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아르메니아 문화교류 현황 및 문화사업 공동 진흥을 위한 제언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노어노문학 Vol.29 No.2

        2017년은 한-아르메니아 수교 성립 25주년이 되는 해지만, 아르메니아에 대한 국내의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물론 오랜 세월 소련의 위성국가였던 탓에 한국이 아르메니아의 문화를 접할 기회가 없었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연방에 속해있던 다른 국가와 비교한 경우에도 아르메니아는 활발한 교류나 협력이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과 아르메니아는 강대국에 둘러싸여 오랜 세월 부침을 겪어야 했던 지정학적 요인으로 깊은 정서적 유대감을 공유할 수 있는 국가이며, 무엇보다 그 수난과 고통의 세월에도 각자의 찬란한 문화유산과 정신적 가치를 지켜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온 국가라는 점에서 서로 공감하고 연대할 수 있는 동반자가 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할 것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양국의 간헐적인 협력에도 불구하고 그간 미비했던 부분을 성찰해보고 새로운 한-아르메니아 협력, 그 가운데에서도 외부환경이나 국제정세에 흔들리지 않고 상대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문화’적 가치라는 전제하에 양국의 문화사업 진흥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시도하였다. 여기서 아르메니아가 인류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한 국가라는 스토리, 아르메니아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아라라트산과 노아의 방주 전설을 연결할 수 있는 스토리, 그리고 이곳이 세계 최초의 와인 제조장이 발견되는 와인의 발상지라는 스토리는 서로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더불어 아르메니아가 선물처럼 부여받은 천혜의 자연과 깨끗한 천연수로 인해 코냑의 고장이며, 바로 이 아르메니아 코냑에는 고난의 디아스포라 역사가 함께 배어 있어 그들의 위로자이자 평화기원의 엠블렘이 될 수 있다는 점 역시 아르메니아의 아픈 역사를 인류 평화를 위한 역사 문화적 가치의 대용물로 승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제안했다. 또한 아르메니아가 낳은 세계적인 영화감독인 세르게이 파라자노프, 미하일 바르타노프, 아르타바즈드 펠레시안의 작품은 한국의 영화인들과 영화를 사랑하는 일반인들에게 충분히 공감될 가치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아르메니아의 민족적이며 문화적인 가치를 담아내는 그들의 영화 자체뿐만 아니라 순탄치는 않았지만 예술계에 영원한 반향을 던졌던 그들 삶의 스토리와 역경에 대한 이야기는 또 다른 영화 시나리오의 소재가 되기에 충분하며 아르메니아의 문화브랜드를 드높이는 모멘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문화예술계가 아르메니아 예술인들에게서 배워야 할 점을 부각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시도는 제노사이드나 분쟁 문제를 소재로 한 예술작품에 대한 비평을 다양화하는 국내 연구에도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지역학과 인문학, 그리고 예술이 결합된 콘텐츠를 연구하여 학술성과 대중성을 지닌 교육 자료를 구축하는 것 역시 전쟁과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과 함께, 한국과 아르메니아의 예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제노사이드로 고통 받았던 민족이나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이 다시금 필요한 현 시점에서, 무엇보다 한국 문화계는 100년 전의 사건이지만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에 대해 끊임없이 영화를 제작하여 국제사회에 자신들의 문제를 인정받으려는 아르메니아인들의 창작의 동인과 그 결과물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화 제작을 통해 자신들의 민족 트라우마 치유와 아픈 기억을 잊지 않으려는 예술인들의 정신의 궤적과 지향점을 살펴보는 것은 일제 강점기를 거친 분단국가이자 여전히 분쟁 지역에 사는 우리에게도 귀중한 경험이 될 것이다.

