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재 안내판의 배치와 디자인에 대한 고찰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를 중심으로-

        소현수 ( Hyun Su So ),김해경 ( Hai Gyo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1

        서울시는 2008년 현상공모를 거쳐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문화재 안내판 디자인을 선정하고, 서울시 소재 국가·시지정 및 등록문화재에 도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모니터링 성격으로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 안내판 26개소의 설치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문화재 안내판은 문화재 주변 경관까지 고려하여 설치 위치와 디자인을 선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써 첫 번째, 안내판 배치에 있어서 관람자 동선뿐만 아니라 관람자 시선의 방향 고려, 타 시설물과 가설물 등으로 방해받지 않는 위치, 유사한 문화재 안내판의 통합이 요구되었다. 두 번째, 강화유리 마감의 서울 유형문화재 안내판은 내구성과 가독성이 떨어지고, 해당 문화재보다 안내판이 눈에 띄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세 번째, 한 가지 디자인의 안내판을 일괄 설치함으로써 안내판의 배경이 되는 녹지·바위와 같은 자연물 또는 인공적 담장·건물 벽체 등 다양한 양상이 고려되지 못한 결과, 안내판의 규모·형태·재질이 주변과 조화롭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와 같이 도심에 산발적으로 분포된 ``나홀로문화재`` 유형은 안내판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것보다 배경이 되는 자연경관 또는 인공경관, 그리고 문화재의 형상을 고려한 복수의 안내판 유형이 디자인된 후, 그 중에서 개별 문화재에 어울리는 안내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범적 사례를 토대로 하여 안내판의 대안 모델을 선정하고 부정적으로 평가된 대상지별로 적절한 안내판을 제안하였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lected the sign designs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a public prize contest from a public design perspective and applied the selected design format to the signs of the cultural assets that were designated by the central and Seoul governments and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08.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the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igns of Seou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Jongno-gu. The scope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expanded to cover the surrounding areas of cultural heritages in order to review the arrangement and design of such sig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not only the flow of travelers` movement but also the direction of sight, their locations in relation to the surrounding facilities or other installations and the integration with similar signs or notices were necessary to be considered in the arrangement of the signs; secondly, the current sings had low quality in terms of durability and readability and seemed utterly distance from the cultural assets indicated by the signs because they were finished with tempered glass; thirdly, the size, shape and materials of the signs were not harmonized with their surrounding areas as only one design was used in the entire cultural property sites without considering such natural or artificial backgrounds of individual signs as rocks, plants, walls or buildings. When selecting the design format of the signs of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located dispersively as Seou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t is recommended to determine a group of most representative designs based on natural, man-made and cultural landscape rather than one unified design format and to use a unique well-matched sign for each cultural proper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lected alternative exemplary design models and proposed the type of signs appropriate for each cultural site.

      • KCI등재후보

        세계문화유산 화성행궁 내 관광안내판 보완 수단으로써 이동식 안내판 적용

        김주연 ( Ju Yeon Kim ),홍성주 ( Sung Ju Hong )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16 여가관광연구 Vol.25 No.-

        관광자원해설은 관광지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관광객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관광객은 관광자원해설을 통하여 지식 및 정보를 습득하고 관광자원에 대한 가치를 이해하고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정보 및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통하여 태도를 변화하기 위해서 관여도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 따르면 관여도가 낮은 관광객의 경우 핵심경로보다는 주변경로를 통하여 정보를 습득하는 경향이 있다. 화성행궁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역사 교육 목적의 방문객 보다는 나들이식의 관광목적으로 방문하는 관광객이 많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역사교육에 관심이 없는 관광객들에게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핵심경로가 아닌 주변경로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화성행궁의 안내판은 이동 동선을 고려하지 않고 정보중심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이동식 안내판을 대안책으로 사용하여 고정식 안내판과 동시에 사용 되었을 때 관광객에게 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안내판의 이용률을 높일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정식 안내판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고정식 안내판과, 이동식 안내판을 동시에 사용 하였을 때 관광객이 이해도와 이용률이 높아졌다. 따라서, 세계문화유산 관광지에서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고정식 안내판과 더불어 이동식 안내판을 사용한다면 효율적인 정보 전달로 인하여 관광객이 대상지에 가지고 있는 태도를 변화하는데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t role of interpretation is to deliver precious value of tourist destination to visitors by using various methods. Thus, the interpretation can change tourist`s attitude about tourist destination. The involvement is an essential factor, in order to change tourist`s attitude through the process acquiring information. In light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ELM), the person who is low-involved is likely to gain the information through peripheral route, on the other hand, the person who is high-involved is likely to get the information through centre route. There are many tourists for Hwaseong Haenggung who have a low involvement. Their main purpose is not to understand cultural heritage, but to go on a picn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peripheral route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In Hwaseong Haenggung, however, location and expression of tourist sings is not appropriate, in that their disposition is apart from tourist`s route. For this reason, tourist can use tourist signs without any problems when portable tourist signs are us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esult, tourists can understand information of Hwaseong Haenggung more efficiently with portable tourist signs. In conclusion, portable tourist sig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on providing them with proper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hanging traveler`s attitude.

