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족부의 종양

        신덕섭,박성혁,안종철,Shin, Duk-Seop,Park, Sung-Hyuk,Ahn, Jong-Ch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의 임상적 특성과 병리학적 특성 및 분포 등을 조사하여, 족부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부 종양 환자 141명의 142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된 환자들이었다. 대상이 되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영상 검사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종양의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과 수술의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양이 발생 위치는 Kirby 등이 제안한 구역(zone)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여자는 75명이었고 남자는 66명으로 여자가 조금 많았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3.2세였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68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이 57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 12예, 악성 골종양이 5예의 순이었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는 결절종이 36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 중에서는 조갑하 외골종이 18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서는 편평 상피 세포암이 7예, 악성 골종양으로는 폐암의 전이 병소가 2예였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으로 통증은 악성 골종양 환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호소하였고, 증상 발현 기간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가장 길었고, 신경학적 증상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만 3예가 있었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악성 골종양이 가장 크고, 양성 골종양이 가장 작았다. 구역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5 구역에 59예로 가장 많았고, 4 구역에 10예로 가장 적었으며, 양성 골종양에서는 5 구역,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1 구역, 악성 골종양에서는 1, 2 구역,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5 구역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 방법으로 병소내 혹은 변연부 절제술,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 수술, 족지 절단수술, 슬관절 하 절단술과 사지구제술 등이 있었다. 결론: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드물고 종류가 다양하면서 대부분(88%) 양성 종양이었으나,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나이, 통증 유무,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크기 및 발생 구역 등을 고려하여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data bas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foot tumor by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Materials and Methods: 142 foot tumors of 141 patients were studied.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urgical biopsy. We investigated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ic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imaging materials. The location of the tumors were classified with zone of Kirby et al. Results: 75 patients were female and 66 were male.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3.2 years old. Benign soft tissue tumors were the most as 68 cases, and followed by 57 benign bone tumors, 12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nd 5 malignant bone tumors. Ganglia were the mo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s 36 cases, subungual exostoses in benign bone tumors as 18, squamous cell carcinomas in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s 7, and metastatic lung cancers in malignant bone tumors as 2. The rate of pain complaints was the highest in malignant bone tumors, the duration of symptom was longe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the size of the tumor was the biggest in malignant bone tumors. Neurological symptoms were found in only 3 benign soft tissue tumors. For the zonal distribution, zone 5 was the most in 59 cases and zone 4 was the least as 10. The most numbers of the benign bone tumors located in zone 5,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in zone 1, of malignant bone tumors in zone 1 and 2, and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in zone 5.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included intralesional or marginal resection, curettage with or without bone graft, toe amputation, below knee amputation and limb salvage. Conclusion: The tumors of the foot were rare and various, and mostly benign (88%), but we can do proper treatment of those tumors without excluding malignant tumors by considering the age of patients, pain, duration of symptom, size of the tumors, and zonal distribution.

      • KCI등재

        상완골에 발생한 악성 골종양의 치료 및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

        심범진(Bum-Jin Shim),신덕섭(Duk-Seop Shin),류승민(Seung-Min Ryu),박재우(Jae-Woo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5

