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악교정 수술후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하악운동 변화에 관한 연구

        남동석,양원식,서정훈,장영일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 전후의 하악운동 양상을 관찰하여 수술에 의한 하악운동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수술 전 교정치료를 받은 후, 동 병원 악안면구강외과에서 악교정 수술을 시행한 20명(남;9명, 여;11명)을 대상으로 수술 직전과 수술 2-7개월 후에 Sirognathograph와 BioPak EGN을 이용하여 최대 개폐구 운동과 시상면, 전두면, 수평면에서의 하악한계운동을 기록하고 21개의 항목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 후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인 항목은 시상면상 전방 운동각도로서, 수술 전 17.4°에서 수술 후 38.8°로 증가하였다. 또한 전치 유도가 형성됨에 따라 전방운동 궤적도 일직선에서 상악 절치의 형태에 따른 곡선으로 변하였다. 2. 수술 전후를 비교할 때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인 항목들은 최대 개폐구 운동시 최대 개구량과 최대 전후방 운동량, 시상면상 최대 개구량, 전두면상 좌측방 운동각도의 4항목이었다. 3. 수술 전후를 비교할 때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인 항목들은 전두면상 최대 좌우 운동폭, 수평면상 최대 우측방 운동거리, 최대 좌측방 운동각의 3항목이었다. 4. 최대 개폐구 운동시 최대 개구량과 최대 전후방 운동량은 수술 후 측정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즉 2, 3개월군에서보다 5, 6, 7개월군에서 더 많은 운동량 회복을 나타내었다. 5. 수술 전 불규칙하던 개폐구시 운동 궤적은 수술 후 개구로와 폐구로가 일치하며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에 의해 교합장애가 제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mandibular movement patterns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The sample consisted of 20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9 males, 11 females). Just before and after(2-7months) surgery, maximum opening & closing movement, mandibular border movement on sagittal, frontal and horizontal planes were recorded using Sirognathograph & BioPak EGN. On each record, 21 items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gle of protrusive movement on sagittal plane showed greatest change after surgery. Also, as the incisal guidance was established by surgery, straight path of protrusive movement became curved line. 2. Maximum opening distance and maximum antero-posterior distance on maximum opening & closing movement, maximum opening distance on sagittal plane, angle of left lateral excursion on frontal pla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surgery(p<0.01). 3. Maximum width of lateral excursion on frontal plane, distane of right lateral excursion and angle of maximum left lateral excursion on horizontal pla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surgery(p<0.05). 4. Maximum opening distance and maximum antero-posterior distance on maximum opening % closing mov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ost-surgical time(p<0.05). More recovery of range of movement occured in 5-7month group than in 2-3month group. 5. As the occlusal interferences were removed by orthognathic surgery, irregular opening & closing path became smooth curve.

      • SCOPUSSCIEKCI등재

        하악골 전돌자의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 전후 하악골 주위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양병호,차경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2

        심한 골격성 전후방 및 수직적 악골 부조화를 동반하는 경우는 교정치료 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어렵고 많은 전후방적인 이동과 치료의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교정치료와 동반한 악교정수술이 필요하다. 하악전돌증 환자에서의 치료의 목적은 저작,발음 등 악구강계의 기능을 개선하고 안모의 심미성을 증진시키는 한편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에 있다. 악교정수술에 의한 하악골의 이동으로 위치의 변화를 보이는 조직으로는 설골, 인두, 혀 등이 있다. 악교정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를 받은 골격성 하악전돌증 환자에서 주위 조직들에서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악교정수술 전후와 보정기간 후의 회귀나 재발에 의한 설골, 인두, 혀 및 상하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하악상행지 시상골절단술을 동반한 교정치료를 받은 환자 22명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수술 전 (T1), 수술 후 (T2), 교정장치의 제거 2년 보정 후 (T3) 3회에 걸쳐 계측 및 비교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수술 후 설골이 상악골 및 교합평면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으며 보정기간 후 회귀함을 보여주었다. 2.하악골의 수술에 의한 후방이동 후 설골이 후하방으로 이동하였으며 보정기간 후 상전 방으로 회귀함을 보여주었다. 3.인두의 깊이 변화는 상부에서 수술직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보정 전후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혀의 기저부와 관련해서는 혀 기저부 각 (Cv4ia-hy-pt)이 감소하고, 혀의 기저부 배면이 후하방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보정기간 후에 상방으로 변화하였다. 5.상하순의 두께는 상순에서는 수술 후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하순이하의 연조직에서 두께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하순에서는 수술 후 잉여 연조직에 의한 두께의 증가가 나타나고 상순에서는 구륜근에 의한 장력에 의해 상순의 두께가 감소하였다가 보정 기간 후 새로운 악골 위치로 적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Severe skeletal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discrepancy is difficult to obtain satisfactory result by only orthodontic treatment, and much anteroposterior movement and treatment stability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with orthognathic surgery. The treatment goal of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is to promote the function of stomatognathic system including mastication and phonetics, to improve the esthetics of facial profile and to maintain stability. Positional changes of hyoid bone, pharynx and tongue were seen with mandibular movement after orthognathic surge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hanges of perimandibular tissues of orthodontic patients with skeletal mandibular prognathism who tre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and the changes of hyoid bone, pharynx and tongue by relapse or recurrance after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and retention. The 22 patients who had mandibular prognathism were selected. They tre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with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s orthognathic surgery.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3 times : pre-surgery (T1), immediate post-surgery (T2) and 2 years after retention (T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The hyoid bone returned back after clockwise rotation to maxilla and occlusal plane during retention (p〈0.01). 2.The hyoid bone moved posterior-interiorly by mandibular surgery and returned back anterior-superior after retention. (p〈0.01) 3.The changes of pharyngeal depth showed a little decrease at upper area in post- surgery, but it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generally through before, after and retention. 4.In relating to tongue base, the angle of tongue base was decreased and the dorsal area of tongue base moved to inferior-posterior direction and to superior direction again after retention (p〈0.01). 5.Related to the thickness of upper and lower lip, the thickness of upper lip decreased after surgery, and the soft tissues below lower lip increased after surgery and decreased after retention.

