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말기 카프 문인의 애도 양상

        이경재 ( Kyung Jae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5 No.-

        일제 말기에 사회주의 문학인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문학적 방향에 대하여 심각한 혼란을 느꼈다. 1930년대 후반의 한국근대문학사에서는 비로소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내면``이 형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치적 내면의 탄생은 이전 시기 문인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애도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 관점이다. 프로이드적 관점에서 정상적 애도라는 관념이 전제하는 타자로부터의 분리는 타자를 내 식대로 만드는 것이며, 실패한 애도라는 관념이 전제하는 타자와의 합체는 타자를 나와는 무관한 온전한 타자로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애도란 필연성과 불가능성을 동시에 지니는 역설 또는 이중구속을 의미한다. 즉 애도는 대상이 지닌 현실성의 상실을 통해서 그 관념상의 본질을 획득하는 지양(Aufhebung)의 구조를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김남천은 사회주의와 프로문학의 상실 앞에서 이상적인 애도에 가장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김남천은 1930년대 후반에 창작된 「처를 때리고」(『조선문학』, 1937.6), 「제퇴선」(『조광』, 1937.10), 「요지경」(『조광』, 1938.2), 「녹성당」(『문장』, 1939.3) 등의 작품을 통하여 ``불가능하지만 불가피한`` 혹은 ``불가피하지만 불가능한`` 애도를 행하는 전향 지식인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들은 과거와 결별한 듯 현재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그들의 마음 깊은 곳에는 과거에 지향했던 이념의 본질이 여전히 굳게 자리 잡혀 있다. 이들 주인공들의 내면 속에는 프로이드적인 의미의 애도를 성공적으로 해내려는 자아와 애도 자체를 거부하고자 하는 자아가 공존하고 있다. 보통 일제 말기 김남천의 주체 개념은 주체 ``분열``이나 주체 ``해체``라는 말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끝이 없는 것이고, 위로할 수 없는 것이고, 화해할 수 없는 것"으로서의 애도가 지닌 특징과 연결된 것이다. 1940년대 들어 창작된 「경영」(『문장』, 1940.10)과 「맥」(『춘추』, 1941.2)에는, 김남천 소설에서는 최초로 프로이트적인 의미의 애도를 완벽하게 수행하는 인물이 등장한다. 오시형이 바로 그 주인공으로서, 그는 과거의 대상에 대한 완벽한 상징화와 의미부여에 이른 모습까지 보여준다. 오시형의 반대편에 놓인 인물이 제국대학의 강사였던 이관형이다. 이관형은 자신의 옛 이념에 충실한 결과로 현재에 어떠한 리비도도 쏟아 붓지 못한다. 작가는 이관형을 오시형보다 훨씬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지만, 이관형 역시 애도라는 측면에서는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내사(introjection)와 합체(incorporation)가 결합된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만을 각각 나눠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 작품에서 그 유명한 보리 이야기를 통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오히려 이 작품에서 내사(introjection)와 합체(incorporation)가 결합된 애도의 가능성은 처음부터 생활인이었던 최무경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is the period that socialistic literary men got in severe confusion regarding their identit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literature. We can say that the late 1930`s was the point that ``the inner side of society and politics`` was finally formed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basic viewpoint of this article is that the birth of that political inner sid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mourning over socialistic ideology which dominated the mental world of the previous literary men. From the Freudian viewpoint, separation from others which the idea of normal mourning presumes is to manipulate others on one`s own way. And incorporation with others which the idea of failed mourning presumes is to make others sound with no regard to oneself. Thus, true mourning means either the paradox or double binding which holds inevitability as well as impossibility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mourning can be realized only through the structure of Aufhebung which acquires the essence of the idea through the loss of reality that the object has. Before the loss of socialism and professional literature, Kim Nam-Cheon shows the aspects of morning that is the closest to this. With the works created in the late 1930`s like 「Beating His Wife」 (Chosun Munhak, Jun., 1937), 「Jetoeseon」 (Jogwang, Oct., 1937), 「Yojigyeong」 (Jogwang, Feb., 1938), or 「Nokseongdang」 (Munjang, Mar., 1939), Kim Nam-Cheon embodies the aspects of the forward-looking intellects practicing mourning that was either ``impossible but unavoidable`` or ``unavoidable but impossible.`` Though they were faithful to the present as if they had parted from their past, they were still holding the essence of ideology which they had pursued in the past firmly deep inside their heart. Inside the leading characters` mind, there coexist the ego pursuing the Freudian mourning successfully and that unwilling to accept the mourning itself. Generally, the concept of Kim Nam-Cheon`s subjectivity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is described with the words of subject ``split`` or subject ``dissolu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as "what is endless, unconsolable, or irreconcilable." In Kim Nam-Cheon`s novels created in the 1940`s such as 「Gyeongyeong」 (Munjang, Oct., 1940) and 「Maek」 (Chunchu, Feb., 1941), characters who perform the Freudian mourning perfectly for the first time. Oh Si-Hyeong is the very leading character, and he shows the aspects that he can symbolize the object of the past completely and provide the meaning to it. The antagonist of Oh Si-Hyeong is Lee Gwan-Hyeong who worked as the instructor at Imperial University. As the result of being faithful to his own old ideology, Lee Gwan-Hyeong failed in using any of his libido for the present. By the author, Oh Si-Hyeong turns out to be the object of severe criticism incomparable with Lee Gwan-Hyeong, but from the aspects of mourning, he does not show the true aspects of mourning. It is because they could not combine introjection with incorporation but each of them had only one of those. This is clearly shown from Bori`s Story that is very famous in this work. Instead, in this work, the possibility of morning that combines introjection with incorporation is realized by Choi Mu-gyeong who was just an ordinary character from the first place. In Kim Nam-Cheon`s 「Deungbul」 (Kookmin Munhak, Mar., 1942), the matter of mourning seems to disappear almost. The socialistic ideology that had supported him in the past was neither the barrier in his life nor any particular concern then. Because of the fact that he was not at all associated with the ideology that had let him exist as the subject in the past, 「Deungbul」 can be said to be the work that is far distant from true mourning in the sense that it forms the severest violence to the past.