      • 아르메니아 교회의 정체성 규명

        박태성(Park, Tae Sung)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이 글은 아르메니아 교회의 실체와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 그 발달과정과 소비에트 시기를 조망하며, 오늘날 교회가 어떤 문제에 봉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AD 4세기 경 대부분의 국가들이 기독교를 공인할 무렵, 아르메니아도 가장 먼저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하였다. 당시 아르메니아 인들은 로마 제국의 강력한 정치적 종교적 관할 하에 놓여 있었지만, 아르메니아 교회는 451년 할키돈 종교회의에서 공식적으로 결의된 그리스도의 양성(신성과 인성)론에 반기를 들어 비잔틴으로부터 독립하였다. 그리하여 아르메니아 교회는 중세 초기 이후부터 정교나 가톨릭과 별도로 법률적·신학적으로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민족교회로서 아르메니아 교회는 아르메니아의 문화와 독자성을 유지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아르메니아 인들이 국가가 없던 오랜 시기 동안 그들의 교회는 정치적·정신적 리더였고, 종교는 아르메니아 국민들 자화상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소비에트 체제 하에서도 아르메니아 교회는 생존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사제장 중심으로 적극적인 활동을 벌였다. 특히 별개의 삶과 자치를 누리고 있는 대규모 디아스포라는 아르메니아 교회가 소비에트 정부에 맞선 독자적인 행보를 가능케 해주었다. 오늘날 아르메니아 교회는 또 다른 사회문화적·정치종교적 맥락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찾고 있으며, 다양한 문제들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더 이상 동질 집단이 아닌 아르메니아 교회는, 새로운 정체성을 찾기 위해 글로벌한 접근을 통해 이러한 난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and an identity of the Armenian Church, and deals with the historical progress, the Soviet era, and the problems of modern Church. Mostly Christians since the early fourth century AD, the Armenians claim to represent the first state to adopt Christianity as an official religion. Armenian Christians then remained under the powerful combined religious and political jurisdiction of the Roman Empire. But the Armenian Church asserted its independence by breaking with the Byzantine doctrine of Christ's dual(divine and earthly) nature, which had been expressed officially by the Council of Chalcedon in AD 451. Since the early Middle Ages the Armenian Church has been juridically and theologically independent. As a national church, the Armenian Church has played a vital role in maintaining Armenian culture and individuality. In the long periods when Armenians did not have a state of their own, their church was both a political and a spiritual leader, and religion was at the center of the Armenian national self-image. While Armenia under Soviet rule, the Armenian Church headed by Catholicos actively employed in surviving and establishing of the identity. Especially, a large-scale Armenian diaspora, which had a self life and autonomy, enabled the Church to act its own against the Soviet regime. The Armenian Church today find itself in different socio-cultural and politico-religious contexts, and is exposed to diverse problems and challenges. The Church is no longer a homogeneous society, therefore to find new identity it has to apply global approaches to deal with the complicate problems.

      • KCI등재

        아르메니아 민족정체성의 중추, 아르메니아 교회: 문제점과 미래에 대한 모색

        김정훈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0 No.1

        The construction of Armenia is based on the national-building rather than the state-building and historically maintains characteristics of ethno-religious group insead of modern nation. It was an Armenian Apostolic Church that made it possible to keep the identity and integrity as racial-religious group for a lang time. The Armenian churches have sustained the national identity and maintained the religious tradition of the middle ages. They could not convert the racial-religious identity to the national identity until the late 19th century. Today Armenian churches are facing fairly conflicting socio-cultural, political and religious discrepancies. They are revealed to diverse problems and challenges due to such discrepancies. The differences among local Armenian communities that are distinct from one another in every respect of life such as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are becoming more marked and acute. Therefore, Armenian should be consistent to deal with the urgent problems of the churches, be responsible for the society, and accept the approaching way suitable for the international rationale. This kind of attitude will concretely give an effect on the diverse aspects and spheres of Armenian churches. First, the way of church life is deeply affected by ecclesial circumstances. The Armenian life style is getting more diverse, and the tradition and the sense of values which are basis of most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y of Armenian are now going through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However, the Armenian churches in Armenia and Middle East fiercely hold ancient traditions, beliefs and worships. Being directly and constantly exposed to the powerful influence of values and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secularization, young generations want to change all aspects of church life. Overly excessive and awkward uniformity of the church and aggressive globalization could rather endanger identity and unity of it. Second, from Armenian people the Armenian Apostolic Church currently receive a kind of summons which should determine the mission of the church such as looking for clear strategies for re-Christianization of the Armenian people, realistic effects that may have on Armenian and Diaspora communities that are extracted from the life of modern society, and ways to keep pace with rapidly changing world. Third, the Armenian church should provide the meaning of the church in the present and future life of the Armenian and the mission of Armenian church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country up to the present. The church also should give an answer to how we can fulfill the prophetic mission of the church and the Evangelical and educational tasks at the turning point of Armenian history. In conclusion, the Armenian church will advance forward with the innovated faith, hope and prospects. To this end, the church needs to start as an independent being, while preserving the identity of the Armenian christianity. Moreover, it should be able courageously and responsibly respond to the new challenges and hopes. It will survive in the future Armenian society only through this recovery process. 아르메니아는 국가건설(state-building)보다 민족건설(national-building)이 선행되었으며, 역사적으로는 ‘근대국가(modern nation)’보다는 ‘인종-종교적 집단(ethno-religious group)’의 성격이 강하다. ‘인종-종교적 집단’으로서의 정체성과 단합을 오랜 기간 동안 유지케 해온 근간은 아르메니아 사도교회(Armenian Apostolic Church)였다. 아르메니아 교회는 오랜 기간 민족정체성을 수호하고 중세의 종교적 전통을 유지해 왔으며, 19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인종-종교적 정체성’이 ‘민족정체성’으로 전환될 수 있었다. 오늘날 아르메니아 교회는 상이한 사회문화적이고 정치-종교적인 상황에 놓여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문제와 도전들에 노출되어있다. 사회, 정치, 경제 등 삶의 거의 모든 면에서 다른 지역에 위치한 아르메니아 공동체 사이에 상이점들이 더욱 두드러지고 첨예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아르메니아인들은 교회가 당면한 문제들을 처리하기 위해 일관성 있고, 사회에 책임을 질 수 있으며, 국제적인 이성에 적합한 접근 방법을 수용해야만 한다. 이는 아르메니아 교회의 다양한 면과 영역에 구체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첫째, 교회 생활양식은 교회의 환경에 의해 깊이 영향을 받고 있다. 아르메니아인들의 생활양식은 점점 다양화되고, 아르메니아인들의 국가적, 문화적 정체성에 대부분의 근간을 이루는 전통과 가치관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르메니아와 중동 지방에 있는 아르메니아 교회는 고대 전통, 믿음, 예배를 강력히 고수하고 있다. 가치관의 강력한 영향력과 세계화와 세속화의 경향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젊은이들은 교회 생활의 모든 면을 변화시켜 나가길 원하고 있다. 아르메니아 교회의 지나치고 섣부른 일관성과 공격적인 세계화는 오히려 아르메니아 교회의 정체성과 단일체성을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다. 둘째, 현재의 아르메니아 교회는 아르메니아 국민들의 재기독교화(re-Christianization)에 대한 분명한 전략 수립, 현대 사회의 삶으로부터 추출되는 아르메니아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 끼칠 수 있는 현실적인 영향에 대한 모색과 지속적이고 급격하게 변하는 세상과 함께 보조를 맞출 수 있는 방안 등과 같은 교회의 사명을 결정해야 되는 소명을 아르메니아 인으로부터 받고 있다. 셋째, 아르메니아 교회는 현재와 미래의 아르메니아 인들의 생활 속에서의 교회의 의미, 국가를 건설하는 과정 속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아르메니아 교회의 소명 그리고 교회는 아르메니아 역사의 갈림길에서 교회의 예언자적인 사명과 복음주의의, 교육의, 부제의 과업들을 어떻게 완수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아르메니아 교회는 혁신된 신앙, 희망, 전망을 가지고 앞을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아르메니아 교회는 아르메니아식의 기독교 정체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독립적인 존재로서 출발해야하며, 새로운 도전과 희망에 대하여 용감하고 책임감 있게 응답해야 한다. 아르메니아 교회는 이와 같은 과정의 회복을 통해서만 새로운 미래 속의 아르메니아 사회에 남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르메니아 문제”와 아르메니아 “균형외교”의 한계

