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김환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3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구전설화 <구렁덩덩신선비>와 일본 문헌설화 <아메와카히코조시>에 공통으로 내재된 서사 구조와 모티프를 구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친연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ATU 425 잃어버린 남편 탐색> 유형에 넣을 수 있는 이 두 설화는 화자, 전승매체, 향유층이 다르지만 전체적인 서사구조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 <아메와카히코조시>와 저본이 된 <건륙위 설화> 속의 뱀신랑의 이미지와 이류교혼은 일본의 기기신화 및 구전설화에 나타난 것과는 사뭇 다르며, 오히려 <구렁덩덩신선비>와 더 유사하다. 또한 <아메와카히코조시>는 칠석유래담으로서 지녀천남 형의 인물구성을 택하고 있어서 일본 구전설화와는 많이 다르다. <아메와카히코조시>에 삽입되어 있는 지녀승천, 박씨와 박줄, 개미 따위의 모티프는 제주도 무가 <세경본풀이>에 나타난 것과 유사하다. 특히 ‘곡식 한 톨을 운반하는 개미’ 모티프는 일본 설화에서는 좀처럼 찾기 힘들지만 한국에서는 <세경본풀이> 뿐만 아니라 <이공본풀이>와 <대홍수와 나무도령> 설화에도 두루 나타나는 것이다. <아메와카히코조시>와 한국 구전설화가 보여준 유사성과 친연성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형성에 한국 설화가 미쳤을 영향을 짐작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affinities between the Korean oral folklore called “The Serpent Husband and the Japanese medieval story called “Amewakahiko-zoshi”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ommon motifs. Though these two tales are quite different in many ways such as the storytellers, the media for transmitting the tales and the social class of the audienc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se two serpent-husband tales have much in common: the marriage proposal from the serpent, sibling rivalry, transformation, taboos against destroying the animal-skin, a quest for the lost husband, journeys into the other world, difficult tasks, etc. The story line of these two tales conforms to the outline of the tale-type of <ATU 425. The Search for the lost Husband>. Strangely enough, “Amewakohiko-zoshi” is much closer to the Korean folktale called “The Serpent Husband” than to the Japanese ones. In Japanese myths and folktale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other versions of <ATU 425>: most of the snakes who attempt to marry human girls meet a tragic death and animal-human marriage has been described as a disaster. The motifs of ‘journey to the heaven,’ ‘gourd or calabash tree,’ ‘ant as a grateful animal’ in “Amewakahiko-zoshi” can also be found in Korean oral folklore of the great flood as well as in the Cheju shamanist myths of agricultural goddess and the warden of the marvelous fl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