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압지’의 이름과 ‘안압부평(雁鴨浮萍)’의 의미 연구 — 안압지(雁鴨池) 제영시(題詠詩)를 중심으로 —

        강석근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8

        본고는 안압지(雁鴨池) 제영시(題詠詩)를 통하여 신라 명승의 하나인 안압지(雁鴨池)의 이름과, 조선후기 경주지역에서 형성된 ‘동도칠괴(東都七怪)’의 하나인 ‘안압부평(雁鴨浮萍)’의 의미를 연구한 논문이다. 문화재청은 2011년 7월 ‘안압지와 임해전지(臨海殿址)’를 ‘경주 동궁(慶州 東宮)과 월지(月池)’(사적 제18호)로 개명하여, 안압지는 이제는 월지로 불린다. 이 못이 처음 만들어진 신라 문무왕 14년(647)에는 안압지란 이름은 없었으며, 조선초 김시습(1465~1471, 경주 체재 시기)은 이곳을 「안하지(安夏池)」라 했고, 신증동국여지승람(중종 25년, 1530)에 와서 비로소 안압지라 불렸다. 필자는 경주의 유학자 이수인(李樹仁, 1739~1822)의 「동호서사기(東湖書社記)」의 동호(東湖, 안압지)는 “기러기와 오리가 많이 날아오는 까닭으로 안압지라 이름지었다[多有鴈鴨之翔集 故名之]‘는 기록을 발굴하여, 이 못이 경주지역에서 왜 안압지로 불렸는지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필자는 일성록 ‘정조 4년(1780)’의 기록인 “안압지에 넓이가 반석(盤石) 같은 흙덩이가 있고, 그 위에 덩굴풀이 나 있으며, 이것이 바람을 따라 왔다갔다 한다[雁鴨池浮土 廣如盤石 上有蔓草 隨風往來]”는 내용을 새롭게 찾아서 왜, ‘안압부평’이 ‘동도칠괴’의 하나가 되었고, 수많은 문인들의 시문에 왜 ‘안압부평’이 자주 언급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해명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Anapji which was one of the scenic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during Silla Dynasty and of the Anapbupyeong(雁鴨浮萍) which was one of the greatest seven miracles (Dong-do-chil-gue(東都七怪) through appearance of the Anapji in poems. Anapji lies its original meanings on Anhaji(安夏池) and then it was shortened to Anji(雁池), apji(鴨池) while Dongho(東湖) has also been called since it is located in the South of Gyeongju. As of July 2011, the Ministry of Culture officially renamed Anapji and Imhaejeon Hall Site(臨海殿址) as the palace of Crown Prince-Gyonegju Donggung(慶州 東宮) and Wolji(月池) (Historical Site No. 18) and Wolji became the current name. While pond was made during Munmu of Silla, the name Anapji did not exist. Kim Si-Seup (1465~1471) in the early Chosun period referred to the pond as Anhaji(安夏池) and its name started being called as Anapji in the Geography of Korea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新增東國輿地勝覽)(Jungjong 25, 1530). Though modern scholar states that it was being called Anapji since there are always many ducks and wild geese in the pond, they fails to present the literature evidences. The author found the line in the poem -Anapji composed by writer Kim Chul Woo, which means that a wild duck and water bird get in and off the pond on their own and the record saying which means Dong-ho(東湖) from the phrase of Dongho-saw-sar-gi(東湖書社記) of Lee Su In(李樹仁)(1739-1822)-Confucian Scholar of Gyeongju was created due to the fact that many wild geese and ducks are flying over. Based on the facts foresaid, the literature evidences for the name of Anapji are presented in the paper. Anapji is a combined word between the Anapbupyeong(雁鴨浮萍) which is a flooding weed and Dong-do-chil-gue(東都七怪). Dong-do-chil-gue is an ancient form of Modern Eight Scenic Views. Eight Scenic Views -Gyeongju Parlgyong is just well-known as scenic places without grotesque elements Dong-do-chil-gue had before. However, the author also found the passage of Ilseongnok: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saying that Anapji has a clod that is as wide as rock(盤石) and the clod also has moneywort on, which are undulating in the wind and clarified how the Anapbupyeong became one of the one of the greatest-seven miracles Dong-do-chil-gue and why the Anapbupyeong frequently appears in the poems of many writers.