        김연규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9 중소연구 Vol.32 No.4

        본 논문은 이제까지 분석적으로 당연시 되어온 아르메니아 대외관계의 러시아의존이라는 관념을 문제화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아르메니아 대외정책이 왜 처음부터 러시아 의존적이 되었는지를 역사적 기원으로부터 밝히는 것이다. 결국 아르메니아의 민족정체성과 민족국가건설의 문제인 “아르메니아문제”가 러시아 의존적이 된 근본원인이었음을 밝힌다. 둘째, 소련 몰락 후 새로운 유라시아 환경에서 러시아, 터키, 이란, 미국 등 주요 강대국들의 힘의 균형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아르메니아문제”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아르메니아의 러시아의존의 성격을 밝히고 아르메니아는 러시아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서구, 미국과의 관계를 증진해 소위 흔히 아르메니아인들이 많이 쓰는 말로는 “보완적”(complementary)인 외교를 펼치려고 했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실제 아르메니아는 군사적인 것 이외의 측면에서는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균형적인” 외교를 펼치려 노력하였다. “균형”(complementarity)의 의미는 아르메니아에 이해관계를 가진 모든 강대국과 균형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과 달리 아르메니아외교정책은 실제로 러시아에 경도된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 원인은 아르메니아의 국익 규정은 경제적인 측면보다는 군사 안보적인 측면에 의해 좌우되고 아르메니아 안보관의 중심에는 아르메니아의 존립 자체를 위협해 온 터키의 안보적 위협과 아르메니아의 국가주권과 영토보전을 위한 아제르바이잔과의 전쟁이 있기 때문에 아직도 러시아와의 군사적인 관계에 의존해 대외정책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아르메니아는 인접한 터키, 아제르바이잔과 오래된 인종, 영토갈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의 군사적 보호를 지속적으로 필요로 한다. 아르메니아는 미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변화를 시도하긴 하지만 최근의 경향은 러시아의 영향력이 다시 강화되는 추세이며 최근에 러시아는 경제적인 면에서도 영향력을 넓혀나가고 있다.

