 디자인 사상의 접점은 디자인은 사회문제 그 자체라고 보고 있는 지점이다. 이는 익명성(無名, anonymous)과 무작위성(無心, unconscious)이라는 개념을 통해 현대사회가 지니고 있는 과도한 개성중시의 사회전반이 안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제작자의 개성이 과도하게 투영된 디자인의 물건은 결코 아름답지 못하며 사회적이지도 못하다는 문제의식이다. 물건은 사회적 소산이며 일상생활에서 사용 목적과 용도에 부합하는 자연에서 얻은 재료와 형태의 디자인이야 말로 아름다운 것이다. 이처럼 미의 문제가 결코 단독적인 개념이 아닌 필연적으로 사회의 윤리성, 종교성 문제와 결부된다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의 본질과 맞닿아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 국립중앙박물관 남산분관품(南山分館品)과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감식안(鑑識眼) :  

        김울림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5 동원학술논문집 Vol.7 No.-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남산분관품으로 분류되는 소장품이 4천1백여 점 소장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유물들은 근대 일본의 저명한 종교철학자이자 민예운동가인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가 설립한 조선민족미술관의 수장품으로 출발하여, 한국민속학의 선구자인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1905-1948)의 국립민족박물관을 거쳐 한국전쟁의 와중에 국립중앙박물관 남산분관품으로 접수이관된 것이다. 이 남산품은 크게 송석하의 문화민족주의를 실증하는 콜렉션으로, 일본에서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증명하는 조선민족미술관 콜렉션으로 인식하는 두 가지 방향에서 학계에서 그 존재가 언급되어 왔다. 남산품은 그 현재적 의의와 민감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적 성격규명을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경주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남산품의 성격규명을 위해 이관품 목록을 통해 밝혀진 현존유물뿐만 아니라 망실품 및 결번품 그리고 이관이전 타 박물관 대여품 등의 계량적 규모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물질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산품 전체에 대한 실체적 자료를 도출하며, 기존에 발표된 문헌자료들과의 대조를 통하여 원 콜렉터에 대한 추정과 이에 따른 성격분류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남산품이 전시 및 출판을 통해 어떠한 모습으로 공개되었으며 근현대 한국 및 일본의 미술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유물의 역사적, 현재적 의미를 되새겨보았다.

      • KCI등재

        야나기 무네요시의 비애미와 ‘모노’ — 모노노아와레와 한(恨)의 미학 서설 —

        박규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0 일본사상 Vol.0 No.39

        야나기 무네요시가 ‘비애미’라는 것을 거론한 이래 그것은 오랜 동안 조선미의 전형인 것처럼 말해져왔다. 이 비애미는 혹 ‘모노노아와레’나 ‘한’(恨)의 미학과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닐까? 이런 소박한 의문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실제로 야나기가 말한 비애미는 슬픔뿐만 아니라 원한의 감정과도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비애미와 모노노아와레 또는 비애미와 한의 유사성을 단순 비교하는 것이 본고의 관심은 아니다. 본고의 지향점은 ‘모노’의 의미를 추구하면서 일본미와 조선미를 둘러싼 미의 사상성을 묻는 데에 있다. 모노는 일본인의 공통개념에만 머무르지 않고 일본의 문학, 종교, 사상에 이르기까지 깊이 침투해있는 근본 개념이다. 따라서 ‘모노의 사상’을 묻는 일은 곧 일본 사상전통의 근본을 묻는 작업이기도 하다. 가령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모노노아와레는 ‘모노’의 ‘아와레’를 가리키며, 니시다 기타로가 말하는 ‘행위적 직관의 세계’란 모노의 세계 즉 “우리가 직접 모노를 보고 모노를 생각하는 세계”로서 생기하는 것, 다시 말해 “모노가 되어 모노를 생각하고, 모노가 되어 모노를 보는 것”을 가리킨다. 본고의 주요 고찰대상인 야나기 무네요시 또한 ‘모노의 사상’에서 간과할 수 없는 위상을 차지한다. 야나기의 민예론은 결국 ‘모노의 민예론’이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목적은 이와 같은 ‘모노’에 초점을 맞추면서 그것이 야나기의 비애미 또는 민예미에 어떤 양상으로 반영되어 나타나는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그 과정에서 특히 모노노아와레와 비애미의 접점에 주목하는 한편, 결론적으로 그 토대 위에서 향후 모노노아와레와 한의 미학 연구를 위한 실마리를 모색하고자 한다. From the discourse on Beauty of Sadness by Yanagi Muneyoshi downward, it has often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Beauty for a long time.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Beauty of Sadness and the aesthetics of Monono-aware or Han(恨)? Such a simple question is a motive of this essay. Factually, the Beauty of Sadness seems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emotion of not only sadness but also grudge. However, I am not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naive comparison between Beauty of Sadness and Monono-aware or Han. This essay is oriented toward the thought of Beauty in association with the Japanese Beauty and the Korean Beauty, searching after the meaning of Mono. Mono can be said to be a common notion among Japanese people. Moreover, it might be a kind of basic notion deeply soaked into the Japanese literature, even in the Japanese religion and thought as well. Therefore, asking for Mono is also an issue of inquiring “What is the essence of Japanese Thought?”. Yanagi Muneyoshi, who is the main subject of this essay, also holds a key position in the thought of Mono. His Mingei-ron (discourse on fork arts) is eventually “Mingei-ron of Mono”, no less.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how Mono shows up in his Beauty of Sadness, while focusing upon the meaning of the Mono. In so doing, I will give special attention to the various points of contact between Monono-aware and Beauty of Sadness, in order to find some clues to the following study on the aesthetics of Monono-aware and Han.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공예 미론 연구