      • KCI등재

        신라 月池宮의 성격과 太子宮의 위치

        이현태(Lee, Hyuntae)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안압지와 그 주변 건물지는 태자와 관계된다는 견해가 많았는데, 근래에 안압지 일대를 태자의 공간으로 보기 힘들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국립경주박물관의 남측 일대와 안압지 동편 유적이 태자궁의 후보지로 거론되었다. 이 글은 그동안 태자궁의 후보지로 언급된 유적을 검토하여 태자궁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 그리고 안압지 일대에 조성된 유적의 성격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안압지 서편의 A건물지는 內陣 減柱와 정면의 출입시설에 踏道가 설치된 사실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는 A건물지가 正殿이었음을 알려준다.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에는 A건물지를 포함해 中庭을 갖춘 3기의 대형 건물지가 동일한 남북축선 상에 배치되었고, 각 건물지는 회랑과 익랑 등으로 구획되었다. 이러한 건물 배치는 당나라 大明宮의 三朝와 유사하다. 더욱이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에는 헌강왕과 지증대사가 月池宮에서 못을 바라보며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있는데, 월성 안팎에서 이것이 가능한 공간은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 뿐이다. 그러므로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은 태자가 아니라 왕과 관련된 공간이며, 월지궁의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월지궁이 태자궁의 이칭이 아닌 왕의 공간임을 의미한다. 또 다른 태자궁의 후보지인 국립경주박물관 남측 일대는 안압지와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그래서 이곳에 태자궁이 있었다면 왜 안압지에서 ‘太子’·‘東宮’과 관련된 여러 점의 문자자료가 출토되었는지 합리적으로 설명하기가 어렵다. 안압지 동편 유적에는 태자궁이 건립되는 679년 무렵에 해당하는 건물지가 3기 밖에 없다. 그 가운데 1기는 門址, 다른 1기는 안압지 서편의 A건물지와 마찬가지로 內陣 減柱의 대형 건물지이고, 나머지 1기는 1×1칸 규모의 소형 건물지이다. 따라서 안압지 동편 유적을 태자궁과 연관시키기도 힘들다. 아울러 7세기 후반 안압지와 그 동편 유적을 구분 짓는 담장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월지궁의 범위는 동쪽으로 안압지 동편 유적까지 이르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그동안 태자궁의 후보지로 지목되었던 유적에 태자궁이 있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太子’·‘東宮’과 관련된 여러 점의 문자자료가 안압지에서 출토되었음을 감안하면 태자궁이 안압지와 멀리 떨어져 있었다고 보기는 곤란하다. 그래서 주목한 곳이 바로 源花路와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 사이이다. 이곳은 아직 고고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적이 없지만, 안압지 인근일 뿐만 아니라 신라에서 방향을 논할 때 기준이 되는 월성의 동북쪽에 해당하기 때문에 東宮의 동쪽이란 방향과도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향후 원화로와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 사이를 발굴할 때 태자궁이 위치하였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Many opinions were presented in the past that Anapji(pond) and the surrounding buildings were related to the crown prince, while recently, it is argued that it is difficult to see the area of Anapji as the space for the prince. Recently, the area south of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the ruins east of Anapji were mentioned as candidate sites for Taejagung(palace).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uins mentioned as a candidate site for Taejagung and clarify the original location Taejagu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ins created in the Anapji area. It was newly confirmed that the A building site west of Anapji omitted pillars at the center, while Dapdo(the stairway that can pass through the king) was installed in the frontal entrance facility. This suggests that the A building site was the main hall. In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3 large building sites with courtyards, including the A building site, were placed on the same longitudinal axial line, and each building site was surrounded by corridors and transepts. This building layout is similar to that of the three courts consisting of Hanyuan Hall-Xuanzheng Hall-Zichen Hall in Tang Taming Palace. Furthermore, the 「Stele for Buddhist Monk Jijeung at Bongamsa Temple」 depicts a scene in which King Heongang and monk Jijeung chat while looking at the pond from Woljigung(palace). The only space in the palace where this was possible is currently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Therefore,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is not a crown prince-related space but the king-related space, and can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he domain of Woljigung. This also suggests that Woljigung is not a different name of Taejagung, but a royal space. Another Taejagung candidate site, the southern area of Gyeongju National Museum, is far from Anapji. So, if there was Taejagung her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explain why excavated from Anapji were several text materials related to the crown prince and Donggung(the palace of the crown prince). In the ruins east of Anapji, there are only three building sites that correspond to the time of 679 when Taejagung was built. Of them, site 1 is a gate site, site 26 is a large building site with pillars omitted at the center of the building like the A building site west of Anapji, and site 16 is a small building site with the size of 1×1 sec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ssociate the ruins east of Anapji with Taejagung. Furthermore, since there was no fence that distinguished Anapji in the second half of the 7th century from the ruins east of Anapji, the range of Woljigung seems to have extended eastwards, reaching the ruins east of Anapji. As such, it is unlikely that Taejagung could have existed in the ruins that have been designated as the candidate site for Taejagung. Considering that several text materials related to the crown prince and Donggung were excavated from Anapji,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aejagung was far from Anapji. So, it is the area between Wonhwa-ro(road) and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that attracted our attention. Although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have not been conducted in this site, it is not only near Anapji, but also corresponds to northeast of Wolseong, which is the standard when discussing directions in Silla, so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direction of east of Donggung(lit. east place). Therefore, when excavating the area between Wonhwa-ro and the building site cluster west of Anapji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of Taejagung being located there.

