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파트 분양광고로 인한 손해배상의 근거 및 그 판단기준- 허위ㆍ과장광고를 중심으로 -

        정진명(Chung, Jin-Myung) 한국재산법학회 2019 재산법연구 Vol.36 No.1

        우리나라의 아파트 분양계약은 ‘선분양․후시공’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수분양자는 분양사업자가 제공한 분양안내 카탈로그나 모델하우스 등 분양광고만 보고 아파트 분양 계약을 체결한다. 그 결과 분양사업자의 허위ㆍ과장광고로부터 수분양자를 보호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법원은 아파트 분양광고가 분양계약의 내용으로 편입되는지의 여부를 수분양자 보호의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다. 대법원은 아파트 분양광고는 분양사업자의 수분양자에 대한 청약의 유인으로서 분양광고가 곧바로 아파트 분양계약의 내용이 된다고 볼 수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은 분양사업자와 수분양자가 분양광고를 아파트 분양계약의 일부로 인정하기로 하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 합의가 있는 것으로 이론구성 한다. 그리고 분양광고가 아파트 분양계약의 내용으로 편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분양광고가 허위․과장광고에 해당하거나 신의칙상 고지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때에는 수분양자는 이를 이유로 분양사업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대법원은 아파트 분양광고에서 무엇이 신의칙상 고지의무에 해당하는지, 어떤 경우에 분양광고가 허위․과장광고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분양광고가 표시광고법상의 부당한 표시ㆍ광고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하여 명확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파트 분양계약에 있어 분양사업자의 허위ㆍ과장광고로 인한 수분 양자의 피해를 구제하기 위한 손해배상의 근거 및 그 판단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분양사업자가 계약상의 지위에서 부담하는 정보제공의무의 정당성 근거와 정보 제공 기준, 그리고 정보제공의무 위반의 법률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분양사업자의 정보 제공의무 위반에 따른 책임과 별도로 표시광고법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의 판단기준 및 손해산정 방법에 대하여도 검토해 보았다. The contract for the sale of apartments in Korea is based on the pre-sale and ‘post construction’ method. In other words, the buyer concludes a contract to sell apartments by relying only on the sale advertisement catalogs and model houses provided by the selling company. As a result, there was a need to protect the buyer from the false advertising of the selling company. The Supreme Court considers whether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s is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s of an apartment sale contract as a criterion for the protection of buyers.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 is an invitation to bargain to the buyer of the sale business, and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 can not be regarded as the contents of the apartment sale contract immediately. Nevertheless, the Supreme Court theorizes that there is an explicit or implied consensus that the selling company and the buyer should acknowledge the sale advertising as part of the apartment sale contract. In addition, if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 is not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s of the apartment sale contract, if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 is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ing, or does not fulfill the obligation notifi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 buyer can claim damages from the selling company. The Supreme Court, however, is concerned with what constitutes an obligation und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on apartment sale advertisements, in which case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 corresponds to false and exaggerated advertising, and how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 relates to the illegal display and advertising prescribed in the Advertising Act. But it does not provide a clear criterion.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resent practical judgment criteria to relieve the buyer s damage caused by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 of the selling company.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will first review the requirements and criteria for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s to be incorporated into apartment sales contracts. Based on this, it suggests that the criterion of the claimant s right to claim damages in the contract status and the criterion in case the apartment sale advertisement should not be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s of the apartment sale contract.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legal theory and its applied standard that can protect the buyer from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ing of the selling company.

      • KCI등재후보

        아파트 분양광고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 소구방식 및 헤드라인 유형을 중심으로 -

