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족부의 종양

        신덕섭,박성혁,안종철,Shin, Duk-Seop,Park, Sung-Hyuk,Ahn, Jong-Ch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의 임상적 특성과 병리학적 특성 및 분포 등을 조사하여, 족부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부 종양 환자 141명의 142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된 환자들이었다. 대상이 되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영상 검사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종양의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과 수술의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양이 발생 위치는 Kirby 등이 제안한 구역(zone)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여자는 75명이었고 남자는 66명으로 여자가 조금 많았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3.2세였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68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이 57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 12예, 악성 골종양이 5예의 순이었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는 결절종이 36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 중에서는 조갑하 외골종이 18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서는 편평 상피 세포암이 7예, 악성 골종양으로는 폐암의 전이 병소가 2예였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으로 통증은 악성 골종양 환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호소하였고, 증상 발현 기간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가장 길었고, 신경학적 증상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만 3예가 있었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악성 골종양이 가장 크고, 양성 골종양이 가장 작았다. 구역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5 구역에 59예로 가장 많았고, 4 구역에 10예로 가장 적었으며, 양성 골종양에서는 5 구역,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1 구역, 악성 골종양에서는 1, 2 구역,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5 구역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 방법으로 병소내 혹은 변연부 절제술,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 수술, 족지 절단수술, 슬관절 하 절단술과 사지구제술 등이 있었다. 결론: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드물고 종류가 다양하면서 대부분(88%) 양성 종양이었으나,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나이, 통증 유무,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크기 및 발생 구역 등을 고려하여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data bas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foot tumor by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Materials and Methods: 142 foot tumors of 141 patients were studied.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urgical biopsy. We investigated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ic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imaging materials. The location of the tumors were classified with zone of Kirby et al. Results: 75 patients were female and 66 were male.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3.2 years old. Benign soft tissue tumors were the most as 68 cases, and followed by 57 benign bone tumors, 12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nd 5 malignant bone tumors. Ganglia were the mo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s 36 cases, subungual exostoses in benign bone tumors as 18, squamous cell carcinomas in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s 7, and metastatic lung cancers in malignant bone tumors as 2. The rate of pain complaints was the highest in malignant bone tumors, the duration of symptom was longe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the size of the tumor was the biggest in malignant bone tumors. Neurological symptoms were found in only 3 benign soft tissue tumors. For the zonal distribution, zone 5 was the most in 59 cases and zone 4 was the least as 10. The most numbers of the benign bone tumors located in zone 5,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in zone 1, of malignant bone tumors in zone 1 and 2, and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in zone 5.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included intralesional or marginal resection, curettage with or without bone graft, toe amputation, below knee amputation and limb salvage. Conclusion: The tumors of the foot were rare and various, and mostly benign (88%), but we can do proper treatment of those tumors without excluding malignant tumors by considering the age of patients, pain, duration of symptom, size of the tumors, and zonal distribution.