      • KCI등재

        ‘사회적 애도하기’로서의 퍼포먼스 -에리카 피셔 리히테(Erika Fischer-Lichte)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이경성 한국연극교육학회 2022 연극교육연구 Vol.40 No.-

        ‘애도하기’는 죽음에 대한 살아있는 자들의 슬픔을 표현하는 행위이다. 적절한 기간과 형식을 통해 진행되는 애도를 통해 살아있는 자들은 삶의 의미를 새롭게 성찰하고 다시 일상으로 복귀할 힘을 얻는다. 애도는 사적 애도와 공적 애도 혹은 사회적 애도로 나눠질 수 있는데 사적애도가 자신의 사적인 인간관계 안에서의 상실에 대한 추모라면 공적 애도는 한 사회 전체가 집단 적으로 애도할 만한 사건이나 죽음에 의해 촉발된다. 사회적 애도는 공동체의 집단적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순기능을 갖는다. 또한, 죽은 자들에 대한 예우를 표하는 애도는 한 사회의 도덕적 성숙도를 보여준다. 공연예술은 관객과 공연자가 한 공간 안에서 집단 적으로 대면하는 형식의 특성상 공동의 애도를 표하는 공간으로써 종종 활용되어왔다. 한국에서는 세월호 사건 이후 많은 연극이 세월호 사건을 주제로 공연되었다. 세월호 관련 공연들은 동시대 관객들과 슬픔을 나누고 사회적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과정으로써 인식되었다. 공연 안에서 관객과 공연자가 하나의 사건을 체험하며 에너지를 상호교류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에리카 피셔 리히테는 ‘수행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하였다. ‘수행성’의 공연에서는 '자기지시성'과 '현실구성적'특성으로 말미암아 관객은 무대에서 보내는 기호를 해석해야 하는 수동성에 갇히지 않고 자동형성피드백 고리 안에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의미를 생성해낸다. 그리고 이 끊임없는 주고받음의 과정 안에서 관객과 공연자 모두 새로운 현실로의 이행, 즉 변화의 공간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공연예술의 특성은 주체적 애도의식이 거행될 수 있는 다양한 예술적 가능성을 만들어낸다. 한국의 《그녀를 말해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Elegy》는 공연예술이 예술적 형식을 통해 사회적 애도의 기능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보여준다. 《그녀를 말해요》는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들의 말을 인터뷰하여 관객들에게 다시 전하고 304명의 희생자의 이름을 무대 위에서 외워 발화함으로써 관객과 애도의 체험을 공유한다. 《Elegy》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회에서 여성 혐오 등으로 희생된 여성을 기리는 목소리 퍼포먼스로서 그 어떤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추모의 음을 목소리로 이어내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 목소리와 표정이라는 신체 성을 바탕으로 애도의 환경을 만들어내는 이러한 형식적 전략은 관객들로 하여금 각자의 방식으로 애도에 동참하게끔 끌어낸다. 이처럼 ‘수행성’이라는 특성을 바탕으로 공연예술은 애도를 표하고 감정을 교류하는 사회적 애도하기로서의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 KCI등재