      • SCOPUSSCIEKCI등재

        MMPI를 이용한 악교정 수술환자의 인성에 관한 연구

        박우경,박재억,박수병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5

        이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환자의 술전, 술후 인서의 특성 및 술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객관적인 인성검사의 한가지인 MMPI를 이용하였다. 악교정 수술환자들의 수술동기와 술후 만족도는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술전교정 중인 환자 50명과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22명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술전 환자군에서 K 척도를 제외한 모든 T-scores는 정상적인 범주에 놓여 있었다. K 척도값은 57.7이었으며 이것은 이 환자들이 다소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2. 술후 환자군은 모든 척도에서 정상범주에 놓여 있었다. 3. 술전, 술후 환자군을 비교했을 때, 단지, T-score만이 수술 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4. 남성환자는 술전 K 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정상적이었으며, 술후에 K, Hs 척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5. 여성환자는 모든 T-score기 정상적인 범주에 놓여 있었다. 6. 수술동기는 크게 심미적, 기능적, 악관절문제, 정신사회학적 동기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각 28.2, 32.1, 9.0, 30.7%였다. 7. 수술 후 수술 동기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하는 환자가 전체의 14.3%, 만족하는 환자가 71.4%, 그저그렇다고 답한 환자가 9.5%였으며, 매우 불만족스러움을 답한 환자가 4.8%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hrough the MMPI.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groups. Motivation for undergoing orthognatic surgery and postoperative satisfaction were examined trough the questionnair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50 patients und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22 patients who had received orthognathic surgery. From this study,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In preoperativ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except for K-scale. The T-score of K-scale is 57.7, this showed that these patients underwent some of less stress. 2. In postoperativ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3. Only in K-sca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fter surgery(P<0.05). 4. In mal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except for that of preoperative K-scale. Postopera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K and Hs scales(P<0.05). 5. In femal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6. Motivation for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could be divided into 4 categories.:esthetic goal(28.2%), functional goal(32.1%), TMJ problem(9.0%), and psychosocial reason(30.7%). 7. The degree of postoperative satisfaction was quite high(85.7%). 14.3% of all patients were very satisfied, 71.4% were satisfied, 9.5% were neither satisfied or dissatisfied, and 4.8% were very dissatisfied.

      • KCI등재

        Ⅲ급 부정교합자의 양악 수술과 하악 편악 수술 시 연조직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박영국,장인희,이영준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1

