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콜리즘에서 Buspirone에 대한 Cortisol과 Prolactin 반응

        심주철,이정구,김정익,이유철,김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buspirone에 대한 cortisol과 prolactin 반응을 통해 알콜리즘에서 5-HT1A 수용체기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알콜리즘 환자군은 DSM-IV의 알콜리즘 진단기준에 부합되고 금주기간이 최소 3개월 이상이며 우울 및 불안증상이 없는, 한 정신병원 알콜 센터에 입원한 22명의 남자 환자였다. 대조군은 정상성인 남자 15명이었다. 이들에게 오전 9시에 5-HT□ 효현제인 buspirone 30mg을 경구 투여한 후 0, 30 , 60, 90, 120, 150분의 혈청 cortisol과 prolatine 농도를 측정한다. 결과: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cortisol 기저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uspirone 투여 후 혈청 cortisol 농도는 정상대조군에서는 기저치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0.01) 환자군에서는 유의환 증가가 없었다. 혈중 cortisol 농도는 buspiron 투여 60분 이후부터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p<0.05). Buspirone에 대한 혈청 prolactin 반응은 환자군과 정상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Buspirone 투여 후 둔마된 혈청 cortisol 반응을 통해 알콜리즘에 5-HT1A 수용체 반응성이 둔마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lactin and cortisol responses to 5-HT1A receptor activation by buspirone in alcoholics. Methods: The subjects were twenty two male alcoholic patients meeting the DSM-IV criteria for alcohol dependency and abstaining for more than 3 months. Patients were free from overt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Controls were fifteen male normal volunteers, with no psychiatric and medical illness. Blood samples for the measurement of serum cortisol and prolactin levels were drawn 0, 30, 60, 90, 120, 150 minute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30mg buspirone hydrochloride at 9:00a.m. Results: The baseline cortisol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coholics and controls. Serum cortisol levels of controls after buspirone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p<0.01), but those of alcoholics did not increased. After 60 minutes following buspirone administration, cortis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coholics than in contrlos(p<0.05). Prolactin responses to buspiron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ed that 5-HT1A receptor function is decreased in alcoholic patients.

      • KCI등재후보

        환자중심의 여가활동이 알코올의존 환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정지윤,박소연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4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목적 : 환자중심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입원한 알코올 의존 환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로 알코올 의존 진단을 받은 61세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4주간 주 2∼3회, 총 10회기 각 60분간 환자중심 여가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중재 효과 측정도구로는 Beck 우울증 척도(BDI), 자기보고식 알콜리즘 선별검사(SAAST)을 사용하였다. 결과 : Beck 우울증 척도에서는 중재 전 14점에서 중재 후 4점인 우울하지 않은 상태로 우울감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식 알콜리즘 선별검사에서는 중재 전 17점에서 중재 후 12점으로 음주 문제 성향이 감소되었다. 결론 : 알코올 의존 환자의 치료를 위한 환자중심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작업수행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기호와 흥미에 기초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lient-centered leisure activity program that affects depression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participant of a 61-year-old man diagnosed with alcohol dependence.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two or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 total of 10 sessions. For intervention effect measurement tool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elf-administered Alcoholism Screening Test(SAAST) were used. Result : In Beck Depression Inventory, before the interventions, participant’s result was 14 points which stands for mild depressive state. After the interventions, the result showed 4 points which signifies state of not depressed. In Self-administered Alcoholism Screening Test, participant’s propensity to drinking problem was reduced from 17 points to 12 points after the interventions. Conclusion : Applying a variety of Client-centered activity programs to the treatment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showed positive effects on participant’s depression. Activity programs based on the interests and tastes of alcohol-dependent are expected to be applied by sustainable researches in various ways forwar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신질환에 있어서의 신경펩타이드 연구 - Endorphin과 cholecystokinin을 중심으로 -