        목적: 상완골에 발생한 악성 골종양의 특징 및 질환의 분포도, 각각의 치료와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상완골 악성 골종양으로 수술한 42예를 원발군(1군), 전이군(2군)으로 나누어 후향적으로 추적 분석하였다. 종양의 종류, 분포 등의 특징 및 치료 결과에 따른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상완골에 발생한 1군으로 골육종 9예, 연골육종 5예 등이 있었고 주로 근위부에 분포하였다. 2군은 폐암에서의 전이가 12예 등 주로 간부에 분포하였다. 광범위 절제술 및 종양 인공관절 재건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를 하였고 Kaplan-Meier method 분석 결과 1군 5년 생존율 87.5%, 2군 1년 생존율 70.1%였다.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상 두 군 모두 통증 완화, 손위치 및 수작업 능력이 높았고, 기능 지수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1군이 2군보다 높았다. 결론: 상완골의 원발성 악성 골종양은 주로 근위부에 생기며 광범위 절제술 후 종양대치물로 치료를 한다. 전이성 악성 골종양은 주로 간부에 생기며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이 주된 치료이다. 원발성 악성 종양은 생존율 향상이 치료의 주된 목적이고 전이성 악성종양 치료는 기능적 측면에서 효용성이 높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outcomes between the primary and metastatic malignant tumor of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5 and May 2014, 42 cases of malignant tumor in humerus that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1 year were entered into the study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primary (group 1, 15 cases) and metastatic (group 2, 27 cases),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e tumor.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outcomes between the primary and metastatic malignant tumor of humerus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In the group 1, nine cases were osteosarcoma and six cases were chondrosarcoma. The tumor lesions were distributed in the proximal area of the humerus. In the group 2, 12 cases originated from lung cancer, six cases from liver cancer, and two cases from bladder cancer. The lesions were usually distributed in the midshaft area. The patients underwent various surgical treatments, including wide excision with tumor prosthesis, curettage with bone grafting, intramedullary nailing,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Kaplan-Meier 5-year survival estimates were 87.5% for group 1, and 1-year survival estimates were 70.1% and 2-year survival estimates were 40.1% for group 2. The m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 was high in both groups. However group 1 showed a higher score on the functional index compared to group 2. Conclusion: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humerus usually involve the proximal site and tumor prosthesis is the main treatment. The metastatic malignant bone tumor usually involves the midshaft area and intramedullary nailing and radiation therapy is the main therapy. Although treatment of the primary malignant tumor increases the survival rate, treatment of metastatic malignant tumor does not affect the survival rate, though it helps in relieving pain.

      • 근위 상완골 골종양에서 골수강내 금속정과 골시멘트를 이용한 사지 구제술

        김한수,오주한,남우동,이태연,정진영,이한구,이상훈,Kim, Han-Soo,Oh, Joo-Han,Nam, Woo-Dong,Rhie, Tae-Yon,Jeong, Jin-Young,Lee, Han-Koo,Lee, Sang-H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2

        목적 : 상완골 근위부의 악성 골종양에 대한 골수강내 금속정과 골시멘트를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종양학적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92년 8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상완골 근위부의 악성 골종양으로 수술을 받은 1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육종이 7례, 연골육종이 3례, 재발성 거대세포종이 3례, 전이성 악성 골종양이 3례, 다발성 골수종이 1례, 악성 섬유성 조직구증이 1례였다. 평균 연령은 38세이며, 추시 기간은 평균 26개월이었고, 수술은 병소 절제후 상완골두 모양으로 성형한 골시멘트와 골수강내 정을 이용하여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환자의 기능 평가는 국제 사지 보존 회의(ISOLS)의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또한 국소 재발, 원격 전이, 합병증 및 생존 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기능 평가 점수는 평균 21.1(70.3%)이었다. 3례에서 국소 재발이 있었고, 5례에서 원격 전이가 발생하였다. 합병증으로 1례에서는 견관절 불안정성, 1례에서는 심부 조직의 감염이 발생하였다. 현재 지속적 무병 상태 7례, 유병 생존 상태 7례이며, 4례는 원격 전이 등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 상완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에 대하여 골수강내 정과 골시멘트를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술식은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완골 근위부 종양 치료에서 재건 방법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functional and oncologic results of the limb salvage surgery with intramedullary nailing and cementization in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proximal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18 cases of limb salvage surgery of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with an intramedullary nail and cement-molded humeral head for the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proximal humerus, which performed between August, 1992 through the April, 1998. The diagnoses included the osteosarcoma in 7 patients, chondrosarcoma in 3, the recurrent giant cell tumor in 3, metastatic tumor in 3, multiple myeloma in one patient and the one patient with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38 years(range, 15-73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6 months(range, 6-67 months). Results : Average functional score by ISOLS evaluation system was 21.1(70.3%). There were 3 local recurrences and 5 distant metastases. There were one case of shoulder instability and one case of deep infection. The seven patients are continuously disease free state and seven patients are alive with disease. Four patients died from the disease. Conclusion : The limb salvage surgery with intramedullary nailing and cementization in the bone tumors of the proximal humerus may be considered an option for the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proximal humerus in selected patients.