        악교정 수술 시행 시 연조직 변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Ⅱ급 부정교합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른 연조직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진술과 하악골 후퇴술을 동시에 시행한 양악 수술과 하악골 편악 수술 시행 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두께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 전후 변화의 상관성을 산출하며, 경조직 변화에 수반하는 연조직 변화의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 계획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받은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여, Le Fort I osteotomy를 이용한 상악골 전방이동술과 시상분할골절단술을 이용한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한 양악 수술군 26명과 하악골 후퇴술만을 시행한 편악 수술군 26명으로 구분하여, 수술 전후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악 수술군은 골격 변화량의 72.4% 비율로 상순 부위 연조직의 전방 이동을 보였으며, 편악 수술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순각은 양악 수술군에서 편약 수술군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하였다. 이순각은 편악수술군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다. 하악골의 후방 이동에 따른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은 양악 수술군에서 98%, 편악 수술군에서 109%로 편악 수술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군에서는 편악 수술군에 비하여 경조직의 변화에 수반하는 상순에서의 큰 변화가 나타났다. 편악 수술군에서는 상순의 변화는 미약하엿으며, 하순 및 이부의 변화가 양악 수술군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Numbers of postulations lie on the difference of integumental changes with two major surgical remedies of one jaw vs. two 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ccordingly it was the aim of the study to elucidate the skeletal profile changes with an accompanying disposition of soft tissues, consequently to yield the correlation and ratio of soft tissue changes with two types of surgical procedures, which in turn make it possible to predict the soft tissue outcomes by means of assembled regression equations. Cephalometric headfilms of fifry two adult skeletal Class Ⅲ comprised of 26 maxillary advancement by Le Fort I osteotomy and mandibular setback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imultaneously (double jaw surgery, group A), 26 mandibular setback alone (one jaw surgery, group B) were statistically analyzed. Group A manifested 72.4% soft tissue advancement to skeletal changes in the upper lip area, while group B appeare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The nasolabial angle showed more increment in group A than in group B, whereas the mentolabial angle illustrated more reduction in group B. The backward mov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to skeletal change revealed 98% in group A, and 109% in group B. The double jaw surgery group characteristically revealed remarkable integ umental change in the upper lip area, while the one jaw surgery had major effects in the lower lip and soft tissue pogonion areas.

      • SCOPUSSCIEKCI등재

        제 Ⅲ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후 골격적 재발 양상에 관한 연구 : COMPARISON BETWEEN SSRO AND IVRO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과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의 비교

        이장열,유형석,유영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3

        하악 전돌증의 치료를 위해 외과적인 술식이 교정임상분야에 도입된 이래로 많은 임상적인 성공사례가 보고되어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하악골 후퇴술의 대표적 술식으로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SSRO)과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IVRO)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물론 이 두가지 술식 모두 만족스러운 술후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술후 안정성과 재발의 양상과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하악 후퇴술후 시간경과에 따른 재발의 정도에 관한 국내의 연구는 국외에 비해 다소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시상 분할 골절단술과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후의 재발양상에 관한 비교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후 수술방법에 따른 재발 양상과 장기적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로 시행받은 24명(남자 10명, 여자 14명)과 구내 상행지 수직골절단술로 시행받은 26명(남자 10명, 여자 16명)의 수술 직전(T1), 수술 직후 48시간 이내(T2), 수술 후 4-8주(T3), 수술후 6개월 이상(T4)등 4장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여 두 군간의 기간별 재발 양상과 각 군내의 타 변수들과의 상관성에 관해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수평적인 초기 재발은 시상 분할 골절단술군에서는 전방 이동,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군에서는 후방 이동양상을 보였다. 2. 두 군 모두에서 하악골의 수직적인 초기 재발과 후기 재발은 전안면고정이 감소하는 쪽으로 일어났으며 두 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시상 분할 골절단술군에서 수술시 근심절편의 후방회전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후기 재발이 더 전방으로 일어났다. 4. 두 군 모두에서 수술시 하악골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초기 재발이 더 전방으로 일어났다. To evaluate the relapse pattern and long-term stabilities depanding on surgical methods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of C1 III patients, the author selected 24 subjects(10 male, 14 female) operated by SSRO and 26 subjects (10 male, 16 female) operated by IVRO. Each subject took four lateral cephalograms : just before surgery (T1), within 48hrs after surgery(T2), 4-8 wks after surgery(T3), 6 month or more after surgery(T4), and the landmarks were digitized. The differences of relapse patterns in each interval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 of each group was tested.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Horizontal early relapse was forward movement of mandible in SSRO group, as compared to the backward movement in IVRO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2. Vertical early and late relapses were decreases in anterior facial height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3.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ndibular horizontal late relapse and surgical change of articular angle in SSRO group. 4.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mount of mandibular set-back and mandibular horizontal early relapse in both groups.