      • KCI등재후보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공주시 문화재안내판 개선방향 연구

        정수진(Soo-Jin Ju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6 No.-

        문화재안내판 가이드라인의 긍정적인 효과를 활용하여 표준화를 독려한 개선은 하나의 규격화된 방향으로 유도하면서 비슷한 프로세스로 효과적인 정착의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하지만 긍정적인 개선효과의 이면에서 문화재안내판이 관람약자를 배려할 수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공주시의 백제역사지구인 공산성, 무령왕릉과 왕릉원 그리고 마곡사를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하여 안내판의 이미지를 채집하고 설계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는 형태, 색채, 서체 안내정보 등에 대한 표준화를 원칙적으로 적용하고 있지만, 안내문안의 분량과 안내문안의 글자크기에 따른 정보 접근에 대한 유연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정보전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안내문안에 대한 접근의 다각화를 목적으로 한 디스플레이 및 디지털 안내판은 화면에서 제시하는 일부 정보의 분량 설정 미흡에 따른 전달력 저하와 외국인 관광객을 고려한 다국어 표기 미비 설치 개소 부족 등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 아직 미흡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령자 및 장애인 어린이 동반객, 외국인 등 사용자의 특성과 불편요소와 같은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설계를 바탕한 보완된 안내판 표준모델 고안이 필요하다. 지역 연계 관광활성화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움직임이 있는 만큼 다양한 관람자를 수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관람환경을 구축하는데 관심을 가져야하며, 지속적인 관련연구가 추진될 필요성이 있다. Improvements that encouraged standardization by utiliz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guideline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boards led to a standardized direction and showed an effective settlement through a similar process. However, behind the positive effects, I tri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whether the information board can consider all variety of spectators. Gongsanseong and the tombs of King Muryeong and Wangneungwon, and Magoksa were subjected to on-site investigations to collect images of boards and to collect and analyze the designed information. In principle, standardization of form, color, and typeface guide information is applied,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insufficient flexibility in acces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guide text and the font size of the guide text. The display and digital signage aimed at diversifying access to the guide tex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information delivery from the point of view of universal design, have reduced delivery power due to insufficient setting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presented on the screen and lack of multilingual labeling considering foreign tourists.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such as lack of installation sites, it was still insufficient. In order to realize universal design, it is necessary to devise a supplementary standard model for information boards based on designs that respond to social need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inconveniences of users such as the elderly, the disabled, children, and foreigner. In Gongju, as there is an active movement to revitalize tourism linked to the region.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an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lated research to be pursued.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으로 분석한 문화재 안내판의 분포와 어휘

        최유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3

        문화재 안내판은 관람자들에게 문화재의 지정정보, 역사적인 배경, 보존 가치 등을 설명하기 위해 현장에설치되는 공공시설물이며, 문화재청에서는 2019년부터 현재까지 안내판 정비사업으로 그 문안들을 알기 쉽게수정하고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언어학에 치우쳐 있는 상황에서 본고는 디지털 인문학의 방법론, 구체적으로 GIS와 말뭉치 언어학을 도입함으로써 2019년부터 2023년 5월 현재까지 정비된 개선안내판의 분포와 어휘를지리학의 입장에서 분석했다. 전반부에서 총 2,705개의 개선안내판에 대해 귀납적 분석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한결과, 경상북도 경주시가 가장 많은 안내판을 보유하고 있고 행정구역의 면적을 감안하면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서 가장 밀도가 높게 나타난다. 자주 쓰인 단어들은 중부·충청·전라·경상의 4대 권역별로 다르며 문화재 지정정보, 시대구분, 유물의 외형을 묘사하는 말이 안내판으로서의 특성을 잘 드러낸다. 후반부의 연역적 분석에서 본고는 특정 단어들이 전국 어디에서 언급되는지를 시각화했고, 그 결과 연구목적과 무관한 용례들을 주의 깊게 걸러내지 않을 경우 의외의 장소에서 그 단어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고는 가용한 자료의 한계상 최신 안내판만을 조사했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정비사업 이전의 자료까지 보충함으로써 문화재 안내판의 전모를 파악하고자 한다. The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Boards are public facilities erected on site to explain the designation, historical background, and preservation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been revising the inscriptions for the improvement project since 2019.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largely grounded upon linguistics, this article analyzes the distribution and vocabulary of the Boards reinstalled from 2019 to May 2023. To do so, I employ the methodology of GIS and corpus linguistics in the name of digital humanities. The first half of the analysis performs inductive analyses examining a total of 2,705 Boards revised. Gyeongju-si houses the greatest number of them, while Paldal-gu in Suwon-si has the highest density. The top-frequency words — involving designation, periodization, and appearance — vary across the four regions and affirm the corpora’s uniqueness as Boards. In the second half devoted to deductive analyses, I visualize the locations where specific terms are mentioned. The search words are found in unexpected places unless irrelative usages are filtered out. Although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latest revisions due to the limited accessibility to the previous information, I hope to identify the complete patterns of the Boards in follow-up projects by incorporating the pre-revision data.

