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파트 단지 환경시설물의 자연 형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강병우,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아파트 단지 개발은 친환경적이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파트 단지를 구성함에 있어 자연적인 요소를 반영하여 친환경 아파트를 짓는 것은 하나의 기본구성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단지 환경시설물과 보편적 호감도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아파트 단지 내에서 자연풍경으로부터 느끼는 인간의 본성적 감성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디자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아파트 단지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 아파트 환경특화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상위개념인 도시경관의 기본개념을 인지하고 아파트 경관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아파트단지는 도시경관 구조물로서 건축물외에도 다양한 환경시설 및 조형적 요소가 있음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환경시설물과 자연 형상과의 관계 및 향후 방향성에 대해 요약해보았다. 둘째, 인지과학과 진화 이론 및 진화 심리학을 기반으로 신경학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신경미학적 관점에서 자연 조형 구조와 조형 방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자연 형상 질서에 의한 프랙탈 이론과 접목하여 인간의 시각적 호감도 및 조형성과 관계가 있음을 고찰하였다. 셋째, 프랙탈 기하학 구조를 통한 환경시설물 및 아파트 단지 외부공간의 구조물을 사례 분석하여 공통적인 요소를 파악하였다. 단지 내에는 건축물, 복합공간, 인공시설 등이 있었으며, 자연 형상의 조형성과 호감도의 연계성을 알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설정한다. 체크리스트를 설정하는 방법은 프랙탈 기하학 구조의 핵심인 대칭성, 연속성, 반복적인 유사성을 기준으로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지 판단하고자 하였다. 판단하는 기준은 총5개의 적합성 기준 (매우 강 ● / 강 ⊙ / 중 ◐ / 약 ◎ / 매우 약 ○)으로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아파트 선정기준은‘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진행한 아파트 브랜드 평판 조사와 서울시의‘차 없는 아파트’기준으로 4개를 선정하였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아파트 단지의 환경시설물과 주변경관이 이질감 없이 어울리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환경시설물은 자연형상 보다는 인공적인 형태로 되어있어 주변 경관과 조화롭지 못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아파트 단지를 계획함에 있어 아파트 외 시설물 계획 시 자연 형상 구조가 고려되어야 할 사항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주거공간으로서 지속적이고 가치 있는 아파트 단지계획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ent trend of developing apartment complexes was aimed at providing eco-friendly housing for a pleasant living experience. Hence, eco-friendly pla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natural factors have become a standard factor while constructing apartment complexe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apartment environmental specialization and general favorability, and explore the design methods by identifying human preferences for natural landscape.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apartment environmental specialization in line with the paradigm shift for future apartment complexes. (Method) First, we identified the basic concept of the urban landscape, which is a higher concept, and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the apartment landscape. An apartment complex is considered as an urban landscape structure, and includes various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formative elements in addition to build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natural shapes and future directions was summarized. Secon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rough cognitive science, evolutionary theory, and evolutionary psychology, we analyzed the natural structures and shaping methods from a neuroesthetics perspective. In relation to fractal theory caused by the shaping order in nature, the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visual favorability and formability. Third, certain common element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exterior spaces of apartment complexes through fractal geometry. There are buildings, multi-use spaces, artificial facilities inside the complexes, and a checklist was establish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sition of nature shaping and favorability. The checklist was aimed at determining whether it is harmonious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based on symmetry, continuity, and repetitive similarity, which are the core of fractal geometry. The checklist is classified into five conformity levels which are (Very Strong● / Strong⊙ / Medium◐ / Weak◎ / Very Weak○). In addition, four apartment selection criteria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partment brand reput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orporate Reputation Research Institute” and the “car-free apartment” standard in Seoul.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apartment complexes’ environmental specialization elements and whether the surrounding landscapes are harmonize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facilities are more artificial than natural, therefore, it is not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s. (Conclusions)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a natural structure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y facilities within an apartment complex. This consideration can also be applied in the planning of sustainable and valuable apartment complexes as an eco-friendly residential space.