      • SCOPUSSCIEKCI등재

        상악골 협측 수평 골절단술 직후 교정력에 의한 초기 치아주위 조직반응

        홍광진,안병근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1

        악교정수술을 요하는 악안면 기형환자에서 술후 교정치료시기는 골 치유정도 또는 골편의 안정성과 환자의 악골운동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근래에 악교정 수술시 이동골편의 고정에 miniplate나 screw 등을 이용한 견고성 고정 방법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는 술후 약간 고정기간을 최소화하고 교정력에 의한 골편의 변위 가능성을 줄이므로써 술후 조기에 교정치료를 가능하게 하였다. 한편 술후 조기에 교정치료를 시행할 경우는 골 절단술에 의한 혈류량의 변화와 외과적 처치에 의한 치주조직의 염증반응과 대사작용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치아이동과는 골개조, 초자양 변성 및 치근흡수 등에서 다소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저자 등은 고양이의 상악골 협측 치근단 하부에 수평적 골절단술을 시행한 후 즉시 교정력을 가하여 초기의 치주조직 반응을 교정력만을 가했을 때의 조직반응과 비교 관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골절단술 시행후 즉시 교정력을 가한 실험군에서 교정력만을 가한 대조군에 비해 1. 압박측에서 치조골면을 따라 보이는 파골세포의 수가 증가하였고 골흡수 양상도 보다 직접성으로 관찰되었다. 2. 압박측에서 초자양 변성정도는 보다 경미하게 관찰되었다. 3. 견인측에서 신생골 형성을 치조골면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되었고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된 양상으로 뚜렷한 휴지선이 관찰되었다. 4. 치근흡수는 양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tissue response to the orthodontic force applied immediately after buccal horizontal subapical osteotomy of maxilla. Five mongrel cats weighing about 2.5Kg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left upper canine and premolar of each cat served as a experimental side and the right ones as a control side. On the experimental side, a 100gm orthodontic force was applied between the upper canine and premolar immediately after the osteotomy. On the control side, the same orthodontic force was applied without the osteotomy. After 7day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In the pressure zon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increase of osteoclasts and direct resorption along the alveolar bone surface was observ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2. In the pressure zon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 less extensive hyalinized zone was observe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3. In the pressure zones of both group, no rot resorption was found. 4. In the tension zones of the experimental group, new bone deposition increased along the alveolar bone surface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early orthodontic treatment after orthognathic surgery may have some benefits if the stability of the repositioned segment at surgery is secured.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모의 성장양상에 관한 누년적 연구

        박영철,박민성,김태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5

        악교정 수술이 꼭 필요한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환자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상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수술예정이거나 수술을 시행한 7-17세의 남녀 37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정상교합을 가진 8-13세의 남녀 56명을 정상군으로 하여, 두 군을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repubertal Group내에서의 실험군과 정상군의 비교에서 ANS-U1/Me-L1,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ANB, SN-Pog, IMPA, Facial Convexity, APDI 항목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2. Pubertal Group 내에서의 실험군과 정상군의 비교에서 ANS-U1/Me-L1, S-Go/N-Me,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Saddle Angle, SNB, ANB, SN-Pog, IMPA, Interincis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 항목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3.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의 특성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Prepubertal Group과 Pubertal Group간에는 95% 유의수준에서 Mx. Length/Mn. Length, APDI 외에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실험군에서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의 특성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Saddle Angle과 SNB, SN-Pog와 SNM, ANB와 Facial Convexity 항목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lateral cephalogram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s to whom orthognathic surgery was essential. For this study 37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Ⅲ and going to treat or be treated orthognathic surgey(age7-17) were selected to experimental group and 56 people with normal occlusion (age8-13) were selected to normal group and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experimental group and normal group in prepuber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S-U1/Me-L1,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ANB, SN-Pog, IMPA, Facial Convexity, APDI(p<0.05) 2. In comparison of experimental group and normal group in puber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S-U1/Me-L1, S-Go/N-Me, Mx. Length/Mn. Length, S-N/Go-Me, Wits, Saddle Angle, SNB, ANB, SN-Pog, IMPA, Interincis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 (P<0.05) 3. Among items showing characteristics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pubertal group and pubertal group in other items except Mx. Length/MN. Length, APDI (P<0.05) 4. The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as the highest between Saddle Angle and SNB, SN-Pog and SNB, ANB and Facial Convexity in experimental group