      • KCI등재후보

        신라 東宮의 역할과 영역 - 임해전 및 안압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김병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0 No.-

        In general, academics understand the Anapji(雁鴨池) and Imhaejeon(臨海殿) which is Time difference of five years to build and have a lot of relics related to Donggung(東宮) to donggung affiliated facilities. In addition, according to Samguksaki(三國史記) Jikgwanji(職官志) Donggung satellite facility has Donggungah(東宮衙), Uhyongsung(御龍省), Setaek(洗宅), Gupjangjeon(給帳典), Walljijeon(月池典), Sungbangjeon(僧房典), Pojeon(庖典), Walljiac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etc and they think Anapji's Silla Dynasty Name is Wallji(月池). Walljijeon and Walljiackjeon as a Anapji Administration Department and gupjangjeon, pojoen, is the departments which support banquet from anapjia and imhaejeon. As a result anapji around one and Inwangdong Wanggyeong ruins(仁旺洞王京遺蹟) around which is setteled 'Sinbundonggungseteck bronze plate(辛番東宮洗宅’銘 靑銅盌)' is estimated as a Donggung area. Donggung was the place to conduct various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fications to become a prince of their own living space provided and reveal the authority of the Crown Prince(太子). Therefore Anapji and Imhaejeon can't be Donggung affiliated facilities and Anapji which represent sea can't be Wallji(月池). Therefore Walljijeon(月池典), Walljiackjeon(月池嶽典) and Gupjangjeon(給帳典), Sungbangjeon(僧房典), Pojeon(庖典) which is the disparate business should be excluded from Donggung part government offices. Meanwhile in and out of Wallsung(月城) has 44 center government offices and 115 inside castle and most of Uhyongsung's(御龍省) government office. On the according to the common view excluded 9places and Disparate departments we can suppose 3places Attached government offices. Then Anapji in areas ranging from Inwangdong Wanggyeong ruins(仁旺洞王京遺蹟) is to wide to see Donggung areas. Donggung relics excavated from Anapji(雁鴨池) is the Dispose of i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bsequent destruction of Silla so we can't sure where it used. But 'Sinbundonggungseteck bronze plate(辛番東宮洗宅’銘 靑銅盌)' which is excavated from Inwangdong Wanggyeong ruins and considered as a Diagnostic District is clear linkages beetween Its buildings. Especially if we accept Letters engraved on the plate, this excavated building should be considered as Donggung attached Seteckji(洗宅址). And Donggungah(東宮衙), uhyongsung(御龍省), seteck(洗宅) which is Donggung part government offi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fetuses should be crowded.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Donggung is in southwest wallsung not anapji around.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5년간의 시차를 두고 건립되고 동궁 관련 명문 유물이 다수 출토된 안압지와 임해전을 동궁 부속 시설로 이해한다. 또한 『삼국사기』 직관지에 따르면 동궁 부속 관서로 동궁아‧어룡성‧세택‧급장전‧월지전‧승방전‧포전‧월지악전‧용왕전 등이 있는데 안압지의 신라시대 명칭을 월지로 간주하고 월지전‧월지악전은 안압지 관리 부서로 그리고 급장전‧포전은 안압지와 임해전에서 개최된 연회를 지원하는 부서로 보았다. 그 결과 안압지 주변 일대는 물론 최근 「‘신번동궁세택’명 청동접시」 등이 수습된 인왕동 왕경 유적 일대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동궁 영역으로 추정하기에 이르렀다. 동궁은 태자의 권위를 드러내며 독자적인 주거 공간의 제공과 군왕에 어울리는 자질 향상을 위해 각종 교육을 실시하는 장소였다. 그러므로 왕실 유희처로 사용된 안압지와 임해전은 동궁 부속 시설로 볼 수 없으며 바다를 상징해 조영된 안압지의 명칭도 월지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월지전‧월지악전 그리고 업무가 이질적인 급장전‧승방전‧포전 등은 동궁 부속 관서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한편 월성 안팎에는 44개소의 중앙 관서와 115개소의 내성 및 어룡성 소속 관서들 대부분이 위치했다. 반면 동궁은 통설에 따르면 9개소 또는 이질적 부서를 제외하면 3개소의 부속 관아를 상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안압지에서 인왕동 왕경 유적에 이르는 지역을 동궁 영역으로 추정하기에 지나치게 넓다. 그런데 안압지에서 출토된 동궁 관련 유물은 신라 멸망 이후 자연적 인위적 폐기의 결과에 따른 것이므로 본래 사용처로 단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인왕동 왕경 유적에서 정치된 상태로 출토되어 진단구로 여겨지는 「‘신번동궁세택’명 청동접시」는 동궁 관련 명문 유물 중 해당 건물지와의 연계성이 가장 분명하다. 특히 접시에 새겨진 명문을 인정할 경우, 이것이 출토된 건물지는 동궁 부속 洗宅址로 볼 수밖에 없다. 더불어 동궁 부속 관서가 분명하면서 태자에 대한 행정 지원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동궁아 어룡성 세택은 직능상 밀집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동궁은 연계성이 떨어지는 안압지와 그 주변이 아닌 월성 동남쪽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경주 신라 안압지 내 중심 건물의 창건시기