      • KCI우수등재

        아파트단지 외부공간 개방정책에 대한 입주민의 지지도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 PLS-SEM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김나현,박인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3 國土計劃 Vol.58 No.5

        최근 정부와 지자체는 도시의 공공성을 높이는 동시에 지역 공동체 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단지를 외부인에게 개방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는 지역주민을 위한 공개공지와 공공보행통로 등을 설치하면 용적률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지역주민과 상생·공유하는 단지를 조성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서울특별시, 2023). 일례로 반포 아크로리버파크는 재건축 당시 주민공동시설의 개방을 조건으로 층고와 층수 제한을 완화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정부의 노력과는 반대로 공동주택의 외부인 출입을 둘러싼 갈등은 끊임없이 발생하고있다. 지역주민은 아파트단지의 단지 차단으로 인해 통행에 불편을 겪기도 하고, 어린이들의 등하굣길 및 놀이터 출입을 막은 사건은 사회적으로 비난받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외부인 출입으로 인한 위생 악화나 음주, 고성방가 등 아파트단지 입주민들의 피해도 상당하다. 이러한 피해는 입주민이 단지를 차단하게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단지 차단문 등을 통한 외부인 출입 통제는 입주민의 삶의 질은 증진하지만 근린의 사회적 응집력은 낮춰 공간적·사회적 분리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김희석·이영성, 2020), 단지개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아파트단지의 질 높은 녹지공간은 이미 시민에게 친숙해졌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그 공간을 중요한 그린인프라로 인식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강성우, 2014, 2018; 김한수·황지현, 2022). 이러한 시도는 아파트단지 내 녹지공간이 가지고 있는 공공성에 주목하여, 아파트단지 내 녹지공간을 정책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민간과 협력하여좋은 녹지공간을 시민을 위한 도시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다. 한편 아파트단지의 일부 공간을 지역주민에게 개방하는 정책은 사유재산에 대한 개입이라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또한 여전히 아파트단지 입주민이 차단문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정책에 입주민들이 참여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파트단지 개방에는입주민의 동의가 필수적인 만큼, 아파트단지 개방정책이 활성화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책지지 및 그 관련 요인들에 대한 입주민의 인식을 알아보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를 개방하는 것과 관련된 정책을 중심으로 입주민의 정책지지에 영향을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ricate structural dynamics that underlie the support for policies governing the opening of apartment complexes, elucidating the contributing factors through an extensive survey-based approach. The research model incorporated policy literacy, cost-benefit perceptions, normative considerations, and the sense of community. This comprehensive model draws upon established theoretical paradigms, including social exchange theory, prospect theory, and norm activation model. The PLS-SEM (partial least squares-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Additionally, we conducted a rigorous multi-group analysis to discern disparities among distinct subgroups within the surveyed population. The results provided several salient insights: First, when apartment residents understand the overarching policy objectiv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hey are more likely to support it. Second, residents place more emphasis on the gains from the policy rather than the losses associated with it. Third, the way residents perceive the thoughts of those around them regarding the policy has a stronger impact on their support for the policy than their own personal opinions. Finally, the influence of the sense of community operates indirectly,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community based on the region rather than just the apartment complexes. Notably, the extent to which residents perceive the residents surrounding their complexes as similar to themselve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impact of the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일산신도시 도시설계 적용 특성 연구: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김준우 (재) 인천연구원 2023 도시연구 Vol.- No.23