      • SCIESCOPUSKCI등재

        여성생식기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임상적 고찰

        박주현,김영태,구자성,김성훈,김재욱,박기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3

        목적 : 여성생식기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환자 10예에 있어서의 임상양상, 치료방법 그리고 예후에 대목적 : 여성생식기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환자 10예에 있어서의 임상양상, 치료방법 그리고 예후에 대 연구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연세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진단 및 치료받은 자궁, 난소 그리고 난관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환자특성, 과거력, 수술종류, 병기 그리고 보조적요법에 대해 후향적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군은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이 8례, 난소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이 1예, 난관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이 1예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1예에서는 상피성 난소암이 동시에 있었다. 중앙연령은 54.5세 였고 7명이 폐경 이후 발병하였으며 중앙 폐경기간은 6년이었다. 골반내방사선 조사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없었다. 질출혈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고(5/10) 하복부 동통(2/10), 월경과다(1/10), 복부종괴감(1/10) 그리고 무증상(1/10)의 순서로 나타났다. 제 I 혹은 II형 확대형 자궁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 그리고 양측 임파선 곽청술을 시행한 경우가 9예, 제 I형 확대형 자궁적출술 및 우측 부속기 절제술를시행한 경우가 1예였다.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5예가 I기, 2예가 III기, 1예가 IV기 였다. 난소와 난관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병기는 각각 II기와 I기였다. 수술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4예에서, 항암화학요법을 4예에서, 그리고 수술 전,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1예 그리고 보조적 요법을 시행하지 않은경우가 1예로 나타났다. 2명이 수술 후 2개월, 6개월째 사망하였는데 두 예에서 모두 자궁이 원발장기이며 진단당시의 병기가 각각 IV기 III기였다. 생존하는 8명 중 7명이 6에서 66개월의 추적관찰동안 무병생존을 보이고있다. 결론 :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예후를 결정하는 요소 중 병의 파급정도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원발성 장기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 철저한 수술적 치료 후 적극적인 보조적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 혹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할 경우 비교적 양호한 예후가 기대되는 바이다. Objective : To perform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entities,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the prognosis of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MMMT) of the female genital tract. Methods : From March 1997 to October 2003, 10 patients with MMMT’s of the uterus, ovary and fallopian tube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their demographic factors, past histories, the type of surgery, the stage of disease and the type of adjuvant therapy employed. Results : The group consisted of 8 MMMT’s of the uterus, 1 MMMT of the ovary and 1 MMMT of the fallopian tube. 1 patient with MMMT of the uterus had concurrent papillary serous cystadenocarcinoma of the ovary. The median age was 54.5 years. 7 patients were postmenopausal with a median menopausal period of 6 years. A history of previous pelvic irradiation was not documented in any patient. Vaginal bleeding was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5/10) followed by low abdominal pain (2/10), menorrhagia (1/10), palpable mass (1/10) and the absence of symptoms (1/10). Type I or II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and pelvic, para-aortic lymphadenectomy was performed in 9 patients and type I hysterectomy with right salpingo-oophorectomy was performed in 1 patient. 5 of the 8 uterine MMMT cases were allotted to stage I, 2 to stage III and 1 to stage IV. The MMMT of the ovary was stage II and the MMMT of the fallopian tube was stage I. Concurren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radiotherapy was perfor d in 4 patients, chemotherapy alone in 4 patients, neoadjuvant as well as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in 1 patient and no adjuvant therapy in 1 patient. Of the 8 survivors, 7 survivors are disease-free with follow-up periods ranging from 6 to 66 months.

      • 악성 증식성 모낭 종양 - 증례 보고 -

        홍기도,김재영,하성식,심재천,조혜제,최윤호,Hong, Ki-Do,Kim, Jae-Young,Ha, Sung-Sik,Sim, Jae-Chun,Cho, Hye-Jae,Choi, Yoon-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1

        증식성 모낭 종양은 모낭 말단부위의 외근모초에서 기원하는 드문 종양이다. 악성 변화는 드물지만 갑작스러운 크기의 증가, 침윤성 성장 및 두피 이외에서 종양의 발생 등은 악성 증식성 모낭 종양을 시사한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핵의 이형성, 다형성 및 유사분열 소견은 악성증식성 모낭 종양의 특징이다. 악성 증식성 모낭 종양은 재발 및 전이가 보고되고 있어 정상조직을 포함한 충분한 절제와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53세 남자 환자의 우측 제 5수지 원위 지골에 7년전 발생한 종양을 중위 지이하 절제술 후 병리조직검사상 악성 증식성 모낭 종양으로 진단되었고, 환자가 외래로 더 이상 방문하지 않아 재발과 전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Proliferating trichilemmal tumor(PTT) is a rare neoplasm derived from the outer root sheath of the hair follicle. Malignant transformation is rare, but abrupt enlargement of size, infiltrative growth, and non-scalp location are suggestive of malignant PTT.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malignant PTT are nuclear atypia, pleomorphism, and mitotic figures. Recurrence and metastasis have been documented in malignant PTT. Wide resection of the tumor with the normal tissue and accurate follow-up is the treatment of choice of the both malignant and benign PTT. We report a 51-year-old man with the mass on right 5th finger distal phalanx for 7 years. The tumor was excised with middle phalangiectomy, and based on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tumor, this case was diagnosed as mailignant PTT. We cannot detect recurrence and metastasis because the patient was lost to follow-up.