        조성윤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고고학지 Vol.17 No.-

        본고에서는 안압지발굴보고서에 보고된 기와를 문양과 제작기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관찰하여 분류한다. 분류한 각 기와를 건축물 지붕재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세트관계를 파악한다. 그런 다음 문무왕 19년, 679년에 제작된 “의봉4년개토(儀鳳四年皆土)”명 암키와를 중심으로 편년을 시도한다. 2002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간행한 도록 『안압지관』에 소개되어 있는 배치도를 보면, 안압지 내의 유구는 연못과 초석건물지 외에 초석건물지 하층에 시기를 달리 하는 담장 열이 있다. 이것을 기초로 안압지내 유구를 담장, 연못, 건물지로 구분하여 축조순서를 살펴본다. 안압지 내의 가장 중심이 되는 유구를 건물지 I로 명명하고, 그 창건시기를 세트관계로 파악한 기와, 즉 “의봉4년개토”명 암키와를 기초로 하여 679년으로 본다. 이와 같은 작업은 안압지가 축조되기 전과 후, 이 공간의 주체에 대하여 접근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thesis, I sorted with roof-tile, which were uncovered by the Anapji Archaeological Expedition, according to manufacturing technique and design. Each roof tile which classifies considers the function as roof-tile of the building and the relationship of the set. Then 19 years and Munmu-King(文武王), Basd on Uibong-4years-Gaeto(儀鳳四年皆土) female roof-tiles which was produced in 679 years I attempts a chronology. When sees the layout sketch which is introduced to the atlas Anapji which publishes from 2002 Gyeongju national museum That is a stone wall in the pond and building outside time on building lower stratum differently in the Anapji. based on the contents which explains from before I tries to observe a establishment order to be the fence, the pond, with building to divide site in Anapji. From Anapji the most building where is center gave a name with building 1, Then The establishment time is 679 years on Uibong-4years-Gaeto(儀鳳四年皆土) of female roof tile in the center. The present paper expects. After the criminal record Anapji being built, Will be the possibility becoming the fundamental data which is the possibility of knowing about the master of this space.

      • KCI등재

        雁鴨池의 月池 改名에 대한 再考

        김병곤(金炳坤)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3 No.-

        1963년 ‘안압지’는 ‘臨海殿址’라는 명칭으로 사적 1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문화재청의 심의를 거쳐 현재 ‘경주 동궁과 월지’로 개칭되었다. 이의 근거는 각종 고고자료와 문헌자료를 연계하여 동궁과 월지궁을 동일시하고, 안압지는 동궁 부속 원지이며 당대 명칭을 월지로 이해하는 것이 통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자궁의 대표적 이칭인 東宮은 때로 春宮 또는 靑宮으로 표기된 바 있지만 ‘月’과 연계되어 명명한 경우는 없었다. 각종 사료를 보면 신라 멸망기까지 동궁 표기가 주를 이루었고 때로 춘궁이 사용되었다. 오히려 월지궁은 동궁과 구별되는 건물로 월성 방어 시설인 해자가 통일이후 조경 기능을 가진 인공 연못으로 개조되며 월지라 명명되었고 이러한 월지 북단 인근에 건립된 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사실 동양의 여러 국가에서 조영된 왕실 연못(소위 태액지)은 바다를 상징하므로 고유 명칭이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北海 中海 南海 福海 등으로 명명되었다. 동시기의 백제 무왕이 ‘궁 남쪽에 건립한 연못’도 오늘날 ‘궁남지’라 통칭하지만 이는 당시 명칭이 아니며, 인접 조영된 전각을 망해루(또는 망해정)라고 명명한 것에서 바다를 상징해 만들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라 안압지도 서측에 건립된 전각이 임해전으로 안압지가 海의 개념에 기반한 태액지임을 단적으로 시사한다. 더 나아가 안압지 발굴 조사 결과를 보면 어느 한 곳에서도 연못 전체를 볼 수 없어 좁은 공간에서도 넓은 바다를 연상하도록 조영되었다. 그러므로 신라시대 안압지는 ‘海’를 상징하였으므로 결코 ‘월지’로 명명될 수 없었다.