      • KCI등재

        러시아 제국 주변부에서의 혁명: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와 단명한 아르메니아공화국

        강윤희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7 러시아연구 Vol.27 No.2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on the periphery of the Russian Empire, focusing on the case of Armenia. Armenia, situated in the Southern Caucasus, achieved independence in 1918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but it could last only for three years. In 1920, the Armenian government had to agree on the transfer of power to the Revolutionary Committee, resulting in the Sovietization of Armenia. After looking into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Armenians and their political landscape, this paper deals with the birth and the fall of the first Republic of Armenia in the period 1917-1920. In doing so, the paper highlights th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demise of the Armenian Republic. These factors include the Turkish offensive that the Armenian army could not withstand and the nationalist stance of the Armenian Republic that prevented timely reconciliation with the Bolsheviks. 본 연구는 1917년 러시아혁명이 러시아제국 주변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아르메니아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코카서스 지역에 거주하던 아르메니아인들은 러시아 혁명이 주는 기회를 살려 아르메니아공화국을 수립하고 러시아로부터 독립하였다. 그러나 아르메니아공화국은 불과 2년 반 정도만 존속하였을 뿐, 1920년 볼셰비키 세력에 의해 소비에트화 된다. 본 연구에서는 1917년 러시아 혁명 발발 전후의 아르메니아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왜 아르메니아공화국이 단명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2장에서는 혁명 이전까지의 아르메니아인들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정치적 지형을 살펴볼 것이며, 3장에서는 1917년부터 1920년까지의 아르메니아공화국의 정치적 특성과 아르메니아인들이 당시 직면했던 국내외 문제들을 살펴볼 것이다. 러시아혁명 전후의 아르메니아 역사는 아르메니아인들이 왜 민족주의에 경도되었으며 이것이 그들의 정세판단과 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잘 보여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대 아르메니아 외교, 새로운 협력의 모색

        홍완석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0 No.4

        Armenia is physically located at a distance from Korea and does not share regular and direct positional relationships with neighbouring countries like the Korean peninsula. The country's economic power is not high and its territory and population are small market. It is not a country that attracts great attention to Korea in technology. Therefore Armenia is now far removed from Korea's diplomatic interests. The fact that there are no independent diplomatic missions in Armenia is explained by this fact. Hoever id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strategic direction of cooperation creatively and appropriately, economy and trade. O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strengthening of Korea's status in the sociocultural field and national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hree issues that are linked to each other in an effort to promote bilateral relations in the wake of 25th anniversary of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Armenia in February 2017. We have to understand the unfamiliar Armenia and consider the connection with Korea. First it will dissect the newborn Armenia in a geographical context, such as geography, religion, history, politics, economy and diplomacy. Second it identifies the geographical analogy of Armenia and Korea. Third I will examine the meanings and values of Armenia as an object of Korean foreign policy today. These three analyses converge to present a policy proposal to develop the current Korea-Armenia relationship. 이 글의 연구 목적은, 2017년 2월 한국-아르메니아 수교 25주년을 맞이하여 양국관계 증진을 새롭게 모색하는 차원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음 세 가지 문제를 일직선상에서 파악하는 가운데 한국의 대 아르메니아 외교정책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생경한 아르메니아를 이해하고 한국과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한 일종의 워밍업으로서 첫째, 신생국 아르메니아 국가를 지리, 종교, 역사, 정치, 경제, 외교 등의 다층적 맥락에서 압축적으로 해부(解剖)한다. 둘째, 한국과 아르메니아가 처한 통시적(通時的) 및 공시적(共時的) 유사점, 즉 지정학적 유비(類比)를 규명한다. 셋째, 오늘날 한국의 외교정책 대상으로서 아르메니아가 주는 의미와 가치를 창의적으로 살펴본다. 이 세 가지 분석을 수렴시켜 현 한-아르메니아 관계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데 요구되는 일련의 정책제언을 제시한다. 한국과 아르메니아가 처한 지리적 환경과 역사적 조건은 전혀 상이하지만 양국을 둘러싼 대내외적 현실과 극복해야할 국가적 과제가 놀라울 정도로 유사점이 많고, 따라서 아르메니아 국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교훈과 시사점을 얻어낼 수 있다. 아르메니아는 한국과 물리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해 있어 한반도 주변국들처럼 상시적이고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지 않다. 국가의 경제력 수준이 높지 않고 영토면적과 인구가 작기 때문에 자본, 시장, 기술 등의 면에서도 한국에게 큰 관심을 끄는 나라는 아니다. 그래서 아르메니아는 현재 한국의 외교적 관심 대상에서 한참 벗어나 있다. 현재 아르메니아에 독립공관이 개설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 이를 잘 설명해준다. 하지만 우리정부가 창의적으로 대 아르메니아 협력의 전략적 방향성을 적절히 설정한다면 정치외교, 경제통상, 사회문화 분야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국익 증대에 적지 않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영상의 정치학인가?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3

