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 발명교육 아젠다의 도출과 실천 단계의 전략화 연구

        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extract core agenda of invention education in Korea, and evaluate the importance an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agenda for propose invention education action strategies. This study was performed the literature study for deriving invention agenda, experts' evaluation research by measuring the importance of the agenda and the expected effects. 63 agenda theoretically derived was evaluate 5-Likert scale. The analysis of the data of 25 questionaries collected through e-mailing was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the average,ranking, average coordinate value (the importance x, expected effects y). Screening metrics techniques for action strategy analysis were us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st mean score of the importance of the agenda and the expected effects shows high value over 4.0 point out of 5. 2. Strategy levels of future invention education by taking the screening matrix technique was 5 Classes. Class I - Class Ⅲ level, as a practical strategy will be able to actively practice agenda. Class I is an active agenda to explore the practical level, and as a complement current continuously without an agenda of practice. In particular, the awareness of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P) and the invention teacher education (T) includes many of the agenda. Invention Teacher Education Center and teacher accreditation, the recently attempted invention infra, was remarkable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발명 교육 아젠다를 도출하고, 그 실천의 수준을 전략하는데 있다. 발명교육 아젠다는 관련 문헌, 자료 등을 기초로 추출하였고, 추출된 아젠다를 전문가들의 의한 그 중요도와 기대효과를 평가 받았다. 전문가 평가 방법은 이메일을 통하여 동의를 구하여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는 25매로서 모든 평가 자료가 성실한 평가를 하였다고 판단하여 모든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에 기초하였으며,분석은 평균, 순위, 평균 좌표값(중요도 x, 기대 효과 y) 등이다. 그리고 의미있는 해석을 위하여 스크리닝 매트릭스(screening metrics)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이 연구의 이론적 탐색 결과로서 도출된 아젠다는 8개 범주, 63개로 나타났다. 2. 미래 발명교육 아젠다의 전략화를 위하여 앞에서 분석한 중요도 및 기대효과 아젠다 그룹핑을 활용하여 스크리닝 매트릭스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5단계의 Class로 전략화하였다. Class I . Class Ⅲ가지는 실천적 전략 수준으로서 적극적으로 아젠다를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Class I은 능동적 실천 수준으로서 현재의 아젠다를 탐색이나 보완 없이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아젠다이다. 특히 발명 및 지식재산 교육의 인식 제고(P) 및 발명 교사 교육(T)의아젠다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 시도한 발명교사교육센터, 발명교사인증제 등이 이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주목할 만 사실이다. 그리고Class Ⅳ는 보완이 필요한 탐색 수준, Class Ⅴ 는 대안을 탐색하는 수준으로 명명하였다. 특히 다음의 Class Ⅴ는 상대적으로 전략화 수준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각각의 아젠다에 대한 개선 혹은 대안적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발명 교육 인프라나 제도적인 부분에서 3개의 아젠다가 선정되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다다고 보여진다. 나머지는 철학, 기획, 모델 창출, 구축 등의 아젠다로서 새로운 기획과 아이디어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전문가의 전문적 판단에 기초하여 양적으로 분석한 결과. 즉 다양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시각의 평균적 가치를 수렴한 것을 기반으로 양적인 해석에 기초하였다. 따라서 보다 질적인 분석이 함께 동반되지 못하였으므로 적용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서울시 장애인정책 아젠다 분석

        윤재영(Jae-Young Yoon) 서울연구원 2013 서울도시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장애인정책 아젠다를 도출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며 서울시 장애인정책을 제안할 수 있는 취약장애인 25명을 4개 집단(중증신체장애인 9명, 장애아동 부모 6명, 지적ㆍ자폐성 장애인 5명, 정신장애인 5명)으로 나누어 각기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증 장애를 가진 서울시민들 사이에서 짜인 서울시 장애인정책 아젠다 95개가 진술문 형식으로 정리되었다. 이들 진술문에 대해서는 장애인 당사자와 전문가 12명이 각 진술문에 대해 분류(grouping)와 평정(중요도와 실현가능성) 작업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 자료는 Concept System Core(v4.0)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고용과 노동, 교육, 교통, 주거와 자립생활, 의사소통 접근성, 지역사회케어, 장애인가족 지원, 정신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그리고 탈시설과 권리 등 9개의 아젠다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들 아젠다에 대해 개념지도와 패턴매치 그리고 그 중요성과 실현가능성 모두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를 얻은 27개의 아젠다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하여, 시설장애인의 인권, 지적ㆍ자폐성장애인과 고용 그리고 자립생활과 주거 등의 아젠다 범주가 다른 아젠다에 비해 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시설장애인의 인권은 당사자의 자기결정이라는 원칙에서 해결되어야 함이 아젠다 분석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장애앤정책 아젠다들은 그 우선순위에 따라 서울시 장애인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analyze the disability policy agenda of Seoul. For this purpose, disability policy agenda was collected from the 25 vulnerable people with various disabilities, who can offer the alternatives of disability policy in Seoul. Total 95 agenda collected, was analysed by Concept System Core(v4.0). Agenda Clusters derived as follows: employment and work, education, transportation, housing and independent living, access to communication, community care, supports for families with people with disability, responsive services for mental disability, and deinstitutionalization and rights. Through the 27 agenda which had both high importance and feasibility, it was identified that the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al institutions, employ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ousing for independent living were important agenda categories. The agenda of ‘the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institutions’ must be resolved under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 KCI등재

