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화운동으로서의 에큐메니즘

        한강희(Kang Hee 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1 No.-

        본 논문은 아시아 에큐메니칼 운동가이자 전략가인 신계(新界) 안재웅(1940-)의 아시아 에큐메니즘에 대한 이해와 교회일치의 과제로서 평화공동체 구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안재웅은 오늘의 세계가 미국, 유럽연합(EU) 그리고 중국과 일본을 주축으로 하는 동북아시아라는 삼극(Tripolar)체제로 재편된 채 이들의 지정학적 패권주의 속에 있는 아시아를 정치적 종속, 경제적 불평등, 가난과 질병, 인종적, 종교적 갈등으로 점철된 공동체로 인식한다. 그는 20세기 중반 아시아 국가들의 독립과 민족주의의 발흥 속에서 개발이라는 국가 단위의 개발정책이 독재와 비인간화적 근대화를 창출하고 심화시켰음을 지적한다. 안재웅은 이러한 아시아 위기의 상황 속에서 교회의 책임적이고 공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교회 일치를 통한 새로운 에큐메니즘을 건설하고 아시아에 평화공동체를 구현할 비전과 정책을 제시한다. 안재웅이 지향하는 교회일치의 목적과 당위성은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입각한 하나님 나라 건설과 인간화에 맞춰져 있다. 그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 안에 이미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이 조화롭게 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는 “신-생태-지구” 에큐메닉스 원리를 제시하며, 아시아 교회의 샬롬 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해 당면한 문제들인 안보문제, 핵위협, 아시아의 갈등상황, 환경위기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평화공동체 구상과 실천에 있어서 아시아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세 가지 차원에서 제시한다. 그것은 서구 중심적 에큐메니칼 경계를 넘어서 아시아인들의 주체적 선취권과 책임을 수반하는 새로운 아시아 에큐메니즘을 구축하고, 기독교라는 협소한 종교적 경계를 넘어서 동양종교 및 동양철학과의 예언자적 대화를 통해 온전한 평화공동체를 구상하며, 종교를 넘어 시민사회 및 세속적 영역과 평화를 위한 연대를 추구하는 일이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an ecumenical activist and strategist Singye(新界) Ahn Jae-Woong"s new understanding of Asian ecumenism and conception of building a peace community as a task of church unity. By Ahn"s analysis, this world has been reorganized into one tripolar system of the United States, European Union and North East Asia dominated by China and Japan and in this geopolitical hegemony Asia has been dotted with a series of political alignment, economic inequality, poverty, diseases, and ethnic-religious conflicts. He points out that since the mid-20th century Asian countries have faced dictatorship and inhumane modernization due to government-led development policies in waves of Asian independence and emerging nationalism. In this crisis, Ahn emphasizes the responsible and public duties of Asian churches and suggests the reconstruction of new ecumenism and visions and policies for building a peace community in Asia through a church unity. Ahn"s purpose of church unity ha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humanization in light of Missio Dei. He underlines the harmony between individual salvation and social salvation in the concept of Missio Dei. Suggesting a principle of "Theo-Eco-Geo" ecumenics, Ahn tries to solve the urgent problems of international insecurity, nuclear threat, diplomatic-militaristic conflicts, and environmental crisis in order to realize a shalom community in Asia. He proposes three dimensions for Asian churches as mission tasks for conceptualization and practice of a peace community; they should cultivate new Asian ecumenism with Asian initiative and responsibility beyond the boundary of Western ecumenism, design a whole peace community through a prophetic dialogue with Asian religions and philosophy, and seek a solidarity for peace with civil societies and secular sectors.

      • KCI등재

        토모혼에서 자카르타까지

        한강희(Kang Hee 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8 No.-

        아시아 에큐메니칼운동사에 있어서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의 등장은 아시아교회와 기독교인들에게 교회의 존재목적과 세상에 대한 교회의 선교적 의미와 사명 그리고 실천적 성격을 규정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본 논문은 21세기 이후 개최된 네 차례의 CCA 총회(토모혼, 치앙마이, 쿠알라룸푸르, 자카르타)의 선교신학적 주제와 이슈를 고찰하고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역사적 흐름의 ‘연속성’에 주목하며 20세기 CCA의 선교신학적 특징을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1) 아시아교회의 일치운동과 실천이 태생부터 아시아교회가 직면한 삶의 현실에 대한 성찰로부터 구현되었고, 2) 아시아의 상황을 신학화하고 고난과 희망의 과제를 다룰 수 있는 아시아적 행동신학이 선교신학의 핵심이었으며, 3) 아시아현장의 신학화와 현실적 프락시스를 위한 CCA의 노력에 있어서 아시아 종교전통과의 대화와 연대가 두드러졌다는 점이다. 이러한 선교신학적 방향성을 토대로 본 연구는 21세기 들어 개최된 네 차례 CCA 총회의 역사적 상황과 배경에 대한 개괄적 설명과 함께, 구체적인 선교신학적 담론을 파악하기 위해 총회 주제강연, D. T. 나일스 기념강연 그리고 CCA 포럼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CCA의 선교신학적 평가와 전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자 한다. 1) CCA의 선교신학적 방향이 “예언자적-선교적 교회론”을 추구하고 있으며, 2) CCA의 선교신학의 기본틀이 세계 에큐메니칼운동의 이론적, 실천적 담론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3) 복음주의 진영과 함께 상호보완적인 신학적, 실천적 활동을 전개할 수 있으며, 4) 다른 종교전통들과의 실천적 연대를 통해 아시아의 평화공동체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에큐메니칼 친교 속에서 아시아의 흩어진 교회와 기독교인들을 하나로 모으고, 분열과 갈등이 만연한 이 세상에 하나님의 정의로운 통치를 구현하려는 CCA의 예언자적 비전을 조명하게 된다.

