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익명성과 악성댓글 경험량,악성댓글 규범성 인식이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웹사이트를 악의적 사이트로 인식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정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1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r`s Perception and Intension of Internet Malicious Message Uploading. Study question and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y focused on internet malicious messages, which are among the most popular chat services but offer widely varying levels of user security. The researchers logged into various chatrooms under ambiguous usernames, counted the number of times they were contacted and tracked the contents of those messages. The researchers also determined that simulated users are not behind most of the malicious messages. As a result, internet use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several types orientating actual interests about negativ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and simple curiosity, respectively. The 1st type members are favorable about malicious message on the internet from the dimension of curiosity only, so they are likely to upload malicious Message. The 2nd type internet users are malicious users who are more likely to perform behaviors actually by accepting those message based on the network system as more informative. The 3rd type of internet users are likely not to actually use existing message through the network system, that is, being referred to as passive users of the system. 본 연구는 인터넷 이용자가 악성댓글의 규범성 인지에 따라 악성댓글의 게시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기 위해 네티즌 3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처치가 처리된 제시문을 제공하고 설문 문항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악성댓글 게시의도에는 웹사이트의 인식 이전에 일반적인 인터넷 속성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해 인터넷의 주요한 속성인 익명성과 댓글란 이용량을 변인으로 설정해 이상의 변인들이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터넷 정치 뉴스 댓글란 이용량으로 나타났고, 악성댓글 경험량은 부정적 영향을, 익명성 인지도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웹사이트의 악성댓글 규범성에 대한 인식이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악성댓글 게시가 많이 발생한다고 인지한 집단과 악성댓글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인지한 집단 간에 해당 웹사이트에서의 악성댓글의 규범성 인지 정도와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차이가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결과, 특정 웹사이트를 악성댓글의 게시가 많이 발생하는 웹사이트로 인지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해당 웹사이트에서의 악성댓글을 일반화된 규범으로 인지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악성댓글 게시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특정 웹사이트에서 악성댓글을 일반화된 규범으로 인지하는 정도는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악성댓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정승민(Jeong Seung Min) 한국공안행정학회 200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6 No.2

        현대 생활에 있어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인터넷으로 인한 범죄문제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 중 특히 최근 들어 악성댓글이 난무하면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잘못된 문화인 악성댓글의 실태를 살펴보고,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악성댓글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과 대책방안에 대해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학생을 중심으로 인터넷상 악성댓글에 대해 인식조사 한 결과 첫째, 대부분이 오늘날 인터넷상 댓글문화에 대해 심각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댓글을 자신에 대한 관심의 척도로 여기면서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악성댓글의 가해 및 피해의 경험은 대부분 없었지만 그 수보다는 심각성이 더욱 문제가 됨을 인지해야 한다. 그리고 악성댓글에 대한 피해 후 대부분이 반응하지 않는 조치를 취하였는데, 이는 피해자들조차도 악성댓글을 심각한 범죄행위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법적 처벌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에 문제점을 보였다. 인식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악성댓글의 발생요인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익명성과 네티즌의 의식부족, 포털사이트의 상업성, 인터넷상의 건전한 토론문화 및 여론형성기능의 상실, 개인의 인권침해 및 명예훼손 등을 제기할 수 있다. 한편 악성댓글에 대한 대책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재 처벌수위의 적절성을 살펴 본 결과, 적절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앞으로도 적극적이고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2007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응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을 기재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 댓글을 다는 형식과 본인확인절차만 거치고 댓글을 다는 형식 등의 인터넷 실명제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앞으로 건전한 인터넷문화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악성댓글에 대한 처벌수위를 결정하는 표현의 수위를 조속히 정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엄격히 처벌해야 할 것이다. 이보다 우선적으로 인터넷 이용자들의 자율적인 정화활동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터넷상 예절문화에 대한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 The Internet has brought many conveniences to people's life but at the same time Internet related crimes are also increasing rapidly. Among various types of cyber crimes, vicious replies rampant on the Internet are causing many social troubles.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vicious replies, misled Internet culture, and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vicious replies, and based on the results, identified related problems and discussed solutions for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vicious replies on the Internet, first, most of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oday's Internet reply culture and considered it important, regarding replies as an indicator of others' interest in them. Second, most of students did not have experience in hurting others or being hurt by others with vicious replies, but they perceived that the problem is not in the number but in the seriousness. In addition, those who had been hurt by vicious replies coped with the replies mostly by not responding to them. This shows that even the victims of vicious replies do not perceive vicious replies to be serious criminal acts, and are passive in taking legal measures. Third, as to factors encouraging vicious replies, the most frequent answers were anonymity and netizens' lack of consciousness. Fourth, with regard to the level of punishment against cyber violence, many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current level is adequate. In addition, they suggested active and strong punishment on netizens who write vicious replies.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the Internet real name system to be enforced from the second half of 2007,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 to the Internet real name system that demands registration with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telephone number and then allows writing replies or the system that identifies the Internet user and then allows writing replies. What is most essential in order to foster healthy Internet culture in the future should set guidelines for expression based on which the level of punishment against vicious replies will be determined and apply strict punishment to violators. In addition, It is an effort to observe etiquette on the Internet, namely, netiquette. For this, education on Internet culture should be provided together.