      • KCI등재

        고속철도역 안내표지판의 특성 분석 및 표준화 방안

        김부원(Kim Boo-won),한찬석(Han Chan-seok),김시곤(Kim Sigo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4D

        현재 고속철도역의 안내표지판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모든 고속철도역에서 모양이나 배치에 대한 통일성이 없다. 그리고 시설물의 안내 표시가 실제 위치와 전혀 다른 방향을 가리키는 표지판도 있다. 또한, 광고나 다른 장애물에 가려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내표지판의 시인성, 정확성, 통일성, 간결성의 특성을 포함하는 표준화 빙안을 제시하였다. 제공하는 안내정보의 의미와 방법에 따라서 방향안내, 위치안내, 정보안내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유형에 따라 전국의 고속철도역을 조사하여 안내표지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시인성, 정확성, 통일성, 간결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안내표지판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Directional sign system in Korean high speed railway stations has a lot of problems. For an example, It lacks of consistency in the shape or allocation. Also, the signs do not match with the actual directions sometimes. Last but not least, the view is blocked by the other signs such as advertisement or other barriers. We suggested the methods to standardize the sign systems that include visibility, accuracy, consistency, and simplicity. First, we categorized signs into directional signs, locational signs, and infomational signs. Then, we examined the actual high speed railway stations in Korea to learn the real situation. Finally, we suggested the methods to standardize the sign systems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are visibility, accuracy, consistency, and simplicity.

      • KCI등재

        중국어 관광 안내판의 번역 오류 분석

        백수진(Baek, Su-Ji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1 No.-

        경주는 1995년 불국사와 석굴암을 시작으로 2000년 경주역사유적지구, 2010년 양동역사마을 등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와 문화의 도시로, 외국인 관광객이 즐겨 찾는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외국인 관광객에게 우리의 전통문화를 잘 보여주기 위해서는 관광안내 매체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그 중 하나가 유적지 안내판의 역할이다. 안내판은 외국인들이 우리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편의 시설이자 외교관 역할을 담당한다. 경북관광공사에서 조사한 보문관광단지 관광객 통계(2014년 1월~12월)를 보면 외국인 171,488명 중 중국이 54,941명(32%)으로 가장 많다.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대표적인 유적지에는 이전의 영어텍스트 중심의 안내판에 비해 중국어 텍스트가 많아졌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경주 지역 안내판의 중국어 텍스트를 한번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이전에 발표된 관광안내책자의 중국어 번역텍스트를 분석한 논문은 모두가 번역 오류 분석 방법을 크게 어휘, 통사, 문체와 표기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 방식이 언어학적 관점에서 오류를 분석하기에 편리한 것은 맞지만 한계성 또한 지니고 있다. 안내책자나 안내판의 텍스트에는 어휘, 통사, 문체적 문제가 뒤섞여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목차를 유적지별로 분류하여 그 안내문의 번역텍스트 오류를 분석하고, 더불어 원어텍스트의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도착언어의 문체에 부합할 수 있는 대응번역텍스트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이 대응 번역텍스트는 ‘관광 매체번역’이라는 하나의 문체 번역이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Gyeongju is a city of history and culture,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which is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Grotto (1995), Gyeongju Historic Areas (2000), Yangdong Historic Villages (2010). Gyeongju is a major tourist destination for foreign visitors. It is important the role of the tourism media in order to better tour guide to show our traditional culture to foreign tourists. One of them is the role of information board. The information boards are in charge of facilities and diplomatic role in providing information to help foreigners understand our cultur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number of tourists who visited Bomun Tourist Complex in 2014 from Kyungbook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Chinese tourists are most often foreign to the 54,941 people (32%) of 171,488. Due to the increase in Chinese tourists, typical sites compared to the previous most of them are English text-based boards, but now Chinese text-based boards also been increased. At this point, we need to try checking the Chinese text of the information board in Gyeongju. In all the paper analyzes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text of the tourist brochure previously released, translation error analysis has largely divided into vocabulary, syntax, style and notation. This classification is a convenient way to analyze the error in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but also has limitations. In the text of the brochure or information board, vocabulary, syntactic, stylistic issues are mixed. So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ranslated text of the guidance error by classifying the contents by historic sites, and in addition to want to create the corresponding translated text to meet exactly at the same time also transfer the information of the source language text in the style of arrival language. This corresponding translated text will be able to help even one style of translation theory of ‘Tourism media translation’.

