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계안전성 검토(DfS) 발전방안

        신주열(Ju Yeoul Shin) 한국암반공학회 2017 터널과지하공간 Vol.27 No.6

        본 연구는 발주자 중심의 건설현장 안전관리 방안의 하나로 최근 도입된 설계안전성검토(DfS)의 추진현황을 소개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설계안전성 검토는 그동안 시공단계 위주의 시공사 중심의 안전관리에서 발주자 중심의 안전관리체계로 전환하면서 발주자로 하여금 발주자 중심으로 설계단계에서부터 안전을 고려한 설계를 실시토록 하였다. 발주자는 안전을 고려한 설계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승인하도록 하였으며, 설계 시 배제하지 못한 위험요소는 시공사로 하여금 시공단계에서 작성하는 안전관리계획 수립 시 위험요소를 제거하도록 계획하고 시공토록 하여 건설현장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이다. 2016년 5월부터 시행된 설계안전성검토 제도를 더욱 발전시켜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방하여 건설공사사고 저감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위험요소 발굴 및 시스템 개선을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제도로 발전시켜가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esign for safety(DfS) introduced as one of the owner - centered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plan, and presents the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plan. The design for safety has been shifting from the construction management-oriented safety management to the owner-centered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owner has to make the design considering the safety from the design stage centered on the owner. The owner has to review and approve the adequacy of the safety-conscious design and The risk factors that can not be eliminated during design are the system to prevent the disaster at the construction site by planning to eliminate the risk factor when writing the safety management plan that is made at the construction stage. The design for safety system implemented from May 2016 will be further developed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in construction site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accident. In addition, it suggests ways to develop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system through continuous hazard finding and system improvement.

      • KCI등재

        설계단계 설계 안전성 검토 적용의 문제점과 도출 위험요인의 적정성

        김진동,김광희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9 No.6

        While efforts to reduce safety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been made in a variety of ways, so farthey have had minimal effectiveness. For this reason, since 2016 Design for Safety (DfS) has been implemented as anattempt to eliminate the root cause of safety accidents by introducing the consideration of safety at the design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adequacy and problems of Design for Safety and to ontribute to reducingsafety accidents by establishing this system correctly. A questionnaire survey of related engineers and nalysis of the Design for Safety report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Design for Safety among engineers was low, while some of the risk factors derived from the design for safety were less relevant to the design. As such, efforts should be madeto reduce the risk factors in the actual design stage so that it can contribute more to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건설산업에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다양한 방법으로 꾸준히 하고 있지만 줄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설계단계에 설계의 안전성 검토를 도입하여 안전사고발생의 근본적 원인을 제거하고자 2016년부터 설계 안전성 검토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설계 안전성 검토 시행의 적정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제도가 올바르게 정착하여안전사고를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관련 기술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설계 안전성 검토 보고서를분석한 결과 관련 기술자들의 설계의 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률이 낮고, 설계의 안전성 검토에서 도출된 위험요인도 설계 사항이 아닌 항목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질적인 설계단계 설계상 위험요인을 줄이는 노력을하여 안전사고 감소에 좀 더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설계사의 설계 안전성 검토 (DfS) : 인식 현황과 업무 수행을 위한 필요 역량 분석

        서원경,차유나,강영철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6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chitects' perception of Design for Safety (Df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Punishment Act and analyz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m to effectively implement Df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witnessed anincreasing demand for safety management since the enforcement of this Act. By considering th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right from thedesign phase, accident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However, the current knowledge lakcs an understanding of how architects’ perception ofDfS changes after the Act and what specific competencies they need to posses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To address this gap, thisstudy identifies the necessary competencies through the DfS work manual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tsurveys architects to gauge their perception of these competencies and assesses the perceived difficulty level associated with each one. The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hat enable architects to effectively adopt DfS and fulfill thecompetencies required its implementation. 본 연구에서는 설계 안전성 검토 (DfS)에 대한 설계사의 인식 및 업무 수행을 위한 필요 역량을 분석하였다. 중대재해법 시행 이후 안전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최근 안전 사고를 시공 전단전단계부터 예방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설계 안전성 검토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설계 단계에서 안전성 검토의 주체가 될 설계사들이 이러한 설계 안전성 검토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또 이러한 인식이 중대재해법 전후에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하여 설계사들의 설계 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설계 안전성 검토 지침을 참고하여 설계사들에게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설계사들이 설계 안전성 검토를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 KCI등재