      • KCI등재

        익명성과 악성댓글 경험량,악성댓글 규범성 인식이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웹사이트를 악의적 사이트로 인식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정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인터넷 이용자가 악성댓글의 규범성 인지에 따라 악성댓글의 게시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기 위해 네티즌 3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처치가 처리된 제시문을 제공하고 설문 문항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악성댓글 게시의도에는 웹사이트의 인식 이전에 일반적인 인터넷 속성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해 인터넷의 주요한 속성인 익명성과 댓글란 이용량을 변인으로 설정해 이상의 변인들이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터넷 정치 뉴스 댓글란 이용량으로 나타났고, 악성댓글 경험량은 부정적 영향을, 익명성 인지도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웹사이트의 악성댓글 규범성에 대한 인식이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악성댓글 게시가 많이 발생한다고 인지한 집단과 악성댓글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인지한 집단 간에 해당 웹사이트에서의 악성댓글의 규범성 인지 정도와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차이가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결과, 특정 웹사이트를 악성댓글의 게시가 많이 발생하는 웹사이트로 인지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해당 웹사이트에서의 악성댓글을 일반화된 규범으로 인지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악성댓글 게시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특정 웹사이트에서 악성댓글을 일반화된 규범으로 인지하는 정도는 악성댓글 게시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r`s Perception and Intension of Internet Malicious Message Uploading. Study question and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y focused on internet malicious messages, which are among the most popular chat services but offer widely varying levels of user security. The researchers logged into various chatrooms under ambiguous usernames, counted the number of times they were contacted and tracked the contents of those messages. The researchers also determined that simulated users are not behind most of the malicious messages. As a result, internet use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several types orientating actual interests about negativ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and simple curiosity, respectively. The 1st type members are favorable about malicious message on the internet from the dimension of curiosity only, so they are likely to upload malicious Message. The 2nd type internet users are malicious users who are more likely to perform behaviors actually by accepting those message based on the network system as more informative. The 3rd type of internet users are likely not to actually use existing message through the network system, that is, being referred to as passive users of the system.

      • KCI등재

        악성댓글의 불법행위책임

        남봉근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8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1 No.2

        대한민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고도로 발전된 IT국가 중 하나이고, 잘 갖춰진 전산망 덕분에 누구나 인터넷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뉴스매체에 대한 쌍방향 소통욕구에서 비롯된 댓글의 게시가 활발하였다. 그러나 확산속도에 비해 댓글 문화가 성숙하게 정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악성댓글과 관련하여 법적 분쟁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악성댓글은 공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뉴스에 익명으로 게시되는 특성이 있어, 명예훼손 보다는 대부분 모욕행위가 문제된다. 현재 실무에서는 악성댓글에 욕설이 포함된 경우에만 불법행위책임을 묻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이는 규범력 측면에서 문제점이 크다. 분류 가능한 악성댓글의 유형에 따라 욕설 등 모멸적 표현이 포함된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불법행위책임을 묻고(제1유형), 명시적으로 모멸적 표현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법성을 추정한 뒤 표현행위자에게 위법성 조각사유를 입증하도록 하는 것(제2유형)이 타당하다고 본다. South Korea is one of the most advanced IT countries in the world, and thanks to a well-equipped computer network, anyone can easily get access to the Internet. Amid this situation, the posting of the replies was active due to the desire for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news media. However, as the reply culture has not matured compared to the rate of diffusion, the legal dispute over malicious comments has exploded in society. As malicious comments are posted anonymously on Internet news outlets targeting public figures, it is more likely that they will be taken over as contempt rather than defa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s in case law, most of the times, malicious comments are responsible for illegal acts only if they contain swear words, but this is problematic in terms of the regulatory authority. If the malicious comments are included in the expression of humiliation, such as swear words, depending on the type of malicious comments that can be categorized, ask for responsibility for the illegal acts unless there are certain circumstances (Type 1),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humiliation,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a number of factors collectively to estimate the injustability and then require the expressionist to demonstrate the reason for the unlawful sculpture (Type 2).