        서울시 장애인정책 아젠다 분석

        윤재영 서울연구원 2013 서울도시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analyze the disability policy agenda of Seoul. For this purpose, disability policy agenda was collected from the 25 vulnerable people with variousdisabilities, who can offer the alternatives of disability policy in Seoul. Total 95 agenda collected,was analysed by Concept System Core(v4.0). Agenda Clusters derived as follows: employment andwork, education, transportation, housing and independent living, access to communication, communitycare, supports for families with people with disability, responsive services for mental disability, anddeinstitutionalization and rights. Through the 27 agenda which had both high importance andfeasibility, it was identified that the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al institutions,employ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ousing for independent living were important agendacategories. The agenda of ‘the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institutions’ must beresolved under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장애인정책 아젠다를 도출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며 서울시 장애인정책을 제안할 수 있는 취약장애인 25명을 4개 집단(중증신체장애인 9명, 장애아동 부모 6명, 지적‧자폐성 장애인 5명, 정신장애인 5명)으로 나누어 각기 브레인스토밍을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증 장애를 가진 서울시민들 사이에서 짜인 서울시 장애인정책 아젠다 95개가진술문 형식으로 정리되었다. 이들 진술문에 대해서는 장애인 당사자와 전문가 12명이 각 진술문에 대해 분류(grouping)와 평정(중요도와 실현가능성) 작업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 자료는 Concept System Core(v4.0)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고용과 노동, 교육, 교통, 주거와 자립생활, 의사소통접근성, 지역사회케어, 장애인가족 지원, 정신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그리고 탈시설과 권리 등 9개의 아젠다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들 아젠다에 대해 개념지도와 패턴매치 그리고 그 중요성과 실현가능성 모두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를 얻은 27개의 아젠다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하여, 시설장애인의 인권, 지적·자폐성장애인과 고용 그리고 자립생활과 주거 등의 아젠다 범주가 다른 아젠다에 비해 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시설장애인의 인권은 당사자의 자기결정이라는 원칙에서 해결되어야함이 아젠다 분석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장애앤정책 아젠다들은 그 우선순위에 따라 서울시 장애인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문사회 분야 우리사회 미래이슈에 관한 아젠다 도출 연구

        이지윤,노영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이 논문은 정책(P), 경제(E), 사회(S), 과학 & 기술(T)) 분야로 나눠 살피는 PEST분석 기법에 근거하여국내·외 이슈를 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문헌 조사를 기반으로 국내·외 기관들이 바라보는 미래이슈(혹은 메가트랜드)를 살펴 선별한 내용을 기반으로 사회문제를 도출하였다. 이후, 2023년 12월 28 일부터 29일 진행한 인문사회통합성과확산센터의 ‘성과발표회’ 세미나 동안 인문 한국(HK+) 사업단과인문 융합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항목별 사회문제에 대한 중요도와 시급성을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으로 과학, 행정 분야에서 아젠다연구가 주로 이뤄졌다면, 인문학적기반에서 사회적 이슈와 연구 아젠다를 체계적으로 도출하였고, 앞으로 전 세계적 이슈인 메가트렌드를인문학적 관점에서 필요한 아젠다를 추출하여, 향후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아젠다 연구와 해결책을 제시하는 연구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제언으로 끝맺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Based on PEST techniques that examine each element according to policy (P), economy (E), society (S), and science and technology (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preparing humanities improvement based on humaniti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we will derive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the elements of each item through a survey method for the Humanities Korea (HK+) project group and humanities convergence researchers who attended the "Performance Presentation" seminar of the Center for Humanities and Social Integration and Diffusion from December 28 to 29, 2023. If it was mainly conducted in science and administrative fields as a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social issues and research agenda were systematically derived from humanities, and the megatrend, a global issue, could be developed into a study that extracts necessary agenda research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and presents solu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복지정책 아젠다 개발 연구: 현장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남석인,김세진,손영은,한상윤,김준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4 No.1