        김소월 시의 애도 주체와 유령의 존재론

        이광호 ( Lee Kwang-h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9 No.-

        이 논문은 김소월의 시에서의 ``애도 주체``와 ``유령``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김소월 시 텍스트에 드러나는 수행적 주체의 한 양상을 ``애도 주체``로 명명하고, 그 애도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유령``의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김소월의 시는 상실의 시간을 잠재성의 시간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애도의 시간을 재구성한다. 애도의 주체는 사라진 대상에 대한 호명과 기억의 현재화를 통해 그 애도를 지속하고자 한다. 사라진 대상을 둘러싼 기억이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것은 유령적인 존재들이다. 소리와 냄새, 그리고 몽환적인 3인칭과 여성적인 존재로 출몰하는 유령적인 존재들은, 애도의 불가능성을 애도의 지속성으로 전환하는 이미지들이다. 유령은 소유도 동일화도 불가능한 비실재적인 가시성이고 ``존재자 없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김소월의 시는 잃어버린 대상이 익명적인 존재로 재출현하는 방식으로서의 ``애도의 제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시들은 부재와 현존 사이의 실체화할 수 없는 유령의 경험이 갖는 미학적이고 윤리적인 의미를 드러내준다. 김소월 시에서 애도는 타자의 기억에 충실하면서 타자를 폭력적으로 동일화하지 않는 방식이다. 유령의 형식으로 되돌아오는 미지와 익명의 타자를 ``환대``하는 애도라고 할 수 있다. 김소월이 한국시의 서정의 형식을 구성하는데 기여한 것을 생각한다면, 이런 분석은 한국현대시의 서정적 형식 안에 내재된 애도 주체로서의 시적 주체의 성격을 이해하게 해준다. 한국 서정시의 기본적인 형식이 상실된 대상에 대한 그리움과, 대상의 부재를 언어화하는 방식의 문제였다면, 애도의 형식은 한국 서정시의 미적 모더니티를 구성하는 문제적인 국면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ntended to deal with the ``mourning Subject`` and the image of ``specter`` appearing in Kim Sol-Wol`s poems. And it intended to call a patter of performing subject being revealed in Kim So-Wol`s poem texts as the ``mourning Subject``, and the to raise the question of ``Specter`` being revealed in the mourning process. Kim So-Wol`s poems recompose the mourning time as the way transforming the lost time into the creative potential time. The mourning subject intended to keep the mourning through calling a name to the lost object and making the memory present. It were the specter beings tha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calling out the memory around the lost object. The specter beings were the images conversing the impossibility of love and mourning into the continuality of mourning. Kim Sol-Wol`s poems can be expressed into the ``proposal of mourning`` as a way that the lost object reappeared as an anonymous being. Such poems reveal aesthetic and ethical meanings being contained in the experience of specter who can`t be embodied between the absence and the present existence. That is the way faithfully reminding the other`s memory but not violently synchronizing the other. The way can be said as the mourning ``welcoming`` the unknown other returning in the form of specter. Thinking Kim So-Wol`s contributory position in composing the format of lyricism of Korean poems, this analysis allow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as the mourning subject being inherent in the format of Korean modern poem`s lyricism.

      • KCI등재

        발달적 애도를 통한 변형적 내면화 과정

        김홍근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4

        애도는 사별뿐만 아니라, 인간이 경험하는 모든 아프고 고통스런 상실에 존재한다. 자신의 리비도가 강력하게 투여된 모든 자기대상, 예를 들면 국가, 일터, 애인, 애완동물, 예술, 건강, 공동체 등을 상실할 때도 슬픔과 고통이 존재한다. 만약 발달과정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외상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발달이 정지되어 있는 봉인된 자아를 가진 사람이 이러한 상실을 갖게 되면, 모든 심리적 연결이 정지되고, 깊은 고립감과 함께 우울 속으로 빠져든다. 일차적인 유대와 내재화의 붕괴는 자기통합과 분리개별화에 장애물 역할을 한다. 인간이라면 마땅히 경험해야 할 모든 발달적 대상관계를 맺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생애초기에 경험된 치명적인 좌절, 즉 박탈과 착취와 유기 경험은 분열과 해리를 통해 나쁜 내적대상을 자기 안에 채워 넣게 되며, 이것은 일생동안 병리의 핵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논문은 상담자가 자애로운 타자와 정서적으로 안아주는 환경의 역할을 함으로써 발달적 내재화 과정을 갖지 못한 내담자에게 공감적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애도과정이 변형적 내면화라는 발달적인 과정을 촉진하여, 새로운 자기표상 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즉, 심리적 변형과 구조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발달적 애도를 다룬다. 이를 위하여 애도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론들을 고찰하고, 발달적 내면화 과정을 위한 촉매로써 상담자의 공감적 역할이 어떻게 일차적 유대와 내면화가 붕괴된 병리적인 애도 상태에 있는 내담자를 새로운 발달적 국면으로 이끌 수 있는지를 서술한다. 그리고 목회상담적 차원에서 교회가 지닌 좋은 대상의 내재화를 위한 자원들과 그것의 효과적인 적용을 제시한다.