        본 논문에서는 구소련 붕괴 후 분출된 민족문제로 인한 코카서스 지역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그 희생자들의 문제를 아르메니아 출신 감독 나탈리야 벨라우스케네(Natalya Belyauskene)가 제작한 영화 〈이프 에브리원(If everyone)〉을 통해 분석하며, 분쟁 이후 20년 이상이 지난 시점에서 전쟁 당사국들이 이 문제를 바라보고 체화하는 시선을 살펴보았다. 현재 이 지역은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분쟁 해결 원칙에 대한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의 입장 차이가 커서 해결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인 공동체가 주장하는 ‘민족자결의 권리’에 대해 아제르바이잔은 국제법상의 ‘영토보전 원칙’을 주장하며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국제관계상의 분쟁 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고 그 문제를 성찰할 때 ‘영화’가 최고의 매체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미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시대의 사건을 예술적 극화를 통해 제시하며 국제사회에 이 문제를 둘러싼 인식과 지식을 넓히고 각성하는데 영화가 폭발적인 힘을 지니는 것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고에서는 일차적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영유권 분쟁의 원인과 민족 트라우마(trauma)의 배경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과 은닉된 내러티브를 숨가이트(Sumgait) 대학살의 기억 찾기와 힐링(healing)의 전략, 아르메니아의 영성과 종교적 정체성 부각 전략,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영토 보존과 미래를 향한 희망 제시 전략으로 각각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는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양국의 문제이지만, 〈이프 에브리원〉은 아르메니아에서 제작된 영화임을 감안해 아르메니아가 영화를 통해 국제사회에 알리고자 한 메시지는 무엇인지,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서사 전략은 무엇인지를 추적해보았다. 더 나아가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전쟁과 갈등에 대한 재현, 그 정당성에 물음을 던졌다.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을 둘러싸고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인에게 ‘숨가이트 대학살’의 고통이 있었듯이, 아제르바이잔인에게는 ‘호잘리(Khojaly) 학살’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영화의 경우에는 아르메니아가 제작한 것인 만큼, 자국의 시각에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둘러싼 상황을 묘사한 것은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하지만 영상을 통한 역사의 재현 방식을 분석하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상반된 입장을 취하는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양국의 입장을 분석하는 작업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양국의 시선을 객관화하며 균형감 있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양국의 심리적 고통을 공감하며 그들이 평화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Analyzing the problem of regional conflicts in Nagorno-Karabakh of the Caucasus through a film 〈If everyone〉,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of the two countries: Armenia and Azerbaijan. The film produced by an Armenian director Natalya Belyauskene deals with the problems of ethnic issues and the victims of war between Armenia and Azerbaijan. Currently, despite the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rospect of resolving the disput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uncertain. It is true that a film is not the best medium getting some objective and accurate informatio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a film is one of the most powerful weapons to awaken the people, presenting an issue, and expanding the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the case. Delivering these views effectively, this paper, at first,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causes of territorial dispute in the region as well as of the ethnic trauma. After that follows an investigation on the Nagorno-Karabakh war, using the Armenian national wound, such as the massacre in Sumgai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film 〈If everyone〉 was produced in Armenia, this paper traces what message Armenia intends to inform to the world through the movie and what the strategy is to deliver it effectively.

      • KCI등재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54~63CE)과 란데이아(Rhandeia) 조약