        본 연구는 실현 가능하고 현장에 밀착된 복지정책 및 공약을 제시할 수 있도록 현장 사회복지사의 의견을 수렴한 복지정책 핵심 아젠다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델파이 조사 및 설문조사의 2단계 조사를 실시하였다. 1단계 델파이 1차 조사에서는 50명의 사회복지 현장 및 학계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역대 공직선거에서 제시된 복지공약 및 정책과제 기반의 아젠다의 중요도에 대한 의견을 개방형으로 수렴하였다. 그리고 델파이 2차 조사에서는 선정된 아젠다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여 총 60개의 아젠다를 도출하였다. 2단계 설문조사에서는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1,876명을 대상으로 60대 아젠다에 대한 중요도 및 시급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장 사회복지사의 목소리가 반영된 20대 복지정책 아젠다를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복지정책 아젠다를 개발하는 데 있어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수렴하여 바람직한 복지정책을 개발하고, 내실 있는 복지공약을 제시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복지제도의 확대를 위한 논의의 장을 열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 KCI등재

        19대 국회의원선거 매니페스토 아젠다 분석

        趙眞晩 한국의정연구회 2012 의정논총 Vol.7 No.1

        대의민주주의 하에서 선거를 앞두고 어떠한 매니페스토 아젠다들이 부각되고 있으며, 주요 매니페스토 아젠다에 관심을 갖고 있는 유권자들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대의민주주의 하에서 정당은 정권 획득을 위하여 유권자들의 요구에 끊임없이 반응하게 되며, 이것이 민주주의 공고화에 기여하게 된다는 믿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이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 델파이조사와 유권자 시민정책수요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19대 국회의원선거 10대 매니페스토 아젠다의 특성들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특정 매니페스토 아젠다를 중시하는 유권자들이 어떠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의 매니페스토 정책선거는 어떠한 방향성과 특성들을 보였는가를 파악하고, 정치권이 매니페스토 정책선거와 관련하여 어떠한 노력들을 전개할 필요가 있는지를 제안하고 있다. Manifesto has been regarded as a important tool to consolidate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because it contains invaluable informations on the electoral policies as well as makes possible for political parties to compete each other based differential policies. However, it has not properly analyzed which kinds of voters have an interest on the particular manifesto agendas, even though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regarding the democratic responsiveness in the electoral democracy. In this vein, this study analyzes the manifesto agendas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in Korea.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ntroduces the manifesto agendas selected by the expert Delphi method and the survey for voters as well as analyzes which factors influence on the voter’s policy preferences in Korea. In addition, it suggests what kinds of efforts are needed to make an electoral circumstance that political parties compete each other based on manifesto agendas in Korea.

      • KCI등재

        중국의 새로운 의제설정 방식의 등장과 공론장의 변화

        정주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1

        This paper aims to find new political possibilities and connotations of Chinese politics through the changes in China’s policy agenda setting models in China. The most typical Policy Agenda Setting model for the Chinese character is the top-down model–closed door model and mobilization model Which set by the government. However, in the 2000s, popular pressure model emerged from the outside of the public institute system. The new phenomenon is clearly evident in the two cases, Sun Zigang Case in 2003 and tanghui case in 2012. Unlike the existing top-down policy agenda, these two incidents have emerged as a clear aspect of the bottom-up model, which has emerged as a policy agenda. China's strong and weak society still persists, and it remains to be seen in China and the government's control on public opinion still strong. but Political possibilities of cinese public sphere appearing in Chinese politics are ongoing research needs to be continued. 본 논문은 중국의 정책 아젠다 셋팅 모델에 나타나는 변화를 통하여 중국 공론장의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과 함의를 찾고자 한다. 중국적 특징을 보여주는 가장 전형적인 아젠다 셋팅 모델은 정책 아젠다 셋팅이 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하향식 모델로 폐문모델과 동원모델이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와 공공지식인의 등장, 독립적 비판적 언론의 영향력 증대, 인터넷 매체의 발전으로 인한 대중의 참여 증대 등의 요인으로 제도 밖에서 아젠다 셋팅에 개입하고 주도하는 대중압력형 모델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현상은 2003년 쑨즈강 사건과 2012년 탕후이 사건이라는 두 사례에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두 사건은 기존의 하향식 정책 아젠다 셋팅 모델과 달리 제도 밖에서 아젠다가 제기되어 정책 아젠다로 채택된 상향식 모델의 분명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강한 국가-약한 사회의 구조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정부의 여론 통제와 탄압의 강도와 방식이 여전히 강도높고 보다 세련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중국 공론장에 나타나는 정치적 가능성은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분석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