      • KCI등재

        애도의 변주들 : 자케스 음다(Zakes Mda)의 『죽음의 방식들(Ways of Dying)』을 중심으로

        이향미(Lee, Hyang-mi)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코기토 Vol.- No.89

        본 논문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작가인 자케스 음다(Zakes Mda, 1948~)의 소설 『죽음의 방식들(Ways of Dying)』을 통해 애도가 어떻게 지속되며 변주되고 또 재창조되는지 살펴본다. 아파르트헤이트의 종말 후 첫 민주적 정부가 탄생되는 전환기에 발표된 이 소설은 “전문 곡쟁이(a professional mourner)”라는 독특한 직업의 주인공을 통해 삶과 죽음, 그리고 애도의 의미를 탐구한다. 음다는 곡쟁이 주인공을 통해 공식적이며 전국가적인 애도의례들 속으로 편입되지 못하는 사변적인 “일상의” 죽음들을 위로하며 정의나 자유와 같은 대의명분 아래 은폐된 죽음들을 애도의 장으로 끌어낸다. 즉 그는 흑인 부족들 간의 전쟁, 흑인 이주 노동자와 도시 노동자 간의 반목 등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억압적 제도가 개인들 속으로 침잠되어 결국 피억압자들 내부에서 표출되기 시작한 비극적 죽음들을 애도한다. 나아가 소설은 애도가 단지 죽음을 슬퍼하는 망각의 과정이 아니라 기억을 지속해내기 위한 노력과 결합될 때 형식적이거나 퇴행적인 애도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소설 속 주인공이 창조적으로 변용하는 다양한 애도 의례를 통해 음다는 애도는 마땅히 소진되어야할 슬픔이 아니며 애도 의식은 역사적 의미가 재해석되는 예술적 행위의 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억압된 기억들의 단순한 회복을 넘어서 그것을 재창조해 나가는 것이 애도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t ways of mourning through Zakes Mda’s Ways of Dying. Drawing on Njabulo Ndebele’s notion of “the rediscovery of the ordinary,” Mda’s novel represents “the ordinary” details of everyday lives rather than narrating “the spectacular” events during and post apartheid. Through Toloki, an eccentric main protagonist, who is paid for his mourning in funerals, Mda particularly explores how inextricably the ways of dying are related to the ways of living. As self-ordained “professional mourner,” Toloki embraces the ordinary deaths, which have often been disregarded in state-sponsored mourning, and unburies the inter-ethnic violence and murder that have been silenced under the cause of fight for freedom. While some people are reluctant to address the past especially at the era of transition, Mda argues that “the only way to reconciliation is through memory.” He suggests that mourning can be reinvented and re-created in the new generations with unexpected variations when we are deeply concerned with memory.