        반기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3

        이 논문은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아르메니아가 차지했던 위치를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54~63CE)과 그 전쟁을 종결지은 63년 란데이아 조약(Treaty of Rhandeia)을 중심으로 살핀다. 첫째로 ‘로마 제국의 전략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했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묵은 논쟁을 간략히 정리한다. 둘째로 기원전후 1세기 동안 아르메니아가 로마와 파르티아 사이에서 ‘접경화’ 또는 ‘완충지대화’한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로 네로의 아르메니아 전쟁이 일어나게 된 원인, 과정, 결과에 대해 상세하게 다룬다. 넷째로 63년 전쟁을 종결지은 란데이아 조약과 그 이행을 위한 66년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I)의 로마 방문이 갖는 전략적 의의에 대해 논한다. 로마 제국에 전략이 존재했는가 여부는 로마 제국 대전략(Grand Strategy)에 관한 러트왁(E. W. Luttwak)의 연구 이후 가장 논쟁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제국의 중앙에는 분명 전략을 ‘수립’하고 그 전략의 ‘지속성’을 보장하게 하는 ‘의사 결정 집단(decision-making group)’이 존재했다. 황제 자문위(consilium principis)를 비롯해 국가의 최고위층(primores civitatis)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은 군사적으로 중차대한 결정의 순간마다 황제의 최측근 조언자로 기능했다. 또한 당시 로마나 파르티아 같은 대제국들의 변경 및 외교 정책이나 군사 배치, 이동, 보급 같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그 주변부에 존재했던 왕국이나 부족국가들의 기준에서 볼 때 충분히 ‘전략’적이라 할 만한 것들이었다. 제 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의 결과, 기원전 66년 아르메니아 왕국은 로마의 동쪽 변경이자 파르티아의 서쪽 변경인 접경지대에 위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후 로마의 대(對) 파르티아 전략에서 지정학적으로 중요해졌다. 기원전 53년 크라수스의 파르티아 원정 실패 이후 험악했던 양국 관계는 기원전 20년 아우구스투스의 기지로 회복되었다. 아르메니아 문제는 파르티아가 추천한 아르메니아 왕위 후보자를 로마가 임명하는 형식으로 일단락됐으나, 실질적으로는 로마 황제가 아르메니아 주변 왕가들에서 친 로마적인 인사를 임명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황위계승이 걸린 빈번한 내분으로 개입의 기회를 놓치고 있던 파르티아는 서기 54년 같은 아르사케스조의 티리다테스 1세(Tiridates I)를 기습적으로 아르메니아 왕위에 앉힘으로써 전략적 우위를 점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네로가 코르불로를 파견하기로 결정하면서 아르메니아 전쟁이 시작됐다. 코르불로의 작전 수행은 로마의 기본전략이 반영된 것이었다. 동부 속주들의 방위를 재정비하고 아르메니아에서의 로마 우위를 되찾으면서 파르티아와의 전면전은 피했다. 그러나 승기에 고무된 네로가 지휘관을 파이투스로 교체하고 아르메니아 병합을 시도하면서 전면전이 불가피해졌다. 결과는 서기 62년 란데이아에서의 뼈아픈 패배였다. 이듬해 네로가 국가의 최고위층(primores civitatis)과 상의한 끝에 지휘권을 코르불로에게 넘기자 다시 상황이 로마에 유리하게 흐르기 시작했고, 코르불로는 사태를 수습하고 아르사케스조 파르티아를 위협하여 란데이아 조약을 이끌어냈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향후 로마 황제가 파르티가 추천한 아르사케스조 왕족을 아르메니아 왕으로 승인할 것, 그래서 로마에서 네로의 주관으로 티리다테스 1세의 대관식을 갖는 것이었다. 서기 66년 네로는 로마를 방문한 티리다테스 1세에게 왕... This study re-investigates Nero’s Armenian War of 54~63CE and the Treaty of Rhandeia to highlight the geostrategic importance of Armenia in the context of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Firstly, I will summarize the old debate on the question whether there was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Secondly, I will explain the processes of forcing the kingdom of Armenia to be situated in the contact zone(or the buffer zone) between the imperial powers of Rome and Parthia, and the crucial phases of Nero’s Armenian War during the first century CE. Thirdly, I discuss the strategic intent to conclude the Treaty of Rhandeia in 63CE, which was followed by the coronation of Tiridates I by Nero at Rome in 66CE. Since E. W. Luttwak’s study on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was published, it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opics whether the Romans had their imperial strategy. There was a certain decision-making group in the Roman imperial court, who were able to ‘establish’ and ‘maintain’ a consistent strategy. The primores civitatis(foremost authorities of the state), the consilium principis(council of the princeps) in particular, acted as the closest advisers of the emperor at times of crucial decisions. Ultimately, it is probable that the military disposition, operation and logistics of the greater empires of Rome and Parthia, along with their frontier and foreign policies,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relatively ‘strategic’ by people of the neighbouring kingdoms and tribal states. In 66 BC, as the outcome of the Third Mithridatic War, the kingdom of Armenia was driven into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eastern frontier of Rome and the western frontier of Parthia, and therefore it first became to have the geostrategic importance in the Roman strategy facing against Parthia. Rome’s foreign relations with Parthia, which had been unsecured after Crassus’ defeat and fall at the battle of Carrhae in 53BCE, were restored by Augustus’ peace settlement in 20BCE. The Armenian question was resolved with the agreement that the Roman emperor appoints the king of Armenia whom the Parthian king of kings has recommended, but since then in practice the former would appoint the kings out of non-Armenian royal families while the latter often underwent civil wars of the Parthian succession. In 54CE the Parthian king of kings Vologaeses I raided Armenia and crowned his brother Tiridates I king of Armenia to take strategic superiority over the upper Euphrates. Nero decided to begin war against the Arsacid kings and appointed Gnaeus Domitius Corbulo as the dux belli(commander of war). Corbulo conducted military operations based on the Roman strategy against Parthia. He strengthened the defence of the eastern provinces, restored hegemony over Armenia, and tried to evade a full-scale war with Parthia. However, the war became inevitable when Nero had placed Lucius Caesennius Paetus in command to annex Armenia, which was resulted in the serious defeat at Rhandeia in 62CE. Nero after sought advices from the primores civitates replaced Paetus with Corbulo who rectified the urgent situation and managed to draw up the Treaty of Rhandeia with the Arsacid kings in 63CE. The main agreement of the Treaty was that the Roman emperor approves of a Parthian prince as king of Armenia, thereby crowning Tiridates I by Nero at Rome. In 66CE Nero spent a huge budget on holding the clamorous coronation for his propaganda purpose.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venturing into a full-scaled war to incorporate the kingdom of Armenia into a province of either Rome or Parthia was not any good solution to the Armenian question. The province of Armenia undoubtedly would have required much mo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control and defend the extended borderlands. It was strategically better option for both Rome and Parthia to maintain Armenia as a buffer state situated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m. The Treaty of Rhandeia in ...