      • KCI등재

        雁鴨池의 月池 改名에 대한 再考

        김병곤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3

        1963년 ‘안압지’는 ‘臨海殿址’라는 명칭으로 사적 1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문화재청의 심의를 거쳐 현재 ‘경주 동궁과 월지’로 개칭되었다. 이의 근거는 각종 고고자료와 문헌자료를 연계하여 동궁과 월지궁을 동일시하고, 안압지는 동궁 부속 원지이며 당대 명칭을 월지로 이해하는 것이 통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자궁의 대표적 이칭인 東宮은 때로 春宮 또는 靑宮으로 표기된 바 있지만 ‘月’과 연계되어 명명한 경우는 없었다. 각종 사료를 보면 신라 멸망기까지 동궁 표기가 주를 이루었고 때로 춘궁이 사용되었다. 오히려 월지궁은 동궁과 구별되는 건물로 월성 방어 시설인 해자가 통일이후 조경 기능을 가진 인공 연못으로 개조되며 월지라 명명되었고 이러한 월지 북단 인근에 건립된 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실 동양의 여러 국가에서 조영된 왕실 연못(소위 태액지)은 바다를 상징하므로 고유 명칭이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北海 中海 南海 福海 등으로 명명되었다. 동시기의 백제 무왕이 ‘궁 남쪽에 건립한 연못’도 오늘날 ‘궁남지’라 통칭하지만 이는 당시 명칭이 아니며, 인접 조영된 전각을 망해루(또는 망해정)라고 명명한 것에서 바다를 상징해 만들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라 안압지도 서측에 건립된 전각이 임해전으로 안압지가 海의 개념에 기반한 태액지임을 단적으로 시사한다. 더 나아가 안압지 발굴 조사 결과를 보면 어느 한 곳에서도 연못 전체를 볼 수 없어 좁은 공간에서도 넓은 바다를 연상하도록 조영되었다. 그러므로 신라시대 안압지는 ‘海’를 상징하였으므로 결코 ‘월지’로 명명될 수 없었다.