        신현숙,권은숙 경원전문대학 1995 論文集 Vol.17 No.2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는 일본의 종교 철학자, 미학자, 조선의 민예품을 접한 뒤 거기에 매료되어 민예를 연구하였고 일본에서 '민예운동'을 전개하였다. 나아가 민예미론을 불교미학으로까지 발전시킴으로써, 서구 근대의 순수미술 중심의 미학과는 달리 동양의 '선'사상과 민중적 미의식을 점맥한 독특한 미학을 수립하였다. 본고는 야나기가 거의 일생동안 지대한 관심의 대상으로 삼았던 한국미술의 실체를 그의 눈을 통해서가 아닌, 객관적 기준을 통해서 살펴보는 것이며, 그의 이론을 그 당시의 세계관과 학문적 조류의 입장에서 비교분석 하는 방식이다. 야나기의 사상과 미론을 살펴봄으로서 야나기의 한국미술론에 대한 비판과 수용의 올바른 자세를 도출하고, 또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그의 한국미술관이 갖는 의미가 무엇이며 극복해야 할 문제는 무엇인지 가늠해 보고져 한다.

      • KCI등재

        야나기 무네요시의 석굴암 인식 - 20세기초 일본인 지식인에 의한 최초의 석굴암론 -

        강희정 진단학회 2010 진단학보 Vol.- No.110

        Yanagi Muneyoshi(柳宗悅, 1889-1961), one of the famous Japanese collectors and promoters of Joseon dynasty ceramics, visited Korea several times. He is well known as an esthetician and founder of the folk art museum of craft(民藝館), nowadays. Although he wrote many essays on Korean art, his writing on the Sokkul-am is not paid attention by scholars. When he came to Korea for the first time in 1916, he came to Gyungju to visit the Sokkul-am. A few years later, in 1919, he wrote the article in Japanese magazine Geizutsu(藝術) under the title of "Concerning the Sculptures in the Stone Buddha Temple(石佛寺)". This was his first introductive writing on Joseon art and also modern writing on the Sokkul-am. The Sokkul-am was treated as a representative Korean art in his article. After this reference, the paradigm that he had made up for the Sokkul-am has been maintained with a few changes till these days. He thought that the Sokkul-am is the greatest art in the Korean art history and the middl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the most brilliant period for the Joseon people. This perspective was affected from the leading elite group including professor Shiratori Kurakichi(白鳥庫吉, 1865-1942), who invented the idea of “To-yo(東洋)". In fact, such an historical view from Yanagi's writings was derived from the idea which Okakura Tenshin(岡倉天心, 1862-1913) created. When Okakura theorized his own "Asianism" and the basis of Japanese art history, he claimed that the Buddhism w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to judge the predominace of a certain period. According to his opinion, the period when the Buddhism was flourished is more valuable and should be highly estimated than any other period. Since Yanagi, who had learnt from Shiratori in his Tokyo university days, followed those paradigms that Okakura had built up, he necessarily wrote that the Sokkul-am was the most significant art work in Korea. Yanagi, like Sekino Tadashi (關野貞, 1867-1935), successively stated Joseon was degenerated as he judged the rise and fall of a nation by its Buddhist art. This paradigm on the Sokkul-am has been maintained till today since Yanagi built up the theory constructed for the first time. His works and effort for Korean art offers insight into the reinvention of Korean art by Japanese colonialists and Korean researchers in this period. 1916년 석굴암을 방문한 야나기 무네요시는 1919년에 「石佛寺の彫刻に就いて」를 『藝術』 제2권 제5호에 발표했다. 이 글은 야나기가 쓴 최초의 조선 미술 소개글이며, 석굴암에 관한 근대의 첫 저작에 해당한다. 야나기에 의하여 조선을 대표하는 종교예술로, 조선 미술의 精華로 규정된 것을 시작으로 그가 제시한 석굴암 인식의 기본 틀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석굴암을 우리 미술의 頂点으로 보고 조선시대 미술을 쇠락한 것으로 바라보는 야나기의 시각은 오카쿠라 덴신의 일본미술사 전개과정과 상통하며, 또한 ‘東洋’의 창안자이자 식민사관의 이론가였던 시라토리 구라키치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석굴암과 관련된 글이 활자화되기 시작한 것이 석굴암의 근대적 ‘재발견’ 이후였으며, 특히 야나기의 글 이후 더욱 활발해졌다는 점에서 야나기의 석굴암론에 관심을 가질 필요는 충분하다. 이는 석굴암에 대한 우리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석굴암에 관한 인식을 객관화하는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