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스 텍스트에 나타난 아랍어의 통합성지수 연구 - 아랍뉴스 ‘al-Riyadh’, ‘al-Ahram’과 KBS, CNN의 아랍어 번역뉴스 비교를 중심으로 –

        이계연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9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3 No.4

        The study aims to compare the index of synthesis of Arabic language between non-translated news texts and translated news texts. It is analyzed through an index of synthesis of media Arabic language, which means internet Arabic news; including, ‘al-Riyadh’ of Saudi Arabia, and ‘al-Ahram’ of Egypt, in contrast to ‘KBS Arabic news of South Korea’ and ‘CNN Arabic news of the United States’. The average of the index of synthesis of internet news in Saudi Arabia and Egypt stood at 4.34, the index of synthesis of Arabic language of internet news of South Korea stood at 4.07, and the index of synthesis of CNN Arabic news stood at 4.27. In addition, translated news texts in Arabic were affected by language customs of the source texts: it is neither target-language nor source-language dependent, and that is what we call “levelling out”. 본 고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의 특징이 형태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의 ‘알리야드’지와 이집트의 ‘알아흐람’지가 포함된 아랍권 뉴스 텍스트의 통합성 지수와 국내의 KBS의 아랍어 뉴스와 미국 CNN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비교해 보았다. 아랍권 뉴스의 평균 통합성 지수는 4.34,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의 통합성 지수는 4.07, 미국 CNN 아랍어뉴스의 통합성 지수는 4.27임을 확인하였다. 통합성 지수 전체로 보아서는 미국 CNN 아랍어뉴스의 통합성 지수가 국내의 KBS의 아랍어 뉴스보다 아랍권 뉴스의 현대 표준 아랍어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타갈로그어, 베트남어, 페르시아어, 터키어와 같은 언어와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측정했던 페인(Payne 1990, 178)은 그의 연구에서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를 3.14로 규정했는데, 그는 통합성 지수에 사용된 언어자료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그런데 이 수치는 본 연구에서 측정한 사우디 아라비아의 대표적 인터넷 신문인 ‘일 리야드’지의 통합성 지수 3.14와 일치한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수치는 품사를 제외한 수치이므로 페인이 측정한 텍스트의 유형은 현대 표준 아랍어 중 뉴스 텍스트일 가능성이 매우 높고, 단어당 형태소를 측정하는 통합성 지수 수식에서 품사를 제외했을 가능성도 있다. 아랍권 뉴스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 비해 국내의 KBS뉴스에서 품사수의 분포가 1,000여개 더 적게 나왔다. 총 형태소 수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나 국내의 KBS뉴스의 총 형태소 수가 아랍권 뉴스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 비해 더 적게 나왔다. 아랍권 뉴스 평균과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에서 동사 사용이 각 428개, 453개로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동사 사용이 200 여개 더 많은 674개로 상이한 양상을 나타냈다. 게다가 명사류의 사용분포를 보면,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와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각 3,826개, 3,776개인 반면 아랍권 뉴스 평균이 4,091개로, 아랍권 뉴스에서 명사류의 사용분포가 더 많았다. 이것은 문 구조에서, 아랍권 뉴스와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의 경우 명사문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에서는 명사문보다 동사문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선행 국내의 연구 중 코란과 현대 표준 아랍어를 비교한 연구가 있는데(이인섭 2019, 11-12), 본 연구와 동일한 코퍼스 크기인 코란 5,000 어절을 기준으로, 코란에서는 1,311개의 동사가 사용되었다. 코란과 비교하자면, 아랍권 뉴스와 국내의 KBS 아랍어 뉴스 텍스트와 달리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 텍스트의 문 구조가 동사문을 선호하는 코란의 문구조 경향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미국의 CNN 아랍어 뉴스 텍스트에서 동사문이 선호되는 현상은 실제로 코란의 아랍어에 근접하게 번역되었기 때문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CNN 아랍어 뉴스에 쓰인 내용을 보면 아랍의 시리아 공습과 리비아 혹은 아랍과 이스라엘 간의 관계에 관한 내용 등도 있었지만 미국 뉴스 사이트인 만큼 미국 국내의 사정내용도 상당 부분 언급되고 있다. 여기서 영어로 기사 작성된 미국 국내의 뉴스가 아랍어로 번역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기사가 영어에서 아랍어로 번역되는 과정을 감안하면, 출발어인 영어의 언어관습이 아랍어 번역문에도 영향 ...