      • KCI등재

        애도와 멜랑콜리 연구: 애도와 멜랑콜리의 이론적 지형과 문학적 재현의 윤리를 중심으로

        박상수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최근 한국문학과 관련하여 애도와 멜랑콜리, 애도 안의 재현이라는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 되었다.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재난 상황의 지속 때문이다. 공적 차원의 애도 불가능성이 심화될수록 그 불가능성을 가능성으로 바꾸어보려는 사회 각 분야의 노력이 요청되는데 문학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런 움직임의 밑바탕에 가장 핵심적인 질문으로 상실 이후의 ‘애도(mourning)’와 ‘멜랑콜리(melancholy)’의 문제가 겹쳐 있다. 애도와 멜랑콜리를 둘러싼 이론적 지형과 그 전개방향을 탐구하기 위해 가장 먼저 살펴볼 것은 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과 벤야민의 멜랑콜리 이론이다. 체액론의 경우 흑담즙에 지배받는 멜랑콜리의 성향을 가장 고상하지 못한 체질로 보았다. 이후 근대 심리학에서 계몽주의에 이르기까지 멜랑콜리는 주로 사회적 행복을 저해하는 위험한 병으로 취급되었다. 멜랑콜리의 예술적이고 철학적인 가능성을 복권시킨 것은 벤야민이었다. 그는 바로크 작가들을 연구하며 이들이 멜랑콜리에 사로잡힌 자들이었고, 바로 그 멜랑콜리의 힘으로 파편화된 사물에 새로운 해석을 부여하며 폐허의 변증법을 꿈꾸었다고 보았다. 애도와 멜랑콜리는 프로이트에 이르러 그 개념적 구분이 가능해진다. 프로이트는 상실 이후의 반응을 애도와 멜랑콜리로 구분한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애도는 주체가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그 상실 대상에게 투여되었던 리비도를 철수시켜 자아로 되돌리는 정상적인 과정이다. 멜랑콜리는 상실 대상을 떠나보내지 못하고 상상적으로 상실한 대상을 주체의 내부로 들여와 자아와 동일화시킨 뒤 나르시시즘의 상태로 퇴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프로이트의 애도이론을 반성하며 멜랑콜리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바로 데리다였다. 데리다는 정상적인 애도에 실패하고 마음에 지하묘지를 만들어 죽은 자와 함께 사는 일을 애도의 성공으로 본다. 죽은 자가 타자성을 잃지 않고 영원히 주체의 내면에 살아남아 있을 때가 가장 성공적인 애도의 모습이 되는 것이다. 한편 버틀러는 우울증적 젠더 이론을 통해 역설적으로 정체성의 해체가 정치성으로 연결되는 지점을 탐구한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안티고네였다. 안티고네는 ‘구성적 외부’를 가동하고 비순수의 모호한 퀴어 주체로서 ‘순수의 정치’가 아니라 ‘오염의 정치’를 통해 정치성을 실현한다. 버틀러는 9․11 이후 에고에 합체된 상실한 대상의 영향력이 남은 자의 삶을 어떻게 뒤바꿀 수 있는지 탐구한다. 이상의 이론을 배경으로 애도와 멜랑콜리에 관련하여 제기할 수 있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 ① 상실한 대상의 재현 문제, ② 재현하는 대상 뿐 아니라 재현하는 자의 윤리와 연관지어 ‘구성적 외부’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③ 멜랑콜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양가감정’의 문제, ④ 애도와 멜랑콜리의 논리 안에서 싸우면 싸울수록 과도하게 순수해지려는 아이러니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⑤ 애도와 멜랑콜리를 둘러싼 문학 작품과 비평이 지금 우리 사회에 결여된 정상성에 대한 촉구와 만나면서 의도치 않은 보수화의 경향을 만들어낼 위험은 없는지, ⑥ 남은 자들이 멜랑콜리에 빠져드는 것이 실은 대상을 상실했기 때문이 아니라 애초부터 대상을 결여하고 있었다는 것을 감추기 위해서는 아닌가 하는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 ⑦ 멜랑콜리가 상실한 것에 대한 인식을 사후적으로 ... Recently, the issue of ‘mourning and melancholy’ and ‘reproduction of mourning’ have been highlighted in relation to Korean literature. This is because of the ongoing disaster situation surrounding Sewol disaster. As the impossibility of mourning for the public dimension deepens, efforts are being made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to change the impossibility into possibility. Literature was no exception. The most important question on the basis of this movement is the overlap of ‘mourning’ and ‘melancholy’ after the loss. To explore the theoretical topography surrounding mourning and melancholy and its development, the first thing to look at is Hippocrates’ four body fluid theory and Benjamin’s melancholy theory. In the case of four body fluid theory, the tendency of melancholy, which is dominated by black bile, was regarded as the least sophisticated constitution. Later, from modern psychology to the Enlightenment, melancholy was treated primarily as a dangerous disease that hinders social well-being. It was Benjamin who reintroduced melancholic artistic and philosophical possibilities. He studied baroque writers and saw that they were obsessed with melancholy, and that by the power of the melancholy they were dreaming of a dialectic of ruin, giving new interpretations to the fragmented things. Mourning and melancholy come to Freud, and the conceptual distinction becomes possible. Freud distinguishes the reaction after loss from mourning and melancholy. According to Freud, mourning is the normal process by which subjects withdraw from the libido that was eventually administered to the victim over time and return to self. According to Freud, it is a normal process for the subject to withdraw the libido, which was eventually given to the lost object over time, to return to the self. It is melancholy to return to the state of narcissism by bringing an imaginary lost object into the subject and equalizing it with the self without leaving the object of loss. Derrida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melancholy, reflecting on Freud’s mourning theories. Derrida sees the success of mourning as the failure of normal mourning and the creation of a catacomb in his heart to live with the dead. The most successful mourning is when the dead survive in the subject forever without losing the Other thing. Butler explores paradoxically the point at which the dissolution of identity leads to politics through the theory of depressive gender. The representative figure was Antigone. Antigone operates the ‘constitutional external’ and realizes politics through ‘pollution politics’ rather than ‘pure politics’ as a vague queer subject of naught. Butler explores how the influence of the lost object incorporated into the ego after 9.11 can change the life of the remnant. The following questions can be raised regarding mourning and melancholy. ① Problem of reproduction of lost object, ② How to deal with ‘constitutive externalities’ in relation to the ethics of the reproducers as well as the objects to be reproduced, ③ The problem of “ambivalence” that melancholy can not miss, ④ If you fight within the logic of mourning and melancholy, the irony that you want to be excessively clean may arise, ⑤ Literary works and criticism surrounding mourning and melancholy meet with the urgency of the normality lacking in our society, and there is no danger of creating a tendency of unintentional conservatism, ⑥ The fact that the remnants fall into melancholy is not because of the loss of the object, but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t is not in order to conceal the lack of the object from the beginning, ⑦ If you can create a perception of the loss of melancholy after death, and if you can continue to desire it, then how do you see the unique productivity of melancholy? Literature about mourning and melancholy can be distinguished from ‘pure politics’ and ‘pollution politics’. It is a crit...