        This research analyzes urban characteristics of Ilsan Newtown as ‘Apartment City’ that is based on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of Newtown. It is based on an analysis that compares the process between original plans and applications, which is supported by documentation and mapping of spatial elements. Ilsan Newtown was developed under this urban design plan for apartment complexes, including density, building height, open space, car paths, and pedestrian ways. This study examines the urban design of apartment complexes to control various elements of apartment development. The apartment block is compared with plans and realization in detail to materialize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es. Urban design guidelines for apartments were also described for the application and management of apartment complexes. 본 연구는 30년이 지난 일산신도시의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적용 현황을 분석하여, 1기 신도시의 아파트 중심의 주거공간 계획 및 적용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양시는 일산신도시부터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도시가 조성되면서, 많은 도시기반시설 및 공공시설이 아파트단지에 맞추어 공급되었고, 생활서비스 및 공공서비스가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도시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일산신도시는 도시설계를 통해 체계적으로 아파트단지를 계획하고 적용한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도시이다. 본 연구는 일산신도시 초기 계획과 현재 현황을 분석하면서 아파트단지와 관련성이 높은 일산신도시의 도시설계 내용을 중심으로, 아파트단지의 밀도, 배치, 시설, 동선 등의 계획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일산신도시는 아파트단지 기반의 슈퍼블럭 중심 도시설계를 적용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설계를 통해 가로경관의 통일성을 부여하고 아파트단지의 클러스터 배치 및 보행자전용도로로 인한 개방형 단지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 기반의 도시설계를 체계적으로 적용한 일산신도시의 도시공간을 분석을 통해 신도시 아파트단지의 도시설계 적용 특성 및 의의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아파트단지 진입공간의 환경조형물에 관한 연구

        김동찬(Dong Chan Kim),김신원(Shin Won Kim),최주현(Ju Hyun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 입구공간의 경관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조형물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 현황을 파악·분석하여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지는 아파트 외부공간 특성화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살기좋은 아파트 상`을 수상한 서울시의 아파트단지를 선정하였다. 조형물의 디자인요소별 특성에 따라 물적 요소, 인적 요소, 기능적 요소로 분류하여 진입공간의 환경조형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파트단지 진입공간에는 다양한 조형물이 설치되었지만 장소성과의 관계를 따져보았을 때 조형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형물 자체로서의 상징성은 지니지만 아파트단지 전체의 상징성을 지니며 랜드마크적인 조형물로서의 기능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아파트단지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아파트 브랜드나 단지의 설계 컨셉과 연관성을 가지며 그 의미를 함축하는 아파트단지만의 B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바이다. 진입공간에 설치된 환경디자인의 수단으로서 환경조형물은 입구로서의 장소성을 부각시켜 쾌적한 진입공간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도시공간 속에서 아파트의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조형물은 아파트 거주민들에게 시각적 아름다움과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고 통행에 활기를 불어 넣어, 보다 나은 주거공간에서의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환경조형물로 인한 브랜드 홍보 효과를 통해 단지의 특성화를 이룰 것이며 경쟁력을 확보하여 도시 전체적으로는 주거 문화의 질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rol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that shape the scenery surrounding the entrance to a given apartment complex; secon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urrent patterns and problem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based on such an understanding; and third, to propose alternatives and measures for improving the design and installment of environmental sculptu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an apartment complex with outdoor scenery recognized as being unique. It is an apartment complex in Seoul that has won the "Good Living Apartment Award". The design of each sculpture surrounding the apartment complex was analyzed in terms of its physical, human and functional elements. The analysis showed that, even though there were sculptur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around the entrance to the apartment complex, their rela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limited. While the sculptures could be considered valuable in and of themselves, they lacked an ability to represent the whole apartment complex and its defining landmarks. As a means of overcoming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rand identity(BI) of the given apartment complex must be considered in designing sculptures so that they bear connection to the design of the overall apartment complex. Environmental sculptures that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urban, living environment would provide tenants of the apartment complex with not only aesthetics, but als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nhancement, helping to enrich their lives. These sculptures would also serve to promote and represent the brand identity of the apartment complex, contributing to an improvement in the overall living condition and residential culture of the city.

      • KCI등재후보

        서울의 빗장주거단지가 근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김희석(Kim, Hee-Seok),이영성(Lee, Young-Sung) 한국지역학회 2020 지역연구 Vol.36 No.1