        김영훈,심주철,Kim, Young Hoon,Shim, Joo Chul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8 생물정신의학 Vol.5 No.1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과 신경펩타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합성과정에 있다. 시냅스에서의 활동과 비활성화 과정에서도 양자의 차이는 뚜렷하다.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은 매우 단시간 내에 일어나며, 대개는 재흡수기전을 통해 활동이 정지되고, 일부가 효소반응에 의해 비활성물질로 대사된다. 또한 이들은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들과 마찬가지로 presynaptic peptidergic receptor를 갖는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신경펩타이드 분비를 조절하는 자가수용체도 갖고 있다. 신경펩타이드의 시냅스전 세포로의 재흡수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신경펩타이드들도 시냅스 후막의 수용체로 확산되어 이차전령, 삼차전령을 통해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단가아민 신경전달 물질과 동일하다. 본래 신경세포는 자극에 의해 glycoproteins, enzymes, inorganic ions, metal ions, phospholipids, purines, amines, peptides 등의 물질들을 함께 분비한다. 이들 중에는 신경전달물질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도 있으나, 대다수는 기능이 없다. 때로는 수 종류의 신경전달물질들과 신경신경펩타이드들이 한가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관여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현재 임상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두가지 신경펩타이드들에 대해 그 신경생물학적 측면과 임상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알코올의 신경생리에 있어 가장 흥미있는 것은 아마 강화기전일 것이다. 내인성 opioid계 물질들이 알코올의 강화효과와 관계가 있다는 근거들은 많다. Naltrexone은 수용체 차단을 통해 이러한 강화기전을 차단함으로서 음주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Opioid reinforcement는 변연계의 도파민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알코올의 강화에 도파민이 관여한다는 사실과도 관계된다. 이를 도파민-알코올 강화 가설이라 한다. 기타 세로토닌도 알코올의 강화를 중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5-HT_3$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면 음주욕이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전달물질계간에는 중요한 상호작용이 있다. 알코올이 측중격핵에서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기전에도 여러 신경전달계의 상호작용이 관여된다. 이의 기전에 생리적 수준에서 관여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1) opiates, (2) serotonin, (3) amino acids, (4) 기타 neuropeptide들을 들 수 있다. Opiate 수용체 길항제들은 측중격핵에서 도파민 분비를 차단하고, $5-HT_3$ 수용체 효현제는 이를 자극한다. 이들을 총체적으로 종합하면, 도파민, 세로토닌, opiate 수용체들을 조절하면 알콜리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CCK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밝혀지고 있으며, 진통 및 morphine에 대한 내성형성, 포만, 기억 등의 정신병리에 일부 관여하나, 역시 최근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CCK계가 불안의 병리에 관여한다는 소견이다. 이 분야의 연구에 기폭제가 된 것은 CCK-4가 공황발작을 유발한다는 임상 연구결과로부터 비롯된다. 이에 의한 불안반응은 자연유발된 공황발작과 거의 같으며, 정상인과 공황장애 환자를 구별하는 민감도를 갖고 있다. 이 CCK-4에 의해 유발된 공황발작은 $CCK_B$ 길항제들에 의해 차단된다. 즉 공황불안의 기전에 $CCK_B$ 수용체가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황발작이 $CCK_B$ 수용체의 민감도 결함으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반응은 imipramine과 benzodiazepin We provide the reader with a brief introduction to the neurobiology of neuropeptides. Several comprehensive reviews of the distribution and neurochemical, neurophysiological, neuropharmacological and behavioral effects of the major neuropeptides have recently appeared. In reviews of the large number of neuropeptides in brain and their occurance in brain regions thought to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major psychiatric disorders, investigators hav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alternations in neuropeptide systems are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 mood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lcoholism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There is no longer any doubt that neuropeptide-containing neurons are altered in several neuropsychiatric disorders. One of the factors that has hindered neuropeptide research to a considerable extent is the lack of pharmacological agents that specifically alter the synaptic availability of neuropeptides. With the exception of naloxone and naltrexone, the opiate-receptor antagonists, there are few available neuropeptide- receptor antagonists. Two independent classes of neuropeptide-receptor antagonists has been expected to be clinically useful. Naltrexone, a potent ${\mu}$-receptor antagonist, has been used successfully to reduce the need for alcohol consumption. And cholecycstokinin antagonists are now in development as a new class of anxiolytics, which would be expected to be free from tolerance and physical dependence and lack of sedation. In this review, we deal with these two kinds of neuropeptide system, the opioid system and cholesystokinins in the brain. The role of opioid systems in the reinforcement after alcohol consumtion and that of cholesystokinins in the pathogenesis of anxiety will be discussed briefly. As we know, the future for neuropeptides in psychiatry remains bright ind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