      • KCI등재

        淸陰 哀悼詩에 나타난 슬픔의 形象化 方式

        김하윤(金夏允)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哀悼詩는 亡者의 인생을 회고하며 추모하는 시로,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진 길이기에 ‘公道’라고도한다. 청음은 132제 162수에 해당하는 많은 애도시 작품을 남겼다. 청음은 청요직을 두루 거쳤기에 애도의 대상은 宦路에서 활동할 당시의 朋友들이나 주변인물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5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5명의 직계 가족의 죽음을 목도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대한 애도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가족상실에 대한 상심이 너무나 커서 詩化하여 나타낼 심적 여유가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23명의여성 망자를 추도한 작품들과 5首의 代作의 애도시도 보였고, 주로 짧은 형식의 절구보다는 곡진한 슬픔을 더욱 잘 표현할 수 있는 율시를 즐겨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청음이 망자에 대한 슬픔을 형상화하여 표현하는 방식은 逼眞한 슬픔을 직접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과 배경을 통하여 슬픔을內面化하는 양상을보여주고 있다. 前者는 망자에 대한 슬픔을 아무런 문학적 장치도 가하지 않았기에 애도자의 심정을 솔직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반면에 後者는 작품 前面에 감정보다는 배경을 배치한다. 전반적으로 감정의 표현보다는 배경의 서술 속에 초점을 맞춘다. 배경의 효과적인 묘사를 통해 망자에 대한 슬픔을 이면에 감추는 것이다. 곧 감정의 직접적 표출보다는 배경의 효과적인 제시를 통하여 에도자의 슬픔을 더욱 곡진하게 녹여내는 것이다. 哀悼诗是用对死者人生回顾和追悼的诗,表达一种每个人都将公平的走向一个地方的公道. 清阴一共留下了132集162首哀悼诗. 清阴中哀悼的对象主要是宦路中结识的朋友以及周边的人物. 但是即使在短短的五年之内目睹了五名家人的死亡,都未出现对死者的哀悼诗. 这是因为面对亲人的离开心情太悲伤没有心思用诗来表达. 从哀悼23名女性亡者的作品和五首哀悼诗的代表作中可以看出,比起短句形式的绝句, 能够透彻的表达出背上的律诗更经常被使用. 可以看出,清阴对于亡者的悲痛形象的表达方式有直接表达悲伤感情和通过背景描写将悲伤从侧面烘托这两种表达方法.前者因为不强加任何文学性的修饰直接的把心情表达出来,也就是没有比喻和婉转的表现淋漓尽致的抒发对于死者的缅怀. 相反,后者在叙述感情之前铺垫的背景介绍,在大体上表达出哀悼者的感情之上把焦点放在了叙述背景上. 通过对于背景效果的描写饱含了对于死者的悲伤,比起直白的感情叙述,这种通过效果性的提示背景表达伤感更能将背上描写的更透彻. 这样的叙述背景的方式有人会觉得失去了些真情流露,但是可以说,比起直接表达感情,用高层次的叙述手法恳切的流露出哀悼者真挚的伤感的这种叙述手法更适合使用.