      • KCI등재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공격성, 충동성, 자극추구성향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

        김지인(Kim, Jiin),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 그리고 목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의 상호작용이 악성댓글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23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상관분석, Kruskal-Wallis와 Mann-Whitney U 검증, 이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악성댓글을 목격한 곳’, 즉, 포털 사이트보다는 SNS에서 악성댓글을 목격한 경우에 악성댓글 참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중학생의 개인내적 변인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충동성, 자극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높은 악성댓글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의 상호작용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악성댓글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인터넷 환경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개인내적 변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심리적 취약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악성댓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치료적 개입과 악성댓글 피해 예방 교육이나 제도 마련에도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xposure to malicious online comment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posting malicious online comments amongst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238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osting malicious online comments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osure to malicious online comments through SNS than through portal sites. Secondly, higher scores of relational aggression, impulsivity, and sensation seeking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ly predicted more frequent posting of malicious comments. Thirdly, there was no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the exposure to malicious online comments and psychosocial factors. This study explored possible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posting of malicious online comments and specifically verified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 KCI등재

        악성 댓글에 노출 시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가 악성 댓글 재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노를 중심으로

        이정은(Jung Eun Lee),장희순(Hee Soon Ja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3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how civil commentors engaged in online trolling in the news comment section of Korean Web Portals, such as Naver and Daum. Naver and Daum displayed the number of users who like or dislike on each news and comments, and showed a full or partial list of them. We assumed that these features created the conformity friendly cyberspace and ordinary people would writing troll comments after reading troll comments in the portals.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at individual’s negative mood and exposure to prior troll comments in cyberspace were primary triggers of troll comments, we performed the online quasi-experiment to find out triggers. We found that male participants’ situational anger were increased after reading news articles and malicious comments. However male participants were not engaged in writing troll comments when they were frustrated. The present research revealed that the male users who read news articles and troll comments in cyberspace were angry because of reading troll comments in cyberspac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was limited because of small sample size. 본 연구에서는 악성 댓글이 발생하고 재생산되는 문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동조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환경인 포털사이트에서 악성 댓글에 노출되면 분노가 증가하며 증가된 분노가 악성 댓글을 재생산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비대면 유사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참가자를 동조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조성된 온라인 설문 플랫폼에서 신문 기사와 악성 댓글 혹은 일반 댓글 조건에 무선 할당하여 노출시키고 분노가 증가하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실험에서 조작된 좌절 경험에 노출시켜 분노 방출의 기회를 제공한뒤, 악성 댓글을 읽고 분노가 증가한 경우에 공격적이거나 부정적인 정서 표현, 부정적인 평가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남성의 경우 악성 댓글에 노출되었을 때 일반 댓글에 노출된 남성보다 분노가 증가하였다. 실험에서 조작된 좌절 경험 시, 악성 댓글에 노출된 남성은 분노와 서운함 같은 부정적 정서표현이나 부정적인 평가를 남겼지만 일반 댓글에 노출된 남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동조 현상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악성 댓글에 노출되면 분노를 경험할 수 있고 분노를 경험하는 것이 새로운 악성 댓글을 생산하게 되는 악순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이버공간에서의 악성댓글 사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아라,이정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social effects on recent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vicious cyber repliers. The participants were 248 primary students, 228 middle school student, 260 high school student and 251 aged between 20-30, all residing or enrolled with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Hostility Scale, BIS-2,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Scale and with reference to the survey results of interviews conducted with vicious cyber repliers. Through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younger the replier's ages, they had high tendency to write offensive vicious replies and more males were involved compared to those of the female vicious repliers. It was an amazing find that more than 50% of all the vicious repliers felt no sense of guilt nor considered their behaviour to be offensive or vicious. On the other hand,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ported to have a sense of guilt when writing vicious cyber replies. Through the research on groups with high usages of vicious replies, lower using groups and groups not using vicious replies has shown that the high usage group has a higher tendency of suffering from aggression, impuls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such as ‘dominant superiority', ‘competitive aggression', ‘self-ostensive inclination' and ‘disobedient distrust'. Moreover, the abusive verbal aggression can be used as tool of determination to classify between vicious cyber repliers and the non groups that does not use vicious cyber replies. Finally,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악성댓글 사용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은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248명, 중학생 228명, 고등학생 260명과 20~30대의 대 학생 또는 직장인 251명으로 총 987명이었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사이버언어폭력 유형’을 바탕으로 작성한 악성댓글 사용경험 질문지와 공격성척도, 충동성척도, 대인관계성향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자가 여자보다 악성댓글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연령이 낮을수록 악성댓글 사용 경험이 많았다. 실제로는 악성댓글을 쓰는 사람의 50% 이상이 그것이 악성댓글이라고 생각하지 않은 채 악성댓 글을 쓰고 있었고, 쓴 후에도 별다른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악 성댓글 사용 후 불안한 느낌을 보고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를 악성댓글 사용경험 정도에 따라 악성댓글 비사 용집단, 악성댓글 저사용집단, 악성댓글 과다사용집단으로 분류하여 대인관계성향, 충동성, 공격성의 차이를 살 펴본 결과, 과다사용집단에서 지배-우월적, 경쟁-공격적, 과시-자기도취적, 그리고 반항-불신적 대인관계성향이 높게 나타났고, 충동성과 공격성의 모든 하위유형에서도 과다사용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적공 격성이 모든 연령대에서 악성댓글 비사용집단과 사용집단을 잘 구분해주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튜브 악성 댓글 탐지를 위한 LSTM 기반 기계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정민(Jeongmin Kim),국중진(Jongjin Kook)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2