        대부분의 국내 아파트단지는 서비스 공급의 자족성, 자치, 폐쇄성이 특징인 빗장주거단지(gated community)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동네에 끼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은 채 기존의 아파트단지 담장에 더해 단지 내부로 외부 보행자 출입을 막는 차단문이 설치되면서, 아파트단지의 폐쇄성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빗장주거단지의 폐쇄성 강화가 근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근린 내 주거유형을 주거지 폐쇄의 정도에 따라 저층주거지, 일반 아파트단지, 차단문이 설치된 아파트단지로 나누고 설문을 통해 각각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차단문의 설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중 삶의 질 관련 지표를 높이는 효과는 있으나, 일반 아파트단지보다 포용성 지표를 대폭 낮춤으로써 근린의 사회적 응집력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성이 강화된 새로운 아파트단지는 기존 아파트단지와 저층주거지 간에 유지되어 온 공존 질서를 뒤흔들고, 근린 내 공간적·사회적 분리를 강화하고 있다. Most of the Korean apartment complexes are considered as gated communities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self-sufficiency in service provision, self-governance and exclusiveness. Today the exclusionary features of apartment complexes are reinforced by a new practice of erecting gates against pedestrian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walls without considering implication of the practice over neighborhoods. Three groups of residents, those who live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without walls, apartment complexes with walls and apartment complexes with walls and gates were surveyed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new exclusionary practice of gated communities on social sustainability of neighborhoods. Gates turn out to improve social sustainability indicators related to life quality but lower social cohesion of neighborhoods by lowering inclusiveness indicator considerably. The new apartment complexes with increased exclusiveness shake the established order of co-existence between low-rise residential areas and apartment complexes and strengthen spatial and social segregation within neighborhoods.

      • KCI등재

        사회학적 변화가 공공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공은미(Kong, Eun-Mi),김영욱(Kim, Young-Ook)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환경의 변화가 공공아파트단지 외부 공간구조의 시대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사회학적 변화와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의 상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특성과 변화를 고려한 주거단지 외부공간 계획의 방향성 및 디자인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197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아파트단지 외부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사회ㆍ문화ㆍ경제적 측면에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변화 원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와 같이 분석한 결과, 공간의 변화가 있었던 시점에는 사회 환경 변화의 영향 요소가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는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파트단지 계획 시 사회적인 변화와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한 외부 공간 요소의 배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함과 동시에 새로운 주거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문화를 위하여 아파트 단지 외부 공간 계획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공간과 사회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environment transformation on the outdoor space of Public housing apartment complex.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nfiguration in Korea’s apartment complex. Detailed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elicit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and Space Syntax was adopted to analyze spatial properties in apartment complex. Then these two variables were analyzed to see the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on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outdoor space. We could find the evidence to explain the transform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reflect social changes and consumer desires spatial layout of the complex has been changed. Dramatic change was happened in 2000s by the trends stressing the impotance of revival of community and outdoor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change and spatial properties are related each other, thus we have to be keen to provide healthy outdoor space considering society.

      • KCI등재

        노후 아파트단지 재생에 적용가능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에너지저감형 생태계획측면을 중심으로 -

        이응현,신재훈,오덕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는 국내 노후 아파트 단지의 에너지 저감형 생태주거단지 재생시에 적합한 계획요소의 도출을 그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하여 주거지 재생과 에너지저감형 생태주거단지 계획요소의 개념을 정리하고, 에너지저감형 생태주거단지의 4가지 계획측면;생태주거단지, 건축계획,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재활용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성공적 효과를 거둔 선진사례를 바탕으로 계획요소의 적용현황과 경향파악을 하였다. 둘째, 계획요소의 재생시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우선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계획요소의 국내 아파트단지에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국내 적용가능성이 높게 나타난 계획요소를 바탕으로 2차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노후아파트 재생시에 적용가능한 계획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아파트단지에 적용가능성과 계획요소별 기술적, 경제적, 심미적 개선요구를 조사하여 가능한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선 설문을 종합하여, 노후 아파트단지 재생시에 적용가능한 에너지저감형 생태주거단지 계획요소의 적용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계획요소의 국내 아파트단지 적용성을 살펴본 결과 21개의 계획요소가 국내 아파트단지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중에 12개의 계획요소는 현재 국내 여건상 적극적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9개의 계획요소는 선택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regeneration strategies of the old apartment estates in terms of energy saving ecological planning concepts. The progress of this research as following. First, As far as the main aspect of energy saving ecological planning are concernd, we can identify four main planning aspects; eco-housing planning, green building&passive house, renewable energy, reuse&material flow). With these four main point we try to analysis the planning treasures of successful housing estate, which were established since 1990 focused on eco-planning aspect; Vauban, Rieselfeld, Kronsberg Riem, Hammarby and established the latest domestic case focused on energy-saving planning aspect: Hakha, Daedong. Second, The result of adaptable element of energy saving ecological planning in the housing estate were transport to the selection aspect(which can be recommend for the urban regeneration of old housing estate). To identify these we question to expert group ; for work at the University or in related design studio or research institute. Two steps of questionnaire were made to find out the detailed planning element of Housing Estate(low-energy) old apartment regeneration. Third, suggested systematic methodology of energy saving ecological planning through integrated research institute analysis. In conclusion, the applicable twenty one elements are judged for the old apartment estates. The twelve elements of them are able to apply in domestic current conditions as aggressive applications. and others are able to apply as optional applications.