      • KCI등재

        애도에 대한 이론, 내러티브, 그리고 그림책의 스토리텔링

        김민화(Kim, Min Hwa) 한국독서치료학회 2021 독서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애도 이론과 애도 내러티브의 탐색을 통해 동시대가 필요로 하는 애도 이야기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고 그러한 이야기가 담긴 그림책을 소개함으로써 독서치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탐색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프로이트, 보울비, 데리다, 바르트 등의 이론과 저서, 한국의 전통적 애도 의례를 통해 다양한 애도 내러티브를 탐색했다. 이를 통해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애도는 정상성에 대한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애도를 넘어서 연결과 지속의 애도, 공동체가 함께 하는 애도, 애도되지 않았던 생명에 대한 애도 등으로 정리하였다. 그러한 이야기를 내포하는 그림책들을 선별하고 새로운 애도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을 소개할 수 있는 5개의 주제를 재구성한 다음 그 주제별로 그림책을 소개하였다. 그림책의 애도 스토리텔링 주제는 ‘기억을 통해 연결되고 계속되는 애도’, ‘상실의 책임이 사회 구조에 있는 애도’, ‘죽음을 죽음인체로 환대하는 애도’, ‘애도되지 않는 죽음에 대한 애도’ 등이었다. 주제별로 그림책의 이야기를 소개한 후 독서치료에서 이러한 이야기들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제안하였다. 그림책을 통해 재현된 애도 이야기들은 모든 연령대에 걸쳐 독서치료의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개인적 차원의 애도와 문제해결은 물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슬픔을 나누고 위안을 주고받으며 공동체의 애도이야기를 다시 읽고 다시 쓰는 독서치료적 접근에 대한 깊은 통찰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bibliotherapy. First, this study looked at the contemporary mourning stories from the exploration of various mourning theories and mourning narratives through theories and writings of Freud, Bowlby, Derrida, Barth, and White, as well as traditional Korean mourning ceremony. The search of them could suggest the mourning that modern society needs goes beyond the mourning that reflects the ideology of normality, and has been organized into mourning for connection and continuity, mourning for the community, and mourning for life that was not mourned. Next, picture books containing such stories were selected, five themes were reorganized to introduce picture books containing new mourning stories, and picture books were introduced by each topic. As results, ‘mourning connected and continuing through memory’, ‘mourning where the responsibility for the loss is in the social structure’, ‘mourning that welcomes death as a death itself’, ‘the transfer of memories, mourning of the community’, ‘mourning for unmourned death’ were organized as the mourning storytelling themes of the contemporary picture books. After introducing the stories of picture books by topic, how these stories can be utilized in bibliotherapy was suggested. The mourning stories reproduced through picture books can be used as therapeutic resources for all ages, and can be helpful to create deep insights into bibliotherapy approaches in the site of not only mour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solve problems, but also share grief and comfort with others, and reread and rewrote the mourning stories of the community.