      • KCI등재

        아랍영상물을 통한 아랍이미지의 확장 및 전환 현상 분석 - OTT플랫폼 넷플릭스의 아랍어콘텐츠를 중심으로 -

        장세원,남옥정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9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3 No.3

        Access to Arabic local content through various OTT platforms is easier than ever, various new Arabic contents are developing. The article classifying the cultural codes of TV dramas and films produced by the Arab countries that are being aired, and analyzed how to build their own Arab images, after adopts OTT platform, especially Netflix as an important medium of popular culture consumption. By attempt to escape the image of particularity and exception to Arab and Islamic Images due to Orientalism, this article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the standardized way of thinking about the Arab image that can be viewed on the basis of generality and universality. 이 글은 2017년 아랍영화제 상영작 중, 시리아와 레바논판 로미오와 줄리엣 격인 <결혼 대소동(Solitaire)>의 상영 직후 진행된 감독과의 대화에서 한 청중의 ‘왜 영화 속 여성 캐릭터들이 히잡을 착용하지 않는가?’, 그리고 다른 청중의 ‘시리아와 레바논의 복잡한 전쟁사에 대한 서사가 영화에 드러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질문하는 것을 목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아랍에 대하여 깊게 박힌 그들의 고정관념이 아랍에미리트 출신 감독의 시나리오에 반영되어 있지 않자 청중들은 매우 혼란스러워했고, 로맨틱 코미디 영화를 그 자체로 즐기지 못했다. 아랍 영상물에 대한 드문 노출빈도로 인해 아랍 세계에서 생산되는 콘텐츠들의 다양성을 이해할 기회를 부여받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영화관, 혹은 텔레비전 디바이스, 그리고 배급사나 방송사가 선별한 방송계획이라는 제한된 대중문화 콘텐츠는 넷플릭스와 같은 OTT 플랫폼이 성장하며 획기적으로 로컬 콘텐츠의 폭발적 성장과 소비자들의 이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었다. 다양한 콘텐츠 개발 주도는 아랍어 기반 영상물의 제작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아랍제작자들이 독자나 관객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들은 이러한 플랫폼들을 통해 구성되고 있다. 스튜어트 홀이 말한 ‘의미작용의 정치’가 아랍 콘텐츠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나? 첫째, 드라마 진은 요술램프의 지니로 잘 알려진 캐릭터를 통해 비아랍 세계의 독자들의 관심을 끌어왔으며, 아랍 내부적으로는 청소년들의 문화를 기성세대가 들여다봄으로써 전통과 공동체적 가치, 관습과 현대화 속에서 건강한 담론을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둘째, 드라마 하트 오브 저스티스는 어쩌면 남성의 영역이었던 법해석과 판단의 장인 법정의 한가운데 여자 변호사를 소환함으로써 아랍사회가 직면해있던 여권문제에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으며, 독립적이고 주도적인 여성변호사를 통해 이슬람 율법 기반의 보수적 사법체계가 좁히지 못하던 현대적 사건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이슬람을 기반으로 하는 아랍국가들에게 씌워져 있던 비민주적이라는 굴레를 벗기고 이성적이고 현실적이라는 사회적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영화 더셀은 미국 CBS의 드라마 LAPD 경찰 특공대 S.W.A.T을 보는 것과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며, 최근 발생한 카이로 차량폭탄테러가 발생한 원인인 이집트의 정치적, 종교적 갈등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고자 하였다. 한편으로, 하트 오브 저스티스에서처럼 성폭행범이나 불합리한 관습법에 시달리는 인물을 인도인으로 묘사함으로써, 아랍에미리트 사회도 가지고 있는 조혼풍습이나 외국인 혐오라는 문제에서 자신들이 속한 사회를 상위로, 비아랍이자 동양을 하위문화로 간주함으로써 그들이 겪어온 아랍문화에 대한 혐오를 다른 사회에 돌리는 균형감의 상실도 드러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넷플릭스와 같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는 아랍세계처럼 문화 변방에 있던 국가들에게 글로벌 시장에 자신들의 얘기를 담은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는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으며, 다수의 대중들에게는 아랍이나 이슬람 사회에 대한 특수성과 예외성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고 일반성과 보편성에 근거하여 바라볼 수 있다는 아랍 이미지에 대한 정형화된 사고방식의 전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Motivation in Arabic Language Learning among Korean Students