      • 사지구제술에서 언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이 유용한가?

        김재도,장재호,조율,김지연,정소학,Kim, Jae-Do,Jang, Jae-Ho,Cho, Yool,Kim, Ji-Youn,Chung, So-Ha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목적: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이용하는 사지구제술에서 종양의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그 유용성과 임상적 적용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는 199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58례의 악성 근골격계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36.5세(5~7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34례, 여자가 24례였다. 58례 중 47례는 체외 방사선 조사(extracorporeal irradiation)를 시행하였고 11례는 저온 열처리(pasteurization)를 하였다. 재활용 자가골의 절제 및 재건 방법은 조각삽입(fragmentary) 3례, 분절삽입(intercalary) 8례, 골연골 삽입(osteoarticular) 18례,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recycling-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23례, 전 관절(total joint) 5례,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1례였다. 결과는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방사선학적 유합과 기능적인 평가(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접합부의 유합은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15.0개월, 저온 열처리에서 12.6개월로 관찰되었다.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12.8개월, 조각삽입 6.0개월,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 10.0개월, 골연골 삽입 23.3개월, 전 관절 15.6개월로 관찰되었다. 기능적 결과 점수는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59.6%, 저온 열처리에서 63.5%였고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60.8%, 조각삽입 65.5%,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골반제외) 62.8%, 골연골 삽입 66.0%, 전 관절 이식 66.6%였다. 저온 열처리에서 합병증은 2례(18.1%)로 감염 1례, 비구 돌출 1례가 관찰되었고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22례(46.8%)의 합병증(심부 감염 3례, 불유합 8례, 골절 2례, 성장판 문제 2례, 관절 불안정성 5례, 국소 재발 2례)이 발생하였다.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에서 불유합 3례(37.5%), 자가골-종양대치물에서 합병증 9례(50.0%, 불유합 4례, 심부감염 1례, 종양대치물 주위 골절 1례, 성장판 문제 1례, 국소재발 1례, 비구 돌출 1례), 골연골 삽입에서 합병증 6례(33.3%, 심부감염 2례, 불유합 2례, 성장판 문제 1례, 병적 골절 1례), 전 관절 이식에서 합병증 5례(100%, 관절 불안정성 5례), 아킬레스건에서 국소재발 1례(100%)가 발생하였다. 결론: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유용성은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서 조각 및 분절 재건술이 사지의 기능이 우수하고 접합부의 빠른 유합을 보여 가장 좋은 적응증으로 사료되며, 자가골-종양 대치물 복합체의 재건술에서는 절제 후 남은 골이 부족할 때 종양 대치물의 안정성을 위해 고려해 볼 만하다.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서는 저온 열처리법이 체외 방사선 조사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dentify which is the best procedure in recycling autograft according to the resection & reconstruction type and recycling methods, and so when the recycling autograft is used in limb salvag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treated fifty-eight patients (34 male, 24 female; age range 5 to 74 years, mean age 36.5 years), who had the malignant musculoskeletal tumors, with recycling autograft (47 patients with extracoporeal irradiation, 11 patients with pasteurization) from December 1995 to February 2006. The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type was 3 cases with fragmentary, 8 intercalary, 23 rAPC (recycling-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18 osteoarticular, 5 total joint and 1 soft tissue (achilles tendon). The result was evaluated by the radiologic union at junctional site, the functional score by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 and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ection & reconstruction type and recycling methods. Results: The junctional union was obtained at 15.0 months in extracoporeal irradiation and 12.6 months in pasteurization. Also the mean radiologic union was shown at 6.0 months in fragmentary, 12.8 months in intercalary, 10 months in rAPC, 23.3 months in osteoarticular and 15.6 months in total joint. The functional score was 65.5% in fragmentary, 60.8% in intercalary, 62.8% in APC (except pelvis), 66.0% in osteoarticular and 66.6% in total joint. We have experienced 1 infection, 1 prutrusio acetabuli in pasteurization (18.1%) and other 22 complications (3 deep infections, 8 nonunions, 2 fractures, 2 epiphyseal problems, 5 joint instabilities, 2 local recurrence) in extracoporeal irradiation (46.8%). Also we have experienced 3 complications (3 nonunions) in intercalary (37.5%), 9 complications (4 nonunions, 1 deep infection, 1 periprosthetic fracture, 1 epiphyseal problem, 1 local recurrence, 1 protrusio acetabuli) in rAPC (50.0%), 6 complications (2 deep infections, 2 nonunions, 1 epiphyseal problem, 1 pathologic fracture) in osteoarticular (33.3%), 5 complications (5 joint instabilities) in total joint (100%) and 1 complication(1 local recurrence) in soft tissue (100%). Conclusion: In ou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ection & reconstruction type fragmentary and intercalary may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good radiologic and functional result and low rate of complication. And it seems that rAPC was available in case which have no sufficient residual bone stock. Also the pasteurization may have more advantages than that of the extracorporeal irradiation.