      • KCI등재

        서기 3~4세기 로마와 페르시아 접경의 아르메니아 왕국: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아르메니아 왕국의 그리스도교화

        반기현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4 No.-

        이 연구는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 로마 제국과 사산조 페르시아(Sassanid Persia) 제국의 접경지대(contact zone)에 위치했던 아르사케스조 아르메니아 왕국(Arsacid Armenia)을 다룬다. 특히, 아르메니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지는 ‘그리스도교화(Christianisation)’의 문제를 기존의 교회사적인 관점이나 민족주의적인 관점이 아닌, 현실정치의 영역인 지정학(Geopolitics)의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4세기 초 아르메니아의 티리다테스 대왕(Tiridates the Great)은 성 그레고리오스(St. Gregory)에게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정하여 아르메니아를 최초의 그리스도교 국가로 만들었다. 최초의 아르메니아 역사가인 동시에 교회사가인 아가탄겔로스(Agathangelos), 모세스(Moses of Khorene), 파우스투스(Faustus)는 이 사건을 문학적 수사를 동원하여 신화적으로 묘사했다. 따라서 이들의 기록이 갖는 사료적 한계와 문제점을 바로잡아 3세기 후반 아르메니아의 연대기를 보다 사실에 가깝게 재구성하였고, 티리다테스가 그리스도를 받아들인 시기와 세례 받은 시기, 국교화를 선언한 시기를 구별함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히 하였으며, 국교화가 그레고리오스에게 감화된 왕의 독자적인 선택이었는지 아니면 로마와 페르시아 간 지정학과 내부 권력구조를 고려한 판단이었는지 고찰하였다. 아르메니아 왕국은 252년 페르시아의 샤푸르 1세(Shapur I)에게 정복당했으나 278년 로마의 프로부스(Probus) 황제의 도움으로 서부 아르메니아를 되찾고 코스로브 2세(Khorsrov II)가 왕위에 올랐다. 이후 298년 사탈라 전투(battle of Satala)에서 로마가 페르시아에 승리하여 니시비스 평화조약(Treaty of Nisibis)을 맺으면서 아르메니아를 완전히 되찾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후원으로 티리다테스 4세(훗날 대왕)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현실적으로 로마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전부터 그레고리오스와의 교류를 통해 그리스도를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갈레리우스(Galerius)의 그리스도교 관용령(Edict of Toleration)이 선포되고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사망한 311년까지는 로마의 반 그리스도교적 정책을 지지하고 협조하는 것처럼 행동해야 했다. 한편 사산조 페르시아에서는 조로아스터교 사제장 카르티르(Kartir)가 황제의 권력을 등에 업고 3세기 내내 공격적인 포교활동을 벌여 마니를 살해하는 등 이교도들을 박해했다. 그 과정에서 많은 그리스도교도들 또한 희생됐다. 티리다테스의 입장에서는 페르시아로부터 반 조로아스터교적인 세력을 흡수하고 로마로부터 그리스도교 세력을 흡수함으로써 독자적인 세력을 키울 수 있는 여건이 성숙되고 있었다. 311년 티리다테스 대왕은 친 그리스도교 정책으로 선회했다. 그레고리오스는 그간의 공로를 인정받아 314년 카이사레아 주교로부터 서임을 받았다. 티리다테스는 더 나아가 그레고리오스에게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교가 아르메니아의 국교임을 선언했다. 그리스도교도들의 입장에서 로마는 여전히 이교도 제국이었고, 페르시아는 조로아스터교 제국이었다. 티리다테스 대왕은 그리스도교도들의 수호자임을 내세워 로마와 페르시아 접경지대의 그리스도교 세력과 아직 태도를 명확히 하지 못한 많은 이교의 제후들, 즉 낙사라르(naxarar)들까지 모두 포용했다. 이러한 프로파간다로 아르메니아의 국론을 통합하고 왕권 강화에 성공해 330년까지 로마와 페르시아의 접경지대에서 성... This study explores the late 3rd to early 4th century geopolitics of Arsacid Armenia, which was situated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Roman empire and Sassanid Persia. From the perspective of geopolitics I try to shed new light on the Christianization of Armenia in particular, which has been considered the great transition in the history of the Armenians. This has been researched mainly from ecclesiastical and nationalistic viewpoints. Tiridates the Great, king of Armenia, was baptized by St. Gregory and then proclaimed Christianity as the state religion of Armenia in the early 4th century. The first Armenian and Church historians Agathangelos, Moses of Khorene, and Faustus legendized the event in a hagiography with literary topos or rhetoric. I have therefore corrected their accounts and complemented those with the Roman and Persian sources to restructure the late 3rd century-chronology of Armenia as a historical setting for the Christianization. I have classified the times of the conversion, baptism, and establishment to clarify each implication. I have carefully investigated Tiridates’ proclamation of the Christianization to know whether it was a decision that was deeply influenced by St. Gregory or made in considering external geopolitics and internal power structure. In 252 the kingdom of Armenia was conquered by Shapur I, šāhanšāh(king of kings) of the Sassanid Persia, and annexed to it, but in 278 the Roman emperor Probus restored the western part of Armenia and crowned Khorsrov II as king of Armenia. In 298 the Roman caesar Galerius won the crucial victory over the Persian šāhanšāh Narseh at the battle of Satala, and the treaty of Nisibis between the augustus Diocletian and Narseh ended the war and restored the entire kingdom of Armenia. Diocletian crowned his cliens Tiridates IV(later the Great) as king of Armenia. Despite his acknowledgment of Gregory and of the god of Christianity, the client king of Rome had to have supported and cooperated with the anti-Christian policy of his patronus by 311, when the Edict of Toleration was issued by now augustus Galerius and the retired emperor Diocletian had passed away. In the meanwhile the Zoroastrian priest Kartir in Sassanid Persia ambitiously reformed Zoroastrianism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it as state religion and aggressively persecuted other religions there such as Manichaeism, Buddhism, and Christianity. He even killed Mani and many Christians. The favourable geopolitical situations were ripening for Tiridates to consolidate his independent and sovereign position by accepting the anti-Zoroastrians from Persia and the pro-Christians from Rome. In 311 Tiridates the Great embraced a pro-Christian policy. In 314 St. Gregory was consecrated by Leontius of Caesarea due to his successful missionary work in Armenia. Tiridates the Great went further to be baptized by St. Gregory and he proclaimed Christianity as state religion of Armenia. Still, in the view of Christians, the Roman empire stayed pagan, and Persia was the empire of Zoroastrianism. Tiridates propagating himself as guardian of Christianity, attempted to embrace all the local Christian authorities who resided in the contact zones between Rome and Persia, as well as the pagan naxarars(lords, princes, vassals and local elites etc.). He succeeded in enhancing national consolidation and royal authority, and his kingdom was prospering by 330 between the two super powers. His establishment of Christianity as the state religion of Armenia was the paramount geostrategic decision in terms of geopolitics.

