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방암 생존자의 운동 선호에 대한 탐색

        변지용(JiYongByeon),강민재(MinJaeKang),박지혜(JiHyePark),민지희(JiHeeMin),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그룹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0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실을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주제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방암 생존자의 운동 선호에 대한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지도하의 운동’, ‘함께하는 운동’, ‘유방암 생존자 맞춤 운동 프로그램’, ‘재미 요소’로 나타났다. 첫째, 유방암 생존자들은 지도하의 운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문가가 필요하고 전문가에 의한 개인별 맞춤 지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둘째, 유방암 생존자들은 함께하는 운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이 하는 운동의 시너지 효과로 운동 참여를 촉진시키고 함께하는 대상으로는 유방암 생존자를 언급하였다. 셋째, 유방암 생존자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방암 생존자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와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운동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언급하였다. 넷째, 유방암 생존자들이 선호하는 운동의 중요한 요소는 재미로 나타났으며, 재미있는 운동을 선호하고 재미 요인으로 음악적 측면을 언급하며 본인 스스로 재미를 느껴야한다고 하였다. 향후 유방암 생존자의 운동 선호를 반영하여 전문화 된 인력과 프로그램으로 유방암 생존자의 체계적인 관리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ercise program preferen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The qualitative data on group exercis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ten participants was acqui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using the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4 themes indicated the preferen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1) Supervised exercise, (2) Group exercise, (3) Specialized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4) Enjoyment factor. First, the participating breast cancer survivors showed a preference towards supervised exercise by responding that a exercise specialist is needed along with a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 Second, breast cancer survivors preferred to participate in group exercise programs. Participants preferred to exercise with othe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mentioned that group exercises cause a synergy effect that promotes exercise participation. Third, the participant's responses showed anticipation of and preference for a specialized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Lastly,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referen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was the enjoyment factor. Participants preferred enjoyable exercises and the most prevalent enjoyment factors included the element of music and self-felt enjoyment.