        최향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광고 표현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부산지역에서 구독률 상 위권의 신문을 대상으로, 아파트 분양광고의 광고소구 방식 및 헤드라인 유형을 분석하였다. 브랜드(전국기반 브랜드, 지역 기반 브랜드)에 따라 광고소구 방식(이성적 소구, 감성적 소구)과 오토 클리프너(Kleppner Otto)가 제시한 네 가지 분류법 (뉴스형, 약속형, 호기심 자극형, 선택형)으로 헤드라인 유형을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광고가 이성적 소 구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라인 유형은 약속형과 선택형에 비해 뉴스형과 호기심 자극형의 이용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뉴스형이 가장 많이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두 브랜드 모두 에서 이성적 소구 방식의 사용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라인 유형은 뉴스형과 호기심 자극형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기반 브랜드에서는 뉴스형의 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지역기반 브랜드에서는 이용 빈도수는 적으나 나머지 유형의 헤드라인들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표현 전략의 차이가 브랜드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 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광고 실무자와 아파트 건설기업들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thods of the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content of apartment sales advertisements in the Busan area.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chose a newspaper whose subscription rate was high in the Busan area and analyzed the advertising appeal methods and headline types of apartment sales ads by categorizing the ads by the advertising appeal methods(rational and emotional appeal) according to brands(nationwide and local brands) and the four classification methods(news-, promise-, curiosity stimulation-, and selection-type headlines) by Otto Kleppner. The findings show that most of the ads employed the rational appeal method and that the utilization rates of news- and curiosity stimulation-type headline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omise- and selection-type ones. The news-type headlines were used most among them.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rands and found that both brands used the rational appeal method considerably more than others and recorded a higher percentage of news- and curiosity stimulation-type headlines. The utilization rate of news-type headlines was overwhelmingly high among the nationwide brands, whereas in local brands the remaining types of headlines were used but in a lower frequency. Those findings reflect that differences among brands exists due to the differences in advertising expression strategies. Tho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to advertising practitioners and apartment construction companies.

      • KCI등재후보

        시각적 표현과 광고 모델에 관한 연구 -아파트 브랜드를 중심으로

        최향,Choi, Hya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3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신문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분양 광고의 시각적 표현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2010년~2018년도의 광고물을 대상으로 내용을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부산지역 신문광고를 대상으로 아파트 분양 광고의 시각적 표현 유형 및 광고 모델을 분석하였다. 브랜드(전국 브랜드, 지역 브랜드)에 따라 시각적 표현 유형(카피 중심, 비주얼 중심, 혼합 형식)과 광고 모델 사용 여부(사용, 비사용)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2010년~2011년도의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는 전체 브랜드에서 비주얼 중심 광고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지역 브랜드에서 더 높은 이용도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2017년~2018년도에서는 혼합 형식의 표현이 높아진 것으로 시각적 표현에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지역 브랜드에서 비주얼 중심 광고의 비중이 현저히 낮아졌다. 광고 모델 사용에 관해서 살펴보면, 2010년~2011년도 대부분의 브랜드에서 광고 모델을 사용하였으나, 2017년~2018년도에는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 광고 모델은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브랜드에서 차이점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파트 분양 광고의 표현 전략 차이가 브랜드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아파트 분양광고의 시각적 표현 전략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to visual expressions in apartment sales ads in newspapers since the 2000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mpared and examined advertisements in 2010~2018 for their content. Apartment sales ads in the newspapers of Busa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visual expressions and advertisement models. The brands(national and local brand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visual expressions(copywriting-centric, visual-centric, and mixed ones) and whether an advertisement model was used or not(used and not used). The findings show that visual-centric ads were most used in apartment sales ads by national brands in 2010~2011 and recorded a higher usage rate by local brands during the same period. In 2017~2018, mixed forms of visual expressions were used more in the ads. The percentage of visual-centric ads made a considerable decrease among local brands. As for the use of advertisement models, most of the brands used one in 2010~2011, but advertisement models almost disappeared in apartment sales ads in 2017~2018. These differences were more prominent among local bran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expressive strategies in apartment sales ads among brand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visual expression strategies of apartment sales ads.