      • KCI등재

        신라 臨海殿과 月池宮의 성격 재론

        이현태(Lee, Hyuntae)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40

        경주 안압지는 통일신라 때 月池로 불렸고, 그 서편의 건물지군은 태자의 활동 공간인 東宮이자 月池宮으로 불렸다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하지만 최근에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을 태자궁(동궁)으로 보기 힘들다는 견해가 대두되었고, 월지마저 안압지가 아닌 다른 곳으로 비정하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안압지와 그 서편 건물지군의 성격을 논의할 때 언급되는 사료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우선 월성 안팎의 苑池를 확인한 결과 안압지는 月池로 불린 것이 분명하고, 월지의 ‘月’은 최고의 권력 또는 권위를 상징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안압지서편 건물지군에 속한 臨海殿의 경우 태자와 관련한 기록은 보이지 않고, 국왕이 주재하였던 연회 또는 건물의 중수 기록만 확인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나아가 秀宗이 副君으로 임명되어 월지궁에 들어간 지 2개월 뒤에 貞嬌를 태자비로 삼았다는 기사를 검토하였다. 수종(흥덕왕)에게 章和夫人외에 다른 부인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기 때문에, 태자비 정교의 기사는 헌덕왕의 태자와 부군 수종이 일정 기간 공존하였음을 시사한다. 그래서 태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부군 수종이 들어간 월지궁은 태자궁일 수 없으며, 안압지 서편 건물지군은 태자와 연결시키기 힘들다고 판단하였다.『삼국사기』등을 고려하면 임해전과 월지궁은 태자가 아니라 왕의 활동 공간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었다. 아울러 임해전은 안압지 서편의 C건물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곳은 三朝가운데 內朝에 해당하므로 왕의 일상적인 정무 처리 공간이면서 필요한 경우 군신 간의 연회 장소로 활용된 것으로 보았다. It was once generally accepted among historians that Anapji Pond in Gyeongju was called Wolji Pon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at the complex of buildings situated to the west of the pond were the remains of Woljigung Palace, where the crown prince of Unified Silla had his residence and his offices. Recently, however, a new theory or viewpoint has emerged to the effect that the complex of buildings situated to the west of the pond was not actually the crown prince’s palace(called Donggung Palace, or the “Eastern Palace”) and that the pond currently called Anapji Pond is not the same as the pond called Wolji Pond mentioned in ancient 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original function of Anapji Pond and the aforementioned complex of buildings based on the extant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with the site. A careful survey of the “garden pond”(Wonji) at Wolseong clearly shows that the present-day Anapji Pond was known as Wolji Pond(月池, “Moon Pond”), where the first character, Wol(月), symbolizes the supreme authority or power. As for the complex of buildings, which now includes Imhaejeon Hall, no related records have ever been found, although there are some records about the renovation of the buildings and the banquets hosted in them by Unified Silla’s rulers. One important clue concerning the function of the complex of buildings can be found in the record that Sujong, after being designated heir apparent(副君, Bugun), was allowed to reside in Woljigung(月池宮, “Moon Pond Palace”), and married Jeonggyo, a daughter of Kim Chunggong , two months later. Given that there is no record that Sujong(later King Heungdeok, r. 826-836) had any other consorts apart from Lady Janghwa, the record of Jeonggyo’s marriage to become a crown princess suggests that King Heondeok’s crown prince and the Bugun Sujong existed togeth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e cannot argue, therefore, that Woljigung Palace, in which Sujong was allowed to live, was the crown prince’s palace. This also suggests that the complex of buildings to the west of Anapji Pond wa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crown prince of Unified Silla. As such, it is safer to conclude, based on the statements provided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史記, Samguk sagi)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hat Imhaejeon Hall and Woljigung Palace were domains of the king, rather than the crown prince, of Unified Silla.

      • KCI등재

        雁鴨池出土 碑片에 대하여

        이호선(Lee Ho-sun) 한국서예학회 2005 서예학연구 Vol.6 No.-

        한국고대사 분야의 관련 사료가 지극히 빈약함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연구자들은 기존의 사료를 면밀하게 분석하거나 때로는 歷史理論이나 比較史學的 방법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다른 한편 새로운 자료 출현을 학수고대한다. 현재로서는 새로운 내용을 담은 고대사 관련 史書의 출현은 여러 가지 사정상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고 보면 대체로 金石文이나 古文書가 주로 그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와 같은 새로운 자료가 간혹 예기치 않은 곳에서 출현함으로써 한국고대사 연구자들을 흥분시키고 침체된 분야에 활기를 불러 넣기도 하였다. 과거 <丹陽新羅赤城碑>, <蔚珍鳳坪新羅碑>, <迎日冷水里新羅碑> 등은 그러한 사정을 여실히 보여 준다. 여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雁鴨池 碑片의 자료는 그 내용이 방대하지 못하여 굵직한 금석문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많은 연구를 통해 한국고대사 분야에 새로운 知見을 더해 주는 활력소 역할을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975년 신라 왕도였던 慶州의 雁鴨池 발굴을 통해서 이 雁鴨池 비편이 발굴되었는데, 통일기의 수많은 생활용품과 함께 50여 점의 목간과 더불어 출토된 것 이었다. 비편은 처음 출토되었을 당시에 별 주목을 받지 못하였고 1978년 간행된 『雁鴨池 발굴조사보고서』에서도 비문의 판독이나 상태 등 분석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은 채 2매의 도판만이 게재되었다. 이후 이 비편이 학계에 보고되면서 <南山新城碑>7비로 명명되었는데,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南山新城碑>와 기재양식이 유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몇몇 학자들에 의해 이의가 제기 되면서 이 비편을 <南山新城碑>의 하나이거나 아니면 <明活山城碑>의 하나로 추정하는 의견이 제시되었고 완전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비편은 어느 비의 일부분으로 남아 있는 글자가 몇 자 되지 않아서 그 판단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그 동안 서체를 통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았다. 기왕의 연구에 한 두 줄의 서체에 관한 언급이 있었을 뿐이다. 서체에 관한 분석을 통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청되어 왔지만 그 동안 큰 주목을 받지 못한 비였기 때문에 거의 연구가 이루어 지지 못했던 것이다. 이 雁鴨池 碑片은 비록 글자 수는 많이 남아 있지 않지만 한국 고대 금석문에 나타나는 내용과 형식을 보여 주고 있어서 귀중한자료라 할 수 있다. Anapji(pond) was excavated through unearthing process held by Kyongju Investigetion Committie of historic place approximately for one year; from March 1975 until the same month in 1976. The historic remains dug out caught scholars’ attention. Particularly, it was an epochal event that for the very first time in Korea that a wooden pipe was unraveled. This fragment of the monument was found coincidentally from an Embankment, however did not caught much attention at that time. Without any explanations about the circumstances of the excavation of the illustration, it was merely displayed in the Reporte of Anapji(pond) Excavation Investigation. Because this fragment resembled the structure which was reported of the Monument of <Namsansinseong>(Mountain Fortress), it was named as Monument 7 of <Namsansinseong>(Mountain Fortress), thereafter. However, this was highly controversial within the scholars. Moreover, it was difficult to interpret since it was no more than just a small fragment with few words remaining. Research, up until now, was done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n the fragment. This thesis will provide analysis of the penmanship based on the result induced by the researches and contribut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fragment. It was considered, at the beginning of excavation, that this fragment is part of Monument of <Namsansinseong>(Mountain Fortress); however it is now commonly viewed as a portion of Monument Commemorating Construction of <Myeonghwalsanseong> that was founded in the year between 541 and 544. One of the evidences of this is because it was since year 561 that 之 started to appear on 干郡經緯that also appears in Daegu Monument commemorating build of defense bank with Inscription of Musul and Monument 9 of <Namsansinseong>(Mountain Fortress). In this point of view, the estimation of the monument’s foundation should be reconsidered. This monument is less 'square-hand' writing than that of Monument Commemorating Construction of <Myeonghwalsanseong>. In the case of 兮, it is considered less 'square-hand' writing when the bottom stroke is more curved. This monument should not be judged as Monument commemorating Construction of <Myeonghwalsanseong> but should be named as a fragment found in Anapji(pond) or view it as a thoroughly different monument and wait until other monuments to be discovered