      • KCI등재

        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 재건술의 합병증

        김갑중(Kap Jung Kim),이상기(Sang Ki Lee),전충엽(Chung Youb Jeon),마창현(Chang Hyun Ma),김수민(Su M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목적: 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44세였으며 남자 4예, 여자 3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8개월이었다. 기능적 평가는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주기적 방사선 촬영을 통해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최종 추시 시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환 부위는 대퇴골 5예, 상완골 1예, 경골 1예였다. 최종 진단은 악성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2예, 법랑종 1예였다. 이식된 동종골의 평균 길이는 165 mm였다. 동종골 내고정은 금속정과 금속판 고정 4예,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2예, 나사못 고정 1예였다. 평균 유합 기간은 14.5주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MSTS 점수는 20점(67%)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불유합 3예, 내고정물 파손 1예, 감염 1예였다. 최종 추시 시 지속적 무병 상태 5예, 유병 상태의 생존 2예였다. 3예의 불유합 중 2예의 환자에서 자가골 이식술과 반 피질 동종골 보강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장관골에서 발생한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은 매우 유용한 수술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동종골 이식 부위와 숙주골 경계 부위의 불유합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s of allograft reconstruction following wide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in long bone,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44 years old. Male was 4 cases, and female was 3 cases. Mean follow-up period was 38 months. The m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score at final follow-up was evaluat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via periodic radiologic follow-up. Oncologic results were analyzed at final follow-up. Results: The primary malignancies occurred at femur in 5 cases, humerus in 1 case and tibia in 1 case. Pathologic diagnoses were osteosarcoma in 4 cases, multiple myeloma in 2 cases and adamantinoma in 1 case. Mean length of allograft was 165 mm. Fixations of allograft were intramedullary nailing with additional plate in 4 cases, intramedullary nailing in 2 cases, and screw fixation in 1 case. Mean time to union was 14.5 weeks. Mean MSTS score at final follow-up was 20 (6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onunion in 3 cases, implant failure in 1 case, and infection in 1 case. Oncologic outcomes were continuous disease free in 5 cases and alive with disease in 2 cases at final follow-up. Autologous bone graft and hemi-cortical onlay graft were performed in 2 cases of nonunion. Conclusion: Allograft reconstruction following wide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in long bone was effective surgical option. However, the possibility of nonunion between host bone and allograft should be considered.

      •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전영수,백종훈,이승혁,이충환,한정수,Chun, Young Soo,Baek, Jong Hun,Lee, Seung Hyuk,Lee, Chung Hwan,Han, Chung 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1