      • KCI등재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위한 중재 연구 문헌고찰

        강희선 ( Hee Sun Kang ),염수영 ( Soo Young Yeom ),전은영 ( Eun Young Jun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은 주로 개별상담 및 의사소통 기법과 부부간의 관계 향상 등 심리사회적인 측면 및 관계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이는 부부단위의 프로그램인 경우 관계적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용에 초점을 두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단계 유방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심리교육적 지지 중재 효과를 메타분석한 연구(Matsuda, Yamaoka, Tango, Matsuda, & Nishimoto, 2013)에 따르면 심리교육적 지지 중재가 유방암 생존자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없었으나 중재 후 6개월 이내의 유방암 증상과 정서적 안녕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는 유방암 생존자 중심의 중재도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들을 포함한 중재는 정서적 안녕 외에도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이나 결혼 만족도 등과 같은 관계적 측면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 유형은 주로 정보제공, 인지행동요법, 상담(대면, 전화) 등이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방암 생존자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 중 미술기법(Jun, 2008), 웃음요법(Cho & Oh, 2011) 등은 삶의 질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암 환자의 우울에 적용한 중재 효과의 메타분석 연구(Jang, Choi, & Kwon, 2013)에 따르면 음악요법이나 신체적 중재와 인지적, 정서적 중재를 함께 적용한 통합요법이 암 환자의 우울에 효과적이었고, 영적중재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Oh & Kim, 2012)에 의하면 영적 중재는 심리적 안녕(우울 및 불안)과 영적 안녕에 효과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위에 제시된 내용들을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에 활용하고 그 효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중재 프로그램이 매주 또는 2주 간격으로 중재가 진행되었지만 총 회수는 다양하였고 중재 후 1회에 걸쳐서 효과를 측정하거나(Cochrane et al., 2011) 여러 회에 걸쳐서 측정하기도 하였다(Bultz et al., 2000; Manne et al., 2007; Scott et al., 2004). 중재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러 회에 걸쳐 중재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나 본 연구 분석결과 조사 시점이 중재 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등으로 일관되지 않았고 최대 1년까지 측정된 연구도 있었다. 반복연구 등을 통해 효과적인 중재의 적용기간과 중재효과의 지속시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공된 중재의 효과는 주로 주관적 측면의 측정만으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는 면역력 등에 관한 객관적 지표 등을 통한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Kim, 2005; Von Ah, Kang, & Carpenter, 2007). 추후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지표 등을 통해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노력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재가 주어진 시기가 낮인지 저녁인지 또는 주중인지 주말인지는 서술되어 있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배우자들이 낮 시간동안 업무 등으로 인해 부부 프로그램에 참여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고, 본 연구결과 중재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못한 주요 이유로는 관심이 없거나 시간이 없어서(Belcher et al., 2011), 너무 오래 걸려서(Manne et al., 2007) 또는 거리가 멀어서(Baucom et al., 2009) 등이었다. 따라서 시간적 또는 접근성의 이유로 참석이 어려운 대상자들을 위해서는 화상이나 인터넷 온라인(On-line), 유튜브(You-tube) 등을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일부 연구(Baucom et al., 2009; Lewis et al., 2008)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은 다소 자세히 언급되었으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아 추후 타 연구자가 중재를 따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중재연구의 경우 자세한 프로토콜의 제시가 필요하다. 그리고 일부 중재 프로그램에서 표준화된 교육내용을 제공하기 위해 비디오 등을 활용하고 있었는데 효과가 입증된 교육내용은 추후 타 언어로 번역되어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타 문화권에서도 동일하게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효과적인 중재들이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개인이나 기관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간호사들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훈련 과정을 개설하여 관심 있는 간호사들에게 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기관 차원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력과 자원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선행연구들 대부분은 주로 백인(Baucom et al., 2009; Belcher et al., 2011; Cochrane et al., 2011; Lewis et al., 2008; Manne et al., 2007)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이루어졌으며 아시아나 라틴계를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는 소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가 덜 된 인종과 지역을 중심으로 유방암 생존자 부부중심의 중재연구가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문화적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재 대상의 경우 상피내암(CIS)에서부터 병기 Ⅰ~Ⅲa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진행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에 불과하였다. 유방암 생존자에 대한 간호는 진단 시점부터 수술 및 회복 과정 동안 전 기간에 걸쳐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부 연구에서(Sherman et al., 2009) 중재를 진단 시,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후 등 여러 시점에 걸쳐서 치료과정에 따른 적합한 중재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단계별로 필요로 하는 교육의 요구도와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르므로(Baik & Lim, 2011) 단계를 고려하여 중재를 실시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중재연구 대부분이 유방암 초기 단계에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추후에는 진행된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연구의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현재 유방암 생존자들을 위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이 소개되고 있는데 유방암 생존자들은 여성들만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외에 배우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에도 참석해야 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칠 수 있으므로 유방암 생존자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파트너 단위의 중재 프로그램을 연계한 중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유방암 생존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지 않은 실정에서 본 연구결과는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유용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분석 대상 논문이 영어논문으로 국한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연구가 많지 않고 특히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가 아니거나 파일럿 연구가 다수이어서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의 특성이나 종속변수별 효과크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의 확대와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들을 통해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하는 후속 연구들이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중재의 효과크기를 사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s. Methods: The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MEDLINE, Pubmed, and Proquest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regarding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s.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1 were included. Results: A total of 14 studies were identified. Couple-base d interven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ntervention for survivors alone. Intervention to partners had also effects on their wives.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USA with Caucasian women. Sample size of intervention studies was small with most being pilot studies. Conclusion: Providing couple-based intervention to breast cancer survivors could have positive impacts on physical, interpersonal, and social aspects in breast cancer survivors. Future studies with large sample and different ethnicity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couple-based intervention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 KCI등재후보