      • KCI등재

        月池宮 관련 자료 재검토 — 東宮은 太子宮이 아니다 —

        최영성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5

        1975년 3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계속된 안압지 발굴을 통해 안압지 일대가 7세기 이래 동궁(東宮)이었으며, 또 1980년 발굴을 통해 동궁이 월지궁(月池宮)이었음이 밝혀졌다. 안압지의 본래 이름이 ‘월지’라는 사실이 발굴을 통해 증명된 것이다. 학계에서는 이곳이 동궁으로 불렸다는 이유를 들어 태자궁으로 인식하는 학자가 많다. 동궁이 태자궁의 별칭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곳은 ‘독립된 전용 공간’으로서의 태자궁일 수 없다. 7세기 이후 신라에서는 월성(月城)의 정궁(正宮) 이외에도 동궁・남궁・북궁 및 양궁(壤宮) 등 별궁(別宮)이 있었다. ‘동궁’은 ‘동쪽에 있는 궁궐’이다. 그 위치를 가지고 붙인 이름이지 태자궁을 일컫는 말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월지궁 관련 여러 문헌 자료를 새롭게 분석하여 동궁이 태자궁일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Through excavation on Anapji Pond from March 1975 to December 1976, it was discovered that the whole area around Anapji Pond had been called East Palace (東宮) since 7th century and that the original name of East Palace was Wolji Palace (月池宮) through excavation in 1980. The excavation proved that the original name of Anapji Pond was 'Wolji.' In academic world, there are many scholars who recognize this place as the Crown Prince's palace for being called East Palace. East Palace (which is read Dong Palace with pronunciation in Korean alphabet) actually is another name for Crown Prince's palace. This place, however, cannot have served as Crown Prince's palace as 'independent, exclusive space.' After 7th century, there were detached palaces in Silla including East Palace·South Palace·North Palace and Yang Palace other than Jeong Palace in Wolseong. East Palace is a palace located in the east. The palace's name is based on bearing and it does not indicate Crown Prince's palace. This article proves that East Palace cannot have been Crown Prince's palace through newly analyzing materials related to Wolji Palace.