        최진영(Choi, Jin-Young) 한국중동학회 2010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1 No.2

        외국어학습 및 학습동기에서 문화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1950년대부터 언어학습 프로그램에 문화적 요소를 개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응용언어학자들은 제 2외국어 또는 외국어 학습이 해당 언어사회의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는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언어학습과 문화간의 밀접한 관계는 이론적으로 입증되었고, 실제로 문화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습자들의 경우 언어습득 또는 학습의 능률이 매우 저조하다는 결과가 많이 발표되었다. 언어가 문화적 사실을 전달하거나 구체화 한다는 전제하에 문화적 이해가 부족할 경우, 학습자들은 원어민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거나 해당언어의 학습을 제대로 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특히, 제 2외국어 또는 외국어에 대한 통합적 학습법이 지향하는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향상은 문화적 요소의 이해를 전제로 하는 적합한 언어사용의 확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아랍어 학습에서 아랍 문화적 요소에 대한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올바른 이해는 학습능력의 제고를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아울러 문화적 요인은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준다. 본 논문은 한국학생들의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역할과 학습동기의 유형 및 양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아랍어 학습자들을 아랍어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구분하여 학습동기에 대한 2개의 유형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첫째, “아랍어를 어떻게 학습하게 되었는가?”를 묻는 학습 개시(trigger)와 둘째, “아랍어를 현재 왜 학습하는가?”를 묻는 학습 목적(orientation)에 대한 동기를 물었다. 아울러 국내 2개 대학에서 아랍어를 가르치는 교수들에게도 교육 프로그램에 아랍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었는지, 그리고 그 필요성 및 학습향상을 위해 필요한 문화적 소재는 무엇인지를 물어보았다. 학습동기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크게 두 개의 범주 즉, 내형적 동기와 외형적 동기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아랍어 전공자, 비전공자 각각 학습개시 동기와 학습목적 동기가 내형적인지 외형적인지를 분석했다. 내형적 동기는 자기만족을 위한 것으로 아랍어를 배우는 이유가 아랍문화, 정치, 사회, 역사, 종교에 대한 관심과 여행, 대화 등과 같은 자기만족을 위한 동기들이다. 반면, 외형적 동기는 자신의 목적 실현을 위한 것으로 구체적 실행을 통한 목적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들이다. 예를 들어, 직업취득, 학점, 졸업, 교사임용, 타언어와의 차별 등이다. 전체적으로 한국학생들은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교수들도 학생들이 관심을 갖거나 흥미를 갖는 다양한 아랍문화적 소재를 발굴하고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적합한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했다. 학습 동기 분석에서 아랍어 전공자들의 경우, 학습개시 동기나 목적 동기가 대체적으로 비전공자들보다 외형적 특징을 더 취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아랍어 전공자들의 아랍어 학습이 자기만족 보다는 취업기회 확대나 학점취득 등 실용적인 목적을 위한 것임이 밝혀졌고, 이러한 현상은 고학년으로 올라갈 수록 두드러졌다. 반면, 비전공자들은 전공자들보다 학습동기가 내형적 특징을 취하고 있었다. 비전공자들은 실용적인 목적보다 자기만족을 위해 아랍어를 학습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이 입증됨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소재가 포함되는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공자들의 학습동기가 너무 외형적 특징에 치우침에 따라 언어와 문화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는 통합적 동기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Arab Culture and Orientations Toward Arabic Language Learning Among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Katsunori SUMI,Akiko SUMI 한국글로벌문화학회 2023 글로벌문화연구 Vol.14 No.1