      •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전영수,백종훈,이승혁,이충환,한정수,Chun, Young Soo,Baek, Jong Hun,Lee, Seung Hyuk,Lee, Chung Hwan,Han, Chung 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1

        목적: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의 치료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과 더불어 술 후 보행 등의 기능회복이 중요하다. 대퇴골 근위부의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 대하여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시행 후 임상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대퇴골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20예(19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1세(범위 35-86세)였으며 남자가 14예, 여자가 6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1-94개월)이었고, 전이성 골 종양 15예,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1예였으며, 전이성 병변의 원발 암은 폐암 4예, 간암 3예, 신장암 3예였고,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전립선암, 악성 방추 세포암이 각각 1예씩 이었다.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가 3예에서 사용되었고,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다. 수술 전 후의 동통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VAS)로 평가하였으며, 술 후 하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MSTS) grading system 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20예(19명) 중 11예(10명)가 생존하고 9예(9명)가 사망하였으며 사망한 환자의 술 후 평균 생존기간은 10.1개월(1-38개월) 이었다.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8.40점(5-10점)에서 술 후 평균 1.35점(0-3점)으로 호전 되었고, 수술 후 MSTS 기능적 평가는 평균 19.65점(65.50%) (7-28점)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국소 재발 2예, 혈종 3예, 감염 3예, 음낭 종창 2예, 탈구 1예였고 치환물 주위 골절이나 해리는 없었다. 결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조기의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Purpose: As well as patient survival, the restoration of postoperative function such as ambulation is important in limb salvage operations for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The authors analyzed clinical outcomes of limb salvage operations using tumor prostheses for metastatic or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proximal femur.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5 to January 2014, 20 cases (19 patients) with malignant bone tumor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with pain or complicated pathologic fracture were treated with segmental resection and limb salvage operations with tumor prostheses. Mean age was 63.1 years (range 35-86). Fourteen patients were male and six ones were female.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1-94 months). There were 15 cases of metastatic bone tumor, 4 cases of osteosarcoma, and 1 case of multiple myeloma. The primary tumors of the metastatic bone tumors included 4 lung cancers, 3 hepatocellular carcinomas, and 3 renal cell carcinomas. Other primary tumors were breast cancer, thyroid cancer, colon cancer, prostate cancer, and malignant spindle cell tumor, each in 1 case. Modular tumor prostheses were used in all cases;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 in 3 cases,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 in 17 cases). Perioperative pain was assessed with Visual Analogue Scales (VAS).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 was assessed with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grading system. Results: Out of 20 cases (19 patients), 11 cases (10 patients) survived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postoperative survival of the 9 deceased patients was 10.1 months (1-38 months). VAS score improved from pre-operative average of 8.40 (5-10) to 1.35 (0-3) after operation. Average postoperative MSTS function score was 19.65 (65.50%, 7-28). The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2 local recurrences, 3 hematomas, 3 infections, 2 scrotal swellings, and 1 dislocation. There was no case of periprosthetic fracture or loosening. Conclusion: Limb salvage operation with tumor prosthesis is an appropriate treatment for early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restoration in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proximal femur with pain an/or complicated pathologic fractures.

      • 악성 연부조직 종양의 광범위 절제 후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박종혁,이형석,김정렬,Park, Jong-Hyuk,Lee, Hyung-Seok,Kim, Jung-Ry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서론: 악성 연부 조직의 광범위 절제술 후 발생한 연부 조직 결손에 대해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 이식술로 재건술을 시행한 7예에 대해서 치료 결과 및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연부조직 악성 종양으로 광범위 절제술 후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 받은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임상 기록의 검토를 통해 후향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종양의 종류, 크기, 종양의 절제연, 종양 절제 후 연부 조직 결손의 크기, 피판의 성공여부, 수술 시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악성 연부 조직 종양은 활막 육종이 3예,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이 2예, 평활근 육종이 1예, 섬유육종이 1예였다. 종양의 크기는 $3{\times}5\;cm$부터 $7{\times}8\;cm$로 다양하였고, 모든 예에서 광범위 절제연을 얻을 수 있었다. 종양 절제 후 피부 연부 조직 결손의 크기는 $6{\times}8\;cm$부터 $15{\times}10\;cm$였고, 평균 수술 시간은 3.6시간이었다. 모든 예에서 이식된 피판은 생존하였다. 결론: 악성 연부 조직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술은 종양의 광범위한 절제술 후에도 적절한 크기와 길이의 혈관경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여부의 합병증을 최소화하며, 미용적으로 우수하여 종양 절제 후 연부조직의 재건에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present our experience with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fter resection of soft tissue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of 2003 and June of 2007, we treated 7 patients with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fter wide resection for soft tissue sarcoma.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ype and size of tumors, resection margin, size of defect after resection, time of operation, flap survival and complication. Results: The type of sarcoma was 3 synovial sarcoma, 2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1 leimyosarcoma and 1 fibrosarcoma. The size of tumor varied from $3{\times}5\;cm$ to $7{\times}8\;cm$. The resection margins of tumors were negative in all cases. The size of soft tissue defect after resection varied from $6{\times}8\;cm$ to $15{\times}10\;cm$. The mean time of operation was 3.6 hours. All flaps were survived. Conclusion: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ppear to be ideal for reconstruction after wide resection of soft tissue sarcoma.