      • KCI등재

        서해안권 국가지질공원 안내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 분석: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황설희,이철민,정덕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지질공원 안내판에서 고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질공원 안내판의 내용 진술및 배치에 대한 개선 방향을 찾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시선 추적기(Tobii Pro Glasses 2 모델)를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N=13)이 3종의 지질공원안내판을 읽는 동안 그들의 시선 고정 시간, 시선 경로, 시선 전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은 지질공원 안내판에서 이미지보다 문자에 집중해서 지질 구조를 이해하려고 하였다. 둘째, 지질공원 안내판에서 고등학생들의 시선은 객체가 갖는 정보의 중요성에 영향을 받지만 대체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고등학생들의 시선이 이동하였다. 셋째, 지질공원 안내판에서 고등학생들은 지질 구조를 설명하는 문자 영역을 중심으로 이미지 영역과 그들의 시선을 활발하게 전환하였다. 결론 그러므로 고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에 따라 문자 영역은 안내판의 중간 부분에, 문자 영역과 시선 전환이 활발한 영역은 문자영역 가까이에, 그리고 지질공원 안내판의 내용 요소는 시선 경로와 일치하는 순서대로 배치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지질공원 안내판을 제작하거나 지질공원의 지구과학적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전동성당의 영어 안내판 오류 분석

        최희섭 ( Hie Sup Cho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1 No.-

        전북 전주에는 전동성당이라는 기독교 유적지가 있다. 전동성당은 1981년 9월 25일에 사적 제 288호로 지정된 유적으로 그 앞에 두 개의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이 유적에 대한 영어의 설명은 성당 앞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안내판과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있는 일반설명과 전문설명 등 총 4가지가 있다. 본고는 이 네 개의 설명에 있는 오류를 살펴본다. 우선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있는 일반설명을 살펴본 후에 전문설명을 살펴보고, 이어서 성당 앞에 있는 안내판 두 개를 차례대로 살펴보도록 한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일반설명과 철재 안내판의 문안은 ST를 번역한 TT가 제시되어 있는데, 문법적인 오류가 상당히 많이있었다. 사소한 철자의 오류에서부터 심각한 어휘의 오류와 의미상의 오류까지 다양한 오류가 있었다. 이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 원인은 TT의 번역자가 뚜렷한 소명의식을 지니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관광 안내판은 그 문화재에 대한 홍보에 그치지 않고 국가를 홍보하며, 나라의 품격을 대변한다. 특히 영어 안내판은 외국인에게 우리 문화를 소개하는 외교관의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안내판의 문안을 번역하는 번역가는 투철한 소명의식과 역사의식을 지녀야 한다. 여기에서 드러난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는 안내판의 문안을 감수하는 사람이없다는 점이다. 감수자가 철저히 감수하면 철자오류와 같은 사소한 오류는 물론이고, 문법적인 오류라든지, 의미 왜곡의 오류까지 걸러낼 수 있을 것이다. 번역자는 물론 감수자까지 우리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알고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In this paper, the errors in the English information boards of Jeondong Catholic Church are examined. Four English information boards are gathered for the examination. Two came from the homepag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CHAK) and the other two came from the spot. CHAK provides a general explanation and a specialized explanation. The general explanation has some grammatical errors and shows that the translator tried to exaggerate the fact. The source text and the target text of the specialized explanation treat very different contents from each other. One of the information boards on the spot is made of stone and the other is made of steel. The stone one seems to be made at least ten years ago. It exaggerates some facts very much. For example, source text says the historic site as a monument designated by the Nation and the translator translated it into a national treasure. The steel one is not free from errors, either. It contains spelling vocabulary grammatical and contextual errors. There are some ellipsis and some insert, too. There should be taken some drastic ways to correct errors on the information boards.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본 문화재 안내판 현황분석 연구 : 국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중심으로