        목적: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의 치료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과 더불어 술 후 보행 등의 기능회복이 중요하다. 대퇴골 근위부의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 대하여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시행 후 임상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대퇴골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20예(19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1세(범위 35-86세)였으며 남자가 14예, 여자가 6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1-94개월)이었고, 전이성 골 종양 15예,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1예였으며, 전이성 병변의 원발 암은 폐암 4예, 간암 3예, 신장암 3예였고,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전립선암, 악성 방추 세포암이 각각 1예씩 이었다.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가 3예에서 사용되었고,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다. 수술 전 후의 동통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VAS)로 평가하였으며, 술 후 하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MSTS) grading system 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20예(19명) 중 11예(10명)가 생존하고 9예(9명)가 사망하였으며 사망한 환자의 술 후 평균 생존기간은 10.1개월(1-38개월) 이었다.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8.40점(5-10점)에서 술 후 평균 1.35점(0-3점)으로 호전 되었고, 수술 후 MSTS 기능적 평가는 평균 19.65점(65.50%) (7-28점)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국소 재발 2예, 혈종 3예, 감염 3예, 음낭 종창 2예, 탈구 1예였고 치환물 주위 골절이나 해리는 없었다. 결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조기의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Purpose: As well as patient survival, the restoration of postoperative function such as ambulation is important in limb salvage operations for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The authors analyzed clinical outcomes of limb salvage operations using tumor prostheses for metastatic or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proximal femur.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5 to January 2014, 20 cases (19 patients) with malignant bone tumor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with pain or complicated pathologic fracture were treated with segmental resection and limb salvage operations with tumor prostheses. Mean age was 63.1 years (range 35-86). Fourteen patients were male and six ones were female.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1-94 months). There were 15 cases of metastatic bone tumor, 4 cases of osteosarcoma, and 1 case of multiple myeloma. The primary tumors of the metastatic bone tumors included 4 lung cancers, 3 hepatocellular carcinomas, and 3 renal cell carcinomas. Other primary tumors were breast cancer, thyroid cancer, colon cancer, prostate cancer, and malignant spindle cell tumor, each in 1 case. Modular tumor prostheses were used in all cases;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 in 3 cases,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 in 17 cases). Perioperative pain was assessed with Visual Analogue Scales (VAS).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 was assessed with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grading system. Results: Out of 20 cases (19 patients), 11 cases (10 patients) survived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postoperative survival of the 9 deceased patients was 10.1 months (1-38 months). VAS score improved from pre-operative average of 8.40 (5-10) to 1.35 (0-3) after operation. Average postoperative MSTS function score was 19.65 (65.50%, 7-28). The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2 local recurrences, 3 hematomas, 3 infections, 2 scrotal swellings, and 1 dislocation. There was no case of periprosthetic fracture or loosening. Conclusion: Limb salvage operation with tumor prosthesis is an appropriate treatment for early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restoration in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proximal femur with pain an/or complicated pathologic fractures.

      • KCI등재

        슬관절 주위 악성 골종양 절제술 후 마디 간 동종골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최은석(Eun-Seok Choi),한일규(Ilkyu Han),조환성(Hwan Seong Cho),강현귀(Hyun Guy Kang),김준혁(June Hyuk Kim),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목적: 슬관절 주위의 악성 골종양 절제술 후 재건에 사용되는 마디 간 동종골 이식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합병증의 특성과 치료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슬관절 주위에서 발생한 원발성 악성 골종양으로 인해 마디 간 절제술과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21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22세, 평균 추시기간은 46.4개월이었다. 원발 종양으로는 골육종이 12예로 가장 많았다. 대퇴골이 12예, 경골이 9예였으며, 골수내정(3예), 금속판(12예), 골수내정과 금속판(6예)을 사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까지 21예의 이식골 모두 제거 없이 유지되었다. 이식골의 평균 길이는 16.7 cm였으며, 골유합은 평균 10.9개월에 이뤄졌다. 불유합은 6예(골간부: 3예, 골간단부: 3예)에서 발생하였는데, 1예에서는 자가골 이식술, 4예에서 자가해면골 이식술과 고정 방법 변화를 통해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고정방법 변화없이 금속판을 추가한 1예에서는 추가 수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슬관절 주위의 재건술에서 마디 간 동종골 이식술은 지속성과 기능면에서 좋았다. 자가골 이식술과 고정 방법의 변화를 이용하면 이식골의 제거 없이도 불유합을 해결할 수 있었다. Purpose: We aimed to assess the treatment outcomes and factors affecting bone union of intercalary allograft reconstruction after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resection around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patients who underwent intercalary allograft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a malignant tumor of femur or tibi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6.4 months. Location of the tumor was as follows: femur in 12 cases and tibia in 9. Osteosarcoma was the most common tumor (12 cases). Intercalary allograft was internally fixed with an intramedullary (IM) nail in 3 cases, with a plate in 12 cases and with an IM nail combined with a plate in 6 cases. The survival of the grafts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evaluated. Factors affecting bone union and complications were assessed. Results: All allografts survived without removal. The average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score was 27. The mean length of the allograft was 16.7 cm and bony union took 10.9 months, in average. Nonunion occurred in 6 cases: at the diaphyseal side in 3, and the remaining 3 at the metaphyseal side. The graft length was shorter than average in all the diaphyseal side nonunion cases and longer than average in all the metaphyseal side nonunion cases. All cases of nonunion obtained bone union after additional operations (autologous bone graft alone: 1, bone graft with hardware change: 5). Conclusion: Survival and functional outcomes of intercalary allograft were satisfactory. Long allograft showed a tendency of fracture or nonunion at the metaphyseal side. Nonunion could be managed with additional operation without allograft removal.