        비세그라드(V4) 협력을 통한 ‘동유럽파트너십(EaP)’ 아젠다 설정

        김신규(Shinky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2

        In this article, I explain the Eastern Partnership as an EU’s new Eastern policy and the Czech and Polish initiatives to set it up as an EU agenda, and cooperations of Visegrád group to identify V4’s cooperation as an agenda-setter. In Chapter 2, I examine some limitations of the European Neighbourhood Policy established in 2004, in Chapter 3 I discuss the reform proposals of the Czech Republic and Pol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NP, and in Chapter 4, I look at V4 cooperation as an agenda-setter in EU’ new Eastern Policy. And in Conclusion, I recomme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Eastern Partnership, which has been a niche in which V4 cooperation can contribute as an EU’s agenda-setter, need to cooperate within and above the V4 cooperation. And it is necessary for the V4 to understand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EU and establish solidarity with credible partners within EU and at the same time require external partners to influence the environments surrounding Eastern partnership. 본 논문에서는 유럽연합(EU) 수준의 아젠다-설정자로서 V4의 협력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EU의 새로운 동유럽정책인 동유럽파트너십(Eastern Partnership)과 이를 EU의 아젠다로 설정하기 위한 체코와 폴란드의 시도 그리고 V4 전체의 협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 다. 우선 2장에서는 유럽인접국정책(European Neighbourhood Policy)을 포함해 EU의 다양한 동유럽정책이 지니고 있던 한계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ENP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체코와 폴란드의 개혁안을 그리고 4장에서는 아젠다-설정자의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양국의 경쟁과 더불어 아젠다-추진 자로서의 협력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EaP의 성공적 추진과 V4의 목표인 EU 확대의 지속을 위해서는 V4 협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그 대신 EU의 정책결정 과정을 잘 이해하며 다른 회원국들의 신뢰를 받는 V4 이외의 파트너와의 연대구축이 필요하고 동시에 동유럽정책을 둘러싼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파트너와의 협력도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 가족의 정치적 아젠다화

        이진숙(Lee Jin-So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3 비판사회정책 Vol.- No.16

        독일에서 가족이슈는 전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모성기능 강화와 빈곤문제, 취업모의 역할 갈등, 가족구성원 간의 평등문제, 다양한 가족의 정책적 수용과 보호노동의 문제, 저출산문제 그리고 가족생활과 취업의 병행문제 등으로 이전되어 왔다. 가족문제의 아젠다화과정에는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 요인들 중 하나인 집권정당은 한편으로는 공식적 정책결정자에 해당되는 행정기관이면서,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정치체제에 속하기 때문에 집권정당이 가족 문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정책화시켰는가 하는 것은 한 국가의 가족 복지정책을 분석하는 데에 중요한 단초가 된다. 특히 독일의 경우처럼 정책정당들의 경합구도가 잘 발달된 국가에서는 정당들의 이념이나 지향성이 정책문제를 수용하고 대응해 나가는 데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독일의 경우에는 보수우파연합과 사민당이라는 거대정당들이 가족문제를 아젠다화함에 있어 서로 다른 관점을 견지하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이성은 특히 기혼모의 취업이 자녀양육과 동시적으로 병행되도록 할 것인가 또는 순차적으로(sequentiell) 선택적 병행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가족의 다양성을 어느 정도 정책에 고려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서 두드러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독일에서 1950년대 이후부터 가족문제가 정치적 이슈로 부상된 배경에 대해 알아보며, 시대별로 각 집권정당들은 가족이슈를 어떠한 관점에서 수용하여 아젠다화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어떠한 정책방안들을 제시하였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In modernizing process, the family has changed both its function and composition over the life cycle. Many family issues(for example, maternity protection and poverty problem, role conflict of working mother, political adaption of different families, caring work etc.) will reflect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as well as in perceptions, problems and circumstances. The changing Agenda of the family has been influenced by many different factors. One of these factors is a political party which belongs to official policy makers and a policy system. In past 50 years after the 2. world war, the family policy in Germany has been influenced by ideologies of 2 major political parties. With conservative political perspectives, CDU and CSU intend to strengthen the institution family and traditional division of domestic work. Their family policy is designed to reinforce the traditional family welfare system and the role of families in caring for dependents. SPD with liberal political perspectives intends to support working married women and children. Its family policy is designed to avoid conflicting with that family system of welfare and family responsibilities. This paper proceeds by chronological periods that major political parties have governed in Germany. In defining these periods this paper has watched for points at which family issues or the priorities assigned to issues have changed significantly.