        정수진(Jung, Soo Jin),이재규(Lee, Jaekyu),장영호((Jang, Youngh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국내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은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보편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어 국내외 관심이 높아지며 많은 관람으로 이어졌다. 장애 인구의 가파른 증가, 외국인 여행자와 다문화 가정의 지속적 증가, 급격한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등 사회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면서 장애인뿐만 아니라 성별, 나이 등 모든 것에 제약 없는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관점에서의 접근이 매우 중요해졌다. 하여, 기존의 문화재 안내에서 간과된 유니버설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 누구나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문화재 안내판 체계 보완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안내판 가이드라인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국내 세계문화유산 가운데 가장 많은 내외국인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는 서울과 수원, 경주로 범위를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지별 현장조사와 인터뷰인 10인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해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문화재안내판 평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아직 문화재안내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은 수도권 일부에 국한되어있고 전국에 분포해 있는 세계문화유산에서 유니버설디자인 확장적용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문화재 공간에서 물리적인 접근에 대한 보행로 개선이 절실하며, 함께 동반되는 안내 체계 보완도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람 약자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내수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구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표준형 문화재 안내판 가이드라인의 전반적 적용검토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이를 통해 문화재를 향유 하는 모든 관람자 누구든 편하게 문화재를 즐길 수 있는 관람 안내 환경이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 Korea are recognized as having universal value to be protected for the whole of humanity which has increased interests at home and aboard leading to many visits. An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that is accessible to all people regardless of their age or gender or disability has become important due to rapid social changes such as steep growth in the disabled population the continued growth of foreign travel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apid entry into an ultra-aging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universal design overlooked in the existing cultural property guide and to supplement the information board that anyone can easily use. This study derived universal design evaluation categories through guidelines for the cultural heritage guide and the theoretical review of Universal Design and set the evaluation ranges to Seoul, Suwon and Gyeongju, which attract the most visitors among Korea s world cultural heritages. The evaluation table for information boards from the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was produced based on an on-site survey and evaluation by ten interviewe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s limited to part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s still lacking in world heritage sites across the country. Improving social awareness of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should be a priority. It is confirmed that we need to improve the physical access of pedestrian routes in the cultural property space and the supplementation of the accompanying guide system is also essentia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various information means that can be chosen by the marginalized and to review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e guideline for standard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boards. Through these improvements, the environment in which diverse populations can comfortably enjoy cultural assets is expected to be built.

      • KCI등재

        사설안내표지판 관리지침의 디자인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영국(Young-Kook Kim),주연정(Yeon-Jung Jo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사설안내표지판은 공공디자인의 영역으로 시민들의 편의를 돕고 도시미관을 고려해야 하지만 제도화된 디자인 규정이 없는 행정적인 문제와 관리 주체들의 인식 부족으로 무질서한 난립을 초래하여 도시 미관을 해치고 정보 혼란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방 도시들은 사설안내표지판 디자인 관리지침을 만들어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개선 후 안내표지판의 실질적인 디자인 만족도 검증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설안내표지판의 디자인 관리지침을 만들어 개선 사업을 실시한 대전시를 중심으로 개선 후 표지판의 시각요소, 정보전달, 도시 가로환경에 대한 디자인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시각요소, 정보전달, 도시 가로환경의 모든 항목에서 개선 후 디자인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긍적적인 평가를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사설안내표지판 디자인 만족도의 실증적 조사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As a part of public design, private signboard should be designed to help convenience of people with the consideration of urban landscape simultaneously; however, the lack of legislated design regulations and ignorance of managing entities have resulted in uncontrolled installation of private signboards, ruining city view and causing confusion in delivering information. To appease this problem, each provincial city including Seoul is carrying out an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its own sign management guideline. Therefore, it is timely needed to study the design satisfaction on the changed (or changing) private boards from the viewpoints of information delivery and visual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sign satisfaction of private signboards in Daejeon city (where very recently the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undergoing based on its design guideline) in terms of visual factors, information delivery, and city landscape. We note that our study has its own significance to provide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design satisfaction of private signboards, which shows that people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 new design from aspects of visual factors, information delivery, and city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