      • 불완전한 애도 :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애도 이론을 바탕으로

        신예빈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1 陶藝硏究 Vol.- No.30

        본 연구는 갑작스러운 반려견의 죽음으로 인한 연구자의 여러 감정을 고찰하며 반려견의 죽음을 애도하는 과정을 담은 논고이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반려동물을 키우며 자연스럽게 애착 관계가 형성되고 반려동물 소유자들은 동물을 단순한 객체가 아니라 애정 어린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주체로, 즉 명백한 인격체로 여긴다. 이러한 관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맞이하게 되는 반려견의 죽음은, 특히 예기치 못한 갑작스러운 죽음은 남은 사람에게 오랜 시간 동안 고통을 겪고 살아가게 만든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갑작스러운 죽음을 겪은 후 행하게 되는 애도 과정에 관한 연구 후,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죽음과 애도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였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애도(mourning)와 멜랑콜리아(mélancolie) 개념을 통해 가까운 이의 죽음을 경험한 후 상실감과 우울감이 어떻게 개인의 삶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프로이트는 애도를 정신분석학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작업”이라고 설명하며, 고통을 동반하지만 성공적으로 완수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작업”의 성공은 사랑하는 대상을 향한 리비도를 다른 대상으로 옮기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에 실패한 경우 병리적인 우울증인 멜랑콜리아에 빠진다고 하였다. 사랑의 대상이 죽었다고 다른 대상에게 리비도를 이동해야 한다는 것과 멜랑콜리아가 병리적 현상이라는 것에 동의할 수 없었던 연구자는 데리다의 애도 개념을 통해 상실에 대한 이해를 더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데리다는 정신분석학에서 논의하는 ‘정상적인’ 애도를 비판하며 애도와 멜랑콜리아 사이의 대립을 해체한다. 또한, 애도의 과정에서 멜랑콜리아가 남아 해소할 수 없는 슬픔에 빠지기도 하는 것을 병리적인 현상이 아닌, 하나의 애도의 요소로 인정한다. 그가 말하는 애도 행위에서 애도하는 주체는 죽은 대상인 타자를 자기 안으로 완전히 들이거나 바깥으로 완전히 배제하지도 않으며 대상의 타자성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타자의 타자성을 보유하면서 타자에게 응답하는 방식이 연구자에게 죽은 대상에 대한 책임이며, 예술 작업을 하는 이유이다. This study is a thesis on the process of mourning, based on researcher’s various feelings while going through a death of a dog.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raise pet and form a natural attachment, in which they regard their pet as a being with personalities they can share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not just objects. Since a pet owner forms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his pet, the death of it, especially an unexpected one, makes the remaining person suffer for a long time in his lif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go throughly the process of mourning after a sudden death, based on Sigmund Freud and Jacques Derrida’s theories and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This study went through the concepts of Sigmund Freud's mourning and mélancoli, in the perspective of how loss and depression affects a person's life after experiencing the death of a close one. Freud described mourning as a "work" that must be carried out psychoanalytically, and said it is a task that must be completed successfully though it accompanies pain in the process. The success of "work" here means the act of moving the libido toward the loved one to another, and if it fails, it falls into the pathological depression of mélancoli. However, this stud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mourning by Jacques Derrida’s theory that criticized Freud’s definition of “normal mourning“ which separates mourning and mélancoli. In Jacques Derrida’s theory, melancholia remains in the process of mourning in which is unsolvable. Melancholia should be respected as an element of mourning, not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that needs to be fixed. The key to his concept of mourning is remaining otherness, rather than completely bringing the lost one into the mourner or excluding it from the mourner. As such, the method of responding to others while maintaining the otherness became the responsibility of the researcher for the dead and the reason for the work of art.

      • KCI등재

        애도 문학으로서 <환부자탄가>의 교육적 가치 연구

        권대광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100

        이 글에서는 고전문학 작품인 <환부자탄가>를 애도 문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애도 문학으로서 문학교육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애도는 중요한 대상의 상실로부터 비롯되는 인간의 보편적인 경험이자 정서적 반응이다. 애도는 인간의 보편적인 경험이며, 학습자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충분하다. 한편, 애도는 삶의 복잡성을 반영하며, 외적 세계와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가운데 정신적 성숙을 가져온다는 측면에서 문학 교육과 관련성이 높다. <환부자탄가>는 배우자의 죽음을 맞이한 남성 화자의 심리적 반응과 애도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작품의 구성과 화자의 행위가 애도의 단계와 과업과 상응한다는 점에서 애도 문학의 특징을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환부자탄가>의 애도 문학적 양상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애도 문학으로서 교육적 가치를 보이고자 했다. 또, <환부자탄가>를 활용한 애도 교육의 방향과 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가 상실의 경험을 통해 삶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애도의 과정을 통해 심리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In this article, I delve into the classical literary work ‘Hwanbujatan-ga’ from the lens of mourning literature, exploring its educational value. Mourning, a universal human experience and emotional response to the loss of a significant object is of immense educational importance. It significantly impacts learners’ developmental processes and is highly relevant to literary education, as it mirrors life’s complexity and fosters mental maturity by reconstructing relationships with the external world. ‘Hwanbujatan-ga’ is a work that intricately depicts the psychological reactions and mourning process of a male speaker facing the death of his spouse. The composition of the work and the speaker’s actions correspond to the stages and tasks of mourning, thus embodying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ourning literary aspects of ‘Hwanbujatan-ga’ from multiple angles and demonstrate its educational value as mourning literature. It also proposes a practical educational approach that uses ‘Hwanbujatan-ga’ to guide learners in re-examin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loss and achieving psychological growth through the mour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