        아랍 문화에 대한 관심은 일본 대학의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아랍어 학습을 시작하고 발전시키는 동기이다. 외국어 학습의 이유를 나타내는 오리엔테이션은 문헌에서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랍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일본 대학의 아랍어 전공 및 비 아랍어 전공 학생들 사이에서 아랍어 학습에 대한 5 가지 유형의 오리엔테이션 (통합, 도구, 우정, 여행 및 지식 오리엔테이션)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일본인 대학생 571 명은 아랍어 전공 학생 292 명 (여성 70.2 %)과 비 아랍어 전공 학생 279 명 (여성 68.8 %)의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에는 아랍문화 척도에 대한 관심과 아랍어 학습 규모에 대한 방향이 포함되었다.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랍어 전공 학생의 도구 오리엔테이션은 비 아랍어 전공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 다른 오리엔테이션 유형과 아랍 문화에 대한 관심은 두 주요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아랍 문화에 대한 관심은 모든 유형의 오리엔테이션과 유의하고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Interest in Arab culture is the reason starting and advancing the learning of the Arabic language for most students at Japanese universities. Orientation, which refers to the reason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litera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est in Arab culture and the five types of orientation toward learning Arabic (integrative, instrumental, friendship, travel, and knowledge orientation) among Arabic major and non-Arabic major students in Japanese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571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comprising two major groups: 292 Arabic major students (70.2% women) and 279 non-Arabic major students (68.8% women).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Interest in Arab Culture Scale and the Orientations toward Arabic Language Learning Scale.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instrumental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Arabic major students than that for non-Arabic major students, whereas the other orientation types and interest in Arab cul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wo major groups. Additionally, interest in Arab cultur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ypes of orientation.

      • KCI등재후보

        Interest in Arab Culture and Motivation for Learning Arabic: The Influence of Interest on Autonomy in Motivation Among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Katsunori SUMI,Akiko SUMI 한국글로벌문화학회 2022 글로벌문화연구 Vol.13 No.1

        아랍어를 학습하는 대부분의 일본 대학생은 아랍 문화에 대한 관심이 큰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아랍 문화에 대한 관심과 아랍어 학습동기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 이론에 기초하여 일본에서 아랍어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아랍 문화에 대한 관심이 아랍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491명의 비아랍 학생 중 일본 대학의 아랍어 수업을 수강하는 여학생 64.2%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아랍 문화 규모에 대한 12개 항목의 관심과 15개 항목의 아랍어 학습 동기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채택된 자료는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랍 문화에 대한 관심에서 동기 부여의 자율성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성별과 연령의 차이를 제어한 후, 긍정적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기부여의 자율성에 대한 아랍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의 영향을 설명하는 가설경로 모형을 지지한다. 긍정적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일본에서 아랍어의 교습의 실용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Most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ho start learning Arabic do so as they have a notable interest in Arab culture and tend to keep the interes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est in Arab culture and the motivation to learn Arab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rest in Arab culture on autonomy in motivation to learn Arabic amo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Arabic in Japan,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among 491 non-Arabic language major students, taking Arabic classes in Japanese universities (64.2% women).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12-item Interest in Arab Culture Scale and the 15-item Arabic Learning Motivation Questionnaire. The data obtain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th coefficient from interest in Arab culture to autonomy in motivation w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differences in sex and age.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zed path model which describes the influence of students’ interest in Arab culture on autonomy in motivation. Despite several limitations, the findings provide pragmatic sugges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Arabic in Japan.

      • KCI등재

        아랍어에서 유래된 영어의 별 이름

        이규철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8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2 No.1

        지금까지 알려진 별 이름은 천 개가 넘으며 서구에서는 대부분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쓰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아랍어에서 유래된 영어의 별 이름을 고찰하였다. 먼저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음운론적으로는 아랍어의 문자 순으로 자음과 모음, 음절로 구별하여 살펴보았다. 이 경우에 아랍어 음운 중 영어에 없는 것은 영어의 근사음에 맞추어 표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일부 별 이름은 라틴어를 통해서 영어에 들어왔기 때문에, 라틴어의 발음을 적용한 경우도 알 수 있었다. 형태론적 면에서는 아랍어의 관사, 연결형, 명사-형용사구로 나누어 아랍어의 단어 또는 구가 변화된 경우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 경우에 아랍어의 단어 또는 구가 영어로 차용되는 과정에 문법적으로 일치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살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일부 천문학 용어를 알아보고, 영어의 개별 별 이름을 그 경유 언어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별 이름은 아니더라도 이 연구의 주제에 맞추어 아랍어와 영어의 천문학 용어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 또한 13개의 잘 알려진 개별 별 이름을 통해서 아랍어의 별 이름이 영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별 이름에서 아랍어에서 영어로 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운 법칙과 형태론적 변화를 고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영어를 비롯한 서구 여러 언어의 별 이름에 끼친 아랍인들의 영향이 지대함을 알 수 있었다. There are above 1,000 star names in Western World, and in most of them are derived from Arab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f star names in English which are derived from Arabic. In the phonological aspect, Arabic consonants and vowels retained its phonetic value in English. But in some consonants which do not exist in English they are changed and represented in similar pronunciation. In some they are reflexed in the Latin pronunciation. Because the star names are introduced in English through Latin. In the morphological aspect, the words and phrases are reviewed in the phases of article, construct state and noun-adjective phrase. In some cases their forms agree with Arabic, but in other cases they disagree with Arabic and their grammaticality is violated. In the astronomical terms are examined in the aspects of non-derived and derived from Arabic. And the most well-known 13 star names are examined individually by way of alphabetical order. They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loan English, Korean meaning, Arabic meaning and the language or languages through which the star names are derived from Arabic into English.