      • KCI등재

        The Asian Context and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

        안교성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3 장신논단 Vol.45 No.3

        Interest in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cluding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Busan in 2013, both from the global and national perspectives is growing, and yet there are a few, if any, studies that approach it from the Asian or regional perspectives. In effect, the Asian ecumenical movement ushered in the regional ecumenical movement.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survey how the Asian context relates to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 in particular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This article, however, is to concentrate on the main trends of this relationship rather than writing a complete history of it. More recently, a number of Asian ecumenists, who themselves have participated in the Asian ecumenical movement, began to write books on the history of the Asian ecumenical movement. Though not sufficiently complete, these studies at least provide us for a launching ramp to delve into the history of the Asian ecumenical movement from an Asian perspective. The history of the Korean ecumenical movement in the Asian contex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pre-Liberation period,it began to transform itself from missionary ecumenism to national ecumenism, and thus participated in nationalistic issues; and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it evolved, tackling various issues such as nation building, civil society, and globalization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umenical network, particular ecumenical solidarity. It also continues to take part in the Asian regional ecumenical movement. Interest in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the ecumenical movement, including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Busan in 2013, both from the global and national perspectives is growing, and yet there are a few, if any, studies that approach it from the Asian or regional perspectives. In effect, the Asian ecumenical movement ushered in the regional ecumenical movement.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survey how the Asian context relates to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 in particular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This article, however, is to concentrate on the main trends of this relationship rather than writing a complete history of it. More recently, a number of Asian ecumenists, who themselves have participated in the Asian ecumenical movement, began to write books on the history of the Asian ecumenical movement. Though not sufficiently complete, these studies at least provide us for a launching ramp to delve into the history of the Asian ecumenical movement from an Asian perspective. The history of the Korean ecumenical movement in the Asian contex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pre-Liberation period,it began to transform itself from missionary ecumenism to national ecumenism, and thus participated in nationalistic issues; and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it evolved, tackling various issues such as nation building, civil society, and globalization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umenical network, particular ecumenical solidarity. It also continues to take part in the Asian regional ecumenical movement.

      • KCI등재

        냉전과 종교 : 2차대전 후 에큐메니즘 확산과 미국교회, 동아시아 ‘자유 모럴’ 구축

        고지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이 연구는 냉전 형성기 세계교회 에큐메니즘 확산 과정에 미국교회 중심으로 적극 기획된 ‘자유 모럴’ 개념이 동아시아 탈식민·혁명과정 및 한반도 극우 냉전 형성에 미친영향을 종교 지정학적 관계로 접근하였다. 연구는 세 차원에서 냉전 형성기 ‘자유 모럴’ 의 지정학적 관계를 검토하였다. 첫째, 2차대전 종전기 미국 연방교회협의회(FCC) 중심으로 제기된 ‘새로운 세계질서(New World Order)’ 논의들을 ‘자유모럴’ 형성 관계로 살펴보았다. 자유세계 기둥인 기독교, 그리고 미국교회가 구상한 ‘정신적·도덕적 세계=자유’ 등식은 냉전기 미국의 정책결정자들이 세계를 선과 악, 자유와 독재, 민주주의 대 공산주의의 대립 블록을 승인하는데 시민적·종교적 당위를 제공했다. 둘째, 2차대전 후 아시아 전역에 걸친 탈식민화 과정, 독립과 혁명 과정은 구체제, 제국주의를 상징하는 기독교에 대한 저항 및 전통 종교로의 복귀, 아시아 민족주의, 급진적 사회개혁 등이 포함된다. 식민지·선교지 관리자로서 서구교회는 기존 선교관계(Parenting System) 재조정 과정 에 서구 ‘자유 모럴’에 기초한 ‘새로운 아시아 New Asia’ 구상을 제공함으로써 아시아 급진 혁명성에 대응했다. 구체적으로는 1949년 동아시아교회협의회(EACC) 창설에서 공산혁명 방어 목표가 제시된다. 셋째, 연구는 2차대전 이후 한국교회 안에 본격적으로 수용된 세계교회 에큐메니컬 신학이 분단과 전쟁을 경험한 한국교회 접촉면을 자유 굴절관계로 접근했다. 냉전기 자유세계 질서원리인 ‘자유’ 개념이 한반도 분단 지형에서는 극우정치이념으로 굴절 수렴되는 개신교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