        성인 암 생존자의 흡연 양상과 현재 흡연 관련 요인

        변정애,양연수,김희진,윤지은,지선하 대한금연학회 2019 대한금연학회지 Vol.10 No.2

        Background: Cancer survivors have high risk of secondary cancer and diseases other than cancer. However, there are persistent smokers among them.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obacco use patterns and associated factors with current smoking among cancer survivors. Methods: The results of surveys and blood tests collected from the Korea Medical Institute (KMI) from 2007 through 2011 were used as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040 adults (59,132 men) aged 20-64, and they were divided into cancer survivor group (1,375 men, 671 women) and non-cancer counterparts according to their past history of cancer. Results: The current smoking rate of cancer survivors was lower than that of non-cancer survivors, but 33.53% of men and 2.53% of women among cancer survivors were still current smokers. In the cancer survivors, in men, the younger they were, the higher the risk of current smoking became (The odds ratio of smoking in those aged 20-39 to 51-64 was 2.47 while that of smoking in 40-50, 1.43); and that the odds ratio of smoking in persons in drinkers to non-drinkers, 2.80 (95% CI: 2.02-3.88). In women cancer survivors, the odds ratio of current smoking was 21.15 (95% CI: 2.72-164.35) in alcohol drinkers to non-drinkers. Conclusion: Young age in men and alcohol use in both men and women were important factors correlated with tobacco smoking among cancer survivors. Further research and policy is needed to support cancer survivors’ smoking cessation and health promotion. 연구배경: 암 생존자는 이차암 및 질환 위험이 높다. 그러나 이들 중에도 흡연을 지속하는 경우가 남아있다. 이 연구에서는 암 생존자의 흡연 양상과 이들의 현재 흡연과의 관련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2007-2011년도에 한국의학연구소(Korea Medical Institute, KMI)에 내원한 연구 동의자 20-64세 성인 91,040 명(남자 59,132명)을 대상으로, 암 과거력 유무에 따라 암 생존자군(남 1,375명, 여 671명)과 비(非) 암 생존자군으로 나누어 설문, 신체계측, 혈액검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암 생존자의 현재흡연률은 비(非) 암 생존자에 비해 낮았으나 남성 암 생존자의 33.53%, 여성 암 생존자의 2.53%가 여전히 현재 흡연자였다. 암 생존자 중 남성은 50세 이하젊은 연령, 만성질환 과거력, 음주를 하는 경우,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현재 흡연 위험이 높았다. 여성은 음주를 하는 경우,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현재 흡연 위험이 높았다. 암 생존자에서, 남성이 현재 흡연할 오즈비는 51-64세에 비해 20-39세 2.47, 51-64세 1.43으로 높았으며, 음주 시 비음주군에 비해 현재 흡연할 오즈비도 남성 2.80(95% CI:2.02-3.88), 여성 21.15(95% CI:2.72-164.35)로 높았다. 결론: 남성의 젊은 연령과 남녀 음주는 암 생존자의 현재 흡연 지속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이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와 개입 방법 개발을 통해 암 생존자의 금연과 건강증진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성인 암 생존자의 흡연 양상과 현재 흡연 관련 요인

        변정애,양연수,김희진,윤지은,지선하 대한금연학회 2019 대한금연학회지 Vol.10 No.1

        Background: Cancer survivors have high risk of secondary cancer and diseases other than cancer. However, there are persistent smokers among them.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obacco use patterns and associated factors with current smoking among cancer survivors. Methods: The results of surveys and blood tests collected from the Korea Medical Institute (KMI) from 2007 through 2011 were used as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040 adults (59,132 men) aged 20-64, and they were divided into cancer survivor group (1,375 men, 671 women) and non-cancer counterparts according to their past history of cancer. Results: The current smoking rate of cancer survivors was lower than that of non-cancer survivors, but 33.53% of men and 2.53% of women among cancer survivors were still current smokers. In the cancer survivors, in men, the younger they were, the higher the risk of current smoking became (The odds ratio of smoking in those aged 20-39 to 51-64 was 2.47 while that of smoking in 40-50, 1.43); and that the odds ratio of smoking in persons in drinkers to non-drinkers, 2.80 (95% CI: 2.02-3.88). In women cancer survivors, the odds ratio of current smoking was 21.15 (95% CI: 2.72-164.35) in alcohol drinkers to non-drinkers. Conclusion: Young age in men and alcohol use in both men and women were important factors correlated with tobacco smoking among cancer survivors. Further research and policy is needed to support cancer survivors’ smoking cessation and health promotion. 연구배경: 암 생존자는 이차암 및 질환 위험이 높다. 그러나 이들 중에도 흡연을 지속하는 경우가 남아있다. 이 연구에서는 암 생존자의 흡연 양상과 이들의 현재 흡연과의 관련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2007-2011년도에 한국의학연구소(Korea Medical Institute, KMI)에 내원한 연구 동의자 20-64세 성인 91,040 명(남자 59,132명)을 대상으로, 암 과거력 유무에 따라 암 생존자군(남 1,375명, 여 671명)과 비(非) 암 생존자군으로 나누어 설문, 신체계측, 혈액검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암 생존자의 현재흡연률은 비(非) 암 생존자에 비해 낮았으나 남성 암 생존자의 33.53%, 여성 암 생존자의 2.53%가 여전히 현재 흡연자였다. 암 생존자 중 남성은 50세 이하젊은 연령, 만성질환 과거력, 음주를 하는 경우,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현재 흡연 위험이 높았다. 여성은 음주를 하는 경우,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현재 흡연 위험이 높았다. 암 생존자에서, 남성이 현재 흡연할 오즈비는 51-64세에 비해 20-39세 2.47, 51-64세 1.43으로 높았으며, 음주 시 비음주군에 비해 현재 흡연할 오즈비도 남성 2.80(95% CI:2.02-3.88), 여성 21.15(95% CI:2.72-164.35)로 높았다. 결론: 남성의 젊은 연령과 남녀 음주는 암 생존자의 현재 흡연 지속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이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와 개입 방법 개발을 통해 암 생존자의 금연과 건강증진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암 생존자와 가족의 의사소통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 적용