      • KCI등재

        아랍세계 논의의 특징과 오리엔탈리즘적 전통

        엄한진(Hanjin Eo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1

        아랍세계는 탈냉전 세계화 시대에 있어 가장 집중적인 언론의 관심을 받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낯선 지역으로 남아 있다. 그렇지만 아랍세계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지리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외부세계에 그 어느 지역보다도 열려 있는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일찍부터 외부세계에 개방되었던 아랍세계가 고립된 섬과 같은 특수성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그것은 실제인가, 환상인가? 이 글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아랍세계에 대한 논의가 지닌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오리엔탈리즘적 전통과 연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정체성에 관한 문제의식은 근대 이후 비서구사회에 공통적인 현상이지만 아랍세계 또는 오리엔트 세계에서 유독 중요하게 제기되는 것은 서유럽과의 지리적, 역사적 연관성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와 타자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아랍 근대사상의 핵심적인 내용이었다. 정체성 문제와 연관된 것이지만 아랍세계에 대한 논의의 또 다른 특징은 이슬람이라는 종교를 중요한 설명변수로 여긴다는 점이다. 이는 역으로 세속적이고 보편적인 요인들에 대한 무관심을 의미한다. 서구사회와 다른 측면이 부각된다거나 서구와의 관계가 중시되는 것은 비서구사회에 대한 논의의 일반적인 특징이지만 아랍세계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특히 강하게 나타난다. 그 배경에는 이 지역에 대한 서구의 정치적, 경제적 관심이 존재한다. 오리엔탈리즘이 19세기 서구의 관심이 축적된 결과물이라면 재이슬람화 현상을 배경으로 등장한 신오리엔탈리즘은 현재 서구의 관심이 학술적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오리엔탈리즘이 탄생한 이후 지금까지 세계는 큰 변화를 겪었지만 아랍에 대한 시각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들에서 이러한 아랍 담론의 초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rabian world remains as one of the most unfamiliar areas even though it attracted the attention of media the most amongst all areas in the world during the post Cold War era. However, this area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open places to the West, in terms of geographical,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since the early 19th century. Why is it, then, that a place as open as the Arabian world should appear to have the character of an isolated island,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everywhere else? Is this image of the Arabian world real or made up?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examines the major aspects of the debate on the Arabian world, and then explains them in relation to the Orientalist tradition. Although issues of identity have been a topic of common interest in non-Western societies in the modern times, the topic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 in the Arabian world or in the Oriental world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and historical affinity with Western Europ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ent and the West has been a core theme in the modern Arabian thoughts. Another aspect of the debate on Arabian world is the fact that they take the religion Islam as an important factor for explaining almost any phenomenon in the Arabian world. This reveals their indifference to secular or universal elements.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of the West lie in the background of the discourse on any non-Western society, but it does so especially in respect to the Arabian world. While Orientalism is a product of the interests of the West in the Orient in the modern times, neo-Orientalism is an academic expression of the interests of the West that emerged together with the phenomenon of re-Islamization of Islamic societies.