        건설공정 위험성 기반 설계안전성 활용 방안 연구

        이현성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5 No.4

        연구목적: 건설안전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건설기술진흥법에서는 ‘설계 안전성 검토’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설계안전성 검토’ 제도에서 정한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제 건설 현장에서의 시행 절차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제도가 올바르게 정착되어 건설재해 예방에 기여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건설기술진흥법에서 정한 설계 안전성 제도에서는 자료 검토 단계, 위험요소 도출 및 대안 설정단계, 설계안전성 평가 보고서 작성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위험요소에 대 한 설계 반영단계 등의 각 단계별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설계 안전성 제도에 따라 작업공종 별로 철근콘크리트 공사, 건설기계공사, 토공공사, 가시설 등 건설사업의 형태별로 다양한 위험요소 (Hazard)가 도출되었고, 이 위험요소의 위험등급별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 사 례를 작성해 본 결과 다양한 공정에서의 설계 반영사례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A공사에서 적정 기준에 맞는 굴착구배(1:0.3)를 채택했음에도 빈번한 토사 붕괴 사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관 로터파기 경사에 준해 설계도면에 1:0.5를 채택하여 새로운 설계도면에 반영하였고, 그 결과 현행 굴착 구배 기준을 강화의 강화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and the design safety systems were reviewed.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s an effective system by looking at the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contents of the design safety review system. Method: We reviewed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law, accident statistics, etc. for the study.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implementation plans for actual construction sites using the 'design safety' assessment process as defined by the Act. Results: We divided it into the data review phase, the risk factor elicitation and alternative setup phase, and the design safety assessment report preparation sta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rive risk factor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iversity of construction sit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other reports is questioned as they are often copied and writt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xternal verification procedures attended by construction safety experts.

      • KCI등재후보

        설계의 안전성 검토를 위한 건설공사의단위작업 분석: OO공사의 발주공사를 중심으로

        김진원,조건희,송상훈,방종대,손정락,Kim, Jin-Won,Cho, Gun-Hee,Song, Sang-Hoon,Bang, Jong-Dae,Sohn, Jeong-Ra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7 No.4

        Recentl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amended the law to Design for Safety in working design stage of construction work. There should be informed the disaster likelihood and severity of unit-works to decide risk of unit-works in Design for Safety. Therefore, the construction disaster data of ${\bigcirc}{\bigcirc}$ corporation were classified as 24 unit-works and the disaster likelihood and severity of unit work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afety management level of unit-works which based on analysis data was suggested 3 groups; special management and emphasis management, regular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perform Design for Safety in construction. And this information will be able to reduce the disaster. 최근 국토교통부는 실시설계 단계에서 설계의 안전성 검토를 실시할 수 있도록 건설기술진흥법을 일부 개정하였다. 설계의 안전성 검토에서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위작업별 재해의 발생빈도수와 심각성을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gcirc}{\bigcirc}$ 공사의 건설재해자료(471건)를 24개 단위작업으로 분류하고, 각 단위작업별 재해발생 빈도수 및 심각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단위작업별 안전관리 수준을 3개 그룹(특별관리, 중점관리, 상시 관리)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건설공사에서 설계의 안전성 검토를 하는데 있어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정보를 활용하여 재해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SCOPUS
      • 상수도 강관의 매설환경을 고려한 구조안전성 분석

        유용신 ( Yoo Yong-sin ),김태철 ( Kim Tae-chul ),김경진 ( Kim Kyeung-jin ),장이규 ( Jang Lee-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상수도 급수도시의 수는 1960년을 중심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전국의 수도보급율은 99%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수도가 국민생활에 미치는 역할이 점점 중요하게 되어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된 급수의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매설환경이나 기타여건에 따라 때로는 사고를 발생되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기존의 관로 안전성 검토는 Marston 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나, 이는 설계ㆍ시공시 적용되는 방법으로 20여년 이상 매설되어 있는 관로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한 정지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관로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 상수도 강관의 매설환경을 고려한 구조안전성 분석

        유용신 ( Yoo Yong-sin ),김태철 ( Kim Tae-chul ),김경진 ( Kim Kyeung-jin ),장이규 ( Jang Lee-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상수도 급수도시의 수는 1960년을 중심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전국의 수도보급율은 99%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수도가 국민생활에 미치는 역할이 점점 중요하게 되어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된 급수의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매설환경이나 기타여건에 따라 때로는 사고를 발생되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기존의 관로 안전성 검토는 Marston 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나, 이는 설계ㆍ시공시 적용되는 방법으로 20여년 이상 매설되어 있는 관로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한 정지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관로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 상수도 강관의 매설환경을 고려한 구조안전성 분석

        유용신 ( Yoo Yong-sin ),김태철 ( Kim Tae-chul ),김경진 ( Kim Kyeung-jin ),장이규 ( Jang Lee-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상수도 급수도시의 수는 1960년을 중심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전국의 수도보급율은 99%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수도가 국민생활에 미치는 역할이 점점 중요하게 되어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된 급수의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매설환경이나 기타여건에 따라 때로는 사고를 발생되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기존의 관로 안전성 검토는 Marston 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나, 이는 설계ㆍ시공시 적용되는 방법으로 20여년 이상 매설되어 있는 관로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한 정지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관로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 상수도 강관의 매설환경을 고려한 구조안전성 분석

        유용신 ( Yoo Yong-sin ),김태철 ( Kim Tae-chul ),김경진 ( Kim Kyeung-jin ),장이규 ( Jang Lee-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상수도 급수도시의 수는 1960년을 중심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전국의 수도보급율은 99%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수도가 국민생활에 미치는 역할이 점점 중요하게 되어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된 급수의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매설환경이나 기타여건에 따라 때로는 사고를 발생되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기존의 관로 안전성 검토는 Marston 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나, 이는 설계ㆍ시공시 적용되는 방법으로 20여년 이상 매설되어 있는 관로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한 정지토압계수를 적용하여 관로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