      • KCI등재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윤선태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6

        This paper examines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Donggung東宮), as well as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the crown-prince (Donggungkwan 東宮官) in Silla dynasty. Among the Samguksagi’s records that describe the period before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no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 can be found. For the first time, the crown-prince palace was built in Silla in 679. Donggunga and Donggungkwan were installed in the 11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752). In general, the crown-prince palace was recognized as just the Imhaejeon(臨海殿) that were located on the west side of the Anapji(雁鴨池) which was excavated a lot of relics related to the crown-prince and government offices to Donngungkwan including Donggungah(東宮衙), Setaek(洗宅), Woljijeon(月池典), Woljiac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etc. Anapji was Wolji(月池) in Silla dynasty, so Woljijeon and Woljiackjeon was recognized as a Anapji Administration Department. But Anapji and Imhaejeon is too big for the crown-prince palace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So Anapji and Imhaejeon is no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is where has been excavated since 2007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many ruins of buildings built from pre-middle period to the latter period of Silla are concentrated in the area. The location of the site is directly connected with Wolji at west side of the site. large buildings, the palace-wall, and East gate of palace appeared in the sit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is not Anapji and Imhaejeon on west side of Wolji but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현재 학계에서는 안압지와 그 서편의 임해전 건물군 일대를 신라의 동궁으로 보고 있지만, 고려 및 조선시대의 동궁들과 비교해볼 때 신라 동궁의 규모가 너무나도 크다. 또 동궁 관할의 임해전에 와서 왕이 群臣에게 향연을 베푼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동궁’을 태자궁이 아니라 ‘동쪽의 궁’으로 보는 수정안이 나왔다. 그러나 애장왕 5년 ‘임해전’과 ‘동궁 만수방’이 병칭되는 기사나 월지 출토 ‘太子’ 및 ‘東宮官’ 관련 문자자료로 볼 때, 신라의 동궁은 임해전 일대의 월지궁과 독립되면서도 월지 인근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2007년 11월 이후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월지 동편 유적에서 월지의 동쪽 호안을 따라 남북으로 긴 宮墻이 95미터 이상 노출되었고, 동단 끝으로 발굴이 더욱 확대되면서 남북대로에 맞닿아 있는 ‘동문지’로 추정되는 유구도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 월지 동편의 宮墻에서 동문지까지가 하나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분되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더욱이 이 월지 동편 유적은 궁장의 중간에 가설된 門들을 통해 월지와도 분명히 소통 연결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앞서 신라 동궁의 입지조건들과도 상당히 부합된다. 월지 동편의 발굴 상황은 안압지 출토 門號木簡에 기록된 동궁의 궁문이나 내부구조와도 일치한다. 월지 동편 유적의 ‘동문지’는 문호목간의 ‘東門’이며, 그 서쪽 1호 담장지인 宮墻에 가설된 ‘3호 건물지’는 ‘開義門’으로 추정된다. ‘모퉁이 궁’이라는 뜻의 ‘隅宮’은 1호 담당지의 서편, 즉 1호 건물지가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그곳의 발굴이 확대되면 우궁의 북쪽과 서쪽에 外垣과 그 각각에 隅宮의 北門과 西門이 노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隅宮은 그 내부 1호 건물지가 동향이라는 점에서, 월지 동북편의 모퉁이 空地를 활용한 동궁의 부속 공간이었다고 생각된다. 월지의 서편 건물지는 ‘임해전’으로 잘 알 수 있듯이, 왕궁의 後苑인 월지에 건설된 남북축선을 고려한 매우 권위적이며 의례적인 건물군이다. 이러한 임해전과 월지의 영역은 왕의 공간이며, 그곳을 궁장(또는 苑墻)으로 차단하고 왕궁의 동단 끝에 다시 태자의 공간으로서 동궁이 별도로 건설되었다. 이때 동궁에는 태자를 위해 작지만 독립된 정원시설까지 기획될 정도로 동궁(태자궁)의 격조와 장엄에 상당한 신경을 썼다. 신라의 ‘東宮官’은 예하 관부의 구성과 기능으로 볼 때, 당에서 태자를 보좌하던 관청들을 묶어 ‘東宮官’이라고 통칭하였던 사례와 정확히 일치한다. 또 당의 동궁관 예하 관부가 동궁 내에 모두 존재하지 않았듯이 신라의 동궁관 관청들도 모두 동궁 내에 있지 않았다. 인왕동 왕경유적의 ‘東宮洗宅’처럼 하대에 들어 태자의 文翰機構가 확대되면서 동궁 밖에도 동궁관 관청이 늘어났다. 한편 月池典과 月池嶽典이 내성이 아니라 동궁관 예하인 것은 龍王典과 관련이 있다. 용왕제가 왕실의 영속을 비는 제사로서, 용왕이 만파식적을 내려준 바다를 표상하는 월지(안압지)에서 태자가 거행하였기 때문에, 월지를 관리했던 관청들과 용왕제를 담당했던 관청이 함께 동궁관 예하에 편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