      • KCI등재

        한국 학생들의 아랍어 학습 동기분석: 아랍 문화적 요인의 역할

        최진영 ( Jin Young Choi ) 한국중동학회 2011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1 No.2

        외국어학습 및 학습동기에서 문화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1950년대부터 언어학습 프로그램에 문화적 요소를 개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응용언어학자들은 제 2외국어 또는 외국어 학습이 해당 언어사회의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는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언어학습과 문화간의 밀접한 관계는 이론적으로 입증되었고, 실제로 문화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습자들의 경우 언어습득 또는 학습의 능률이 매우 저조하다는 결과가 많이 발표되었다. 언어가 문화적 사실을 전달하거나 구체화 한다는 전제하에 문화적 이해가 부족할 경우, 학습자들은 원어민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거나 해당언어의 학습을 제대로 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특히, 제 2외국어 또는 외국어에 대한 통합적 학습법이 지향하는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향상은 문화적 요소의 이해를 전제로 하는 적합한 언어사용의 확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아랍어 학습에서 아랍 문화적 요소에 대한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올바른 이해는 학습능력의 제고를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아울러 문화적 요인은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준다. 본 논문은 한국학생들의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역할과 학습동기의 유형 및 양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아랍어 학습자들을 아랍어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구분하여 학습동기에 대한 2개의 유형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첫째, "아랍어를 어떻게 학습하게 되었는가?"를 묻는 학습 개시(trigger)와 둘째, "아랍어를 현재 왜 학습하는가?"를 묻는 학습 목적(orientation)에 대한 동기를 물었다. 아울러 국내 2개 대학에서 아랍어를 가르치는 교수들에게도 교육 프로그램에 아랍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었는지, 그리고 그 필요성 및 학습향상을 위해 필요한 문화적 소재는 무엇인지를 물어보았다. 학습동기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크게 두 개의 범주 즉, 내형적 동기와 외형적 동기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아랍어 전공자, 비전공자 각각 학습개시 동기와 학습목적 동기가 내형적인지 외형적인지를 분석했다. 내형적 동기는 자기만족을 위한 것으로 아랍어를 배우는 이유가 아랍문화, 정치, 사회, 역사, 종교에 대한 관심과 여행, 대화 등과 같은 자기만족을 위한 동기들이다. 반면, 외형적 동기는 자신의 목적 실현을 위한 것으로 구체적 실행을 통한 목적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들이다. 예를 들어, 직업취득, 학점, 졸업, 교사임용, 타언어와의 차별 등이다. 전체적으로 한국학생들은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교수들도 학생들이 관심을 갖거나 흥미를 갖는 다양한 아랍문화적 소재를 발굴하고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적합한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했다. 학습 동기 분석에서 아랍어 전공자들의 경우, 학습개시 동기나 목적 동기가 대체적으로 비전공자들보다 외형적 특징을 더 취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아랍어 전공자들의 아랍어 학습이 자기만족 보다는 취업기회 확대나 학점취득 등 실용적인 목적을 위한 것임이 밝혀졌고, 이러한 현상은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두드러졌다. 반면, 비전공자들은 전공자들보다 학습동기가 내형적 특징을 취하고 있었다. 비전공자들은 실용적인 목적보다 자기만족을 위해 아랍어를 학습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이 입증됨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소재가 포함되는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공자들의 학습동기가 너무 외형적 특징에 치우침에 따라 언어와 문화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는 통합적 동기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랍어 속담을 활용한 아랍어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공지현 한국중동학회 2010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1 No.2

        속담은 민중의 삶과 문화를 표현한다. 속담은 민중의 전통, 도덕, 신념 등을 반영할 뿐 아니라 다양한 시기를 통해 발전된 인간 사회의 경험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담에는 당연히 그 나라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사고방식 등이 잘 나타나 있게 마련이다. 이런 의미에서 속담과 명언은 문화적 표현의 일부가 된다. 특히, 아랍인들은 조상으로부터 막대한 양의 속담을 유산으로 물려받았다. 또한 아랍인들은 속담을 매우 좋아하고 즐겨 사용하여, 속담은 그들의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아랍어 속담은 아랍문화의 매우 중요한 양상을 나타내며, 특히 중요한 아랍어 구전 문화로 간주된다. 이는 아랍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길 원하는 외국인 아랍어 학습자가 아랍어 속담을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가 아랍인들과 보다 원활하고 친밀한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아랍어 속담을 교수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먼저, 문헌 검토를 통해서 아랍어 속담 교육이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아랍어의 비밀에 접근할 수 있는 진입로를 제공하고, 아랍 사회의 역사, 사상, 도덕, 원칙에 대한 지식을 제공할 뿐 아니라 아랍어 속담의 간결성과 리듬성이 아랍어에 대한 친밀도를 배가함으로써 아랍어 학습효과를 배가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를 위한 아랍어 속담 선정 방법으로 주관적 방법과 객관적 방법을 절충하는 경험적 방법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랍어 속담 선정의 기준으로는 속담의 사용빈도, 은유적 명확성, 최소한의 난이도, 모국어와의 유사성 혹은 관계성, 학습자의 학습 단계 및 연령, 학습 목표 및 교육 목표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급단계와 고급단계 아랍어 교실에 아랍어 속담을 교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적용 사례들을 제안했다.