      • KCI등재

        교류행위 심도 단계에 기초한 아파트 단지 실외 교류공간 계획 요소 연구 -1990년대 상해의 행렬식 저층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장소하,이선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1990년대 완공된 상해(上海)의 아파트 단지가 재건축 범주에 포함되는 시대 상황적 배경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오늘날까지 약 30년의 역사를 가진 이 아파트 단지는 주택 공간이 노화되어 현재 삶의 방식과 동떨어졌을 뿐만이 아니라 주민 간 귀속감이 낮은 등의 문제점이 다양하게 언급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상해 노후 주택의 개선 방법이나 방향성 제시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1990년대 상해의 행렬식 아파트 단지의 개선 방향성으로 실외 교류 공간에 주목하였다. 실외 교류 공간을 위한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상해뿐만 아니라 중국 타 도시에 있는 노화된 대형 아파트 단지 재건축과 개선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에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건축학, 환경 심리학, 환경 행위학, 사회학 등을 포함한 학문 분야에서 주민 교류행위와 교류 공간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주민의 교류행위와 교류 공간의 심도 모델을 도출한다. 둘째, 현장 조사 방법을 통해 16개의 행렬 저층 아파트 단지의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 기록 및 추적 분석하고, 설문지 120건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및 2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주민들의 교류 내용과 교류 공간의 실제 현황을 이해한다. 셋째, 실외 교류 공간의 구성 요소를 도출한다. (결과) 주민들은 아파트 단지 실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교류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며, 주민 70% 이상이 현재 실외 교류 공간이 개선되길 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민마다 다양한 심도 단계 교류에 대한 수요 정도가 다르며, 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도 다르게 나타나지만 교류행위와 공간 이용은 규칙성을 드러내면서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주민들은 친목도에 따라 교류 욕구가 다를 뿐만 아니라, 각 단계별 교류에서 필요로 하는 공간 또한 상이하다. 하지만 조사한 아파트 단지에서 나타난 교류행위의 내용, 유형, 공간 사용에는 규칙성이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 교류행위와 교류 공간의 이론 모델을 도출하여, 주민 교류행위를 비(非)교류, 얕은 단계 교류, 중간 단계 교류, 심층 단계 교류와 같은 4개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교류 공간은 얕은 단계의 교류 공간, 중간 단계의 교류 공간, 심층 단계의 교류 공간, 혼합형 교류 공간을 모두 포괄한다. 둘째, 아파트 단지 내 교류 공간디자인의 기본 구성 요소를 도출한 뒤 교류 공간의 배치, 공간 정보, 공간 기능, 공간 규모를 분석한 결과를 각 단계별 교류 공간과 4가지 계획 요소의 관계로 제시하였다.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아파트 단지 실외 교류 공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고층아파트와 초고층아파트의 단지배치와 주동형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장인선,박상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6 No.4