      • KCI등재

        앙리 베르누이(Henri Verneuil)의 자전 영화를 통해 본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의 상흔과 디아스포라의 양상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6

        2015년은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가 발생한 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올해 전 세계는 1915년에 빚어진 아르메니아인들의 참극에 대해 깊은 애도를 표했다. 이런 국제사회 분위기의 조류에 힘입어 본 논문에서는 대학살을 피해 세계 곳곳으로 떠나야 했던 감독들이 제노사이드 문제를 다루고 있는 예술 영화 가운데 아르메니아계 프랑스 감독인 앙리 베르누이(Henri Verneuil, 1920∼2002)의 자전 영화 <메이리그(Mayrig)>와 그 후속편인 <파라다이스가 588번지(588 Rue Paradis)>에 주목했다. 아르메니아 대학살 후 프랑스로 이주하게 된 아르메니아인 가족의 굴곡진 삶을 다루고 있는 이 두 영화는 회고록이나 소설 출판뿐만 아니라 이를 시나리오로 각색하여 제작된 영화의 영향력을 통해 제노사이드의 기억을 승화하고 이산의 아픔을 극복한 예술인의 성장 드라마를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앙리 베르누이가 영화를 통해 민족의 문제를 세계인들에게 각인시키고 침윤시키는 기법을 분석하면서, 본고에서는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가 발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부터 살펴보았다.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에 대한 문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국제사회의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만 객관적인 진실에 근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 위에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문제와 그 결과로 빚어진 디아스포라의 양상이 앙리 베르누이의 영화에서 재현된 방식을 그 자신이 쓴 소설 형식의 자서전과 두 편의 영화를 비교 분석하며 살펴보았다. 또한 한 개인의 자의식이 민족역사와 집단의식으로 확장되는 양상 및 그 당위성을 주제적·심미적 차원에서 보다 면밀히 규명하여 제노사이드 문제에 대한 지성인의 비판과 우리의 시대인식에 대해 성찰하였다. One hundred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rmenian genocide occurred in 1915. The world expresses deep condolences to the Armenians. Thanks to the tide of this atmosphere of international communitie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two films of a French director, Henri Verneuil, one of those who had to leave the fatherland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who deals with the genocide problem: an autobiographical movie <Mayrig> and its sequel <588 Rue Paradis>. These two films, treating of the story of an Armenian family immigrated to France after the tragedy, are works we can see the dramatic growth of an artist, who sublimates the memory of the genocide and overcomes the pain of parting through the influence of film. While analyzing Verneuil’s techniques of recognizing and penetrating the ethnic issue of the world through the movie, this paper start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Armenian genocide. It is because the genocide is an issue of approaching closer to an objective truth only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issues of the Armenian genocide and the phases of diaspora are reproduced on Verneuil’s films by comparing the autobiography written in the form of a novel with the movie. In addition, the aspects of the expansion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o national identity and its justification are closely examined to reflect the correct approach for intellectuals to the problem of genocide and to our awareness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