        임정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cancer survivors and their family members.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physicians, a major factor affecting cancer survivorship care, especially on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y and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physicians. The subjects are cancer survivors diagnosed with breast or colorectal cancer and one member from each of their families, and they were sampled from Seoul and Gyeonggi-do, Korea, using convenience sampling. A total of 63 cancer survivor-family dyads were sampled for analysis. As a dyadic research project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cancer survivors and family members, the current study estimated the actor-and-partner effects using the pooled regressio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which is suitable for analyzing small-scale data se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etter communication with physicians for cancer survivors was associated with lower depressive levels. For family members, better family communica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depressive levels. The survivor-partner effect was not observed. For the family-partner effect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proved significant. That is, better family communication for cancer survivors was associated with higher anxiety and lower depressive levels for family members. The current study provided clin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regard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ancer care,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cancer survivorship care, a precise understanding of factors influencing distress, and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and physicians based on patient-centered care. 본 연구는 암 생존자와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암 생존자가 암을 관리하는 데 영향을 주는 주요 체계인 가족과 의사와의 소통에 주목하면서, 가족 내 의사소통과 의사와의 소통 능력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방암 및 대장암 생존자와 가족 구성원 1인을 주요 대상자로 하고,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편의표집 방법을 활용해 모집한 총 63쌍의 암 생존자-가족을 대상으로 짝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기반으로, 작은 표본 수에 적합한 ‘통합 회귀분석(pooled regression) APIM’ 기법을 사용해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암 생존자는 의사와의 소통 능력이 좋을 경우 우울 수준이 줄어드는 반면, 가족은 가족 의사소통이 좋을 경우 우울 수준이 줄어들었다. 암 생존자의 경우 상대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가족의 경우 암 생존자의 가족 의사소통이 가족의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가족의 상대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암 생존자의 가족 의사소통이 좋을수록 가족 구성원의 불안 수준은 더 높은 반면, 우울 수준은 낮아졌다. 본 연구 결과는 포괄적인 측면에서의 암 생존자 접근, 지속적인 사후 관리를 위한 심리 사회적 측면에서의 개입, 디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대한 명확한 이해, 환자 중심 진료에 기반한 환자-의사 간의 적극적인 소통 등에 대한 임상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 측정도구 개발