      • KCI등재

        유연근무제의 성공적인 정착요건으로서의 듀얼아젠다

        강혜정(Hye jung Kang),강혜선(Hye sun Kang),구자숙(Ja sook Koo),김효선(Hyo sun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4 인사조직연구 Vol.22 No.3

        최근 조직 구성원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많은 조직이 일ㆍ삶 양립 제도들을 도입해오고 있으나, 제도 도입 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제 활용률은 매우 열악하며 제도를 통해 체감하는 유익도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일ㆍ삶 양립제도가 인적자원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집중되어 있으며,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심층적 논의를 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일ㆍ삶 양립지원 관행의 성공적 정착과 관련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제도도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제도에 대한 개념적 인식과 변화추진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일ㆍ삶 양립 제도가 조직에 잘 정착하고, 궁극적으로 경쟁우위를 제공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를 듀얼 아젠다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하며, 변화추진 과정에 있어 연구자와 조직 구성원의 상호 협조 및 참여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 본 연구는 대표적 일ㆍ삶 양립 제도인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고자 한 국내 두 기관의 변화추진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기관은 모두 적극적인 의사를 가지고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으며, 변화추진의 방법으로 상호협조적 실천연구(CIAR)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한 기관에서는 실제 변화 과정에서 CIAR의 주요 특징들이 잘 발현되지 않았고, 이는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저해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한 구체적 사항들을 논의함으로써 국내 상황에서의 일ㆍ삶 양립 제도의 성공적 정착 요건을 드러내 향후 연구에 기여하고, 실무자를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FWA) ar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place practices in improving work-life balance for employees. They are also viewed as a good way of enhancing workplace effectiveness by promoting innovative work practices. These perspectives have led to a great surge in the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across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However, despite the increase in FWA, these arrangements have not been utilized as expected by policy makers. This lack of utilization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organizational decision makers consider FWA primarily as an employee benefit program rather than as a strategic opportunity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more effectively and innovatively. A dual agenda approach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pursuing both the goals of employee work-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workplace effectiveness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WA. If organizational decision-makers consider FWA only as an employee benefit program, without considering implications for productivity, they may not actively support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FWA practices. On the contrary, if an organization promotes FWA mai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oductivity, employees may not have ownership over the program success. Although a dual agenda approach is intuitive at a conceptual level, it requires learning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Such an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is often achieved by action research in which researchers and organizational members actively collaborate to find solutions that are tailored specifically to their organizations. This study compares the cases of the K Organization and C Organization, where members worked side by side with a researcher to introduce and implement FWA. Specifically, the study compared the initial motivation for FWA,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efforts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em, and the result of these organizational change efforts. Although the two organizations had similar motivations for introducing FWA, their processes showed stark differences. The K Organization attempted an across-theboard introduction of FWA policy, while the C Organization took a team-based tailored approach. The difference in processes resulted in different utilization patterns of FWA. FWA were not utilized actively in the K Organization, but was implemented actively among departments in the C Organization.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uccessful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by comparing these two cases. The critical 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FW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lexibility should be connected to effective and productive work practices, that represent as dual agenda approach. Organizational culture changes only when the new work practices and policies benefit both the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 In many organizations, FWA are considered as as benefits that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of the employees. This approach is limiting in the sense that it discourages active uses of the policies and fails to bring about any fundamental changes inof organizational culture. If both flexibility and effectiveness are satisfi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WA, they can be used as a strategic tool in the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Second, a team-based tailored approach is more effective than the across-the-board introduction of new policies. For the organization-wide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to be successful, far-reaching organizational reform would need to support the change. In other words, the changes in vision, HR policies, IT,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would have to be aligned with the introduction of FWA, which is not feasible in reality. However, the team-based tailored approach considers team-specific and contextual nature of works, and addresses both the needs of the employees and the 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