      • KCI등재

        악성 골종양의 부분 피질골 절제술의 결과

        조완형(Wan-Hyeong Cho),공창배(Chang-Bae Kong),전대근(Dae-Geun Jeon),박환성(Hwan Seong Park),송원석(Won Seok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2

        목적: 골표면 또는 편심성으로 위치하는 골종양은 골수강 내의 침습이 적어서 부분 피질골 절제술(hemicortical resection)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악성 골종양에서 부분 피질골 절제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4년 사이에 부분 피질골 절제술을 받은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골성 골육종이 10예, 골육종 5예, 골막성 연골육종 2예, 연골 육종 1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61개월(24-125개월)이었다. 부분 피질골 절제술 후 종양학적 결과, 골 유합률,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3명(16.7%)의 방골성 골육종 환자에서 국소 재발이 발생하여 재절제를 시행하였으나 1명은 전이가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재건술을 시행한 15명의 환자 가운데 감염으로 이식물을 제거한 2명을 제외한 13명의 환자 중 12명(92.3%)에서 평균 8개월(5-13개월)후 골 유합이 이루어졌다. 합병증으로 골절은 2명(11.1%)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감염은 3명(16.7%)의 근위 경골 골육종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편심성 또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악성 종양의 경우 부분 피질골 절제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근위경골의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점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Purpose: Hemicortical resection may be applied to bone tumors arising at the bone surface or of eccentric location due to minimal medullary invol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hemicortical resection for malignant bon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8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emicortical resection between 2005 and 2014. The study included 10 patients with parosteal osteosarcoma, 5 patients with osteosarcoma, 2 patients with periosteal chondrosarcoma, and 1 patient with chondrosarcoma, who were followed-up for a mean duration of 61 months (24–125 months). We evaluated 1) the oncologic outcome (recurrence, metastasis), 2) the rate of bony union, and 3) complications, such as fracture or infection, after hemicort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Results: There were local recurrences in 3 parosteal osteosarcoma patients (16.7%). After subsequent re-excision for recurrence, one patient died of metastasis. The defect after hemicortical resection was reconstructed by bone graft in 15 patients and the grafts were removed for infection in 2 patients. Bone grafts were united in 12 (92.3%) out of 13 patients at 8 months (5–13 months) after reconstruction on average. Host bone fractures occurred in 2 patients (11.1%); infection developed in 3 patients (16.7%), who received hemicondylar resection for osteosarcoma in proximal tibia. Conclusion: Hemicortical resection for eccentric tumors or small tumors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There is relatively a high risk of infection in the lesion of proximal tibia.

      • 비구주변 골반골 악성 골종양에서 재건술을 시행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의 기능적 결과

        정양국,강용구,이승구,박원종,이안희,박정미,이교선,이형주,Chung, Yang-Guk,Kang, Yong-Koo,Lee, Seung-Koo,Bahk, Won-Jong,Lee, An-Hi,Park, Jung-Mi,Lee, Kyo-Sun,Lee, Hyung-Ju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1