        최근 국내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고층아파트가 경쟁적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3년 기준 전국에 30층 이상의 아파트 3,459동, 50층 이상의 아파트 60동에 달한다. 과거 아파트 단지배치는 일반적인 주거동을 획일적으로 배치하고 남은 대지에 공용시설이나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었지만 아파트의 초고층화, 랜드마크화에 따라 단지내 다양한 시설들의 설치에 따른 단지배치도 경쟁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단지배치는 주동과 외부공간이 혼재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렵다. 관련 선행연구도 일조량, 환기, 조망, 에너지효율에 집중되어 있고 고층·초고층 아파트의 단지배치와 주동형태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건축허가를 받은 고층·초고층아파트의 주동간의 배치, 도로와의 배치, 외부공간과의 배치현황을 파악하여 단지배치와 주동형태간의 연관성을 확인하며, 고층아파트와 초고층아파트 간의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Recently, high-rise apartments have been competitively built in large cities in Korea. As of 2023, there will be 3,459 apartment buildings over 30 stories and 60 apartment buildings over 50 stories nationwide. In the past, apartment complex layouts were generally structured to uniformly place general residential buildings and create public facilities or green spaces on the remaining land, but as apartments become ultra-high and landmarked, complex layouts based on the installation of various facilities within the complex are also emerging as a competitive factor. However, complex layouts are difficult to recognize visually because the main building and external space are mixed.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amount of sunlight, ventilation, view, and energy efficiency, and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 layout and the main building type of high-rise and ultra-high-rise apartment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 layout and the main building type by identifying the layout of the main buildings, layout with roads, and layout with external spaces of high-rise and super high-rise apartments that received building permits since the 2000s, and to compare and analyze high-rise and super high-rise apartments.

      • KCI등재

        아파트 경비근로자 실태와 개선방안

        김준우(Kim Jun Woo),김용구(Kim Yong Gu),전동진(Jeon Dong Ji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7 인천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인천시 부평구 소재 아파트 204개(의무단지 122개, 비의무단지 82개)에 근무하는 경비근로자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것이다.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아파트 경비직근로자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 경비근로자는 경비업무 외에도 택배관리, 분리수거, 주차관리, 청소업무 등 부가적인 업무를 과다하게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감시단속근로자로 분류하고 있는 근로기준법 시행규칙 제 10조의 제 2항과 제 3항, 시행규칙 제 3항을 개정하여 아파트 경비근로자들을 감시단속근로자 대상에서 제외하고 일반 근로자로 인정하여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도록 해야 한다. 둘째, 아파트 경비근로자는 대부분 24시간 맞교대로 휴일에 쉬지 못하고, 애경사 불참 피로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제68조 3항-나 항을 개정하여 24시간 맞교대를 최소 ‘3조 3교대’나 ‘3조 2교대’ 근무형태 변경이 필요하다. 셋째, 아파트 경비직근로자들의 대부분 간접고용이다. 아파트 위탁관리회사는 그 실체와 역할이 불명확하여 사용자성에 대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를 사용자성으로서 법률적 지위를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구결과 비의무 단지가 의무단지 보다 조건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고, 심지어 근로계약서 미작성(37.3%)이나 4대보험이 미가입(49.1%)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정관청은 비의무 단지에 대해 지도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real circumstance of apartment guard labors working at 204 apartments and multi family complex in Bupyeong area. Based on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the alternatives of the treatments for the apartment guard labor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artments guard labors have lots of the extra work such as the facility cleaning service, the parking lot management, the delivery service, the trash collection service, and etc. So the apartment guard labor should be excluded from “watchful labor group”. Secondly, the mostly current apartment labor should work almost 24 hours every other day. Thus they complain the serious tiredness and want other work system such as “the three changes with three teams” Thirdly, based on the study, the space for the relaxation and the sleep are necessary. Thus the representative for the apartment residence should afford the sufficient such spaces for them. Fourth, the orders to the apartment guard labors and the personnel affairs for them has been taken by the representative committee of the apartment residence and the contract company. Also the role of the contract company for operating the apartment is not clear. Thus the its role definition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this study finds that in the case of non duty apartment, the case of non labor contact is 37.3%, the case of non joining four major insurance is 49.1% and the well-fare for the non duty apartment is below the standard. Thus the local government should take care for them further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