        임수진(Lim Su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1

        소아암의 치료율이 높아지게 되면서 소아암 생존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아암 생존자의 필수적인 건강 관련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의 측정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소아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문헌고찰과 면담을 통하여 도구를 개발하였고 소아암 생존자 371명을 대상으로 요구를 측정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최종 도구는 신체적 요구 영역 5문항, 정보 및 의료 시스템 요구 영역 11문항, 심리적 요구 영역 5문항, 사회적 요구 영역 4문항, 암 관련 심리사회적 지지 요구 영역 6문항, 재정적 지지 요구 영역 4문항, 긍정적 자기변화에 대한 요구 영역 6문항으로 최종 7개 영역의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총 설명분산은 50.8%였으며, Cronbach’s Alpha는 .93으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는 각각 100%, 100%였다. 본 도구와 소아암 생존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의 피어슨 상관관계 계수가 .60으로 준거타당도가 수립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도구는 국내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를 측정하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유일한 도구로 이를 사용하여 측정한 소아암 생존자의 다양한 요구가 반영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소아암 생존자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survival rates of childhood cancer have increased and the number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is growing in South Korea. Childhood cancer survivors have much interests in their health-related needs, but health providers usually neglect these needs and there are no need scales for childhood cancer survivo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related needs among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se needs. This study was proceeded by the two steps of development and testing. The final scale included 41 items comprising seven domains (Physical, informational & health care system, Psychological, Social, Cancer-related psychosocial support, Financial support, and Positive self-motivation need). A total of 371 pediatric cancer survivors were recruited from three children’s cancer center in Seoul, Korea. The total variance was 50.8%. Cronbach’s Alpha of items was .93. The convergent and determinant validity for this scale were 100.0%. The concurrent validity was assessed by examining relationships with quality of lif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cales were obtained. This scale is the first established in South Korea, which is valid and reliables. Therefore, the scale can provide scientific and empirical data to evaluate various kinds of needs and the level of needs for each survivor.

      • KCI등재

        암 예방 및 암 생존자의 건강 증진에 있어 운동의 역할

        김태수(Tae-Soo Kim),박인성(In-Sung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1

        암 치료 기술의 발달로 암 생존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 100만 명 이상의 암 생존자가 있다. 암 생존자들은 피로, 우울, 삶의 질 저하, 체중증가, 암 재발 및 사망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암의 위험, 암 예방에 있어 운동의 역할 및 암 생존자들의 운동 효과를 고찰하여 암 예방 및 암 생존자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비만은 암의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운동은 암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암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건강한 체중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규칙적인 운동은 암 생존자들의 피로, 암 재발 및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며, 삶의 질, 체력, 신체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Developed treatments for cancer have resulted in more than 1 million survivors alive in the Korea. This rising people faces encounters from the cancer, including fatigue, depression, decreased quality of life, increased body weight, risks for recurrent cancer and death. This study reviews obesity and cancer risk, role of exercise in cancer prevention, and effect of exercise on cancer survivors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exercise program for cancer survivors.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nd cancer risk. There is growing evidences that exercise reduces the risk of cancer, and helps to prevent obesity which is involved in cancer risk.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regular exercise was involved in improvements in cancer-related fatigue, quality of life,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immune function, and risks of cancer recurrence and death in cancer survivor.