        목적: 비구주변 악성 골종양에 대한 재건술을 동반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의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비구주변을 침범한 악성 골종양에 대하여 내골반골 절제술 후 특별한 재건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8예의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42세였다. 골육종이 3예였고, 연골육종 3예, 전이성 골종양2예였다. 골반골 절제유형은 I+II+III 형 6예, I+II형 1예, II+III형 1예였다. 기능적 결과는 ISOLS의 수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84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시 무병생존이 5예, 유병생존이 2예였고 나머지 1예는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기능적 평가에서 통증, 기능, 정서적 만족도, 보조기구 사용, 보행능력, 보행양상은 각각 4.9, 2.9, 2.9, 1.5, 2.3 및 2.5점이었으며 정상 측의 37~70%(평균 56%)에 해당하였다. 3예에서 일시적인 신경마비가 발생하였다. 결론: 비구주변 악성 골종양에 대한 제건술을 동반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은 합병증 발생이 적고 양호한 기능적 결과를 보여 재건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of periacetabular malignant bone tumors treated by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5, eight patients with primary malignant or metastatic periacetabular bone tumors were treated by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There were 6 men and 2 women. Mean age was 42 years old. There were 3 osteosarcomas, 3 chondrosarcomas and 2 metastatic carcinomas. The type of pelvic resections were 6 type I+II+III, 1 type I+II and 1 type II+II resection. The functional outcomes were evaluated with ISOLS revised criteria.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6 to 84 months. Results: At last follow up, 5 patients showed CDF, 2 patients, AWD and the remained 1, DOD. The mean functional score for pain, functional activity, emotional acceptance, use of external support, walking ability and gait were 4.9, 2.9, 2.9, 1.5, 2.3 and 2.5 respectively. The total functional score ranged from 37% to 70%(average: 56%). There were three temporary nerve palsies. Conclusion: The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for selective difficult periacetabular malignant tumors could be a viable option with fewer complications and fair functional outcomes.

      • KCI등재

        악성 근골격계 종양세서 CD117[c-kit]과 Her-2/neu 유전자 발현

        정진규(Jin Gyu Jeong),최익수(Ik Su Choi),노수인(Su In Roh),곽철호(Cheol Ho Kwak),김상은(Sang Eun Kim),장희경(Hee Kyung Chang),김재도(Jae D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본 연구는 악성 근골격계 종양에서 c-kit (CD117) 유전자 단백질 발현과 Her-2/neu 발현의 양상을 조사하고, 임상 예후와 치료의 측면에서 발현의 의의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파라핀 포매 조직이 보관된 32예의 악성 골종양(골 육종 23예, 연골 육종 9예)과 8예의 활막 육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유전자의 발현은 면역조직화학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c-kit 발현은 골 육종에서 56.5% (13/23), 연골 육종에서 44.4% (4/9), 활막 육종에서 50.0% (4/8)의 발현율을 보였다. 23예의 골 육종에서 c-kit의 발현은 여자에서(p=0.044), 폐로의 전이가 있는 증례에서(p=0.044), 종양 세포의 악성도가 높을수록(p=0.023)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Her-2/neu는 악성 골종양 32예와 활막 육종 8예 모두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결론: 악성 골종양과 활막 육종의 발생에 c-kit 유전자의 발현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폐 전이된 골 육종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이로써 이 종양들의 치료에 c-kit 유전자를 겨냥한 tyrosine kinase억제제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겠다. 그러나 Her-2/neu 유전지는 악성 골종양과 활막 육종 발생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지 않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kit (CD117) and Her-2/neu expressions in malignant bone and soft tissue tumors and to identify a possible predictive role in patients with these malignancie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40 archival paraffin-embedded tissue specimens of patients with 32 malignant bone tumors (23 osteosarcomas, 9 chondrosarcomas) and 8 synovial sarcomas. The gene expressions level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C-kit expression was observed in 13 out of 23 osteosarcoma patients (56.5%), 4 out of 9 chon-drosarcoma patients (44.4%) and 4 of 8 synovial sarcoma patients (50.0%).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c-kit expression and gender (p=0.044), a pulmonary metastasis (p=0.044), and the tumor cell grade (p=0.023) in osteosarcoma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Her-2/neu expression was not found in any of the 40 cases under stud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kit expression appear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malignant bone tumor and synovial sarcoma. In particular, it should be noted that c-kit expression is found frequently in an osteosarcoma with a pulmonary metastasis. In this respect,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s can b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the treatment of a malignant bone tumor and a synovial sarcoma. However, Her-2/neu does not appear to play any significant role in these maligna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