      • KCI등재

        아파트 브랜드 TV 광고의 감성 이미지 표현 방식 및 소비자 반응 분석 - 광고 사례분석 및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이재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는 아파트 브랜드 상위 순위 5개 브랜드의 감성적 TV 광고 사례를 대상으로 감성적 이미지 표현 방식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아파트 브랜드의 감성적 광고 사례는 광고의 내용과 전개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자연, 힐링, 개성, 편안함 등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감성에 소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사례별 감성 이미지 표현에 대한 선호도 분석 결과, P브랜드 광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도가 높았던 광고 사례의 감성 어휘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자연친화적인’,‘편안한’,‘따뜻한’,‘가족적인’ 등의 어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언어 메시지에 대한 광고 선호도 조사 결과, P브랜드와 E브랜드의 바디카피와 헤드라인이 소비자에게 가장 감성적으로 다가간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적인 장면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소비자는 공통적으로 자연의 이미지나 신체적인 접촉이 보여 지는 장면에서 가장 감성적 이미지를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의 청각을 자극하여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요소인 음향메세지는 푸르지오 광고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었고, 음향메세지 요소는 배경음악(51.25%)이 가장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연주곡(61.96%), 물소리 효과음(29.89%)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5개 광고 사례를 대상으로 응답자의 오감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TV 광고의 시각적 자극과 청각적 자극이 소비자에게 감성적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emotional image expression methods of emotional TV commercials of top five apartment brands, and to examine consumers' responses to th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apartment brand's emotional commercial case had a difference in commercial contents and development methods, and all of them were appealing to consumers, based on the key words, such as nature, healing, individuality and comfort. Second, when the preference for emotional image expression of each commercial case was analyzed, consumers preferred P brand's commercial the most, and when emotional words of the commercial case with the highest preference was analyzed, commonly, the words such as 'nature-friendly', 'comfortable', 'warm' and 'familial' were highly preferred. Third, in relation to the commercial preference for language messages, the body copies and headlines of the P-brand and E-brand commercials appealed to consumers, most emotionally. Also, commonly, consumers found emotional images the most in the image of nature or the scene to display physical contact. Fourth, in relation to sound message, which stimulates the hearing sense of consumers and arouses emotion, the P-brand commercial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Especially, background music(51.25%%) was an element of sound message to stimulate emotion the most and here, instrumental music(61.96%) and water sound effect(29.89%)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of it. Lastly, the survey on five-senses awareness of the respondents in the five commercials showed that visual stimulation and auditory stimulation of TV commercial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s in conveying an emotional image to consumers.

      • KCI등재후보

        신문광고의 메시지 지향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아파트 분양광고를 중심으로

        최향,Choi, Hya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3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message orientation in advertising expression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apartment sales advertisements in Busan.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newspaper ads about apartment sales in the Busan area in terms of advertising appeal methods and message types. Advertising appeal methods(rational and emotional appeal) and message orientation(environmental, emotional, investment, and functional orientation)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brands(nationwide and local brands). The findings show that most of apartment sales ads in Busan used a rational appeal method. While nationwide brands used rational and emotional appeal in similar percentage, local brands used a lot of rational appeal. Of the types of advertising message orientation, investment and emotional orientation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Messages of investment orientation to show economic profit or premium were used most, being followed by messages of emotional orientation to show pride and happiness. These findings were interpreted to display differences in strategies for advertising expressions among brand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offer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for message strategies for apartment sales ads. 본 연구는 부산시 아파트 분양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광고 표현의 메시지 지향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부산지역 신문광고를 대상으로, 아파트 분양광고의 광고소구 방식 및 메시지 유형을 분석하였다. 브랜드(전국기반 브랜드, 지역기반 브랜드)에 따라 광고소구 방식(이성적 소구, 감성적 소구)과 메시지 지향성(환경지향성, 감성지향성, 투자지향성, 기능지향성)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부산시 대부분의 아파트 분양 광고가 이성적 소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기반 브랜드는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가 비슷하게 사용된 것에 비해 지역기반 브랜드는 이성적 소구의 사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광고 메시지 지향성은 투자지향성과 감성지향성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이익이나 프리미엄을 나타내는 투자지향성 메시지의 사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자부심, 행복을 나타내는 감성지향성 메시지의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표현 전략의 차이가 브랜드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아파트 분양광고의 메시지 전략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수분양자의 지위가 양도된 경우 및 분양계약이 해제된 경우 아파트 허위·과장광고로 인한 표시광고법상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15. 7. 23. 선고 2012다15336 판결 -

        정진명 ( Chung Jinmyung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2

        아파트 분양광고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광고내용이 분양계약의 내용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분양자와 수분양자 사이의 권리와 의무가 달라진다. 대상판결은 아파트 분양광고가 구체적인 거래조건에 관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분양계약의 내용으로 편입되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아파트 분양광고가 허위·과장 광고에 해당하더라도 수분양자는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분양계약을 해제하거나 또는 사기나 착오를 이유로 취소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 아파트 분양광고가 분양계약의 내용에 편입되지 않더라도 수분양자는 분양자에게 표시광고법상 허위·과장 광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또는 민법상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한다. 한편 대상판결은 수분양자의 지위가 양도된 경우에 표시광고법상 허위·과장광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별도의 채권양도 절차 없이 수분양자 지위의 양수인에게 이전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아파트 분양계약이 해제되면 소급적으로 소멸하므로 수분양자는 분양자에게 표시광고법상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대상판결의 논지는 계약인수 및 계약해제의 법원칙과 상충되는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The Pre-sale advertising of apartment is sending to unspecified peopl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contract parties can be changed, whether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can be included on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or not.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Pre-sale advertising of apartment is not included with the apartment sale contracts, if it is not specific about the deal. Therefore, even if the Pre-sale apartment advertising is applicable to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the buyer can not rescind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due to the sellers` non-performance or cancel it due to fraud or error. But, in exceptional cases, even if the Pre-sale apartment advertising is not included with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the buyer can claim damages for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Act on fair Indication and Advertisement or liability for tort according to the Civil Code. To the contrary of this, the Supreme Court decided: the case when the buyer transfers the ownership of a lot to a third party, the claim of damages due to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Act on fair Indication and advertisement can not be transferred to a third party without a process of the cession of an obligation. Also, when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is cancelled, the buyer can no longer claim damages, because it becomes extinct retroactively. But this decisions of the above mentioned the Supreme Court is needed to reconsider because of the contradictory to the principles of takeover contract and rescission of contract.