      • KCI등재후보

        신장이식환자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의 종류와 발병율 양상

        김진영 ( Jin Young Kim ),이주하 ( Jennifer Lee ),이성은 ( Sung Eun Lee ),김수현 ( Su Hyun Kim ),최범순 ( Bum Soon Choi ),문인성 ( In Sung Moon ),양철우 ( Chul Woo Yang ),김용수 ( Yong Soo Kim ),고용복 ( Yong Bok Koh ),방병기 ( Byu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1

        목적: 새로운 면역억제제의 도움으로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률이 꾸준히 감소되고 신이식 환자의 수명을 증진되면서 이식 후 발생하는 악성종양이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저자들은 신이식환자의 추적기간별 악성종양 발생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69년부터 2005년까지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에서 신장이식을 시행 받은 150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08±77개월이었다. 신이식환자의 악성종양 발생률, 임상경과, 치료 및 예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일반인과 비교하였다. 결과: 7% (103명에서 105예)의 환자에서 악성종양이 발생하였다. 남자보다 여자의 암발생률이 높았고, 가장 흔한 암은 남자의 경우 위암, 여자의 경우 자궁경부암이었다.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누적발생률은 0.72%, 2.91%, 4.62%, 7.0%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신이식환자의 암발생률은 일반인보다 높았고, 특히 악성 임파종, 피부암, 갑상선암, 카포시 육종, 비뇨 생식계암이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초기 면역억제제에 따른 악성종양의 발생은 AZA 8.3%, CsA 7.6%, FK 506 3.4%이었으나 이식 후 발생시기는 AZA 172±61개월, CsA 91±49개월, FK 506 57±28개월로 AZA, CsA에 비해 FK506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악성종양이 보다 일찍 발생하였다. 임상적 경과는 37명이 사망하고(21명은 종양으로 인한 사망), 51명은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다(7명은 이식신기능상실). 결론: 추적기간이 길어지면서 악성 종양의 발생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암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암검진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Strong immunosuppressive regimens have steadily improved both graft and patient survival, but posttransplant malignancy is still a clinical issue that needs to be resolved. Methods: There were 1,500 transplant recipients between 1969 and 2005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08 77 month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incidence, clinical course, treatment and prognosis of malignancy in the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Results: The incidence of malignancy after transplantation was 7.0% (10.5 cases out of 103 patients). The incidence of malignant lymphoma, thyroid cancer, renal cell carcinoma and Kaposi`s sarcoma were higher in the renal transplanted patients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cancer incidence for women was higher than that for men, with stomach cancer being the most common in males and uterine cervix cancer the most common in females. The cumulative incidence of posttransplant malignancy at 1990, 1995, 2000 and 2005 were 0.72%, 2.91%, 4.62% and 7.0%, respectively. The cancer incidence with the use of initial immunosuppressive agents was 8.3% for azathioprine, 7.6% for cyclosporine, and 3.4% for tacrolimus. The mean times for making the diagnosis of malignancy after transplantation were 172±61 months for azathioprine, 91±49 months for cyclosporine, and 57±28 months for tacrolimus, respectively. During the observational period, 37 patients died (21 patients died of cancer) and 51 patients were still alive (7 grafts failed).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malignancy after renal transplantat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longer follow-up period. An active screening program is needed to lower the incidence of malignancy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Korean J Med 73:67-75, 2007)

      • KCI등재

        상완골에 발생한 악성 골종양의 치료 및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

        심범진(Bum-Jin Shim),신덕섭(Duk-Seop Shin),류승민(Seung-Min Ryu),박재우(Jae-Woo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5