      • KCI등재

        고전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의 통합성 지수와 구조 연구: 코란, 요르단 교과서, 한국의 아랍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인섭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19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3 No.3

        Arabic is a polysynthetic language in terms of its morphological synthesi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ndexes of synthesis for texts from the Quran, a Jordanian high school textbook (Geography of Jordan, 10th grade) and Arabic books used in Korean high schools (Arabic I, Arabic II, Arab Culture). First, to measure the degree of morphological synthesis of Classical Quranic Arabic (fuṣḥā), the study calculated 5,000 synthetic units from the Quran. Next, to compare this result with other texts, the study examined a Jordanian high school textbook and Arabic textbooks used in Korean high schools, calculating 5,000 synthetic units from each. While these indexes of synthesis do not demonstrat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it shows that the components of texts have different structures, especially in the usage of verbs. Thus, despite the similar index values of the Modern Standard Arabic and Classical Arabic (fuṣḥā), each exhibit distinct contents and stru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identify how much Modern Standard Arabic has diverged from Classical Arabic. It will also help provide a mechanism to bring Modern Standard Arabic closer to Classical Arabic and to ensure that the former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latter. 이 연구에서는 코란의 고전 아랍어(العربية الفصحى)와 현대 요르단과 한국 고등학교 아랍어 교과서의 표준 아랍어를 통합성지수와 구조적인 특성면에서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아랍어 문장 내에서는 코란과 현대 아랍어 모두에서 명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동사가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코란의 아랍어에서는 동사 사용이 많고, 현대 아랍어는 명사 사용 빈도가 높은 특성을 보였다. - 코란에서는 불변사류가 전체 품사 수 중 34%를 차지한다. 이는 현대 아랍어에 비해서 1.48배 많이 사용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란의 통합성지수가 현대 요르단과 한국의 아랍어 교과서의 표준 아랍어의 통합성지수보다 10%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보아, 코란의 텍스트가 현대 교과서에 사용된 표준 아랍어 보다 더 많은 문법적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코란과 현대 표준 아랍어의 격 표지 중에는 소유격 표지 형태소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지만, 코란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보다 연결형태가 적게 사용되어서 소유격 표현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 코란에서는 불변사류, 즉 지배소가 현대 교과서보다 1.48배 정도 많이 사용되어, 현대 아랍어와 달리 목적격이 주격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 한국 교과서가 요르단 교과서보다 의 격 표지가 적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외래어 인명과 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 한국 교과서가 초급용 교재인 점을 고려하면 주격이 가장 많은 이유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교과서가 초급 과정의 교재임에도 불구하고 통합성지수가 4.43이 유지된 이유는 고유명사, 형용사, 수사가 사용 빈도가 다른 텍스트에 비해서 많았기 때문이다. - 요르단의 지리 교과서는 정보적 텍스트의 특성상 대화문이 없기 때문에 대명사, 의문사, 호격사, 부정사 등의 사용이 다른 테스트에 비해서 적다. 본 연구는 코란과 현대 요르단과 한국의 아랍어 교과서를 분석, 비교한 것이다. 그러므로 코란의 고전 아랍어와 현대 아랍어 사이에 나타나는 간극과 통시적인 변화 양상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코란의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의 차이를 연구함으로 달라진 언어 특성과 구조가 무엇인지를 부분적으로 조명하여, 향후 코란의 아랍어가 보여주는 표준성을 현대 표준 아랍어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를 고민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가 완성되기 위해서는 통시적인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시대별, 단계별 아랍어 표준어의 통합성 지수를 비교 분석하면 객관적으로 어떠한 요인 때문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처럼 보다 많은 텍스트를 연구하면 고전 아랍어와 현대 아랍어의 차이를 특정할 수 있고, 고전 아랍어의 표준성을 현대 아랍어 텍스트에서 어떻게 회복시킬 수 있을 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