      • 수분양자의 지위가 양도된 경우 및 분양계약이 해제된 경우 아파트 허위·과장광고로 인한 표시광고법상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15. 7. 23. 선고 2012다15336 판결 -

        정진명 ( Chung Jinmyung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2

        아파트 분양광고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광고내용이 분양계약의 내용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분양자와 수분양자 사이의 권리와 의무가 달라진다. 대상판결은 아파트 분양광고가 구체적인 거래조건에 관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분양계약의 내용으로 편입되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아파트 분양광고가 허위·과장 광고에 해당하더라도 수분양자는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분양계약을 해제하거나 또는 사기나 착오를 이유로 취소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 아파트 분양광고가 분양계약의 내용에 편입되지 않더라도 수분양자는 분양자에게 표시광고법상 허위·과장 광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또는 민법상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한다. 한편 대상판결은 수분양자의 지위가 양도된 경우에 표시광고법상 허위·과장광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별도의 채권양도 절차 없이 수분양자 지위의 양수인에게 이전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아파트 분양계약이 해제되면 소급적으로 소멸하므로 수분양자는 분양자에게 표시광고법상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대상판결의 논지는 계약인수 및 계약해제의 법원칙과 상충되는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The Pre-sale advertising of apartment is sending to unspecified peopl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contract parties can be changed, whether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can be included on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or not.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Pre-sale advertising of apartment is not included with the apartment sale contracts, if it is not specific about the deal. Therefore, even if the Pre-sale apartment advertising is applicable to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the buyer can not rescind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due to the sellers` non-performance or cancel it due to fraud or error. But, in exceptional cases, even if the Pre-sale apartment advertising is not included with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the buyer can claim damages for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Act on fair Indication and Advertisement or liability for tort according to the Civil Code. To the contrary of this, the Supreme Court decided: the case when the buyer transfers the ownership of a lot to a third party, the claim of damages due to the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Act on fair Indication and advertisement can not be transferred to a third party without a process of the cession of an obligation. Also, when the apartment sales contract is cancelled, the buyer can no longer claim damages, because it becomes extinct retroactively. But this decisions of the above mentioned the Supreme Court is needed to reconsider because of the contradictory to the principles of takeover contract and rescission of contract.

      • KCI등재

        사인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의 브랜드아파트 광고 전략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광고기호의 의미 형성과 해석을 중심으로

        성미경(Sung Mikyoung) 한국옥외광고학회 2008 OOH광고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사인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 있는 매체로서 텔레비전 영상광고에 나타난 브랜드아파트의 영상 광고기호를 통해 각 업체들이 소비자들에게 형성하고자 했던 브랜드이미지를 알아보고 전략을 짚어보고자 했다. 또한 아파트 브랜드들의 광고영상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발견하고 광고기호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가장 인지도가 높은 네 개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시기에도 구분을 두어 2005년과 2007년의 가장 대표적인 텔레비전 광고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브랜드 아파트 자체의 광고기호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의미 작용 과정을 밝혀 보기 위해서 기호학적 분석틀을 적용한 결과, 브랜드 아파트의 경우 다양한 영상 기표와 음성기표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그리고 광고기호는 주거 환경과 실내 첨단설비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할 때에는 이야기 구조 속에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주거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브랜드 아파트 문화에 대한 강조를 통한 소비자 마케팅 전략이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have researched the apartment brand images on TV advertisement as sign communicatio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examine the way how the advertisement sign constructed TV advertisement and affected apartment brand images. Semiotics is qualitative and useful tool in mass communication studies. In particular, I have focused on 4 apartment advertisement brand which were broad casted on TV from 2005 to 2007. This research finds that advertisement symbol of TV picture which can affect the consumer's awareness, images, and attitude about apartment brand. This semiotics approach finds out also corporations' purpose and strategies in housing marketing areas. Apartment corporations try very hard and cautious in making a sign to send their intended message to the consumer in effective way. Many sign and symbol which are word, sound, picture, and actress take advantage of marketing strategies on TV advertisement for making positive brand images.