      • KCI등재

        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 및 관련 요인

        박소영,박아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s of fear of cancer recurrence (FCR), cancer-related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adult cancer survivors and to explore the associated risk factors for FC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3 adult cancer survivors aged 19 or over who had completed active cancer treatment and were on follow-up ca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22 to September 2022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es. Some of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FCR was 18.96 out of 36 and more than a quarter of study participants (26.9%) reported moderate symptoms of depression. Second,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inal model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23%, and it showed that diagnosis of multiple cancers (β=0.21, p<0.05) and depressive symptoms (β=0.25, p<0.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CR. In other words, being diagnosed with more than two cancers or having depressive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fear of cancer recurrence.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for reducing FCR, cancer-related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fficulties among cancer survivors with complex issu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 암 관련 건강 특성, 심리사회적 특성을 살펴보고 암 재발 두려움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적극적인 암 치료를 마치고 사후관리 중인 만 19세 이상 성인 암 생존자 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2년 5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 상관관계, t-test, ANOVA,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 재발 두려움 평균은 36점 중 18.96점이었고, 전체 연구 참여자의 4분의 1 이상(26.9%)이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 증상을 보고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의 최종모형의 설명력은 23%였고, 중복 암 진단(β=0.21, p<0.05)과 우울 증상(β=0.25, p<0.05)이 암 재발 두려움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다시 말하면, 2가지 이상의 암 진단이나 우울 증상이 높은 암 재발 두려움 수준과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복합적인 어려움을 지닌 암 생존자의 암 재발 두려움과 암 관련 건강 특성 그리고 심리사회적 어려움 감소를 위한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유방암 및 대장암 생존자와 가족의 건강관리 인식과 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임정원 ( Lim Jung-won ),양은주 ( Yang Eun Joo ),손세리 ( Son Seri ),이지선 ( Lee Jisun ),손지현 ( Son Jihy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방암, 대장암 생존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그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 경험을 탐색하고, 암 생존자와 가족 간에 인식 및 실천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암 생존자(n=9) 및 가족(n=7)은 경기도소재 한 대학병원을 이용해 모집하였고, 일대일 개별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1)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2) 건강관리 실천 방법, 3) 건강관리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사회적 요인이라는 상위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암 생존자와 가족이 공통적으로 제시한 주제어의 경우, 인식 범주에서는 `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 `건강관리에 대한 노력/의지`, `건강관리 실천의 장애요인`의 3개, 실천 범주에서는 `음식 및 식습관의 변화`,`적합한 운동 찾기`, `교육 및 정보의 이용`, `민간요법의 사용`, `음주패턴에서의 변화`,`종교에 대한 의지`의 6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암 생존자와 가족이 건강관리와 관련해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인식과 영향을 주는 요인 범주에서 각각 2개씩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 생존자 및 가족이 건강관리와 관련된 경험을 포괄적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향후 암 생존자 건강관리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rcep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regarding survivorship care for breast and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nd families, and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9 cancer survivors and 7 family members who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do. The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the major three themes of 1) perceptions regarding survivorship care, 2) practical methods regarding survivorship care, and 3) personal and social factors which influence survivorship care were derived from both cancer survivors and family members. With regards to themes which showed differences between cancer survivors and family members, a total of four sub-themes were found. This study is a contribution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situations in which cancer survivors and family members experience survivorship care. The study findings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 Korean cancer survivorship care model.

      • KCI등재

        난소암 생존자의 삶에 대한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

        천수영,김갑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난소암 생존자의 삶에 대한 풍부한 이해와 의미를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를 통 해 발견하고, 난소암 생존자가 그림을 통해 어떻게 삶을 이야기하고 수용해 가는지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난소암 판정을 받고 수술과 항암치료를 마친 30대 여성이다. 2020 년 10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2회의 사전면담과 12회의 미술치료를 진행하며 참여자의 미술 작품, 연구자의 반응작업, 저널, 연구 일지 등을 통해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의 삶의 경험에 관한 이야기는 <동굴에서 힘차게 나오지만>, <어두운 터널로 들어가다>, <막 터널에서 빠져나와>, <고개를 들어 빛을 바라보다>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미술치료 경험에 관 한 이야기는 <나를 만나러 가는 길>로 기술하였다. 경험 이야기를 통해 이해한 연구 참여자의 삶의 의미는 <어둠이 나를 집어삼켜도>, <사랑의 투쟁으로 피어나다>, <서로를 구원하다>이 며 <자아의 신화를 찾아가는 길>은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 구가 난소암 생존자의 삶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암 생존자 특히 여성 암 생존자 를 위한 미술치료 개입에 대한 경험적 정보를 제공하여 난소암 생존자의 심리적 개입 방안에 기틀이 될 수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s of study were to have deep understanding and discover meanings of the life of ovarian cancer survivor by the art-based narrative approaches by investigating the progress of story-telling and embracing the life through paintings. The participant was a woman in her 30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the ovarian cancer and undergone surgery and chemotherapy.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to December, 2020 through two pre-intervention interviews and 12 sessions of art therapy consisting artworks by the participant and the responsive art, journals, and daily research logs of the researcher. The life experience stories of the participant is found in 'Even though I came out of a cave boldly,' 'Going into a dark tunnel', 'Just getting out of the tunnel', and 'Raising my head to look at the light.' The experience of art-based therapy is stated in ‘The path towards finding the myth of the self.’ The interpretation of the life of the participant derived from the art therapy experience is identified in 'Even though darkness devoured me', 'Blossoming through a struggle of love', and 'Becoming each other's savior.'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is stated in 'The path towards finding the myth of the self.’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life experiences of ovarian cancer survivors and providing the empirical data for the intervention of art therapy, thereby helped to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methods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especially for female cancer surviv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