        많은 소셜 서비스 상에서 악성 댓글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매체로서의 성격이 강한 유튜브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쉬운 접근성으로 인해 악성 댓글로 인한 폐해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LSTM 기반의 자연어 처리를 통해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악성 댓글을 판별하고 악성 댓글의 비율, 악플러들의 닉네임, 그리고 빈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기 위한 유튜브 악성 댓글 탐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성능을 평가하였다. 약 5만 개의 댓글 데이터셋을 통해 악성 댓글 여부를 판별하였을 때, 약 92%의 정확도로 악성 댓글을 검출해 낼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악성 댓글의 통계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많은 유튜버들이 겪는 악성 댓글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roblems caused by malicious comments occur on many social media. In particular, YouTube, which has a strong character as a medium, is getting more and more harmful from malicious comments due to its easy accessibility using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YouTube malicious comment detection system to identify malicious comments in YouTube contents through LSTM-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o visually display the percentage of malicious comments, such commentors nicknames and their frequency, and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using a dataset of about 50,000 comments, malicious comments could be detected with an accuracy of about 92%.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ystem can solve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malicious comments that many YouTubers faced by automatically generating malicious comments statistics.

      • 악성 비율과 키워드에 근거한 악성 댓글 완화 설명 구조 제안

        전계원(Gyewon Jeon),이상원(Sangwon Lee)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댓글은 시간과 공간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의견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사회적,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부정적인 효과 또한 함께 늘어나고 있어 댓글의 긍정적 효과는 유지하되 부정적인 면은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악성 댓글을 미리 탐색하여 물리적인 제한을 두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정상적인 사용을 유도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댓글을 대표할 수 있는 직관적인 정보인 토픽을 토픽 모델링을 통해 추출하고, 이에 기반한 설명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악성 댓글의 작성을 줄일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약 50 만 건의 댓글을 11 가지의 토픽으로 분류하고, 각 토픽 별 악성 댓글의 비율과 악성 댓글에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 정보를 추출해 두 정보를 조합하여 설명을 생성하는 악성 댓글 완화 설명 구조를 구현하였고, 실제 데이터를 적용하여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글 자체의 정보를 활용하여 작성 중인 글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악성 댓글 작성을 완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