      • SCOPUSSCIEKCI등재

        악교정 수술을 위해 내원한 환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평가

        손우성,박우경,김욱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2

        악교정 수술환자들의 술전 정신심리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술전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SCL-90-R을 검사하였다. 남성환자는 40명이었으며 여성환자는 27명이었다. 남성, 여성환자의 인성특징 비교를 위해 t-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술전 환자군, 남성환자군, 여성환자군 모두에서 SCL-90-R의 9가지 임상척도가 정상범주에 해당 하였다. 2. PHOB scale(공포불안)에서만 남성환자군의 T-score가 여성환자군보다 높았다.(P<0.05) 3. 모든 T-scores가 정상범주에 놓여 있었으나, 9명의 환자(전체환자의 13.4%)는 적어도 한 개의 임상척도에서 비정상적인 범주에 놓여 있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sychosocial status of the preoperative orthognathic surgery patient through SCL-90-R.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67 patients und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Males are 40 and females are 27. comparison betwee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as made by the t-test. From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preoperativ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2. In mal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3. In femal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4. Only in PHOB scales, the T-scores of male patient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patients group. 5. Although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mal range, 9 patients(13.4% of all patients) shows abnormal T-scores in at least one scale.(T>65)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양악 수술 환자의 술후 측모 예측을 위한 Video imaging (Power $Ceph^{\circledR}$ Ver 3.3)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권미정,백형선,이원유,Kwon, Mi-Jeong,Baik, Hyoung-Seon,Lee, Won You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악교정 수술의 계획에 있어서 수술 후 경조직의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 양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과 실제 측모 사진을 병합하여 수술 후 측모 변화에 대한 가시성을 높인 여러 종류의 video imaging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 후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임상적인 활용에 앞서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video imaging프로그램의 하나인 Power $Ceph^{\circledR}$ (Power Soft Co. Ver 3.3)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양악수술을 시행 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30명(남 14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예측도와 실제 술후의 측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량 및 술식별로 분류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의 비교에서 24개의 계측항목 중 14개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2. 계측항목 중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대부분 상악에 관련된 연조직으로 하악에 관련된 연조직에 비해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상악 및 하악의 이동량에 따른 비교에서 이동량이 적은 군이 이동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4. 이부 성형술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한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Video imaging(Power $Ceph^{\circledR}$ Ver 3.3)프로그램에 의한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시 그 차이는 대부분 2mm 이내로써 임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There is a need for more accurate prediction in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Video imaging is an important technology in planning orthognathic surgery and educating patients about the esthetic results after treatment.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ateral cephalogram of 30 patients who had one piece Le Fort I osteotomy advancement and mandibular set back by bilateral intraoral vertical ramal osteotomy with or without genioplast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mputer generated soft tissue line drawing prediction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postoperative cephal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14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24 variables between computer predicted profile and post operative profile 2. Most of th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xilla-related soft tissue landmarks. 3. The predicted results were more accurate in the groups who had small amount of mandibular set back. 4. The predicted results were more accurate in the groups who had no genioplasty. Most of these differences were within 2mm ranges. Therefore profile change prediction by video imaging could be considered clinically acceptable.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을 가진 양악 수술 환자의 술후 측모 예측을 위한 Video imaging(Power Ceph?? Ver3.3)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권미정(Mi-Jeong Kwon),백형선(Hyoung-Seon Baik),이원유(Won-You Lee)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악교정 수술의 계획에 있어서 수술 후 경조직의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 양상을 보다 정 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과 실제 측모 사 진을 병합하여 수술 후 측모 변화에 대한 가시성을 높인 여러 종류의 video imaging 프로 그램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골격성Ⅲ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 후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임상적인 활용에 앞서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video imaging 프로그램의 하나인 Power Ceph<sup>®</sup>(Power Soft Co. Ver3.3)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양악수술을 시행 받은 골격성Ⅲ급 부정교합 환자30명(남 14명, 여자 16명)을 대상으로 예측도와 실제 술후의 측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 며,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량 및 술식별로 분류 비교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의 비교에서 24개의 계측항목 중 14개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 를 보였다. 2. 계측항목 중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대부분 상악에 관련된 연조직으로 하악 에 관련된 연조직에 비해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3. 상악 및 하악의 이동량에 따른 비교에서 이동량이 적은 군이 이동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4. 이부 성형술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한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Video imaging( Power Ceph<sup>®</sup> Ver3.3)프로그램에 의한 예측치와 실제 계 측치 비교시 그 차이는 대부분 2mm 이내로써 임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There is are d for more accurate prediction in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Video imaging is an important technology in planning orthognathic surgery and educating Patients about the esthetic results after treatment.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ateral cephalogram of 30 patients who had one piece Le Fort I osteotomy advancement and mandibular set back by bilateral intraoral vertical ramal osteotomy with or without genioplast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mputer generated soft tissue line drawing prediction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postoperative cephal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14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24 variables between computer predicted profile and post operative profile 2. Most of th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xilla-related soft tissue landmarks. 3. The predicted results were more accurate in the groups who had small amount of mandibular set back. 4. The predicted results were more accurate in the groups who had no genioplasty. Most of these differences were within 2mm ranges. Therefore profile change prediction by video imaging could be considered clinically accep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