        목적: 상완골에 발생한 악성 골종양의 특징 및 질환의 분포도, 각각의 치료와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상완골 악성 골종양으로 수술한 42예를 원발군(1군), 전이군(2군)으로 나누어 후향적으로 추적 분석하였다. 종양의 종류, 분포 등의 특징 및 치료 결과에 따른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상완골에 발생한 1군으로 골육종 9예, 연골육종 5예 등이 있었고 주로 근위부에 분포하였다. 2군은 폐암에서의 전이가 12예 등 주로 간부에 분포하였다. 광범위 절제술 및 종양 인공관절 재건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를 하였고 Kaplan-Meier method 분석 결과 1군 5년 생존율 87.5%, 2군 1년 생존율 70.1%였다.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상 두 군 모두 통증 완화, 손위치 및 수작업 능력이 높았고, 기능 지수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1군이 2군보다 높았다. 결론: 상완골의 원발성 악성 골종양은 주로 근위부에 생기며 광범위 절제술 후 종양대치물로 치료를 한다. 전이성 악성 골종양은 주로 간부에 생기며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이 주된 치료이다. 원발성 악성 종양은 생존율 향상이 치료의 주된 목적이고 전이성 악성종양 치료는 기능적 측면에서 효용성이 높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outcomes between the primary and metastatic malignant tumor of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5 and May 2014, 42 cases of malignant tumor in humerus that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1 year were entered into the study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primary (group 1, 15 cases) and metastatic (group 2, 27 cases),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e tumor.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outcomes between the primary and metastatic malignant tumor of humerus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In the group 1, nine cases were osteosarcoma and six cases were chondrosarcoma. The tumor lesions were distributed in the proximal area of the humerus. In the group 2, 12 cases originated from lung cancer, six cases from liver cancer, and two cases from bladder cancer. The lesions were usually distributed in the midshaft area. The patients underwent various surgical treatments, including wide excision with tumor prosthesis, curettage with bone grafting, intramedullary nailing,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Kaplan-Meier 5-year survival estimates were 87.5% for group 1, and 1-year survival estimates were 70.1% and 2-year survival estimates were 40.1% for group 2. The m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 was high in both groups. However group 1 showed a higher score on the functional index compared to group 2. Conclusion: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humerus usually involve the proximal site and tumor prosthesis is the main treatment. The metastatic malignant bone tumor usually involves the midshaft area and intramedullary nailing and radiation therapy is the main therapy. Although treatment of the primary malignant tumor increases the survival rate, treatment of metastatic malignant tumor does not affect the survival rate, though it helps in relieving pain.

      • KCI등재후보

        악성 골종양에서 감염된 종양대치물의 치료

        조완형(Wan-Hyeong Cho),박종훈(Jong-Hoon Park),송원석(Won Seok Song),이수용(Soo-Yong Lee),전대근(Dae-Geun Jeon),오정문(Jung-Moon Oh),김진욱(Jin-W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2

        목적: 종양 대치물 시술 후 발생한 감염의 양상, 기간 및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 및 치료 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2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골종양으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받은 환자 215명 중 감염이 발생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수술을 하였으며, 17예에서 총 42회의 수술을 시행하였다(반흔 조직 청소술(scarectomy) 11예, 종양 대치물의 부분적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 9예, 종양 대치물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 술 20예, 절단술 2예). 감염 치유의 지표로 미생물 배양 검사, C-반응단백(CRP), 적혈구 침강속도(ESR) 및 이학적 소견을 이용하였으며, 수술 후 3개월 이상 염증 소견이 없으면 완치로 보았다. 각 술식을 독립된 사건으로 간주하여 감염이 해결되었으면 생존, 재발하면 사건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여 지속적 무병생존율을 Kaplan-Meier법으로 구하였으며, 각 술식 간의 차이는 log rank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반흔 조직 청소술, 종양 대치물 부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 종양 대치물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의 누적 생존율은 각각 0% (11개월), 0% (12개월), 34% (79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종양 대치물 사용 후 발생한 감염은 초기에 종양 대치물의 완전 제거 및 골 시멘트 충전술로서 반복되는 재발을 막을 수 있다. Purpose: The analysis poi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features, durations, and outcomes following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for an infected tumor prosthesis (TP). These were used to define an appropriate strategy for infected TP.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1986 to November 1999, 215 patients underwent a TP replacement operation in our hospital, and 17 patients with an infected TP were eligible for the study. Forty-two operative procedures were performed on 17 patients (scarectomy 11 cases, partial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9 cases, complete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20 cases, and amputation 2 cases). Freedom from infection was defined as no sign of inflammation for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and its objective variables were CRP, ESR, physical examination, and culture free body fluid. Although one patient received several procedures, we considered each event as a separate variable. The survival rates of the procedures were analysed by Kaplan-Meier plots and these were compared using the log rank test. Results: The cumulative survival of each procedure was 0% by scarectomy at 11 months, 0% by partial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at 12 months, and 34% by complete TP removal and bone cementation at 79 month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were found for these procedures (p<0.001). Conclusion: Aggressive initial management reduces patients pain and increases the chanc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functional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