      • KCI등재

        아파트 브랜드 광고 메시지의 크리에이티브 표현에 관한 연구

        조재영(Jae Yung Cho),강석범(Seok Bum K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회사명의 아파트 광고들과 2000년대에 들어 활성화되고 있는 동일한 기업의 브랜드 아파트 광고 메시지를 질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해 내용 분석하였다. 각 시기별로 지속적으로 집행된 총151개의 대형 브랜드 TV 광고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내용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아파트가 브랜드화되기 전인 1990년대와 브랜드화가 일기 시작하여 번성한 2000년대의 크리에이티브 표현에 있어서 공통점은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다. 1990년대는 주로 아파트의 물리적 속성과 지역적 특성을 전달하는 정보적 광고가 많았으며 2000년대는 아파트의 사회심리적 가치를 소구하는 감성적 어필의 표현들이 많았다. 또한 2000년대 광고를 브랜드별로 크리에이티브 표현의 변화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2000년대 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크리에이티브 표현 요소들의 두드러진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단지 ‘단어’를 달리하여 같은 아파트의 ‘가치’를 표현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리고 2000년대 크리에이티브 표현의 브랜드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차이점은 별로 없고 공통점이 두드러졌다. ‘슬로건’을 통해 ‘미래지향적, 첨단성(유비쿼터스), 가족중심, 웰빙지향적(친환경적, 건강지향적), 자긍심(개인성취), 프리미엄성’ 등을 공통적으로 표출하고 있었으며 거의 모두 유명 모델을 사용했고 대부분 감성적 소구를 사용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creative execution of apartment advertising between 1990s and 2000s, by conduct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the 6 parts such as brand name, slogan, model, headline, body copy(or voice-over) and executing appeals(informative vs. emotional). The total 151 TV advertising was collected the apartment advertisings named their corporations and specific brands from 1990s through 2000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no similarities in creative execution between 1990s when apartments hadn`t started yet to be branded and 2000s when they has been activated to be branded. There were many informative advertisings with apartment functions and locations in 1990s but there were many emotional appeals with socio-psychological values in 2000s. No variations were appeared in creative executing elements among brands from the early stage of 2000s to present. And sharp similarities among brands were appeared in 2000s, specially in slogans and body copies which led to the futur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family, friendly-environment, well-being, self-efficacy and premium life, in most of advertisings were used well-known models and emotional appeals.

      • KCI등재후보

        주민협정을 통한 아파트 단지 내 상가의 옥외광고물 개선에 관한 연구

        김도년(Don-Yun Kim),송승민(Seung-Min Song)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주거유형인 아파트의 경관에 있어 대표적인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아파트 단지 내 상가의 옥외광고물의 개선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단지 내 상가가 지니는 도시 경관 상의 문제점과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단지 내 상가의 옥외광고물 개선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옥외광고물이 건물외관 및 가로경관과 조화를 이룰 때 광고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광고주와 주민의 인식 전환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아파트 단지 내 상가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작성해야 한다. 셋째, 지속적인 옥외광고물 개선과 관리를 위해 경관사업과 주민협정을 연계하여 추진한다. 넷째, 효율적인 경관 개선을 위하여 공공과 민간 등 관련 주체 간 협력 및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bring up integrated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pace such as urban and street landscape, specially on the retail buildings which is placed in the apartment complex, a problem point of urban space, a representative house type of our country. For the research objective, it executed an analysis in about the problem point and the cause of it. This leads to consideration for improving the design of the outdoor advertising which is within apartment complex. Presenting considerations are follow; First, it is important for advertisers and residents to realize that the advertisement effect will become maximum, when the outdoor advertizing is harmonious with a building appearance and urban space. Second, the guide line should be able to reflect the peculiarity of the retails. Third, urban landscape program and agreement need to be combined for continuous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outdoor advertising. The fourth, relationship construction are necessary between co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